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복모, "현대 디지털사진측량학" 피어슨에듀케이션코리아 93-144, 2003
2 박수영, "습지학 원론:한국의 늪" 은혜기획 55-74, 2000
3 구본학, "습지생태학" 조경 101-157, 2009
4 일본환경성, "도쿄만의 매립사업에 따른 환경영향조사"
5 김구연, "낙동강 하구의 수생관속식물의 분포 변화와 수금류(고니류)의 먹이식물인 세모고랭이의 성장 변화" 한국생태학회 28 (28): 335-345, 2005
6 윤해순, "낙동강 하구에서의 수금류 식이식물의 현존량과 이용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1987
7 윤해순, "낙동강 하구 간석지의 수생 관속식물에 관한 연구-하구언 건설 전후 의 간석지 식생의 생산성 비교" 14 (14): 63-73, 1991
8 여운상, "낙동강 새섬매자기 군락의 감소원인" 부산발전연구원 2009
9 Yi, Gi-Chul, "Value and Use of Ohio's GIS-based Wetlands Inventory" 49 (49): 23-28, 1994
10 Fredrickson, L. H, "Nutritional values of waterfowl foods. Waterfowl management handbook"
1 유복모, "현대 디지털사진측량학" 피어슨에듀케이션코리아 93-144, 2003
2 박수영, "습지학 원론:한국의 늪" 은혜기획 55-74, 2000
3 구본학, "습지생태학" 조경 101-157, 2009
4 일본환경성, "도쿄만의 매립사업에 따른 환경영향조사"
5 김구연, "낙동강 하구의 수생관속식물의 분포 변화와 수금류(고니류)의 먹이식물인 세모고랭이의 성장 변화" 한국생태학회 28 (28): 335-345, 2005
6 윤해순, "낙동강 하구에서의 수금류 식이식물의 현존량과 이용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1987
7 윤해순, "낙동강 하구 간석지의 수생 관속식물에 관한 연구-하구언 건설 전후 의 간석지 식생의 생산성 비교" 14 (14): 63-73, 1991
8 여운상, "낙동강 새섬매자기 군락의 감소원인" 부산발전연구원 2009
9 Yi, Gi-Chul, "Value and Use of Ohio's GIS-based Wetlands Inventory" 49 (49): 23-28, 1994
10 Fredrickson, L. H, "Nutritional values of waterfowl foods. Waterfowl management handbook"
11 Kelly, M, "Integrating LiDAR and CIR Imagery for Mapping Tidal Wetlands" 72 (72): 251-257, 2006
12 이기철, "GIS와 원격탐사를 이용한 습지 생태계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관한 연구" 2 (2): 1-15, 1999
13 이기철, "GIS와 RS를 이용한 생태지도 작성기법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 7 (7): 57-69, 2004
14 Paine, Jeffrey G, "Combining EM and LiDAR to map coastal wetlands : An example from mustang island Texas"
15 Cowardin L. M, "Classification of Wetlands and Deepwater Habitats of the U.S"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Pub 103-, 1979
16 Barrette, Jeffrey, "Accuracy Assessment of Wetland Boundary Delineation Using Aerial Photography and Digital Orthophotography" 66 (66): 409-416, 2000
17 환경부, "2004 하구역생태계 정밀조사" 국립환경연구원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