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공 건설 프로그램의 기획단계 VE를 위한 다차원 품질모델 = Multi-dimensional Quality Model for Value Engineering in Planning Phase of Public Construction Progra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9274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mixed-use development program, several conflicts occu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program, such as large-scale, variety of stakeholders, long periods of time, etc. In particular,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pro...

      In the mixed-use development program, several conflicts occu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program, such as large-scale, variety of stakeholders, long periods of time, etc. In particular,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program having various complex projects lead to different requirements depending on stakeholders, it is crucial to plan the appropriate type and size of facilit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rive solutions suitable for the needs of owner by conducting VE in the planning phase. In this study, a multi-dimensional quality model is developed to present proper facilities necessary for the construction program by clearly identifying the owner's requirements in performing VE in the planning phase.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multi-dimensional quality model, the characteristics distribution of 15 major facilities by 12 performance indicators for mixed-use development programs is presented. The deduction method of appropriate facilities based on the requirements of owner and the multi-dimensional synthesis method among the performance indicators are also suggested.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a basic research for the application of VE in the planning phase of construction program. It is expected that the multi-dimensional quality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could facilitate presentation and review of appropriate facilities based on the analysis of requirements of various stakeholders in the early stage of the construction progra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건설 프로그램 수준의 복합용도개발사업은 다양한 참여주체들에 의해 장기간에 걸쳐 대규모로 추진되는 사업특성으로 인하여, 사업기간동안 여러가지 갈등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다양한 ...

      건설 프로그램 수준의 복합용도개발사업은 다양한 참여주체들에 의해 장기간에 걸쳐 대규모로 추진되는 사업특성으로 인하여, 사업기간동안 여러가지 갈등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다양한 프로젝트가 복합된 프로그램 사업의 특성상 참여주체별 요구사항이 상이하여 시설종류 및 규모를 적정하게 계획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사업의 기획단계에서부터 VE를 실시하여 고객의 요구에 적합한 해결책을 도출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 프로그램 사업의 기획단계 VE 수행에 있어서 발주자의 요구사항을 명확하게 파악하여, 해당 프로그램에 요구되는 적정시설을 제시하기 위한 다차원 품질모델을 개발하였다. 다차원 품질모델 개발을 통해 복합용도개발사업의 12개 성능지표별 15개 주요시설의 특성분포를 제시하였으며, 참여자 요구사항에 따른 적정시설 도출 및 검토, 성능지표간 다차원 합성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건설프로그램 사업에 기획단계 VE를 적용하기 위한 기본연구로서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 제시한 다차원 품질모델을 통하여 사업초기단계에서 다양한 참여주체들의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적정시설을 제시 또는 검토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하승룡, "메가프로젝트 기획/계획단계 VE적용을 위한 준비단계 수행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 12 (12): 29-39, 2011

      2 정호근, "공동주택의 설계VE단계에서 주체별 요구항목 분석을 통한 대상선정 개선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 9 (9): 111-119, 2008

      3 Norton, B. R., "Value Management in Construction A Practical Guide" Macmillan 1995

      4 Dell'Isola, A., "Value Engineering Practical Applications" RS Means 1997

      5 Thomsen, C., "Program Management" CMAA 2008

      6 Song, C., "Performing Method of Green VE for Sustainable Office Building" University of Seoul 2011

      7 Yiu, C. Y., "Performance Evaluation for Cost Estimators by Reliability Interval Method" 131 (131): 71-75, 2005

      8 Koo, J., "Function Analysis of VE in Planning Phase of Mixed-Use Development" University of Seoul 2010

      9 Hyun, C., "Basic Course of VE Expert" Korea Construction Value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2011

      10 Hyun, C., "A Study on Development of Total Construction Cost and Time Management Technique Considering Life Cycle in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for Mega Project" 589-599, 2008

      1 하승룡, "메가프로젝트 기획/계획단계 VE적용을 위한 준비단계 수행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 12 (12): 29-39, 2011

      2 정호근, "공동주택의 설계VE단계에서 주체별 요구항목 분석을 통한 대상선정 개선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 9 (9): 111-119, 2008

      3 Norton, B. R., "Value Management in Construction A Practical Guide" Macmillan 1995

      4 Dell'Isola, A., "Value Engineering Practical Applications" RS Means 1997

      5 Thomsen, C., "Program Management" CMAA 2008

      6 Song, C., "Performing Method of Green VE for Sustainable Office Building" University of Seoul 2011

      7 Yiu, C. Y., "Performance Evaluation for Cost Estimators by Reliability Interval Method" 131 (131): 71-75, 2005

      8 Koo, J., "Function Analysis of VE in Planning Phase of Mixed-Use Development" University of Seoul 2010

      9 Hyun, C., "Basic Course of VE Expert" Korea Construction Value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2011

      10 Hyun, C., "A Study on Development of Total Construction Cost and Time Management Technique Considering Life Cycle in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for Mega Project" 589-599,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2-2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 0.772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