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유학기제 연구학교의 수업과 교육활동의 특징 분석 = An analysis of instructions and educational activities on pilot schools of Free Semester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625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2013년도에 실시한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42개교의 운영 보고서를 분석함으로써 시험이 없는 교육의양상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자유학기제는 첫째, 공통과정 기본교과 수업...

      본 연구에서는 2013년도에 실시한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42개교의 운영 보고서를 분석함으로써 시험이 없는 교육의양상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자유학기제는 첫째, 공통과정 기본교과 수업방식의 대부분이 학생주도적인 활동으로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진로탐색 활동이 다양화되고 심화되었다. 셋째, 자율과정은 주입식 교육에서 벗어나 다양한 활동을 제공하고 있었다. 넷째, 학교는 지역사회와의 인적․물적 자원과 연계 지도 인프라 구축을 통해 연계 지도를 하고 있었다. 반면, 자유학기제의 여러 가지 문제점도 발견할 수 있었다. 우선, 자유학기제의 차별화된 교육활동은 중학교 1학년내, 그리고 학년 간의 교육계획에 있어서 혼란을 야기하고 있었다. 또한, 자유학기제 해당 학생들에게만 편중된 교육을 제공하여 타 학년과의 위화감과 소외감도 조성하고 있었다. 그리고 진로탐색 활동의 경우 지적인 탐색과 진로 검사와상담 ,체험을 통한 체득 등 탐색하고 체득하는 활동에만 편중되어 있었다. 끝으로, 자율과정의선택 프로그램 활동, 동아리 활동등 다양한 범주들이 중복되고 비체계적이라는 문제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해결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첫째, 교육과정 계획 단계부터 운영에 이르기까지 교사들이 공동으로 연구하여 자유학기제를 운영하는 학기와 일반 학기의 격차를 줄여야 한다. 둘째, 자유학기제 시행으로 인한 긍정적인 효과들을 타 학년에도적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진로윤리교육의 확대를 통해 균형 잡힌 진로탐색 활동 전개를 주문하였다. 넷째, 자율과정 중 성격과 내용 면에서 서로 중복된 범주들을 체계적으로 정비하여야 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nalyzed the reports on Free Semester System of 42 pilot schools, which do not have any assessment, in order to inspect the new ways of instructions and educational activi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basic subject...

      This research analyzed the reports on Free Semester System of 42 pilot schools, which do not have any assessment, in order to inspect the new ways of instructions and educational activi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basic subjects instructions on common courses were student-centered activities. Second,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were diversified and enhanced. Third, optional courses provided various activities which fitted students’ interests and needs. Fourth, all of the educational necessities were provided for the pilot schools by the local community. However, Free Semester System’s new curriculum causes some confusion in the operation of educational plans, not only for first grade students but also second and third grade students. nbalanced new educational experiences among Free Semester System students and other grade students cause a sense of incongruity and alienation. In addition,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put too much emphasis on intellectual exploration, career-test and career-counselling, and career related experience. Finally, optional courses programs were often redundant and required organization. uggestions to solve these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School staffs should build the school curriculum together from planning to management in order to decrease the gap between Free Semester System and general semester system. Second, the positive effect of Free Semester System should be applied to other grades to solve the sense of incongruity and to increase the quality of education. Third,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need to be balanced by increasing the learning of vocational ethics. Fourth, optional courses have to be re-arranged to be more systematic. If additional research i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suggestions made by this research, Free Semester System will regain the authentic educational role of middle school,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of junior high school, and will play a role as the bridge of lementary school’s basic education and high school’s career-based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2
      •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 2. 연구 방법 및 제한점 3
      • II. 이론적 배경 4
      • 1. 자유학기제의 도입취지와 기대효과 4
      • I. 서 론 2
      •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 2. 연구 방법 및 제한점 3
      • II. 이론적 배경 4
      • 1. 자유학기제의 도입취지와 기대효과 4
      • 2. 자유학기제의 공통과정과 자율과정 및 교육방식으로서의 타당성 5
      • 3. 교육활동 변화와 지역사회와 연계한 교육 7
      • III.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수업과 교육활동의 특징 8
      • 1. 학교의 수업과 교육활동의 특징 8
      • 2. 학교와 지역사회의 연계 17
      • 3. 분석 결과 논의 및 제언 18
      • IV. 요약 및 결론 22
      • Abstract 26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창완, "한국교육개발원 2013 교육지표"

      2 봉미미, "한국 청소년의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요인 탐색"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4 (14): 319-348, 2008

      3 은지용, "학업 성취 우수 중학교의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특성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4 권낙원, "학습자중심교육의 성격과 이론" 1 (1): 29-40, 2001

      5 권낙원, "학습자중심 심리원리와 그 의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5 (5): 67-82, 2003

      6 봉미미,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성취목표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말과 행동" 한국교육방법학회 22 (22): 167-193, 2010

      7 김현철, "창의적 체험활동 활성화를 촉진하는 학교 내외적 요인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4 (24): 5-33, 2013

      8 이광우, "창의적 인재 육성을 위한 중등학교 교실수업에 대한 전문가 인식 조사" 한국열린교육학회 21 (21): 1-21, 2013

      9 이우정, "중학생들의 방과 후 창의적 체험 활동에서 창의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력 강화 STEAM 지향 과학 교수 전략" 교과교육연구소 18 (18): 321-342, 2014

      10 교육부,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범 운영 계획(2013.05.28.)" 2013

      1 김창완, "한국교육개발원 2013 교육지표"

      2 봉미미, "한국 청소년의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요인 탐색"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4 (14): 319-348, 2008

      3 은지용, "학업 성취 우수 중학교의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특성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4 권낙원, "학습자중심교육의 성격과 이론" 1 (1): 29-40, 2001

      5 권낙원, "학습자중심 심리원리와 그 의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5 (5): 67-82, 2003

      6 봉미미,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성취목표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말과 행동" 한국교육방법학회 22 (22): 167-193, 2010

      7 김현철, "창의적 체험활동 활성화를 촉진하는 학교 내외적 요인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4 (24): 5-33, 2013

      8 이광우, "창의적 인재 육성을 위한 중등학교 교실수업에 대한 전문가 인식 조사" 한국열린교육학회 21 (21): 1-21, 2013

      9 이우정, "중학생들의 방과 후 창의적 체험 활동에서 창의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력 강화 STEAM 지향 과학 교수 전략" 교과교육연구소 18 (18): 321-342, 2014

      10 교육부,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범 운영 계획(2013.05.28.)" 2013

      11 김태일, "중학교 자유학기제 1년의 성과와 가능성" 광주광역시교육청 2013

      12 이림, "중등학교 교사의 '효과적인 수업활동'에 관한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13 서경혜, "좋은 수업에 대한 교사와 학생 및 학부모의 관점" 한국교육학회 42 (42): 285-315, 2004

      14 정병흠, "자유학기제에 따른 미술교과 융합교육 방안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28 (28): 59-84, 2014

      15 이상은, "자유학기제란 무엇인가" 한국교육개발원 2013

      16 김경미, "자유학기제 평가를 위한 평가문항설계 및 웹 설문지 구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7 김현철, "자유학기제 정착을 위한 아일랜드 전환학년제 분석 및 시사점. 세계교육정책 인포메이션 1호"

      18 김미진, "자유학기제 연구학교의 교육과정 특성 분석: 2013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보고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2 (32): 214-241, 2014

      19 김은정, "자유학기제 도입에 따른 기술·가정 교과통합 진로교육 운용 방안- 가정 교과 영역을 중심으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5 (25): 105-121, 2013

      20 이은영, "자유학기제 1차 연구학교의 가정교과 관련 운영 실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6 (26): 69-89, 2014

      21 홍후조, "알기 쉬운 교육과정" 학지사 2013

      22 김진숙, "아일랜드 연계학년제(TY)와 한국 자유학기제 비교" 한국비교교육학회 23 (23): 163-183, 2013

      23 Dewey, J., "아동과 교육과정/경험과 교육" 문음사 2002

      24 배성아, "국민공통 기본교과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및 요구 조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0 (10): 173-193, 2010

      25 홍후조, "국가교육과정기준의 연구 개발에서 학습자 집단의 요구분석을 위한 영역과 항목 설정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8 (28): 148-175, 2010

      26 박도순,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문음사 2001

      27 황신영, "교사피드백이 포함된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영향" 교과교육연구소 18 (18): 57-71, 2014

      28 홍후조, "관련자 의견조사에 기초한 자유학기제 운영 방안 탐색 연구" 안암교육학회 19 (19): 33-68, 2013

      29 김대영, "공통교육과정의 교과 편제에 관한 교육과정사적 이해" 한국교육과정학회 31 (31): 53-76, 2013

      30 강인애, "‘학습자 중심 교육’의 의미에 대한 재조명: 현직교사들의 이해와 실천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 (9): 1-34, 2009

      31 엄미리, "‘좋은 수업’에 대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 지양해야 할 수업 형태와 관련하여 -" 안암교육학회 15 (15): 107-132, 2009

      32 McCombs, B. L., "The learner centered classroom and school: Strategies for increasing student motivation and achievement" Jossey-Bass Publishers 1997

      33 Finkel, D. L., "Teaching with your mouth shut" Heinemann 2000

      34 Weimer, M., "Learner-centered teaching : Five key changes to practice" Jossey-Bass Publishers 2002

      35 Brown, G., "Effective teaching in higher education" Methuen 1988

      36 Tyler, R. W.,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and Instruc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49

      37 광주광역시교육청, "2013 자유학기제 운영 성과보고회 자료집" 2013

      38 한국교육개발원, "2013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운영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자유학기제 온라인 정보시스템 센터발간자료. 각 학교명단 생략함" 2013

      39 홍후조,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 시안에서 학년군, 교과군 개념의 교육과정적 의의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47-70,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3-09 학회명변경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Instruction ->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 Instruc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 1.17 1.432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