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영아반 보육교사의 영아발달지식이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 development knowledge and infant teachers’ recognition of special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449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n recognition of specialty by infant teachers'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The objects of study were 207 infant teachers in southern area of Gyeonggi-do. A method of the study was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a difference level of infant development knowledge. It shows the older infant teachers are higher in development standard, health, knowledge. And the more work experience of HR teacher in infant class has more developmental principles knowledge. And the infant teachers who has work experience in a infant nursery or corporation child care center has more knowledge of health and safet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fant teachers have learned infant development knowledge from the experience. Also, infant teachers are older than normal childcare teachers. Second, a difference of a infant teachers’ recognition of specialty are Social needs, special organization, professional ethics, level of expertise, community service tendency, fairness, autonomy, socioeconomical status order. Many infants go childcare centers because of nuclear family and female workers. The results of study show infant teachers are socially needed. On the other hand, infant teachers think they are low socioeconomical status themselves. That’s because a long working hours and low salary of infant teachers. Third, a result of a Study on the analysis of hierarchy that exclude background variable and include recognition of specialty variable is follow. The infant teachers who has the higher infant development knowledge have higher recognition of specialt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fant teachers has learned infant development knowledge from the experience and age, reeducation, job training. Also, infant development knowledge influences to infant teachers’ recognition of specialty.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n recognition of specialty by infant teachers'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The objects of study were 207 infant teachers in southern area of Gyeonggi-do. A method of the study was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n recognition of specialty by infant teachers'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The objects of study were 207 infant teachers in southern area of Gyeonggi-do. A method of the study was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a difference level of infant development knowledge. It shows the older infant teachers are higher in development standard, health, knowledge. And the more work experience of HR teacher in infant class has more developmental principles knowledge. And the infant teachers who has work experience in a infant nursery or corporation child care center has more knowledge of health and safet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fant teachers have learned infant development knowledge from the experience. Also, infant teachers are older than normal childcare teachers. Second, a difference of a infant teachers’ recognition of specialty are Social needs, special organization, professional ethics, level of expertise, community service tendency, fairness, autonomy, socioeconomical status order. Many infants go childcare centers because of nuclear family and female workers. The results of study show infant teachers are socially needed. On the other hand, infant teachers think they are low socioeconomical status themselves. That’s because a long working hours and low salary of infant teachers. Third, a result of a Study on the analysis of hierarchy that exclude background variable and include recognition of specialty variable is follow. The infant teachers who has the higher infant development knowledge have higher recognition of specialt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fant teachers has learned infant development knowledge from the experience and age, reeducation, job training. Also, infant development knowledge influences to infant teachers’ recognition of special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영아보육의 질을 좌우하는 영아반 보육교사의 영아발달지식이 전문성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경기남부지역 어린이집 영아반 보육교사 20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배경변인 중 영아발달지식 수준의 차이는 교사의 연령이 높을수록 발달기준, 건강안전, 양육 지식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영아반 담임경력이 많을수록 발달원리 지식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영아전담(가정어린이집)과 법인에 근무하는 영아반 보육교사의 건강안전 지식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생활경험과 현장경험을 통해 영아발달지식을 습득한다고 볼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영아전담어린이집 교사 연령이 높기 때문이다. 둘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차이는 사회적 필요성, 전문직단체, 직업윤리, 전문적 지식기술, 사회봉사성, 공정성, 자율성, 사회경제적 지위 순으로 사회적필요성이 가장 높고, 사회경제적 지위가 가장 낮았다. 핵가족화 및 취업모의 증가로 영아들의 어린이집 이용수가 많아지면서 영아반 보육교사가 사회적으로 매우 필요하다는 인식이 높게 나타났지만 반대로 사회경제적 지위는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영아반 보육교사들의 긴 시간 근무환경과 낮은 급여체계 등에 영향을 받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영아발달지식이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배경변인을 통제하고 전문성 인식 변인을 투입하는 위계적 회귀분석결과 영아발달지식이 높을수록 영아반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영아반 교사의 연령과 경력, 재교육 등 생활경험, 현장연수 등을 통해 영아발달지식을 습득하게 되며 영아발달 지식이 영아반 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영아보육의 질을 좌우하는 영아반 보육교사의 영아발달지식이 전문성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경기남부지역 어린이집 영아반 보육교사 207명을 대상으...

      본 연구는 영아보육의 질을 좌우하는 영아반 보육교사의 영아발달지식이 전문성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경기남부지역 어린이집 영아반 보육교사 20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배경변인 중 영아발달지식 수준의 차이는 교사의 연령이 높을수록 발달기준, 건강안전, 양육 지식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영아반 담임경력이 많을수록 발달원리 지식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영아전담(가정어린이집)과 법인에 근무하는 영아반 보육교사의 건강안전 지식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생활경험과 현장경험을 통해 영아발달지식을 습득한다고 볼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영아전담어린이집 교사 연령이 높기 때문이다. 둘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차이는 사회적 필요성, 전문직단체, 직업윤리, 전문적 지식기술, 사회봉사성, 공정성, 자율성, 사회경제적 지위 순으로 사회적필요성이 가장 높고, 사회경제적 지위가 가장 낮았다. 핵가족화 및 취업모의 증가로 영아들의 어린이집 이용수가 많아지면서 영아반 보육교사가 사회적으로 매우 필요하다는 인식이 높게 나타났지만 반대로 사회경제적 지위는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영아반 보육교사들의 긴 시간 근무환경과 낮은 급여체계 등에 영향을 받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영아발달지식이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배경변인을 통제하고 전문성 인식 변인을 투입하는 위계적 회귀분석결과 영아발달지식이 높을수록 영아반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영아반 교사의 연령과 경력, 재교육 등 생활경험, 현장연수 등을 통해 영아발달지식을 습득하게 되며 영아발달 지식이 영아반 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 Ⅳ. 논의 및 제언
      • ≪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 Ⅳ. 논의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기숙, "효과적인 영유아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영유아 교육기관, 가정보육의 현장지침서"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5

      2 강명욱, "회귀분석입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08

      3 최미숙, "유아교사의 교수 효능감과 전문성 인식에 따른 교사행동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25 (25): 195-215, 2005

      4 최희양,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보육환경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2001

      5 김유진, "영아보육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2003

      6 손현희, "영아반 보육교사의 교직에 대한 전문성 인식도와 영아보육프로그램의 질과의 관계" 계명대 2007

      7 김정애, "어린이집 교사의 교직태도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계명대교육대학원 2000

      8 오연주, "스웨덴과 한국 보육교사의 직무 만족도와 전문성에 대한 인식 비교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2 (12): 99-122, 2005

      9 유니세프 한국위원회, "세계 아동 현황 보고서" 1995

      10 김주성, "보육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한 보육교사의 전문성 지원 방안 연구" 고려대정책대학원 2009

      1 이기숙, "효과적인 영유아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영유아 교육기관, 가정보육의 현장지침서"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5

      2 강명욱, "회귀분석입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08

      3 최미숙, "유아교사의 교수 효능감과 전문성 인식에 따른 교사행동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25 (25): 195-215, 2005

      4 최희양,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보육환경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2001

      5 김유진, "영아보육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2003

      6 손현희, "영아반 보육교사의 교직에 대한 전문성 인식도와 영아보육프로그램의 질과의 관계" 계명대 2007

      7 김정애, "어린이집 교사의 교직태도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계명대교육대학원 2000

      8 오연주, "스웨덴과 한국 보육교사의 직무 만족도와 전문성에 대한 인식 비교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2 (12): 99-122, 2005

      9 유니세프 한국위원회, "세계 아동 현황 보고서" 1995

      10 김주성, "보육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한 보육교사의 전문성 지원 방안 연구" 고려대정책대학원 2009

      11 변길희,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교수효능감 및 사회인구학적 변인과의 관계" 한국보육학회 10 (10): 21-34, 2010

      12 장은실, "보육교사의 유아발달에 관한 지식정도와 전문성 인식도간의 관계" 경희대학교 2006

      13 유희정, "보육교사의 근무환경 및 직무실태 분석" 한국여성개발원 2004

      14 이순영, "보육교사 양성대학의 교육과정 모형 개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2005

      15 Shulman, "Teaching as community property: Change"

      16 Lindsay, P, "Teachers in preschools and child care center: Overlooked and under valued" 16 (16): 91-105, 1987

      17 Grossman,P.L, "Teacher's Knowledge, In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2nd ed)" Pergamon 1985

      18 Saracho, O. N., "Professionalism and the prepa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ractitioners,Early childhood Development and care,Gorden and Breach science publisher S" Gorden and Breach science publisher S.A 1993

      19 나정, "OECD의 성공적인 유아교육과 보호정책 요인에 비추어 본 우리나라 유아교육과 보육정책" 한국교육개발원 2001

      20 MacPhee,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Inventory: KIDI"

      21 Katz, "Child development knowledge and teacher preparation: confronting assumptions" 11 : 135-146, 1996

      22 보건복지부, "2008. 12월 말 현재 보육통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Administration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KCI등재
      2013-05-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영문명 : The Korea Associan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dministration -> The Korea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6 1.66 1.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6 1.72 1.66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