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대입전형은 기존의 수능, 내신 등의 성적 위주 선발 방식에서 대학과 사회의 요 구를 반영함으로써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개혁이 진행되어 왔다. 입학사정관 제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84370
2017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41-168(28쪽)
2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 대입전형은 기존의 수능, 내신 등의 성적 위주 선발 방식에서 대학과 사회의 요 구를 반영함으로써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개혁이 진행되어 왔다. 입학사정관 제는 ...
우리나라 대입전형은 기존의 수능, 내신 등의 성적 위주 선발 방식에서 대학과 사회의 요 구를 반영함으로써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개혁이 진행되어 왔다. 입학사정관 제는 대표적인 대학입시제도 개선 방안 중 하나로써 2013년 대입전형 간소화 정책에 따라 학 생부종합전형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현재 대학입시 전형의 중요한 축으로 자리를 잡았다. 학생부종합전형 확대는 대학의 학생 선발 자율성을 보장하고, 고교교육 정상화와 대학 신입 생의 출신 지역 및 고교 다양성 확보에 기여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학생부종합전 형에 대한 평가는 관점에 따라 찬반 혹은 긍정과 부정적 의견이 혼재되어 나타나고 있으며, 공정 사회와 정의 등의 이슈가 공론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한 언론, 학계, 이익집단 간 논란이 점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학생부종합전형 정책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Cooper, Fusarelli, & Randall(2004)의 규범적·구조적·구성원·기술적 등 4차원 교육정책 분석 모형에 터하여 학생부 종합전형 정책 분석을 위한 개념적 틀을 구안하고, 학생부종합전형 정책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① 규범적 차원에서 학생부종합전형 정책이 추구하는 가치는 학생의 균등 한 교육기회 보장, 대입제도의 다양성, 대학의 자율성 지향이지만, 대학의 학생 선발 자율성 보장 의구심, 입학사정관 전문성 및 인력 부족, 취약한 근무조건 등의 문제를 보여주었다. ② 구조적 차원에서는 학생부종합전형 정책, 학생부 활용 대입 제도 운영의 확산 지원 체계가 구축된 반면, 정부-대학 간 숙의적인 정책 논의 부족 한계가 나타났다. ③ 구성원 차원에서는 이익집단과 대중은 암묵적인 정책공동체 관계 형태를 취하고 있는 반면, 이들의 행위가 정책 과정의 환류로 작동하지 못하였다. ④ 기술적 차원에서는 학생부종합전형의 긍정적 연구 결 과와 대비되는 사교육비 증대와 교육 불평등 조장 우려를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에 따 라 본 연구는 학교생활기록부의 관리 및 기록의 내실화,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학생부종합전 형 요소 간 연계 확대, 입학사정관 전문성 강화와 근무 환경 조성을 통한 대학 선발 시스템 의 고도화, 정부의 중장기적 학생부종합전형 정책 마련 등을 개선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mprehensive School Report Policy (CSRP) for the university admission in Korea and to suggest policy directions for developing undergraduate admission policy, high school curriculum, and school report. The Korean univ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mprehensive School Report Policy (CSRP) for the university admission in Korea and to suggest policy directions for developing undergraduate admission policy, high school curriculum, and school report. The Korean university entrance system has been reformed to seek a new paradigm by reflecting the needs of college and society.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AOS) was one of improvement plans to reform the university admission system focused on a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nd high school records. The AOS was changed to the CSRP according to the policy of simplifying the admissions system in 2013, and it has become an important axis of the university entrance system. After using the multifocal educational policy analysis framework Cooper et al. (2004) proposed, this research constructed a conceptual framework consisted of normative, structural, constituentive, and technical dimensions as well as ethics and social justice as the core of the framework.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policy directions and plans to improve the university entrance system as well as the management and records of the High School Report, to strengthen the professionalism of admissions officers, to reduce the number of students in high school class, and to expand linkage between high school curriculum and the factors of the CSRP.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7학년도 대학입학전형 기본사항」발표"
2 박균열, "학생생활기록부 기재방식, 관리, 활용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교육문제연구소 28 (28): 81-107, 2015
3 차정민, "학생부종합전형의 현황과 개선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16
4 이수정, "학생부종합전형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학부모·국민의 관점에서 본 대입제도의 문제점과 해법 탐색" 2016
5 "학생부종합전형은 ‘금수저 전형?’…입학처장들 정면반박"
6 "학생부종합전형, 금수저만 유리?"
7 교육부, "학생부종합전형 확대되는데... 입학사정관 1명이 115명까지 평가’ 등 보도 관련 설명자료"
8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학생부종합전형 운영결과 분석"
9 서울특별시교육청, "학생부종합전형 안착 위해 지속 보완 필요"
10 "학생부종합전형 경험한 학생이 취업도 잘한다"
1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7학년도 대학입학전형 기본사항」발표"
2 박균열, "학생생활기록부 기재방식, 관리, 활용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교육문제연구소 28 (28): 81-107, 2015
3 차정민, "학생부종합전형의 현황과 개선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16
4 이수정, "학생부종합전형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학부모·국민의 관점에서 본 대입제도의 문제점과 해법 탐색" 2016
5 "학생부종합전형은 ‘금수저 전형?’…입학처장들 정면반박"
6 "학생부종합전형, 금수저만 유리?"
7 교육부, "학생부종합전형 확대되는데... 입학사정관 1명이 115명까지 평가’ 등 보도 관련 설명자료"
8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학생부종합전형 운영결과 분석"
9 서울특별시교육청, "학생부종합전형 안착 위해 지속 보완 필요"
10 "학생부종합전형 경험한 학생이 취업도 잘한다"
11 "학생부 전형, 현실은 ‘학생배경 전형’"
12 김이지, "학생부 비교과활동 분석: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을 중점으로" 3 : 129-167, 2014
13 "학생-학부모-교사 모두 “학생부종합전형 공정성 의심”"
14 김경범, "학교생활기록부 정보의 재구조화" 서울대학교 입학본부 2016
15 교육인적자원부, "학교교육 정상화를 위한 2008학년도 이후 대학입학제도 개선 방안" 2004
16 "진로진학의 핵심, 전공 체험..학생부종합에도 필수"
17 "제도와 현실이 거꾸로 가는 ‘대입 학종 전성 시대’"
18 정정길, "정책학원론" 대명출판사 2012
19 신현석, "전문계 직업교육의 대안으로서 마이스터고 정책의 방향과 과제" 한국직업교육학회 28 (28): 157-182, 2009
20 김현아,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입학사정관전형 지원자들의 생각과 경험" 8 (8): 57-83, 2011
21 장광재, "입학사정관제의 진단과 개선과제 모색을 위한 제1차 포럼 토론문, in 대입제도 정책진단 및 발전과제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12
22 김승태, "입학사정관제도와 사교육의 연관성에 관한 소고" 한국거버넌스학회 17 (17): 237-264, 2010
23 김신영, "입학사정관제 운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24 교육과학기술부, "입학사정관제 선도대학 선정결과 발표"
25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입학사정관제 도입 5년 성과 및 발전과제" 2012
26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입학사정관전형(학생부종합전형) 100문 100답"
27 조형정, "입학사정관 전형 대학입시와 사교육의 관계 에 관한 연구: 천안, 아산 지역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소 32 (32): 129-164, 2013
28 "시민단체"학생부종합전형 사교육 유발"주장"
29 양성관, "새 정부의 학교정책의 방향과 과제 : 고교다양화 300 프로젝트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26 (26): 181-206, 2008
30 박여진, "사교육 유발요인과 입시정책과의 관계 연구-경희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1 : 235-261, 2012
31 "분석자료 ‘학생부종합전형 확대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분석"
32 "못믿을 입학사정관?…1명이 115명까지 평가"
33 임진택, "대학입학전형에서 입학생의 다양성 연구" 4 : 23-56, 2015
34 김은영, "대학입학전형 정책의 성과와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3
35 양성관, "대학입학사정관제의 특징 및 개선방안 분석 -Cooper 등의 4차원 정책분석모형을 사용하여" 한국교육정치학회 16 (16): 125-148, 2009
36 장덕호, "대학입학사정관제 제도화 과정 분석 연구: 신제도주의 동형화 이론의 적용" 한국교육행정학회 27 (27): 121-144, 2009
37 "대학들 ‘입학사정관제’도 뭉갠다"
38 "대학, 정부 入試간섭 공동대응"
39 이수정, "대입제도의 변화가 사교육비 지출에 미친 영향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 (20): 121-141, 2011
40 "대입제도의 대안 대입자격고사와 과도기 방안"
41 송기석, "대입제도에 대한 국민(학부모)여론조사 결과 및 대입제도 개선 방향’. 학부모·국민의 관점에서 본 대입제도의 문제점과 해법 탐색" 2016
42 김병주, "대입제도 정책진단 및 발전과제 연구-입학사정관제를 중심으로-" 교육과학기술부 2012
43 안선회, "대입제도 개선정책의 정책인과가설 분석- 노무현정부, 이명박정부 대입정책을 중심으로 -" 교육문제연구소 26 (26): 45-78, 2013
44 "대입정보포털"
45 김보경, "대입전형이 고등학교 교육과정 정상화에 미치는 영향" 교육종합연구소 13 (13): 93-119, 2015
46 류영철, "대입전형에서의 사교육 영향평가 연구: C대학을 중심으로" 국회입법조사처 8 (8): 399-425, 2016
47 이수정, "대입전형에서 학생부 내신 반영 강화 정책과 고교생의 사교육비 지출간의 관련성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7 (17): 125-150, 2014
48 사교육걱정없는세상, "대입전형 인식실태(전국고교 2만5천명 대상) 조사결과 발표"
49 교육부, "대입전형 간소화 및 대입제도 발전방안(시안)"
50 이경아, "대입 학생부종합전형 문제, 어떻게 풀어야 하나?" 민주정책연구원 2016
51 박소영, "대입 전형 간소화 정책 이후한국 고등학생의 대학입학 준비 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34 (34): 69-95, 2016
52 정광희, "대입 ‘학종 시대’, 바람직한 추진 방향과 과제"
53 "네이버 교육학용어사전"
54 "교육희망"
55 김종철, "교육행정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1994
56 안선회, "교육만이 대안이다 ⑥: 사교육과 대입제도 개혁"
57 "교사․학생 절반 ‘대입 자격고사 전환’ 찬성"
58 "교사 62%"학생부종합전형, 부모·사교육 도움 없인 안 돼""
59 박균열, "공교육 내실화를 위한 자유학기제 정책의 방향과 과제" 한국교육행정학회 32 (32): 25-51, 2014
60 교육부,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대학 지원사업 선정결과 발표"
61 교육부,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대학 60곳 선정… 일부大 자격 논란” 보도 관련 설명자료"
62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대학 60곳 선정… 일부大 자격 논란"
63 정광희, "고교-대학 연계를 위한 대입전형 연구(Ⅷ): 고교-대학 연계형 대입제도 중장기 종합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11
64 김미란, "고교-대학 연계를 위한 대입전형 연구(Ⅶ): 입학사정관제 성과분석 모델 개발 및 운영보완 방안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2010
65 교육부, "’15학년도 및 ’16학년도 대입제도 확정"
66 "‘학생부종합전형’이 확대되면 안되는 이유"
67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대학 지원사업’, 과연 옳은 것인가?"
68 March, J. G., "The new institutionalism: Organizational factors in political life" 78 (78): 734-749, 1984
69 Young, M. D., "Multifocal educational policy research: Toward a method for enhancing traditional educational policy studies" 36 (36): 677-714, 1999
70 정훈, "Cooper 등의 교육정책분석 이론 및 모형에 관한 연구" 국가정책연구소 24 (24): 147-164, 2010
71 Cooper, B. S., "Better Policies, Better Schools : Theories and Applications" Allyn & Bacon 2004
72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8학년도 대입전형 시행계획 발표, 보도 및 첨부자료"
73 서울대학교, "2017학년도 서울대학교 학생부종합전형 안내 책자"
74 교육부, "2016년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대학 지원사업, 60교 선정"
75 교육부, "2016년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대학 지원사업 기본계획(안)"
76 안수진, "2015학년도 대입전형간소화정책의 효과성과 타당성 평가: 학생ㆍ학부모ㆍ교사의 효과성 인식에 근거한 인과가설 평가를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소 28 (28): 233-269, 2015
77 교육과학기술부, "2010 입학사정관제 길라잡이"
학부교육 선도대학 육성사업(ACE)이 대학생의 학습참여에 미치는 영향: 지원적 대학환경, 교수-학생 상호작용, 고차원 학습, 학습량을 중심으로
학교 혁신문화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 인천광역시 초·중등학교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76 | 1.76 | 1.7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92 | 2.06 | 1.843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