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적색마연 유공양이파수옹(有孔兩耳把手甕)의 변화상과 그 의미 = Change and Meaning of Red burnished Two-handled with holes potte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682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true that Red burnished pottery is specially handled as a unique artifact because of its distinct characteristics in production process. Among them, Red Burnished Two- handled with holes pottery is unearthed in both dwelling sites and pits. Due to a recent increase in date, The number of unearthed Red Burnished Two-handled with holes pottery is increasing. Therefore, interest in this pottery has grown lately. Most of all, it is notable artifact that even if the period and the site are different, the pottery’s special form attribute makes it can be handled as interregional comparative criterion or indicator for timeliness in the same area. This pottery can be classified in three types. In addition to the three-attribute comparison of the mouth, body and base of the pottery, changes in the handle are identified, particularly in terms of practical purpose, the size of holes in the handle are become bigger continuously. the change occurs with other attribute’s transition. the handle, and changes in the size of the holes are the special attribute which distinguishes this pottery from other vessels. and also, These factors can mean a manifestation of new storage system by changing and using the hole in handles. the I, II types can be placed in the early period(especially in the later part), and Ⅲ types can be placed in the middle period. These features make this pottery as a data to reinforce the existing chronology table. And on the basis of this chronology table, Red Burnished Two-handled with holes pottery can become a criterion that allow us to compare chronologies between different regions or within the same region.
      번역하기

      It is true that Red burnished pottery is specially handled as a unique artifact because of its distinct characteristics in production process. Among them, Red Burnished Two- handled with holes pottery is unearthed in both dwelling sites and pits. Due ...

      It is true that Red burnished pottery is specially handled as a unique artifact because of its distinct characteristics in production process. Among them, Red Burnished Two- handled with holes pottery is unearthed in both dwelling sites and pits. Due to a recent increase in date, The number of unearthed Red Burnished Two-handled with holes pottery is increasing. Therefore, interest in this pottery has grown lately. Most of all, it is notable artifact that even if the period and the site are different, the pottery’s special form attribute makes it can be handled as interregional comparative criterion or indicator for timeliness in the same area. This pottery can be classified in three types. In addition to the three-attribute comparison of the mouth, body and base of the pottery, changes in the handle are identified, particularly in terms of practical purpose, the size of holes in the handle are become bigger continuously. the change occurs with other attribute’s transition. the handle, and changes in the size of the holes are the special attribute which distinguishes this pottery from other vessels. and also, These factors can mean a manifestation of new storage system by changing and using the hole in handles. the I, II types can be placed in the early period(especially in the later part), and Ⅲ types can be placed in the middle period. These features make this pottery as a data to reinforce the existing chronology table. And on the basis of this chronology table, Red Burnished Two-handled with holes pottery can become a criterion that allow us to compare chronologies between different regions or within the same reg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적색마연토기는 그 제작상 특수성으로 인해 특수한 성격의 유물로 별도 취급되어온 것이 사실이다. 그 중 주거지와 수혈 등 모두 생활유적에서 출토되는 유공양이파수옹은 최근 자료의 증가로 인해 관심이 증가되는 유물 중 하나이다. 무엇보다 시기와 출토지를 달리하여도 그 기형적 특수성에서 지역간 혹은 동일지역내 시기성을 상호비교를 할 수 있 다는 점이 주목된다. 이 유물은 형식분류상 3형식으로 나눌 수 있는데 구연부, 동체부, 저부의 일반적 3단 비교에 더 하여 파수의 형태변화까지 더하여 4개 요소에 변화상이 간취되고 특히 구멍이 확장되는 실용성이란 측면에서의 변화 는 동체부 및 저부 형태의 변화상과 같이 한다. 파수라는 요소와 구멍의 크기가 커지는 변화는 기존 마연토기와 구별 되는 특징으로 그것이 단순 부속구가 아닌 구멍을 이용한 저장방식의 변화를 보여줄 가능성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이 유물은 공반되는 유구나 유물에서 시기적으로는 ⅠㆍⅡ형식이 전기(후반), Ⅲ형식은 중기로 소속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편년을 보강할 수 있는 편년적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러한 편년을 기초로 보았 을 때 타 지역간, 또는 동일지역내 시기성을 상호비교할 수 있는 편년적 지표성을 가지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번역하기

      적색마연토기는 그 제작상 특수성으로 인해 특수한 성격의 유물로 별도 취급되어온 것이 사실이다. 그 중 주거지와 수혈 등 모두 생활유적에서 출토되는 유공양이파수옹은 최근 자료의 증...

      적색마연토기는 그 제작상 특수성으로 인해 특수한 성격의 유물로 별도 취급되어온 것이 사실이다. 그 중 주거지와 수혈 등 모두 생활유적에서 출토되는 유공양이파수옹은 최근 자료의 증가로 인해 관심이 증가되는 유물 중 하나이다. 무엇보다 시기와 출토지를 달리하여도 그 기형적 특수성에서 지역간 혹은 동일지역내 시기성을 상호비교를 할 수 있 다는 점이 주목된다. 이 유물은 형식분류상 3형식으로 나눌 수 있는데 구연부, 동체부, 저부의 일반적 3단 비교에 더 하여 파수의 형태변화까지 더하여 4개 요소에 변화상이 간취되고 특히 구멍이 확장되는 실용성이란 측면에서의 변화 는 동체부 및 저부 형태의 변화상과 같이 한다. 파수라는 요소와 구멍의 크기가 커지는 변화는 기존 마연토기와 구별 되는 특징으로 그것이 단순 부속구가 아닌 구멍을 이용한 저장방식의 변화를 보여줄 가능성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이 유물은 공반되는 유구나 유물에서 시기적으로는 ⅠㆍⅡ형식이 전기(후반), Ⅲ형식은 중기로 소속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편년을 보강할 수 있는 편년적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러한 편년을 기초로 보았 을 때 타 지역간, 또는 동일지역내 시기성을 상호비교할 수 있는 편년적 지표성을 가지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지영, "한반도 동남부지역 적색마연토기의 지역성" 경주대학교 대학원 2007

      2 배진성, "플라스크형적색마연호의 분포와 성격" 한국청동기학회 (18) : 4-23, 2016

      3 유병록, "청동기시대 검단리유형 검토’ -토론요지" 2018

      4 배군열, "청동기시대 검단리유형 검토" 2018

      5 김지현, "중서부지역 전기 무문토기의 취사용토기 연구 : 역삼동·흔암리유형 발형토기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8

      6 김현식, "울산지역 청동기시대 토기의 변화상과 그 의미" 2018

      7 정대봉, "울산지역 청동기시대 중심취락" 2018

      8 김성은, "마연 토기 작품 제작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4

      9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달성 평촌리·예현리 유적"

      10 李亨源, "韓國 靑銅器時代의 聚落構造와 社會組織" 忠南大學校大學院 2009

      1 김지영, "한반도 동남부지역 적색마연토기의 지역성" 경주대학교 대학원 2007

      2 배진성, "플라스크형적색마연호의 분포와 성격" 한국청동기학회 (18) : 4-23, 2016

      3 유병록, "청동기시대 검단리유형 검토’ -토론요지" 2018

      4 배군열, "청동기시대 검단리유형 검토" 2018

      5 김지현, "중서부지역 전기 무문토기의 취사용토기 연구 : 역삼동·흔암리유형 발형토기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8

      6 김현식, "울산지역 청동기시대 토기의 변화상과 그 의미" 2018

      7 정대봉, "울산지역 청동기시대 중심취락" 2018

      8 김성은, "마연 토기 작품 제작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4

      9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달성 평촌리·예현리 유적"

      10 李亨源, "韓國 靑銅器時代의 聚落構造와 社會組織" 忠南大學校大學院 2009

      11 宋永鎭, "韓半島 靑銅器時代 磨硏土器 硏究" 慶尙大學校大學院 2016

      12 大東文化財硏究院, "金泉 智佐里 遺蹟"

      13 三江文化財硏究院, "金泉 智佐里 無文土器 集落"

      14 蔚山文化財硏究院, "蔚山 茶雲洞 새각단遺蹟"

      15 慶尙北道文化財硏究院, "河陽~瓦村~大邱間 道路擴包裝工事區間內 文化遺蹟發掘調査報 告書 –河陽 大鶴里·瓦村 東江里遺蹟" 2005

      16 배진성, "檢丹里類型의 成立" 한국상고사학회 48 (48): 5-28, 2005

      17 李宗哲, "松菊里型文化의 聚落體系와 發展" 全北大學校大學院 2015

      18 韓國傳統文化學校 考古學硏究所, "松菊里Ⅶ -제12·13차 발굴조사-" 2011

      19 國立夫餘博物館, "松菊里Ⅵ"

      20 한국문물연구원, "晉州 草田 環壕聚落遺蹟"

      21 晉州博物館, "晉州 大坪里 玉房1地區 遺蹟"

      22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慶州 檢丹里 遺蹟"

      23 世宗文化財硏究院, "慶州 檢丹里 山38-3番地 遺蹟"

      24 韓國文化財保護財團, "慶山 玉谷洞 遺蹟"

      25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慶山 新閒里 遺蹟"

      26 嶺南文化財硏究院, "尙州 伏龍洞 256番地遺蹟"

      27 嶺南文化財硏究院, "大邱 東川洞遺蹟"

      28 韓國文化財保護財團, "大邱 新西洞 遺蹟"

      29 中央文化財硏究院, "報恩 上長里遺蹟"

      30 한국선사문화연구원, "報恩 上可里遺蹟"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 1 0.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2 1.798 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