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沈壽官, "鹿兒島縣下伊集院村苗代川の沿革について" 조선사회사업협회 10 (10): 1932
2 심수관, "한일 도자기문화의 교류와 심수관"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6 : 2002
3 심수관, "한국혼을 지켜온 재일 400년 ‒ 심수관가 400년제에 즈음하여 ‒" 한국민족연구원 1 : 1998
4 "청송심씨 족보"
5 윤지인, "조선도공 심수관의 히바카리 다완을 통해 본 420년의 맥" 원광대학교 한국예다학연구소 3 : 2016
6 이상균, "조선 도공들의 일본 이주 ‒ 일본 薩摩도자기와 관련하여 ‒" 한국선사고고학회 6 : 1999
7 방병선, "임란 전후 피랍 도공 연구- 가고시마 나에시로가와지역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67) : 109-138, 2018
8 구태훈, "일본에서 꽃핀 조선의 도자기문화 -진왜란 당시 납치된 조선인 도공 이야기" 역사문제연구소 (85) : 168-201, 2008
9 이동민, "일본 문학에 재현된 조선계 도공의 고향에 대한 문화지리학적 접근 - 시바 료타로의 소설 『고향을 어이 잊으리까(故鄕忘じがたく候)』를 중심으로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31 (31): 98-115, 2019
10 김정호, "사료(史料)를 통해 본 조선피로인(朝鮮被虜人)의 일본 나에시로가와(苗代川) 정착과정 연구(2)" 한국정치외교사학회 37 (37): 165-200, 2015
1 沈壽官, "鹿兒島縣下伊集院村苗代川の沿革について" 조선사회사업협회 10 (10): 1932
2 심수관, "한일 도자기문화의 교류와 심수관"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6 : 2002
3 심수관, "한국혼을 지켜온 재일 400년 ‒ 심수관가 400년제에 즈음하여 ‒" 한국민족연구원 1 : 1998
4 "청송심씨 족보"
5 윤지인, "조선도공 심수관의 히바카리 다완을 통해 본 420년의 맥" 원광대학교 한국예다학연구소 3 : 2016
6 이상균, "조선 도공들의 일본 이주 ‒ 일본 薩摩도자기와 관련하여 ‒" 한국선사고고학회 6 : 1999
7 방병선, "임란 전후 피랍 도공 연구- 가고시마 나에시로가와지역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67) : 109-138, 2018
8 구태훈, "일본에서 꽃핀 조선의 도자기문화 -진왜란 당시 납치된 조선인 도공 이야기" 역사문제연구소 (85) : 168-201, 2008
9 이동민, "일본 문학에 재현된 조선계 도공의 고향에 대한 문화지리학적 접근 - 시바 료타로의 소설 『고향을 어이 잊으리까(故鄕忘じがたく候)』를 중심으로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31 (31): 98-115, 2019
10 김정호, "사료(史料)를 통해 본 조선피로인(朝鮮被虜人)의 일본 나에시로가와(苗代川) 정착과정 연구(2)" 한국정치외교사학회 37 (37): 165-200, 2015
11 김정호, "사료(史料)를 통해 본 조선피로인(朝鮮被虜人)의 일본 나에시로가와(苗代川) 정착과정 연구(1)" 한국정치외교사학회 33 (33): 5-30, 2011
12 노성환, "만들어진 도공의 신화"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12) : 273-296, 2008
13 "동아일보(1999년 이후):"
14 정병설, "도공 후예 심수관의 허상과 실상" 문헌과 해석사 2014
15 유홍준,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일본편1 규슈" 창비 2013
16 심수관, "나와시로가와(苗代川)에 살며"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5 : 1990
17 노성환, "나에시로가와의 조선도공 마을에 관한 일고찰" 대한일어일문학회 (35) : 331-346, 2007
18 "경향신문, 동아일보(1965~1998년), 한겨레"
19 大武進, "薩摩苗代川新考" 村尾印刷 1996
20 "皇城新聞, 매일신보, 조선신문, 마산일보, 동아일보(1965년 이전):"
21 三谷十夏, "朝鮮陶工の望郷と祖国観‒ 司馬遼太郎 『故郷忘じがたく候』 に関連して‒" 경북대학교 국제대학원 2016
22 沈壽官, "日本の中の韓國文化の紹介とこれからの日韓文化交流のありかた" 경상대학교 일본문화연구소 35 : 1995
23 司馬遼太郞, "故鄕忘じがたく候" 文藝春秋 1968
24 이미숙, "400년 전의도자기전쟁 ‒ 임진왜란과 조선사기장" 명경사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