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민중서림편집국, "한한대자전" 민중서림 2013
2 임마누엘 칸트, "판단력 비판" 책세상 2019
3 레오 엘더스, "토마스 아퀴나스의 형이상학" 가톨릭출판사 2003
4 강윤희, "토마스 아퀴나스의 예술론에 따른 미(美)의 개념" 42 : 2017
5 장건익,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에 대한 앎" 한국가톨릭철학회 (9) : 291-314, 2007
6 르네 데카르트, "철학의 원리" 아카넷 2014
7 "중용"
8 조민환, "중국철학에 나타난 도론의 미학적 이해" 8 : 1996
9 "주역계사"
10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 "종교란 무엇인가" 사월의 책 2009
1 민중서림편집국, "한한대자전" 민중서림 2013
2 임마누엘 칸트, "판단력 비판" 책세상 2019
3 레오 엘더스, "토마스 아퀴나스의 형이상학" 가톨릭출판사 2003
4 강윤희, "토마스 아퀴나스의 예술론에 따른 미(美)의 개념" 42 : 2017
5 장건익,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에 대한 앎" 한국가톨릭철학회 (9) : 291-314, 2007
6 르네 데카르트, "철학의 원리" 아카넷 2014
7 "중용"
8 조민환, "중국철학에 나타난 도론의 미학적 이해" 8 : 1996
9 "주역계사"
10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 "종교란 무엇인가" 사월의 책 2009
11 J. 헤센, "종교 철학의 체계적 이해" 서광사 1994
12 박완철, "조나단 에드워드의 설교와 그의 마음의 감각 신학" 24 (24): 2006
13 "전경용어사전"
14 "전경"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15 "유서"
16 심현섭, "유가미학" 한국학술정보 2011
17 김종욱, "원효 사상의 존재론적 해명 - 하이데거의 존재 사건과 원효의 진여 일심을 중심으로-" 철학사상연구소 (48) : 3-29, 2013
18 유욱렬, "아름다움을 함께 행하다: 발타사르의 미학적 신학"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9 (9): 28-49, 2020
19 손호현, "아름다움과 악 3 : 화이트헤드의 미학과 신정론" 한들출판사 2009
20 손호현, "아름다움과 악 2 : 아우구스티누스의 미학과 신정론" 한들출판사 2009
21 손호현, "아름다움과 악 1 : 신학적 미학서설" 한들출판사 2009
22 리차드 빌라데서, "신학적 미학" 한국신학연구소 2007
23 하진숙, "신명체험의 미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미학예술학회 40 : 103-142, 2014
24 안성찬, "숭고의 미학 : 그 기원과 개념사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1
25 에드먼드 버크, "숭고와 아름다움의 관념의 기원에 대한 철학적 탐구" 마티 2019
26 "순자"
27 루돌프 오토, "성스러움의 의미" 분도출판사 1987
28 한자경, "불교철학의 전개" 예문서원 2010
29 이주영, "미학특강" 미술문화 2011
30 하선규, "미학의 역사" 서울대학교출판부 2019
31 W. 타타르키비츠, "미학의 기본 개념사" 미술문화 2017
32 W. 타타르키비츠, "미학사1 고대미학" 미술문화 2016
33 오종환, "미학대계 2 : 미학의 문제와 방법" 서울대학교 2019
34 바움가르텐, "미학" 마티 2019
35 움베르토 에코, "미의 역사" 열린책들 2018
36 박정훈, "미와 판단" 세창출판사 2017
37 "맹자"
38 손형우, "동양미학과 미적시선" 대유학당 2018
39 성낙양, "동아새국어사전" 두산동아 2013
40 "도덕경"
41 "대순진리회요람" 대순진리회 교무부 2010
42 이경원, "대순진리회 신앙론" 문사철 2012
43 이경원, "대순진리회 교리론" 문사철 2013
44 장병길, "대순종교사상" 대순종교문화연구소 1989
45 조사라, "니콜라 부리오의 관계미학 관점에서 본 1990년대 이후 국제미술전 비평 연구" 한국프랑스학회 99 : 287-308, 2017
46 오태원, "니꼴라 부리오의 관계미학 관점에서 본 현대예술의 상호작용성- 인터미디어아트 작품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33 : 149-160, 2018
47 "논어"
48 노자, "노자도덕경과 왕필의 주" 홍익출판사 2014
49 신은희, "감정과 공감의 누미노제: ‘한국적 공감 신학’을 향하여" 신학사상연구소 (173) : 199-234, 2016
50 이지언, "18세기 근대미학에서 울스턴크래프트의 ‘정의의 미’와 버크의 ‘미’ 개념 비교 고찰" 한국미학회 (79) : 163-193,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