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재란을 겪으며 全燒된 화엄사는 碧巖覺性(1575∼1660)의 주도 아래 재건이 이루어졌다. 대 웅전에는 목조비로자나삼신불상이 봉안되었는데, 1634년에 완성하여 1635년에 점안·봉안되었 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정유재란을 겪으며 全燒된 화엄사는 碧巖覺性(1575∼1660)의 주도 아래 재건이 이루어졌다. 대 웅전에는 목조비로자나삼신불상이 봉안되었는데, 1634년에 완성하여 1635년에 점안·봉안되었 다. ...
정유재란을 겪으며 全燒된 화엄사는 碧巖覺性(1575∼1660)의 주도 아래 재건이 이루어졌다. 대 웅전에는 목조비로자나삼신불상이 봉안되었는데, 1634년에 완성하여 1635년에 점안·봉안되었 다. 2015년에 석가불상 복장 <시주질>과 노사나불상 대좌 내부 板材에 적힌 <묵서명>이 조사되고, 2020년에 노사나불상의 복장 <시주질>이 조사되어 비로자나삼신불상의 조성에 참여한 청헌, 응원, 인균을 포함한 열여덟 명의 조각승들이 밝혀졌고 宣祖의 아들 의창군 李珖을 비롯한 왕실과 종친, 천명이 넘는 僧俗의 시주자들이 동참한 대규모 불사였음이 알려졌다. 비로자나삼신불상의 본존은 높이 2.76m의 장육불상으로 당시 불교조각에서 널리 유행하던 장신 형의 비례감이 아닌 두부가 크고 어깨가 좁은 古式의 短軀形 비례감을 보인다. 주먹 쥔 왼손을 오른 손으로 감싼 비로자나불의 智拳印과 보관을 쓴 보살형의 노사나불상은 북송대에 고려로 전해진 전 통적인 圖像이며, 석가불상이 결한 독특한 항마촉지인의 형식은 明에서 전래된 經 변상도에 나타난 도상이 불교조각에 반영된 것으로 생각된다. 화엄사 비로자나삼신불상에서 나타나는 新舊 양식과 도상의 혼재는 화엄사 佛事를 맡았던 조각 승들이 고려시대 불교조각의 귀족적 전통을 계승한 조선초기 불교미술에서 화엄사 삼신불상의 범본 을 구하려했던데서 비롯된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전란으로 소실된 고려시대 비로자나삼신불상의 原 모습에 가깝게 복원되기를 바라는 화엄사 山中大德들의 기대가 불상조성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화엄사 삼신불상의 노사나불상은 고려시대 비로자나삼신불상과 도상 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고려시대의 화엄사에 이와 유사한 도상과 양식의 비로자나삼신불상이 봉 안되어 있었을 가능성을 상정해 볼 수 있다. 만우 휘헌의 『화엄사지』(1924)에 따르면, 화엄사는 고려 왕실의 축성의례를 거행해온 사찰로 여 겨지는데, 이 전통이 조선후기까지 이어져 화엄사 재건 불사에서 새로 조성된 대웅전 비로자나삼신 불상 역시 조선왕실의 축성의례를 위한 예배대상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화엄사 재건에 왕실 과 종친이 시주자로 참여한 점도 이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은석, "金堤 金山寺 조각승 淸虛의 造像 활동" 한국미술사학회 279280 (279280): 203-237, 2013
2 국립중앙박물관, "화엄사의 불교미술" 국립중앙박물관 2010
3 김성희, "화엄사 대웅전 삼신불회도의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34) : 179-208, 2010
4 오진희, "화엄사 대웅전 목 삼신불상의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8) : 25-46, 2007
5 본각, "화엄교학 강론" 뜨란 2018
6 정병삼, "한국불교사" 푸른역사 2020
7 최선일, "파주 보광사 대웅보전 목조보살입상과 彫刻僧 英賾"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4 : 67-92, 2010
8 문명대, "칠보사 대웅전 1622년작 왕실발원 목(木)석가불좌상과 복장품의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43) : 343-358, 2014
9 최선일, "조선후기 조각승의 활동과 불상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6
10 송은석, "조선후기 불교조각사" 사회평론 2012
1 송은석, "金堤 金山寺 조각승 淸虛의 造像 활동" 한국미술사학회 279280 (279280): 203-237, 2013
2 국립중앙박물관, "화엄사의 불교미술" 국립중앙박물관 2010
3 김성희, "화엄사 대웅전 삼신불회도의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34) : 179-208, 2010
4 오진희, "화엄사 대웅전 목 삼신불상의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8) : 25-46, 2007
5 본각, "화엄교학 강론" 뜨란 2018
6 정병삼, "한국불교사" 푸른역사 2020
7 최선일, "파주 보광사 대웅보전 목조보살입상과 彫刻僧 英賾"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4 : 67-92, 2010
8 문명대, "칠보사 대웅전 1622년작 왕실발원 목(木)석가불좌상과 복장품의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43) : 343-358, 2014
9 최선일, "조선후기 조각승의 활동과 불상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6
10 송은석, "조선후기 불교조각사" 사회평론 2012
11 김용태, "조선후기 華嚴寺의 역사와 浮休系전통" 역사문화학회 12 (12): 381-409, 2009
12 문명대, "조선전반기 불상 조각의 도상해석학적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36) : 109-149, 2011
13 박은경, "조선전기의 기념비적인 四方四佛畵-日本寶壽院소장 <약사삼존도>를 중심으로" (7) : 1998
14 박은경, "조선전기 불화 연구" 시공아트 2008
15 송은석, "조선 후기 應元·印均派의 활동: 應元, 印均, 三忍"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2) : 219-249, 2010
16 어준일, "조선 전기 16세기의 불교조각 연구" 불교미술사학회 16 : 73-111, 2013
17 이희정, "조선 17세기 불교조각과 조각승 淸憲" 2005
18 송은석, "조선 17세기 彫刻僧 유파의 합동작업"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2 : 69-103, 2008
19 손영문, "조각승 인균파 불상조각의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6) : 53-82, 2006
20 허형욱, "전라남도 순천시 梅谷洞 석탑 발견 成化 4年(1468)銘 청동불감과 금동아미타삼존불좌상" (70·71) : 2004
21 유경희, "왕실발원 불화와 궁중화원"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6) : 575-608, 2006
22 문명대, "석준. 원오파의 성립과 논산 쌍계사 삼세불상(1605년) 및 복장의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36) : 579-598, 2011
23 김자현, "불교경전의 시각적 구현: 고려 원각경변상도(圓覺經變相圖)의 도상과 연원"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2) : 6-37, 2018
24 김추연,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봉안 불상 연구" 미술사연구회 (39) : 35-60, 2020
25 신태호, "병고현 십륜사 소장 오불회도 연구" 동국대학교 2020
26 윤종균, "법주사 대웅보전 삼신불 복장조사" (2) : 2002
27 김창균, "법주사 대웅보전 봉안 소조삼존불좌상에 대한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4) : 61-82, 2005
28 국립중앙박물관, "발원, 간절한 바람을 담다 불교미술의 후원자들" 국립중앙박물관 2015
29 박은경, "묻혀있던 조선 최대의 왕실사찰, 會巖寺" 경기도박물관 2003
30 심주완, "동아시아 삼불상 도상 연구" 고려대학교 2021
31 불교중앙박물관, "도솔천에 빛을 밝히다 모악산 금산사" 불교중앙박물관 2019
32 문화재청, "구례 화엄사 대웅전 정밀실측조사보고서" 문화재청 2013
33 장찬, "구례 화엄사 대웅전 木造毘盧遮那三身佛坐像 연구" 동국대학교 2021
34 심영신, "고양 상운사 석불좌상과 조선 전기 조각 양식의 전통과 모색" 국립문화재연구소 52 (52): 246-263, 2019
35 문명대, "고려·조선시대 불교조각사 연구" 예경 2003
36 최소림, "黑石寺 木造阿彌陀佛坐像 硏究" (15) : 2000
37 山口縣立美術館, "高麗李朝の仏敎美術展"
38 菊竹淳一, "高麗時代 佛畵" 시공사 1998
39 불교중앙박물관, "華藏 지리산 대화엄사" 불교중앙박물관 2021
40 유근자, "華藏 지리산 대화엄사" 불교중앙박물관·지리산대화엄사 2021
41 이행구, "華嚴經에 나타난 法身佛思想" (30) : 1993
42 한국학문헌연구소, "華嚴寺誌" 亞細亞文化社 1997
43 이강근, "華嚴寺佛殿의 再建과 莊嚴에 관한 硏究" (14) : 1997
44 정휘헌, "海東湖南道智異山大華嚴寺事蹟" (6) : 1969
45 奈良國立博物館, "東アジアの仏たち" 奈良國立博物館 1996
46 정우택, "朝鮮王朝時代 前期 宮廷畵風 佛畵의 硏究" (13) : 1999
47 황규성, "朝鮮時代 三身佛會圖에 관한 硏究" 한국미술사학회 237 : 2003
48 최선일, "朝鮮後期僧匠人名辭典-佛敎雕塑-" 양사재 2007
49 崔聖銀, "朝鮮初期 佛敎彫刻의 對外關係" 한국불교미술사학회 (19) : 41-58, 2002
50 이분희, "朝鮮 15世紀 塔內 奉安 佛像의 考察" 한국미술사학회 283284 (283284): 5-30, 2014
51 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 "朝陽北塔-考古發掘與維修工程報告" 文物出版社 2007
52 石田尙豊, "日本美術史論集 : その構造的把握" 中央公論美術出版 2003
53 石田尙豊, "日本美術 270 華嚴經繪" 至文堂 1988
54 김정희, "文定王后의 重興佛事와 16世紀의 王室發願 佛畵" (231) : 2001
55 中國佛敎文化硏究所, "山西佛敎彩塑" 中國佛敎協會·香港寶蓮禪寺 1991
56 이분희, "奉恩寺 三世佛像의 硏究" (3) : 2004
57 呑虛大宗師懸吐, "大方廣佛華嚴經" 도서출판 敎林 2019
58 심주완, "壬辰倭亂 이후의 大形塑造佛像에 관한 硏究" 2002
59 kim kuyngmi, "A Study on the works of Buddhas of Sam-se-bul and Sam-sin-bul in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Center for Korean Studies, Korea University null (null): 5-34, 2014
60 Nam-Young Seo, "A Study on the Small Buddhist Caves in Shanxi Province, China - Focused on the Northern Dynasties Caves of the Yangtoushan -" Association of Buddhist Art 27 : 185-222, 2019
61 Hae-Yung Suk, "A Study on the Buddhist scripture published in the Goryeo Dynasty"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9 (49): 373-404, 2018
62 심주완, "17세기 전반기 대형소조불상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1
63 고지용, "17세기 전반 비로자나 삼방불좌상 연구" 서울대학교 2020
64 송은석, "17세기 전반 曹溪山 松廣寺와 彫刻僧: 覺敏, 應元, 印均" 보조사상연구원 (29) : 295-333, 2008
65 이강근, "17세기 碧巖 覺性의 海印寺․華嚴寺 再建에 대한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2) : 75-97, 2019
66 최선일, "17세기 彫刻僧과 佛像 硏究" 재단법인 한국연구원 2009
67 송은석, "17세기 彫刻僧 玄眞과 그 流派의 조상" (70·71) : 2004
68 李康根, "17세기 佛殿의 장엄에 관한 연구" 東國大學校 大學院 1995
69 이강근, "17世紀 佛殿의 再建設" 1995
70 盧世珍, "16세기 왕실발원 불화의 일고찰" (5) : 2004
71 李承禧, "1628년 七長寺 <五佛會掛佛圖> 硏究" 한국미술연구소 (23) : 171-204, 2006
72 박아연, "1628年 仁穆大妃 발원 水鍾寺 金銅佛像群 硏究" 한국불교미술사학회 (37) : 151-176, 2011
73 송은석, "1622년 慈壽寺⋅仁壽寺의 章烈王后 發願 佛事와 안동 선찰사 목조석가불좌상" 석당학술원 (67) : 1-38, 2017
74 박도희, "15세기 후반기 王室發願 版畵 - 貞憙大王大妃 發願本을 중심으로-" 한국불교미술사학회 (19) : 155-183, 2002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5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21-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기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7 | 0.57 | 0.5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 | 0.45 | 0.523 | 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