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조 귀화정책의 사회복지적 의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ocial Welfare Significance of Naturalization Policy in Chosu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622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가 살고 있는 이 땅 한반도의 옛 조상들도 오늘날과 마찬가지로 외국으로 나가서 이민자로 생활하기도 하였으며 많은 외부인들이 한반도 지역으로 유입되어 귀화인으로 정착하여 이 땅...

      우리가 살고 있는 이 땅 한반도의 옛 조상들도 오늘날과 마찬가지로 외국으로 나가서 이민자로 생활하기도 하였으며 많은 외부인들이 한반도 지역으로 유입되어 귀화인으로 정착하여 이 땅에서 새로운 역사를 일구어내기도 했던 것이다. 조선시대에 귀화한 사람들은 주로 야인과 왜인이었다. 조선정부가 건국초부터 이들을 귀화시키는데 적극적이었기 때문이었다. 국토를 편안케 할 목적으로 북방을 혼란케 하는 야인과 남방을 유린하는 왜구에 대해 견제책(羈靡)과 회유책(同化)을 함께 추진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연유로 조선에 귀화한 야인과 왜인은 이후 누대에 걸쳐 조선 땅에서 생활하면서 거의 조선인과 다름없이 동질화(언어, 의식주, 습속 등)되어 나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 정부는 그 후손들을 계속 귀화인 또는 향화1)인으로 지칭함으로써 이들을 타자 또는 소수자의 질곡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만들었던 이면도 엿볼 수 있음을 이 글은 보여주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ur ancestors of the Korean Peninsula where we have lived went abroad and lived as emigrants and many foreigners came to the Korean Peninsula and lived as Korean people, cultivating new history in this land. The people who were nationalized in Chosun ...

      Our ancestors of the Korean Peninsula where we have lived went abroad and lived as emigrants and many foreigners came to the Korean Peninsula and lived as Korean people, cultivating new history in this land. The people who were nationalized in Chosun Dynasty were mainly wild people and Japanese people. It is because Chosun government actively nationalized them. For the purpose to search for peace in the territory, the government searched for the policy of containment and appeasement for the wild man causing confuse in the northern area and Japanese people infringing the southern area at the same time. Because of this reason, the wild people and Japanese people who were nationalized in Chosun had lived in Chosun over several generations, being assimilated to Chosun people(language, dress, food, residence, habit, etc.). However, this article also shows the different aspect that Chosun government called their descendants hyanghwa9) preventing them from escaping from the fetter of alien or minor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원창애, "향화인의 조선 정착 사례 연구 - 여진 향화인을 중심으로 -" 동양고전학회 (37) : 33-61, 2009

      2 최현, "한국인의 다문화 시티즌십(multicultural citizenship) : 다문화 의식을 중심으로" 제3섹터연구소 5 (5): 147-173, 2007

      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민덕기, "표류민을 통한 정보의 교류, In 조선시대 한일표류민연구" 국학자료원 2001

      5 최현, "진정한 다문화사회를 위한 과제" 22 (22): 2008

      6 하우봉, "조선전기 대외관계에 나타난 自我認識과 他者認識" 한국사연구회 (123) : 8-270, 2003

      7 이현희, "조선전기 내조야인의 정략적 대우에 대하여" 18 : 1964

      8 "조선왕조실록"

      9 백철현, "조선시대의 사회복지정책에 관한 연구" 4 : 1995

      10 이현희, "조선시대 북방야인의 사회경제적 교섭고-대야인 교섭정책의 배경" 3 : 1967

      1 원창애, "향화인의 조선 정착 사례 연구 - 여진 향화인을 중심으로 -" 동양고전학회 (37) : 33-61, 2009

      2 최현, "한국인의 다문화 시티즌십(multicultural citizenship) : 다문화 의식을 중심으로" 제3섹터연구소 5 (5): 147-173, 2007

      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민덕기, "표류민을 통한 정보의 교류, In 조선시대 한일표류민연구" 국학자료원 2001

      5 최현, "진정한 다문화사회를 위한 과제" 22 (22): 2008

      6 하우봉, "조선전기 대외관계에 나타난 自我認識과 他者認識" 한국사연구회 (123) : 8-270, 2003

      7 이현희, "조선전기 내조야인의 정략적 대우에 대하여" 18 : 1964

      8 "조선왕조실록"

      9 백철현, "조선시대의 사회복지정책에 관한 연구" 4 : 1995

      10 이현희, "조선시대 북방야인의 사회경제적 교섭고-대야인 교섭정책의 배경" 3 : 1967

      11 이원택, "조선 전기의 귀화와 그 성격" 8 (8): 2001

      12 백옥경, "조선 전기 向化人에 대한 혼인규정과 여성" 호남사학회 (34) : 41-70, 2008

      13 최선혜, "조선 사회의 문화적 소수자, 향화인" 인간학연구소 (12) : 93-123, 2007

      14 이장희, "임란시 투항왜병에 대하여" 6 : 1971

      15 이현종, "외국인귀화" 2 : 1977

      16 유봉영, "왕조실록에 나타난 이조전기의 야인" 14 : 1973

      17 한건수, "역사적 배경으로 본 한국의 다문화사회" (여름) : 2008

      18 김지애, "역사 속의 귀화인들을 통해 본 한국사회의 다문화성"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2009

      19 "세종실록, 99권 세종 25년 2월 13일 기해조"

      20 "세종실록, 64권, 세종 16년 4월 7일 갑인조"

      21 "세종실록, 59권 세종 15년 3월 23일 병자조"

      22 "세종실록, 4권, 세종 1년 6월 20일 계사조"

      23 "세종실록, 28권, 세종7년(1425) 을사조"

      24 "세종실록, 28권, 세종7년(1425) 을사조"

      25 "세종실록, 21권, 세종 5년 7월 9일 정해조"

      26 세계대백과사전, "세계대백과사전" 동서문화사 2003

      27 "선조실록, 권158 선조36년 정월 23일"

      28 "문종실록, 7권 문종 1년 4월 12일 정해조"

      29 민경준, "명 청 교체와 한중관계, In 한중 외교관계와 조공책봉" 고구려연구재단 2005

      30 이덕일, "다문화사회"

      31 "논어, 위정 ch. 3"

      32 "광해군일기, 25권 광해군 2년 2월 갑술조"

      33 "경국대전, 호전 수세조와 병전 복호조"

      34 서근식, "朝鮮時代 ‘向化’개념에 대한 硏究 - 『朝鮮王朝實錄』을 中心으로" 동양고전학회 37 (37): 7-31, 2009

      35 임학성, "17세기 전반 戶籍자료를 통해 본 귀화 野人의 조선에서의 생활 양상 -蔚山戶籍(1609)과 海南戶籍(1639)의 사례 분석-" 한국고문서학회 33 : 95-128,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0-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Association for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Histor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행정사학회 -> 한국행정사학지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2 0.22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43 0.551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