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1학기에 <서산철학강좌>에서 ‘되찾은 기억’이라는 주제를 내걸고 연구결과를 소개하면서 ‘기억의 철학’을 대중화하고자 하였다. 이 자료는 강의에서 사용된 강의록파일이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24668
2016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014년 1학기에 <서산철학강좌>에서 ‘되찾은 기억’이라는 주제를 내걸고 연구결과를 소개하면서 ‘기억의 철학’을 대중화하고자 하였다. 이 자료는 강의에서 사용된 강의록파일이다.
2014년 1학기에 <서산철학강좌>에서 ‘되찾은 기억’이라는 주제를 내걸고 연구결과를 소개하면서 ‘기억의 철학’을 대중화하고자 하였다. 이 자료는 강의에서 사용된 강의록파일이다.
국문 초록 (Abstract)
헤겔의 기억이론 : 기억과 역사 <헤겔의 철학체계> <헤겔철학 체계와 기억 그리고 역사> <목적론적 형이상학으로서의 헤겔 사변철학(spekulative Philosophie)> <목적론의 폭력...
헤겔의 기억이론 : 기억과 역사
<헤겔의 철학체계>
<헤겔철학 체계와 기억 그리고 역사>
<목적론적 형이상학으로서의 헤겔 사변철학(spekulative Philosophie)>
<목적론의 폭력성: 헤겔에 대한 그리고 헤겔과의 비판적 성찰의 필요성>
<그럼에도 왜 헤겔인가? 연대적 자유의 옹호자로서의 헤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