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식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964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식생활 적응을 위해 식생활 및 영양지도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기초자료의 수집을 위해 부산시 영도구에 거주하는 이주여성을 134명을 대상으로 신 ...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식생활 적응을 위해 식생활 및 영양지도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기초자료의 수집을 위해 부산시 영도구에 거주하는 이주여성을 134명을 대상으로 신 체계측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10년 10월 10일부터 11월 30일까지 다문화가정을 방문하여 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출신국가는 중국이 58.8%(조선족 4.4%)로 가장 많았으며, 베트남(14.7%), 필리핀(8.8%), 일본(7.4%) 순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대’가 39.7%(54명)로 가장 많았고, ‘40대(25.0%)’, ‘20대(23.5%)’, ‘50대 이상(11.8%)’순이었다. 거주기간은 ‘7~10년’이 가장 많았고(18.4%) ‘10~15년(15.5%)’, ‘3~5년(13.2%)’, ‘15년 이상(11.1%)’ 순이었다. 조사대상자의 52.9%가 ‘고등학교 졸업’이었으며, 주로 전업주부(77.9%, 106명)이었다. 가구당 월소득은 ‘101~200만원’이 33.8%, ‘201~300만원’ 22.1%, ‘100만원 이하’ 13.2%이었으며, 자신이 속한 가정의 월 소득을 모르는 주부도 26.4%(36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평균 BMI는 21.94이었으나 연령이 많아질수록 BMI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국음식에 대한 선호도는 ‘20대’가 4.50으로 가장 높았으나 ‘30대’ 4.24, ‘40대’ 4.07, ‘50대 이상’ 3.29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감소를 보였다. 거주연한으로 볼 때는 ‘1년 이하 거주’가 가장 높은 선호도(4.75)를 보였고 ‘5~7년 거주’에서 가장 낮은 선호도(3.70)를 보였다. 한국음식을 배우려는 학습의지는 나이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거주기간이 ‘1년 미만’과 ‘15년 이상’된 주부가 가장 높은 학습의지를 보인 반면, ‘5~7년’된 주부의 학습의지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적에 따른 선호도나 학습의지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한국음식에 관한 정보는 주로 가족(26.5%)과 TV, 인터넷(26.5%)에서 얻으며 복지관이나 보건소(13.2%), 남편(10.3%), 요리책(10.3%) 등에서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가 한국음식을 먹는 빈도는 ‘20대’는 ‘일주일에 3~4회 먹는다’가 50.0%’, ‘매일 먹는다’가 43.8%로 응답하였으나, ‘30대’의 66.7%, ‘40대’의 88.2%, ‘50대’의 50.0%가 ‘매일 먹는다’고 응답하여 나이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p<0.001). 조사대상자가 고향음식을 먹는 빈도는 ‘매일 먹는다(30.9%)’, ‘일주일에 1~2회 먹는다(29.4%)’는 응답이 많았고 ‘전혀 먹지 않는다’는 응답자도 16.2%이었다. 한국으로 이주한 후 식품섭취량이 ‘증가하였다’고 응답한 비율은 곡류 36.7%, 육류는 40%, 어류는 50.8%, 우유 유제품 47.4%, 야채류 48.3%, 과일류 44.8%, 유지류 29.1%, 음료 32.8%에 달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이 만드는 방법을 ‘배우고 싶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은 음식은 육개장(32.8%), 닭찜(32.8%), 갈비찜(31.4%), 물김치(31.4%), 오이소박이(29.9%), 생선조림(28.5%), 식혜(28.5%), 열무김치(27.0%), 낙지볶음(27.0%), 콩조림(25.5%), 장조림(25.5%), 깍두기(25.5%), 빈대떡(25.5%), 북어국(25.5%), 추어탕(25.5%), 삼계탕(24.1%) 순이었다. 자신이 한국음식을 배우려는 의지가 강할수록, 한국음식 섭취빈도가 높을수록, 나이가 많을수록, 부부갈등이 적을수록 식생활 적응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결혼이주여성들이 한국 식생활에 잘 적응하기 위해서는 배우자와 가족구성원 모두의 이해와 협조가 필요하며, 영양교육과 식생활관리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모델의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dietary adaptation of female immigra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Busan.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10 to November 30, 2010 using questionnaires, and the data was analy...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dietary adaptation of female immigra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Busan.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10 to November 30, 2010 using questionnaires, an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The subjects were mainly from China (58.8%), Vietnam (14.7%), Philippines (8.8%) and Japan (7.4%). The longer they had resided in Korea, the lower their preference they had for Korean food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ference according to their nationality. The subjects reported that their consumption of cereals (36.7%), meats (40.0%), fish (50.8%), milk and dairy products (47.4%), vegetables (48.3%), fruits (44.8%), fat and oil (29.1%) and beverages (32.8%) were increased after immigration. They usually obtained information about Korean foods from family (26.5%) and television and internet (26.5%). Sixty four point seven percent of the females ate ‘everyday’ Korean foods and 30.9% ate their home country foods every day. A higher will for learning Korean foods, intake frequency and age resulted in a higher adaptation of Korean dietary life. Lower marital conflict resulted in higher adapt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would be effective to provide systematic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female immigrants and their families to adapt to Korean dietary lif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대상 및 방법
      • 결과
      • 고찰
      • Abstract
      • 서론
      • 대상 및 방법
      • 결과
      • 고찰
      • 요약
      • 감사의 글
      • 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대자, "한국 전통음식의 우수 요인 발굴을 위한 소비자 인식 조사"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1 (21): 800-812, 2005

      2 윤형숙, "외국인 출신 농촌주부들의 갈등과 적응-필리핀 여성을 중심으로-" 역사문화학회 8 (8): 299-339, 2005

      3 이영분, "여성결혼이민자의 자아분화에 따른 결혼만족도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6) : 63-86, 2009

      4 이정숙, "부산지역 주민의 한국전통음식에 대한 연령별 인식 및 선호도 조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5 (15): 351-360, 2010

      5 박영선, "몽골 조선족 여성의 한국전통음식에 대한 인식 유형"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 (20): 35-43, 2005

      6 김정미, "대구지역 다문화 가정 이주여성의 식생활 실태 분석" 대한영양사협회 15 (15): 405-418, 2009

      7 김지은, "다문화 시각에서 접근한 다문화 가정의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영양교육 방안 - 결혼이주여성 및 영양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심층인터뷰 -" 한국영양학회 44 (44): 312-325, 2011

      8 박행모, "농촌지역 국제결혼 이주 여성들의 사회생활 적응 교육을 위한 실태 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0 (40): 69-91, 2008

      9 김순규,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한국어 능력과 사회적 지지가 한국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회 15 (15): 5-20, 2010

      10 김민경,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요인 연구" 한국가족학회 18 (18): 63-106, 2006

      1 장대자, "한국 전통음식의 우수 요인 발굴을 위한 소비자 인식 조사"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1 (21): 800-812, 2005

      2 윤형숙, "외국인 출신 농촌주부들의 갈등과 적응-필리핀 여성을 중심으로-" 역사문화학회 8 (8): 299-339, 2005

      3 이영분, "여성결혼이민자의 자아분화에 따른 결혼만족도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6) : 63-86, 2009

      4 이정숙, "부산지역 주민의 한국전통음식에 대한 연령별 인식 및 선호도 조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5 (15): 351-360, 2010

      5 박영선, "몽골 조선족 여성의 한국전통음식에 대한 인식 유형"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 (20): 35-43, 2005

      6 김정미, "대구지역 다문화 가정 이주여성의 식생활 실태 분석" 대한영양사협회 15 (15): 405-418, 2009

      7 김지은, "다문화 시각에서 접근한 다문화 가정의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영양교육 방안 - 결혼이주여성 및 영양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심층인터뷰 -" 한국영양학회 44 (44): 312-325, 2011

      8 박행모, "농촌지역 국제결혼 이주 여성들의 사회생활 적응 교육을 위한 실태 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0 (40): 69-91, 2008

      9 김순규,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한국어 능력과 사회적 지지가 한국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회 15 (15): 5-20, 2010

      10 김민경,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요인 연구" 한국가족학회 18 (18): 63-106, 2006

      11 김선혜, "국내 베트남 결혼이민여성과 한국인 배우자의 식이섭취 및식습관에 대한 상관관계"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4 (14): 22-30, 2009

      12 한귀정, "경기·강원 거주민들의 한국 전통음식에 대한 가치도 조사"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3 (23): 124-139, 2007

      13 이애련, "결혼이주여성의 가정생활문화 이해 및 적응에 관한 사례 연구 -서울지역 어린이집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4 (14): 299-321, 2010

      14 Mohan V, "Why are Indians more prone to diabetes?" 52 : 468-474, 2004

      15 Lee YO, "Status of diet life and nutritional education of immigrants women internationally married in the multicultural family" Kunsan National University 2011

      16 Oh KS, "Marital conflict in relation with dietary adaptation and acculturation stress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2010

      17 Han YH, "Influential factor on Korean dietary life and eating behaviour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Hanyang University 2010

      18 Nan LV, "Dietary pattern change and acculturation of Chinese Americans in Pennsylvania" 104 : 771-778, 2004

      19 Kang IJ, "A survey on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life of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Yeungnam University 2010

      20 Park YI, "A study on multi-cultural family wives adapting to Korean cuisine and dietary pattern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09

      21 Jang BS, "A study on dietary life of female immigrants" Kyung Hee University 2009

      22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0 Annual report on live birth and death statistics" 2011

      2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442-448,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