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백서 주령에 따른 carboxyhemoglobin의 해리양상에 관한 실험적 연구 = Carboxyhemoglobin Dissociation Pattern by Age in the Ra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4370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ne, two, six and ten week old Sprague-Dawley rats were exposed to carbon monoxide at 3,700 ppm for 30 minutes, and carboxyhemoglobin was measured immediateley. 5, 30, 60, 90, 120 minutes after the exposure. In each time after the exposure, the means ...

      One, two, six and ten week old Sprague-Dawley rats were exposed to carbon monoxide at 3,700 ppm for 30 minutes, and carboxyhemoglobin was measured immediateley. 5, 30, 60, 90, 120 minutes after the exposure. In each time after the exposure, the means of the carboxyhemoglobin levels were compared among the week age groups. The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using the natural logarithm of the carboxyhemoglobin concentration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he time after the exposure as an independent vaiable. From the regression equation, the half lives of the carboxyhemoglobin were calculated. The one week old ra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arboxyhemoglobin level than other week age rats in the entire time after the exposure. The corrected carboxyhemoglobin concentration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normal carboxyhemoglobin level from the measured carboxyhemoglobin at each age group, showed no uniform differenc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백서 주령이 일산화탄소(CO) 폭로후 carboxyhemoglobin (HbCO) 형성 및 해리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주령 1주, 2주, 6주 및 10주의 Sprague-Dawley계 백서에 일산화탄소를 폭로시킨 후 HbCO를 측정...

      백서 주령이 일산화탄소(CO) 폭로후 carboxyhemoglobin (HbCO) 형성 및 해리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주령 1주, 2주, 6주 및 10주의 Sprague-Dawley계 백서에 일산화탄소를 폭로시킨 후 HbCO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CO에 급성으로 폭로된 후 형성되는 HbCO의 농도는 백서 주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1주군에서 현저히 높았고, 폭로후 120분이 경과되어도 다른 주령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2. CO에 폭로되지 않은 백서에서의 HbCO농도는 각 주령군마다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비폭로군에서 얻어진 주령별 평균 HbCO농도를 CO폭로후 얻어진 개개의 관측치에서 뺀 후 이를 비교한 결과 1.에서와 같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CO폭로후 경과시간과 HbCO 농도와의 관계를 알아보는 회귀분석에서 폭로후 경과시간은 HbCO농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HbCO가 해리되는 속도는 주령 1주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