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웹툰 한영 번역양상 및 멀티모달 기계번역(MMT) 활용 가능성 모색 - 의성어/의태어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397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K-Webtoons gain global popularity, global fans captivated by K-Webtoons ask for more content to be translated faster than before. In webtoons,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play a crucial role in creating vivid imagery and strengthening sensory effect, so studies on how to translate onomatopoeia/mimetic words in webtoons would contribute to the globalization of the K-Webtoons. Previous research on onomatopoeia translation has mostly focused on onomatopoeia/mimetic words in literary texts such as novels or poetry. Onomatopoeia/mimetic word translation in webtoon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in literary texts; therefore, this study first investigates how webtoon onomatopoeia/mimetic words are translated into English. Second, as the demand for webtoon translation rises, faster translation is also getting important. To satisfy this rising demand, it is explored to utilize machine translation in webtoon translation. Webtoon machine translation outcome reveals that it has limitations in translating polysemous onomatopoeia/mimetic words. Hence, in the final chapter, the concept and development of MMT is introduced as a way of complementing the limitation of existing machine translation and specific ways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MMT are suggested.
      번역하기

      As K-Webtoons gain global popularity, global fans captivated by K-Webtoons ask for more content to be translated faster than before. In webtoons,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play a crucial role in creating vivid imagery and strengthening sensory ef...

      As K-Webtoons gain global popularity, global fans captivated by K-Webtoons ask for more content to be translated faster than before. In webtoons,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play a crucial role in creating vivid imagery and strengthening sensory effect, so studies on how to translate onomatopoeia/mimetic words in webtoons would contribute to the globalization of the K-Webtoons. Previous research on onomatopoeia translation has mostly focused on onomatopoeia/mimetic words in literary texts such as novels or poetry. Onomatopoeia/mimetic word translation in webtoon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in literary texts; therefore, this study first investigates how webtoon onomatopoeia/mimetic words are translated into English. Second, as the demand for webtoon translation rises, faster translation is also getting important. To satisfy this rising demand, it is explored to utilize machine translation in webtoon translation. Webtoon machine translation outcome reveals that it has limitations in translating polysemous onomatopoeia/mimetic words. Hence, in the final chapter, the concept and development of MMT is introduced as a way of complementing the limitation of existing machine translation and specific ways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MMT are sugges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의성어/의태어 번역에 관한 선행 연구
      • 3. 웹툰 의성어/의태어 한영 번역 양상
      • 3.1. 분석대상
      • 1. 서론
      • 2. 의성어/의태어 번역에 관한 선행 연구
      • 3. 웹툰 의성어/의태어 한영 번역 양상
      • 3.1. 분석대상
      • 3.2 분석결과
      • 4. 웹툰 의성어/의태어 기계번역 양상
      • 5. 멀티모달 기계번역 활용 가능성 모색
      • 5.1. MMT 개념 및 연구 소개
      • 5.2 웹툰 번역 시 MMT 활용을 위한 데이터 구축
      • 6.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지연, "한국 웹툰 중국어 번역의 시청각적 수용성에 관하여 -‘신과 함께’사례 분석 -"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19 (19): 97-106, 2018

      2 김도훈, "한-영 의성어·의태어 비교 및 번역 기법" 한국번역학회 15 (15): 25-50, 2014

      3 노진서, "한-영 시 번역 텍스트에서 활용된 의성어·의태어 번역 전략" 한국통역번역학회 10 (10): 45-63, 2008

      4 이규연, "카카오엔터테인먼트 한국문학번역원, 웹툰 웹소설 번역인력 양성"

      5 김경희, "의성어와 의태어의 번역 전략 고찰 - 한국 소설의 프랑스어 번역을 중심으로" 프랑스학회 (58) : 33-53, 2011

      6 이현주, "웹툰 상징어의 중국어 번역양상 연구" 한국번역학회 21 (21): 185-209, 2020

      7 이준호, "영한 포스트에디팅 생산성에 대한 고찰- 시간적 노력을 중심으로" 통번역연구소 25 (25): 55-83, 2021

      8 김정호, "실수하기 전으로 돌아가 반복 학습… AI, 신약 개발·전기차 설계하는 시대 온다"

      9 이선영, "문체표지(style markers)로서의 말줄임표와 의성어·의태어 번역 — 「풍금이 있던 자리」를 중심으로" 한국번역학회 16 (16): 7-31, 2015

      10 김미리, "넥타이도 못매는 이 남자... ‘AI 혁명’ 최전선에 서다"

      1 황지연, "한국 웹툰 중국어 번역의 시청각적 수용성에 관하여 -‘신과 함께’사례 분석 -"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19 (19): 97-106, 2018

      2 김도훈, "한-영 의성어·의태어 비교 및 번역 기법" 한국번역학회 15 (15): 25-50, 2014

      3 노진서, "한-영 시 번역 텍스트에서 활용된 의성어·의태어 번역 전략" 한국통역번역학회 10 (10): 45-63, 2008

      4 이규연, "카카오엔터테인먼트 한국문학번역원, 웹툰 웹소설 번역인력 양성"

      5 김경희, "의성어와 의태어의 번역 전략 고찰 - 한국 소설의 프랑스어 번역을 중심으로" 프랑스학회 (58) : 33-53, 2011

      6 이현주, "웹툰 상징어의 중국어 번역양상 연구" 한국번역학회 21 (21): 185-209, 2020

      7 이준호, "영한 포스트에디팅 생산성에 대한 고찰- 시간적 노력을 중심으로" 통번역연구소 25 (25): 55-83, 2021

      8 김정호, "실수하기 전으로 돌아가 반복 학습… AI, 신약 개발·전기차 설계하는 시대 온다"

      9 이선영, "문체표지(style markers)로서의 말줄임표와 의성어·의태어 번역 — 「풍금이 있던 자리」를 중심으로" 한국번역학회 16 (16): 7-31, 2015

      10 김미리, "넥타이도 못매는 이 남자... ‘AI 혁명’ 최전선에 서다"

      11 백지수, "‘번역 필살기’로 K-웹툰에 날개…네이버가 334억 쏜 이 회사"

      12 Hutchins, J., "The development and use of machine translation systems and computer-based translation tools" 15 (15): 5-26, 2003

      13 Caglayan, O., "Probing the need for visual context in multimodal machine translation" 1 : 4159-4170, 2019

      14 Barrault, L., "Findings of the third shared task on multimodal machine translation" 2 : 308-327, 2018

      15 Elliott, D., "Findings of the second shared task on multimodal machine translation and multilingual image description" 215-233, 2017

      16 Tatsumi, M., "Correlation between automatic evaluation metric scores, post-editing speed, and some other factors" 332-339, 2009

      17 Kwon, S., "A text-based visual context modulation neural model for multimodal machine translation" 136 : 212-218,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6-1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통역번역연구소 -> 통번역연구소
      영문명 : Interpretation & Translation Institute -> Interpreting and Translation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5-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통역번역연구소 -> 통번역연구소
      영문명 : Interpretation & Translation Institute -> Interpreting and Translation Institute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9-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interpretation & translation institute. -> Interpreting and Translation Studi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2 0.82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 0.941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