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동해 울릉분지 메탄 하이드레이트 퇴적토의 미생물 군집 특성 = Characteristics of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s of the Methane Hydrate Sediments in the Ulleung Basin, East Sea of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5478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가스 하이드레이트는 높은 지구 온난화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메탄가스를 해수 또는 대기 중으로 유입시킬 수 있어 전 지구적 탄소순환과정과 기후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해양 또는 대기로 방출되는 메탄의 90% 이상을 미생물 반응을 통해 산화시킬 수 있는 혐기적 메탄산화 과정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동해 울릉분지내 메탄 가스 하이드레이트 퇴적토에 서식하는 미생물 군집의 mcrA 유전자와 16S rRNA 유전자를 분석하였다. 혐기적 메탄산화 고세균(Anaerobic methane oxidizer: ANME) 군집의 수직적 분포를 조사한 결과, 표층과 황산염 메탄전이대(Sulfate methane transition zone: SMTZ)에서는 ANME-1 그룹이, high methane 층에서는 ANME-2c 그룹이 우점하였다. 16S rRNA 유전자를 이용한 고세균의 군집분석 결과, 혐기적 메탄산화가 일어나는 지역에서 주로 발견되는 marine benthic group-B가 50% 이상의 비율로 우점하였다. 세균의 경우 질산염을 환원시킬 수 있는 세균이 SMTZ (Halomonas 속: 56.5%)와 high methane 층(Achromobacter 속: 52.6%)에서 우점하였으며 황산염 환원 세균 군집은 확인되지 않았다. 동해 울릉분지 메탄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혐기적 메탄산화과정은 일반적으로 해양 퇴적토에서 알려진 혐기적 메탄산화 고세균과 황산염 환원 세균과의 공생에 의한 반응이 아닌 혐기적 메탄산화 고세균과 질산염 환원세균에 의한 반응이 주도할 것이라 생각된다.
      번역하기

      가스 하이드레이트는 높은 지구 온난화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메탄가스를 해수 또는 대기 중으로 유입시킬 수 있어 전 지구적 탄소순환과정과 기후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해양...

      가스 하이드레이트는 높은 지구 온난화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메탄가스를 해수 또는 대기 중으로 유입시킬 수 있어 전 지구적 탄소순환과정과 기후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해양 또는 대기로 방출되는 메탄의 90% 이상을 미생물 반응을 통해 산화시킬 수 있는 혐기적 메탄산화 과정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동해 울릉분지내 메탄 가스 하이드레이트 퇴적토에 서식하는 미생물 군집의 mcrA 유전자와 16S rRNA 유전자를 분석하였다. 혐기적 메탄산화 고세균(Anaerobic methane oxidizer: ANME) 군집의 수직적 분포를 조사한 결과, 표층과 황산염 메탄전이대(Sulfate methane transition zone: SMTZ)에서는 ANME-1 그룹이, high methane 층에서는 ANME-2c 그룹이 우점하였다. 16S rRNA 유전자를 이용한 고세균의 군집분석 결과, 혐기적 메탄산화가 일어나는 지역에서 주로 발견되는 marine benthic group-B가 50% 이상의 비율로 우점하였다. 세균의 경우 질산염을 환원시킬 수 있는 세균이 SMTZ (Halomonas 속: 56.5%)와 high methane 층(Achromobacter 속: 52.6%)에서 우점하였으며 황산염 환원 세균 군집은 확인되지 않았다. 동해 울릉분지 메탄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혐기적 메탄산화과정은 일반적으로 해양 퇴적토에서 알려진 혐기적 메탄산화 고세균과 황산염 환원 세균과의 공생에 의한 반응이 아닌 혐기적 메탄산화 고세균과 질산염 환원세균에 의한 반응이 주도할 것이라 생각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Constan, L.,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2009

      2 Harrison, B.K., "Variations in archaeal and bacterial diversity associated with the sulfate-methane transition zone in continental margin sediments (Santa Barbara Basin, California)" 75 : 1487-1499, 2009

      3 Hyun, J., "Variations and controls of sulfate reduction in the continental slope and rise of the Ulleung Basin off the Southeast Korean upwelling system in the East Sea" 27 : 212-222, 2010

      4 Pukall, R., "Sulfitobacter mediterraneus sp. nov., a new sulfite-oxidizing member of the alpha-Proteobacteria" 49 Pt 2 : 513-519, 1999

      5 Sørensen, K.B., "Stratified communities of active Archaea in deep marine subsurface sediments" 72 : 4596-4603, 2006

      6 Hallam, S.J., "Reverse methanogenesis:testing the hypothesis with environmental genomics" 305 : 1457-1462, 2004

      7 Kvenvolden, K.A., "Potential effects of gas hydrate on human welfare" 96 : 3420-3426, 1999

      8 Vetriani, C., "Population structure and phylogenetic characterization of marine benthic Archaea in deep-sea sediments" 65 : 4375-4384, 1999

      9 Lane, D.J., "Nucleic acid techniques in bacterial systematics" John Wiley & Sons 125-175, 1991

      10 Niemann, H., "Novel microbial communities of the Haakon Mosby mud volcano and their role as a methane sink" 443 : 854-858, 2006

      1 Constan, L.,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2009

      2 Harrison, B.K., "Variations in archaeal and bacterial diversity associated with the sulfate-methane transition zone in continental margin sediments (Santa Barbara Basin, California)" 75 : 1487-1499, 2009

      3 Hyun, J., "Variations and controls of sulfate reduction in the continental slope and rise of the Ulleung Basin off the Southeast Korean upwelling system in the East Sea" 27 : 212-222, 2010

      4 Pukall, R., "Sulfitobacter mediterraneus sp. nov., a new sulfite-oxidizing member of the alpha-Proteobacteria" 49 Pt 2 : 513-519, 1999

      5 Sørensen, K.B., "Stratified communities of active Archaea in deep marine subsurface sediments" 72 : 4596-4603, 2006

      6 Hallam, S.J., "Reverse methanogenesis:testing the hypothesis with environmental genomics" 305 : 1457-1462, 2004

      7 Kvenvolden, K.A., "Potential effects of gas hydrate on human welfare" 96 : 3420-3426, 1999

      8 Vetriani, C., "Population structure and phylogenetic characterization of marine benthic Archaea in deep-sea sediments" 65 : 4375-4384, 1999

      9 Lane, D.J., "Nucleic acid techniques in bacterial systematics" John Wiley & Sons 125-175, 1991

      10 Niemann, H., "Novel microbial communities of the Haakon Mosby mud volcano and their role as a methane sink" 443 : 854-858, 2006

      11 Ettwig, K.F., "Nitrite-driven anaerobic methane oxidation by oxygenic bacteria" 464 : 543-548, 2010

      12 Sambrook, J.,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213-, 1989

      13 Köpke, B., "Microbial diversity in coastal subsurface sediments: a cultivation approach using various electron acceptors and substrate gradients" 71 : 7819-7830, 2005

      14 Lee, J.,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s of methane hydrate-bearing sediments in the Ulleung Basin, East Sea of Korea" 47 : 136-146, 2013

      15 Inagaki, F., "Microbial communities associated with geological horizons in coastal subseafloor sediments from the sea of Okhotsk" 69 : 7224-7235, 2003

      16 Spring, S., "Methanogenium frittonii Harris et al. 1996 is a later synonym of Methanoculleus thermophilus (Rivard and Smith 1982) Maestrojuan et al. 1990" 55 : 1097-1099, 1990

      17 Reeve, J.N., "Methanogenesis: genes, genomes, and who's on first?" 179 : 5975-5986, 1997

      18 Tamura, K., "MEGA6: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version 6.0" 30 : 2725-2729, 2013

      19 Nauhaus, K., "In vitro demonstration of anaerobic oxidation of methane coupled to sulphate reduction in sediment from a marine gas hydrate area" 4 : 296-305, 2002

      20 Lee, D., "Geochemical signature related to lipid biomarkers of ANMEs in gas hydrate-bearing sediments in the Ulleung Basin, East Sea (Korea)" 47 : 125-135, 2013

      21 Ryu, B., "Gas hydrates in the western deep-water Ulleung Basin, East Sea of Korea" 26 : 1483-1498, 2009

      22 Roalkvam, I., "Fine-scale community structure analysis of ANME in Nyegga sediments with high and low methane flux" 3 : 216-, 2012

      23 Yabuuchi, E., "Emendation of genus Achromobacter and Achromobacter xylosoxidans (Yabuuchi and Yano) and proposal of Achromobacter ruhlandii (Packer and Vishniac) comb. nov., Achromobacter piechaudii (Kiredjian et al.) comb. nov., and Achromobacter xylosoxidans subsp. denitrificans (Rüger and Tan) comb. nov" 42 : 429-438, 1998

      24 Rochelle, P.A., "Effect of sample handling on estimation of bacterial diversity in marine-sediments by 16S ribosomal-RNA gene sequence-analysis" 15 : 215-225, 1994

      25 Jiang, H., "Dominance of putative marine benthic Archaea in Qinghai Lake, north‐western China" 10 : 2355-2367, 2008

      26 He, R., "Diversity of active aerobic methanotrophs along depth profiles of arctic and subarctic lake water column and sediments" 6 : 1937-1948, 2012

      27 Pachiadaki, M.G., "Diversity and spatial distribution of prokaryotic communities along a sediment vertical profile of a deep-sea mud volcano" 62 : 655-668, 2011

      28 Knittel, K.,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methanotrophic archaea at cold seeps" 71 : 467-479, 2005

      29 Juottonen, H., "Detection of methanogenic Archaea in peat: comparison of PCR primers targeting the mcrA gene" 157 : 914-921, 2006

      30 Long, C., "Description of a Sulfitobacter strain and its extracellular cyclodipeptides" 2011 : 393752-, 2011

      31 Costa, C., "Denitrification with methane as electron donor in oxygen-limited bioreactors" 53 : 754-762, 2000

      32 Shigematsu, T., "Delftia tsuruhatensis sp. nov., a terephthalateassimilating bacterium isolated from activated sludge" 53 : 1479-1483, 2003

      33 Segers, P., "Classification of Pseudomonas diminuta Leifson and Hugh 1954 and Pseudomonas vesicularis Busing, Doll, and Freytag 1953 in Brevundimonas gen. nov. as Brevundimonas diminuta comb. nov., and Brevundimonas vesicularis comb. nov., respectively" 44 : 499-510, 1994

      34 Young, R., "Catastrophic wave erosion on the southeastern coast of Australia: Impact of the Lanai tsunamis ca. 105ka?" 20 : 199-202, 1992

      35 Inagaki, F., "Bio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diversity of microbes in methane hydrate-bearing deep marine sediments on the Pacific Ocean Margin" 103 : 2815-2820, 2006

      36 DeLong, E.F., "Archaea in coastal marine environments" 89 : 5685-5689, 1992

      37 Knittel, K., "Anaerobic oxidation of methane:progress with an unknown process" 63 : 311-334, 2009

      38 Caldwell, S.L., "Anaerobic oxidation of methane:mechanisms, bioenergetics, and the ecology of associated microorganisms" 42 : 6791-6799, 2008

      39 Haroon, M.F., "Anaerobic oxidation of methane coupled to nitrate reduction in a novel archaeal lineage" 500 : 567-570, 2013

      40 Lloyd, K. G., "An anaerobic methane-oxidizing community of ANME-1b archaea in hypersaline Gulf of Mexico sediments" 72 : 7218-7230, 2006

      41 Canfield, D.E., "Advances in Marine Biology" Academic Press 383-418, 2005

      42 Raghoebarsing, A.A., "A microbial consortium couples anaerobic methane oxidation to denitrification" 440 : 918-921, 2006

      43 Mata, J.A., "A Detailed phenotypic characterisation of the type strains of Halomonas species" 25 : 360-375, 2002

      44 김보배, "16S rRNA 유전자 분석방법을 이용한 동해 울릉분지 심해 퇴적물 내 고세균 군집 구조 및 다양성의 수직분포 특성연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32 (32): 309-319,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3-12-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1 0.21 0.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6 0.24 0.48 0.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