이 논문은 서사 텍스트인 <진대방전>이 유교 이념을 교육하기 위한 교육 텍스트로 기능할 수 있음을 서사 구조 분석과 텍스트 특징을 중심으로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작품은 조선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서사 텍스트인 <진대방전>이 유교 이념을 교육하기 위한 교육 텍스트로 기능할 수 있음을 서사 구조 분석과 텍스트 특징을 중심으로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작품은 조선시...
이 논문은 서사 텍스트인 <진대방전>이 유교 이념을 교육하기 위한 교육 텍스트로 기능할 수 있음을 서사 구조 분석과 텍스트 특징을 중심으로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작품은 조선시대 유교적 삶의 가치가 얼마나 중요한지 피력하고, 그러한 삶을 살았을 때 제공될 수 있는 보상까지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당시의 교육 텍스트로 기능할 수 있도록 했다.
<진대방전>은 텍스트의 구조가 독특하다. 이 작품은 반 데이크의 서사구조에 부합하여 소설 텍스트로 분류할 수 있으며, 교육적 효과를 도모한 것이 특징이다. 진대방과 어머니의 갈등을 사또가 적합한 훈화 내용을 들어 교육한다. 또한 사또는 소설의 각 등장인물에게 적절한 교훈담을 제시하면서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지적한다. 훈교 결과 개과천선한 인물의 변화 양상을 기술하여 교화를 통한 갈등 해결을 구체적으로 명시한다. 나아가 소설의 말미에 텍스트 생산자의 의도를 구체화하여 첨언하기도 한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교육 텍스트를 전제하고 구조화한 특성이 있다.
<진대방전>의 텍스트 구조는 교육 목적으로 활용하기에 유용하다. 즉 교육적 효과를 수월하게 달성할 수 있도록 텍스트 구조를 특화하였다. 옴니버스식 구성으로 텍스트의 융통성을 확보한 것이 그것이다. 나아가 사건 해결을 요약 제시함으로써 교육적 주제가 수월하게 전달되도록 의도하기도 했다. 곧 서사 텍스트가 교육 텍스트로 변모·기능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 작품이 교육 방안을 구체적으로 모색하면서 계몽적 성격까지 구비할 수 있었던 이유이기도 하다.
<진대방전>의 텍스트 구조는 다양한 면에서 교육적으로 활용할 만하다. 이 작품은 첨예한 대립구조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기보다는 중개자인 사또가 교화를 통해 사건을 해결한다. 교화의 방법은 교훈적 삽화를 다양하게 제시하는 것이라 하겠다. 그래서 거시적으로는 삽화 편집 구조의 소설이면서도 한편으로는 교육용 텍스트로 활용하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했다. 따라서 이 작품에 대해 교육 텍스트로 접근하여 지향하는 바의 의도를 주밀하게 살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s aim is to examine the narrative structure, functions, and features of the Jindaebang-jeon. Jindaebang-jeon is an educational narrative text for the purpose of educating Confucian ideology. It borrowed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novel...
This thesis's aim is to examine the narrative structure, functions, and features of the Jindaebang-jeon. Jindaebang-jeon is an educational narrative text for the purpose of educating Confucian ideology. It borrowed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novel as a way to stimulate education. And it is the result of teaching Confucian ethics to enlighten people. Furthermore, if a leader live according to Confucian values, it indirectly show how compensation is given to him. And the novel is reaping the enlightenment effect to readers. To summarize the above discussion, it is as follows.
First, Jindaebang-jeon is suitable for the narrative structure of Van Dijk. And it presupposes conflict and solution composition, and suggests moral of text through solution. The novel emphasizes benevolence, righteousness, propriety and wisdom and the Three Bonds and Five Relationships in Confucianism, and reveals its educational purpose by directly mentioning it in narrative structure. The conflict and solution structure of narrative text is simple, but there are various educational stories in governor's apologue.
Second, Jindaebang-jeon is an omnibus configuration, so the text is likely to expand. And by summarizing the events, the subject's pre-calendar of the novel is so strong. The omnibus configuration allows to add or remove educational stories. By presenting a summary of the same topic, it makes easy to understand what the message the novel wants to deliver. So readers can easily understand and accept topics that are emphasized in text.
Third, the narrative text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Jindaebang-jeon are to prioritize education. The composition of this text is useful in terms of enlightenment because it is clear that the purpose of education is achieved and moral is concrete. And as a conclusion of the novel, it mentions the wealth, honor and the happy life of Jindaegbang family specifically. Thus, it shows that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life by Confucian lesson. Therefore, it can gather the enlightenment effect that leader can enjoy wealth and honor if they live like Jindaebang.
Jindaebang-jeon does not have a dramatic structure in which conflict and resolution were sharply opposed. But It is a text that can be used as an educational text to point out the problem of Jindaebang and to educate the reader as governor solves it.
참고문헌 (Reference)
1 문영진, "효를 주제로 한 서사의 소통-조선전기까지의 서사를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회 (57) : 7-41, 2010
2 반 데이크, "텍스트학" 아르케 2001
3 이성만, "텍스트구조의 이해" 텍스트언어학회 1 : 1994
4 이해윤, "텍스트 유형별 구조 비교분석 - 수사구조이론을 기반으로"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3 (23): 231-254, 2007
5 고영근, "텍스트 과학" 집문당 2012
6 김응환, "충효(忠孝)윤리의 소설적 구현양상과 의미" 한국보훈학회 3 (3): 2004
7 박용익, "질적 연구와 텍스트언어학" 한국텍스트언어학회 32 : 123-145, 2012
8 윤석민, "중세국어 텍스트의 분석 방법과 실제"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9 : 279-313, 2010
9 박용익, "이야기란 무엇인가?"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 : 141-161, 2006
10 박용익, "이야기 텍스트의 구조" 언어연구소 (61) : 53-79, 2013
1 문영진, "효를 주제로 한 서사의 소통-조선전기까지의 서사를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회 (57) : 7-41, 2010
2 반 데이크, "텍스트학" 아르케 2001
3 이성만, "텍스트구조의 이해" 텍스트언어학회 1 : 1994
4 이해윤, "텍스트 유형별 구조 비교분석 - 수사구조이론을 기반으로"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3 (23): 231-254, 2007
5 고영근, "텍스트 과학" 집문당 2012
6 김응환, "충효(忠孝)윤리의 소설적 구현양상과 의미" 한국보훈학회 3 (3): 2004
7 박용익, "질적 연구와 텍스트언어학" 한국텍스트언어학회 32 : 123-145, 2012
8 윤석민, "중세국어 텍스트의 분석 방법과 실제"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9 : 279-313, 2010
9 박용익, "이야기란 무엇인가?"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 : 141-161, 2006
10 박용익, "이야기 텍스트의 구조" 언어연구소 (61) : 53-79, 2013
11 이태문, "윤리의식의 중세적 형상화: 『진대방전』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7 (27): 1998
12 "영인 고소설판각본전집 권3"
13 박정숙, "소지'의 텍스트 언어학적 분석 - 서사구조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12 : 119-138, 2002
14 윤석민, "서사텍스트의 텍스트유형론적 특성과 분석 - 이론과 적용 -" 한국어교육학회 (136) : 67-105, 2011
15 황혜진, "서사텍스트의 주제 진술 방식 연구" 한국독서학회 (15) : 457-487, 2006
16 강은실, "서사텍스트의 거시구조에 대한 이론적 검토와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국어교육학회(since1969) (40) : 1-34, 2007
17 조동일, "문학과 텍스트언어학: 문학작품의 구조분석" 한국텍스트언어학회 9 : 2000
18 인천대학민족문화연구 자료총서간행위원회, "구활자본 고소설전집 14"
19 신태수, "『三綱行實圖』효자편과 『진대방전』의 거리" 우리말글학회 62 : 187-216, 2014
20 조도현, "<진대방전>의 윤리교화적 실상과 의미" 인문과학연구소 40 (40): 31-59, 2012
21 박은정, "<진대방전>에 나타난 이념의 위상과 이본 생성 동인" 한민족어문학회 (47) : 81-116, 2005
22 김진영, "<陳大方傳>의 倫理敍事的 特性과 限界" 한국언어문학회 (70) : 211-235, 2009
『주역』건곤(乾坤)의 괘서(卦序)에 관한 연구-사덕(四德)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0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HUMANITIES STUDIES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4 | 0.44 | 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6 | 0.658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