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근위부와 원위부 결장에서 용종과 선종 발견율의 유용성 = Usefulness of Polyp and Adenoma Detection Rate in the Proximal and Distal Colon근위부와 원위부 결장에서 용종과 선종 발견율의 유용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031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선종 발견율을 대신하여 용종 발견율이 대장내시경의 질관리 지표로서 제시된 바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결장의 구역별로 용종 발견율과 선종 발견율을 비교하여 일치도를 분석하여 ...

      목적: 선종 발견율을 대신하여 용종 발견율이 대장내시경의 질관리 지표로서 제시된 바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결장의 구역별로 용종 발견율과 선종 발견율을 비교하여 일치도를 분석하여 특정구역의 용종 발견율이 선종 발견율을 대신하여 대장 내시경 질 관리 지표로 사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5월부터 2011년 2월까지 6개의 대학병원에서 20명의 내시경 의사가 시행한 40세 이상 무증상군을 대상으로 한 대장내시경 1,937건을 내시경 소견과 진료 기록, 병리학적 결과지를 조사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용종 발견율과 선종 발견율은 용종이나 선종이 있던 환자수를 전체대장내시경 수로 나눈 값으로 하였고 결장의 각 구역별로 분석하였다. 결과: 총 1,937예의 내시경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군의 나이는 평균 55.4세(range, 40-84세)였고, 남자는 전체 대상자의 55.7%였다. 용종 발견율은 49.9%, 선종 발견율은 36.6%, 진행성 선종 발견율은 5.8%였다. 용종 발견율, 선종발견율과 진행성 선종 발견율은 남성에서 각각 41.6%, 31.2%, 5.2%였고, 여성에서는 각각 40.1%, 28.2%, 3.9%였다. 근위부 결장에서는 구역별로 용종 발견율과 선종 발견율 이 유사하였고(kappa value=0.917), 원위부 결장에서는 구불결장과 곧창자에서 용종 발견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0.006, <0.001). 결론: 대장내시경의 질 관리 지표로서 용종 발견율을 사용할 때에는 결장의 구역별로 용종 발견율을 계산하여야 하며 근위부 결장의 용종 발견율은 선종 발견율을 대신하여 대장내시경질 관리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Aims: The polyp detection rate (PDR) has been suggested as a surrogate for adenoma detection rate (AD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level of agreement between PDR and ADR in the proximal and distal colon. Methods: A tota...

      Background/Aims: The polyp detection rate (PDR) has been suggested as a surrogate for adenoma detection rate (AD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level of agreement between PDR and ADR in the proximal and distal colon. Methods: A total of 1,937 consecutive, asymptomatic individuals aged 40 years and older who underwent colonoscopies at six academic teaching hospitals in Korea were included in this study. PDR and ADR were calculated for each colonic segment. PDR was compared with ADR in the proximal and distal colon. Results: During 1,937 colonoscopies, 1,862 polyps were removed; 1,421 (76%) were adenomas. The PDR and ADR in the proximal colon was 25.8% and 22.8%, respectively (kappa value=0.917, p=0.26), and that in the distal colon was 28.9% and 22.2%, respectively (p<0.001). There wa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PDR and ADR in the proximal colon, but diverged in sigmoid colon and rectum. Conclusions: PDR and ADR correlate well in the proximal colon, but not in the distal colon, especially sigmoid and rectum. PDR should be measured for each colonic segment when using PDR as a surrogate for ADR. PDR is a valid proxy for ADR in the proximal colon. (Korean J Gastroenterol 2014;63:11-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