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소년과 부모가 지각한 행복과 행복의 조건 및 불행에 대한 토착심리 분석 = Factors that Influence Happiness and Unhappiness among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822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happiness and unhappiness among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using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A total of 2,955 respondents, consisting of 985 adolescents (elementary school student=269, middle school student=270, high school student=211, and university student=235), and 1,970 parents (father=985, mother=985) completed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first two research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reported being most happy when there were harmony in the family, followed by when they were engaged in leisure activities, when they had goo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when they were successful in achieving their personal goals. As for parents, they reported being most happy after giving birth to their children and seeing them grow, followed by when they are healthy. Second, as for the question of factors that influence happiness, both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reported that they needed to self-regulate. This was followed by studying hard and maintaining good relationships for adolescents and maintaining harmonious family and health for parents. Third, as for the basis of happiness, both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reported that they needed to maintain harmonious family. This was followed by self-regulation, emotional security, and good relationships for adolescents and health and self-regulation for parents. Fourth, both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reported that they were most unhappy when there was conflict in the family. This was followed by problems in relationships and failing to achieve their personal goals for adolescents and having health and financial problems for paren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armony in the famil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happiness among Koreans, followed by self-regulation and maintaining good relationships. In addition, adolescents needed to do well academically and adults needed to maintain good health and financ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happiness and unhappiness among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using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A total of 2,955 respondents, consisting of 985 adolescents (elementary school 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happiness and unhappiness among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using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A total of 2,955 respondents, consisting of 985 adolescents (elementary school student=269, middle school student=270, high school student=211, and university student=235), and 1,970 parents (father=985, mother=985) completed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first two research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reported being most happy when there were harmony in the family, followed by when they were engaged in leisure activities, when they had goo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when they were successful in achieving their personal goals. As for parents, they reported being most happy after giving birth to their children and seeing them grow, followed by when they are healthy. Second, as for the question of factors that influence happiness, both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reported that they needed to self-regulate. This was followed by studying hard and maintaining good relationships for adolescents and maintaining harmonious family and health for parents. Third, as for the basis of happiness, both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reported that they needed to maintain harmonious family. This was followed by self-regulation, emotional security, and good relationships for adolescents and health and self-regulation for parents. Fourth, both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reported that they were most unhappy when there was conflict in the family. This was followed by problems in relationships and failing to achieve their personal goals for adolescents and having health and financial problems for paren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armony in the famil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happiness among Koreans, followed by self-regulation and maintaining good relationships. In addition, adolescents needed to do well academically and adults needed to maintain good health and fina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구재선, "한국인의 행복 지수와 그 의미" 한국심리학회 213-232, 2010

      2 임영진, "한국인의 정신건강" 233-257, 2010

      3 김의철, "한국인의 자기 인식에 나타난 토착문화심리 분석"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2 (12): 1-36, 2006

      4 박영신, "한국인의 신뢰의식에 나타난 토착심리 탐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1 (11): 21-55, 2005

      5 박영신, "한국인의 부모자녀관계:자기개념과 가족역할 인식의 토착심리 탐구" 교육과학사 2004

      6 전경숙, "한국 청소년의 행복을 결정하는 요인들"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5 (15): 133-153, 2009

      7 박영신, "한국 청소년의 행복: 심리적, 관계적, 경제적 자원과 학업성취의 영향"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5 (15): 399-429, 2009

      8 박영신, "한국 청소년의 삶의 질과 인간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22 (22): 801-836, 2008

      9 박영신, "한국 청소년과 부모가 지각한 성공의식에 대한 토착심리 분석: 성공 경험, 사회적 지원, 성공 원인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785-829, 2010

      10 박영신, "한국 성인 남녀가 행복에 이르는 길: 직업 성취, 자녀 성공, 정서적 지원과 자기효능감의 영향" 14 (14): 467-495, 2009

      1 구재선, "한국인의 행복 지수와 그 의미" 한국심리학회 213-232, 2010

      2 임영진, "한국인의 정신건강" 233-257, 2010

      3 김의철, "한국인의 자기 인식에 나타난 토착문화심리 분석"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2 (12): 1-36, 2006

      4 박영신, "한국인의 신뢰의식에 나타난 토착심리 탐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1 (11): 21-55, 2005

      5 박영신, "한국인의 부모자녀관계:자기개념과 가족역할 인식의 토착심리 탐구" 교육과학사 2004

      6 전경숙, "한국 청소년의 행복을 결정하는 요인들"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5 (15): 133-153, 2009

      7 박영신, "한국 청소년의 행복: 심리적, 관계적, 경제적 자원과 학업성취의 영향"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5 (15): 399-429, 2009

      8 박영신, "한국 청소년의 삶의 질과 인간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22 (22): 801-836, 2008

      9 박영신, "한국 청소년과 부모가 지각한 성공의식에 대한 토착심리 분석: 성공 경험, 사회적 지원, 성공 원인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785-829, 2010

      10 박영신, "한국 성인 남녀가 행복에 이르는 길: 직업 성취, 자녀 성공, 정서적 지원과 자기효능감의 영향" 14 (14): 467-495, 2009

      11 박영신, "한국 사회와 개인 삶의 질 인식에 대한 토착심리 탐구: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와 낮추는 요소에 대한세대별 지각을 중심으로"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2 (12): 161-195, 2006

      12 김의철, "한국 사회에서 삶의 질을 구성하는 요인들에 대한 탐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2 (12): 1-28, 2006

      13 유슬기,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낙관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부모관련 스트레스 및 또래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간발달학회 18 (18): 169-185, 2011

      14 전경숙, "청소년세대와 부모세대 간 행복의 비교" 208-209, 2008

      15 김의철, "청소년과 성인의 삶의 질 인식에 대한 토착심리 분석 : 가정, 학교, 직장, 여가생활을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9 (9): 973-1002, 2004

      16 김명언, "청소년과 성인간의 세대 차이와 유사성" 6 (6): 181-204, 2000

      17 김의철, "청소년, 성인, 노인 세대의 차이와 생활만족도" 5 (5): 119-145, 2000

      18 박영신, "중년기 성인 남녀의 행복 형성 요인: 전업주부, 취업주부와 그들의 남편을 중심으로" 한국인간발달학회 18 (18): 65-108, 2011

      19 한지숙, "저소득가정 아동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내적 변인 탐색" 한국인간발달학회 18 (18): 1-18, 2011

      20 박영신, "자녀효도 관련 토착심리 탐구와 자녀효도가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초, 중, 고, 대학생 부모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49 (49): 87-120, 2011

      21 박영신, "유아 어머니와 외할머니 세대의 자녀관련 인식 비교: 이상적 자녀 수, 자녀의 성별에 대한 선호도, 노후부양에 대한 기대, 긍정적 자녀가치와 부정적 자녀가치를 중심으로"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8 (18): 127-152, 2012

      22 박영신, "심리적, 관계적, 경제적 자원: 한국인의 행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5 (15): 95-132, 2009

      23 박영신, "세대 차이와 갈등은 삶의 질을 낮추는가? 자기효능감의 영향" 한국심리학회 29 (29): 533-559, 2010

      24 박영신, "사회적 지원과 교사효능감이 직무성취도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 교사에 대한 단기 종단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3 (23): 491-520, 2009

      25 박영신, "부부갈등, 부모역할, 자기효능감이 기혼남녀의 이혼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발달학회 19 (19): 65-90, 2012

      26 김정민, "부모의 이혼과 청소년의 우울과 외로움-부모애착과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간발달학회 12 (12): 159-176, 2005

      27 박영신, "부모의 사회적 지원,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 변화에 대한 종단자료 분석과 생활만족도 형성에 대한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63-92, 2002

      28 박영신, "부모가 지각한 자녀 효도의 구성개념 및 영향: 자녀양육효능감과 가정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인간발달학회 16 (16): 203-241, 2009

      29 박영신, "부모-자녀관계 변화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초 중 고 대학생의 성취동기, 생활만족도, 학업성취, 일탈행동을 중심으로" 38 (38): 109-147, 2000

      30 박영신, "배우자의 사회적 지원, 자녀에 대한 신뢰 및 자기효능감이 성인의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4 (14): 71-101, 2008

      31 김민경, "모자가족 청소년자녀의 심리적 안녕과 관련 변인 연구" 한국인간발달학회 11 (11): 43-62, 2004

      32 박영신, "도시와 농촌 청소년의 학업성취와 삶의 질 : 지역, 부모의 기대, 부모자녀갈등, 자기효능감의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2 (22): 5-41, 2011

      33 박은아, "내-외적 자기개념, 행복조건, 사회비교와 자기존중감의 관계: 초․중․고․대학생 비교"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6 (16): 423-445, 2010

      34 김의철, "건강과 삶의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분석: 자기 효능감, 사회적 지원 및 질병관리를 중신으로"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1 (11): 143-181, 2005

      35 Diener, E, "Subjective well-being" 95 : 542-575, 1984

      36 Bandura,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New" Freeman 1997

      37 Kim, U, "Relational concept of sel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ocial behavior." 2004

      38 Park, Y. S, "Parent-child relationship, academic achievement and quality of life: The role of self-regulation, social support, and efficacy beliefs in Korea" 20-25, 2008

      39 Keyes, C. L. M, "Mental illness and/or mental health? Investigating axioms of the complete state model of health" 73 : 539-548, 2005

      40 Kim, U., "Indigenous and cultural psychology: Understanding people in context" Springer 24-48, 2006

      41 김의철, "IMF시대 한국 학생과 성인의 스트레스와 대처양식 및 생활만족도에 대한 연구: 사회적 지원과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6 (6): 77-105, 2001

      42 박영신, "IMF시대 이후 초, 중, 고, 대학생과 부모의 스트레스 경험과 대처양식 및 사회적 지원: 토착심리학적 접근"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8 (8): 105-135, 2002

      43 Keyes, C. L. M, "Evaluation of the Mental Health Continuum-Short Form(MHC-SF) in Setswana-Speaking South Africans" 15 : 181-192, 2008

      44 Watson,D.,Clark,L.A.,& Tellegen,A,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54 : 1063-1070, 198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8 1.88 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5 2.02 2.36 0.4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