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자기공명담췌관조영술: 단발포고속스핀에코(SS-TSE)기법과 SENSE기술을 이용한 3차원고속스핀에코(3D-TSE)기법의 영상비교 = MR Cholangiopancreatography: Comparison Between Single-Shot Turbo Spin-Echo Pulse Sequence and Three-Dimensional Turbo Spin-Echo Pulse Sequence with SENSE Techniqu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8826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단발포고속스핀에코기법과 Sensitivity encoding(이하 SENSE)기술을 이용한 3차원고속 스핀에코기법의 자기공명담췌관조영술 (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이하 MRCP)을 비교하여 영상의 ...

      목적:단발포고속스핀에코기법과 Sensitivity encoding(이하 SENSE)기술을 이용한 3차원고속 스핀에코기법의 자기공명담췌관조영술 (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이하 MRCP)을 비교하여 영상의 질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간내 또는 간외질환으로 단발포고속스핀에코기법과 SENSE기술을 이용한 3차원 고속스핀에코기법의 MRCP를 시행한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3인의 방사선과 의사가 담췌관계해부학구조물의 영상의 질을 점수화하여 비교,분석하였고,이어서 각 증례별로 두 기법간의 영상의 질을 직접 비교,분석하였다. 결과:간내담관,담낭관,총담관,췌관의 영상에서 모두 3차원고속스핀에코기법이 단발포고속스핀에코기법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간내담관과 총담관에 대한 3차원고속스핀에코기법의 우월성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두 기법 모두에서 총담관이 각각 87.5%와 97.5%로 가장 잘 관찰되었으며,췌관의 경우 52.5-57.5%,담낭관의 경우 10.0-32.5%에서 양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각 증례별로 두 영상 방식을 직접 비교하였을 때 27예 (67.5%)에서는 3차원고속스핀에코기법이 우수하고,5예(12.5%)에서는 두 영상방식이 동등하 며 8예(20%)에서 단발포고속스핀에코기법이 우수하다고 판단하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 하였다 (p<0.05). 결론:담췌관계해부학구조물을 관찰하는데 있어 3차원고속스핀에코기법이 단발포고속스핀에코기법보다 양질의 정보를 제공하였다.그러나 두 기법모두에서 췌관과 담낭관을 보는 데에 제한이 있었지만 이점은 MR기기의 기술적 개선으로 더 나은 영상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o evaluate the relative image qualities obtained at 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 (MRCP) turbo spin-echo (SSTSE) sequence and the three-dimensional turbo spin-echo (3D TSE) sequence with the sensitivity encoding (SENSE) techniq...

      Purpose: To evaluate the relative image qualities obtained at 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 (MRCP) turbo spin-echo (SSTSE) sequence and the three-dimensional turbo spin-echo (3D TSE) sequence with the sensitivity encoding (SENSE) technique. Materials and Methods: Forty patients with suspected hepatic and extrahepatic diseases underwent MRCP using the SSTSE sequence and the 3D TSE sequence with the SENSE technique. Three radiologists scored and compared the quality of images of anatomic structures in the hepatopancreatic biliary system, and then directly compared the quality of the images obtained using the two sequences in each set of cases. Results: For visualization of the intrahepatic bile duct, the cystic duct, the common bile duct, and the pancreatic duct, MRCP images obtained using the 3D TSE sequence with the SENSE technique were better than those obtained using the SSTSE sequence, though for the intrahepatic bile duct and common bile duct only, were these difference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Quality was best for images of the common bile duct (87.5% for SSTSE and 97.5 % for 3D TSE with the SENSE technique). For the pancreatic and cystic duct, however, 52.5% and 10% of SSTSE images, respectively, and 57.5% and 32.5% of 3D TSE images, respectively, provided optimal image quality. In direct comparison, 3D TSE images obtained using the SENSE technique were better in 27 cases (67.5%), both images were equivocal in five cases (12.5%), and SSTSE images were better in eight cases (20%). Thes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Conclusion: For the visualization of anatomic structures in the hepatopancreatic biliary system, the 3D TSE sequence with the SENSE technique was better than the SSTSE sequence. For evaluation of the pancreatic and cystic duct, however, both techniques have their limitations and require further developmen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