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Pharmaceutical Advertising in Korea, Japan, Hong Kong, Australia, and the US:Current Conditions and Future Directions = 의약광고의 현황과 전망:한국, 일본, 홍콩, 호주, 미국 5개국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650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의약 산업은 질병 및 사망률 감소를 위한 노력, 의학 시설 및 치료 기술의 발전, 인구의 노령화 등으로 인해 세계적으로 가장 각광받고 있는 산업 중 하나이다.그러나 의약 광고는 국민 건강...

      의약 산업은 질병 및 사망률 감소를 위한 노력, 의학 시설 및 치료 기술의 발전, 인구의 노령화 등으로 인해 세계적으로 가장 각광받고 있는 산업 중 하나이다.그러나 의약 광고는 국민 건강과의 밀접한 관계로 인해 정부 기관으로부터 강한 규제와 함께, 의학 단체, 보건 관계자 및 연구 자들의 감시를 받아왔다. 이렇듯 의약 산업에 얽힌 복잡한 이해관계는 실무자들과 연구자들의 범 국가적인 논의를 필요로 한다. 특히, 세계적 경제 침체는 처방 약품(Direct-to-consumer advertising [DTC]) 광고의 집행을 허용하라는 일부의 주장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처방 약품광고가 허용되고 있는 미국과 더불어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주요 국가들(호주, 홍콩, 중국, 일본, 한국)의 의약 광고 관련 규제, 연구, 실무 현황을 조명함으로써 현재 시점에서 국제적으로 중요한 사안들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우선 (1) 각 국가들의 국내 및 글로벌 의약 제품들의 시장과 광고 현황을 살펴보고, (2) 의약 제품 및 광고와 관련된 사회적, 문화적, 법적 문제들을 검토한 후, (3) 의약 광고에 대한 소비자 반응 및 인식과 관련된 연구들을 정리하고, (4) 후속 연구 및 실무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범국가적 건강 관리관련 법률 관계자, 연구자, 그리고 실무자들 간의 의약 광고, 헬스 커뮤니케이션 및 규제, 그리고 전략적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논의를 고무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harmaceutical industry has become one of the major industries worldwide as a result of increased efforts to reduce mortality and morbidity,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medical facilities and treatment, and the aging of the population. But be...

      The pharmaceutical industry has become one of the major industries worldwide as a result of increased efforts to reduce mortality and morbidity,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medical facilities and treatment, and the aging of the population. But because this product category is so closely associated with public health, pharmaceutical advertising has been strictly regulated by government agencies and monitored by the medical community, public health officials, and researchers. The complex issues involving multiple stakeholders raise the need for more open discussions among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worldwide. In particular, the current global recession may intensify this pressure because of the economic benefits direct-to-consumer advertising (DTCA), which refers to advertising for prescription (Rx) medicines, provides. Taking account of these developments, this paper attempts to address the important and timely issue in global settings by providing an overview of regulations, studies, and practices in pharmaceutical advertising in the important Asian Pacific countries-Australia, Hong Kong in China, Japan, and South Korea-in addition to the US, one of the two countries where DTCA is allowed. Specifically, the following four issues are addressed in each of the five countries: (a) The current state of pharmaceutical advertising for domestic and global products in each panelist’s country; (b) social, cultural, and regulatory issues that are relevant to pharmaceutical products and their ads; (c) empirical research on consumer perceptions and responses to pharmaceutical advertisements; and (d)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In so doing, this paper is expected to stimulate further discussions among policy makers,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with regards to pharmaceutical advertising, health communication and policy, and relevant strategic communications in global health care setting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Introduction
      • 2. Pharmaceutical Advertising in South Korea
      • 3. Pharmaceutical Advertising in Japan
      • 4. Pharmaceutical Advertising in Hong Kong, China
      • 5. Pharmaceutical Advertising in Australia
      • 1. Introduction
      • 2. Pharmaceutical Advertising in South Korea
      • 3. Pharmaceutical Advertising in Japan
      • 4. Pharmaceutical Advertising in Hong Kong, China
      • 5. Pharmaceutical Advertising in Australia
      • 6. Pharmaceutical Advertising in the U.S.
      • 7. Concluding Remark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