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지영, "한반도 동남부지역 적색마연토기의 지역성" 경주대학교 대학원 2007
2 배진성, "플라스크형적색마연호의 분포와 성격" 한국청동기학회 (18) : 4-23, 2016
3 유병록, "청동기시대 검단리유형 검토’ -토론요지" 2018
4 배군열, "청동기시대 검단리유형 검토" 2018
5 김지현, "중서부지역 전기 무문토기의 취사용토기 연구 : 역삼동·흔암리유형 발형토기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8
6 김현식, "울산지역 청동기시대 토기의 변화상과 그 의미" 2018
7 정대봉, "울산지역 청동기시대 중심취락" 2018
8 김성은, "마연 토기 작품 제작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4
9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달성 평촌리·예현리 유적"
10 李亨源, "韓國 靑銅器時代의 聚落構造와 社會組織" 忠南大學校大學院 2009
1 김지영, "한반도 동남부지역 적색마연토기의 지역성" 경주대학교 대학원 2007
2 배진성, "플라스크형적색마연호의 분포와 성격" 한국청동기학회 (18) : 4-23, 2016
3 유병록, "청동기시대 검단리유형 검토’ -토론요지" 2018
4 배군열, "청동기시대 검단리유형 검토" 2018
5 김지현, "중서부지역 전기 무문토기의 취사용토기 연구 : 역삼동·흔암리유형 발형토기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8
6 김현식, "울산지역 청동기시대 토기의 변화상과 그 의미" 2018
7 정대봉, "울산지역 청동기시대 중심취락" 2018
8 김성은, "마연 토기 작품 제작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4
9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달성 평촌리·예현리 유적"
10 李亨源, "韓國 靑銅器時代의 聚落構造와 社會組織" 忠南大學校大學院 2009
11 宋永鎭, "韓半島 靑銅器時代 磨硏土器 硏究" 慶尙大學校大學院 2016
12 大東文化財硏究院, "金泉 智佐里 遺蹟"
13 三江文化財硏究院, "金泉 智佐里 無文土器 集落"
14 蔚山文化財硏究院, "蔚山 茶雲洞 새각단遺蹟"
15 慶尙北道文化財硏究院, "河陽~瓦村~大邱間 道路擴包裝工事區間內 文化遺蹟發掘調査報 告書 –河陽 大鶴里·瓦村 東江里遺蹟" 2005
16 배진성, "檢丹里類型의 成立" 한국상고사학회 48 (48): 5-28, 2005
17 李宗哲, "松菊里型文化의 聚落體系와 發展" 全北大學校大學院 2015
18 韓國傳統文化學校 考古學硏究所, "松菊里Ⅶ -제12·13차 발굴조사-" 2011
19 國立夫餘博物館, "松菊里Ⅵ"
20 한국문물연구원, "晉州 草田 環壕聚落遺蹟"
21 晉州博物館, "晉州 大坪里 玉房1地區 遺蹟"
22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慶州 檢丹里 遺蹟"
23 世宗文化財硏究院, "慶州 檢丹里 山38-3番地 遺蹟"
24 韓國文化財保護財團, "慶山 玉谷洞 遺蹟"
25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慶山 新閒里 遺蹟"
26 嶺南文化財硏究院, "尙州 伏龍洞 256番地遺蹟"
27 嶺南文化財硏究院, "大邱 東川洞遺蹟"
28 韓國文化財保護財團, "大邱 新西洞 遺蹟"
29 中央文化財硏究院, "報恩 上長里遺蹟"
30 한국선사문화연구원, "報恩 上可里遺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