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ce December of 1636, through May the next year, the war with the Jurchens(Hu’geum) broke out in the Byeongja year and left considerable damages upon the Joseon dynasty as well as the ancestral tablets inside the Dynastic shrine(宗廟). The table...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062850
이현진 (서울시립대학교)
2013
Korean
丙子胡亂 ; 宗廟 ; 神主 ; 江都 ; 改造 ; 改題 ; 題主 ; the Byeongja-year war with the Jurchens/丙子胡亂 ; the Dynastic Shrine/宗廟 ; the ancestral tablets/神主 ; recreate/改造 ; rewrite/改題
KCI등재
학술저널
163-202(40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December of 1636, through May the next year, the war with the Jurchens(Hu’geum) broke out in the Byeongja year and left considerable damages upon the Joseon dynasty as well as the ancestral tablets inside the Dynastic shrine(宗廟). The table...
Since December of 1636, through May the next year, the war with the Jurchens(Hu’geum) broke out in the Byeongja year and left considerable damages upon the Joseon dynasty as well as the ancestral tablets inside the Dynastic shrine(宗廟). The tablets had to be created again and letters had to be newly written upon them, and in this article the entire process that took place is examined.
The ancestral tablets which were decided to be newly created and written, through the discussions between King Injo and the governmental officials, include tablets that belonged to Queen Weon’gyeong, King Sejong, Queen Mun’jeong, Queen Inseong, Queen Insun, King Seonjo, Queen Eui’in, Queen Inmok, Honorary king Weonjong, Queen In’heon(all from the Dynastic shrine), and to Royal concubine Eui-bi(from the Yeong’nyeong- jeon structure). Later the tablet of King Myeongjong was added to the list, and in case of the tablet of King Sejo only the letters were rewritten upon the original tablet.
The tablets were made of wood from the chestnut tree, but sufficiently drying the material was not an easy task. And the place for writing letters upon the tablets was decided to be the Dynastic shrine as well as the Shimin-dang(時敏堂) chamber. The tablets were moved from the Shimin-dang chamber to the Dynastic shrine through the Bukshin-mun(北神門) gate behind the Main chamber(正殿) of the Dynastic shrine.
국문 초록 (Abstract)
병자호란기에 훼손된 종묘의 신주를 다시 만들고 신주의 내용을 고쳐 쓰는 것을 살펴보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1636년 12월 14일 청군의 침입으로 왕실의 주요 인사와 함께 가장 먼저 종묘와...
병자호란기에 훼손된 종묘의 신주를 다시 만들고 신주의 내용을 고쳐 쓰는 것을 살펴보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1636년 12월 14일 청군의 침입으로 왕실의 주요 인사와 함께 가장 먼저 종묘와 사직의 신주・위판을 강도로 피난시켰다. 이듬해 1월 30일 인조가 청의 한에게 ‘삼배구고두례’를 행하는 치욕을 겪으면서 병자호란이 종결되었다. 그에 따라 강도에 있던 신주와 위판도 다시 경성으로 돌아왔고, 곧바로 종묘와 사직이 아닌 시민당에 임시로 봉안되었다. 종묘 신실의 내부 및 신주와 위판의 정비가 필요해서였다.
종묘의 신주는 시민당에 봉안되자마자 곧바로 개조 논의가 진행되었다. 신주의 개조 대상을 둘러싸고 인조와 신하들의 입장이 달랐다. 조금이라도 손상을 입었거나 기름에 밴 신주는 모두 개조하자는 것이 인조의 입장이었고, 심하게 손상을 입었거나 기름에 많이 오염된 신주만을 대상으로 개조하자는 것이 신하들의 생각이었다. 인조와 신하들간의 입장 차이만이 아니라 중국과 조선에서 신주의 개조에 대해 근거할 만한 문헌을 찾지 못해 신주의 개조건은 결정짓지 못한 채 지연되었다.
1637년 윤4월에 접어들면서 인조와 신하들은 서로간의 입장을 조율하여 최종 11신위로 개조 대상 신주를 정했다. 종묘는 원경왕후・세종・문정왕후・인성왕후・인순왕후・선조・의인왕후・인목왕후・원종・인헌왕후 등 10위, 영녕전은 의비 1위였다. 이후 명종의 신주가 추가로 개조・개제 대상이 되었고, 세조의 신주는 제주만 하기로 결정했다.
개조・개제 대상 신주가 정해지자 신주를 만드는 밤나무의 건정, 제주할 장소, 시민당에 봉안되어 있던 신주의 종묘로의 옮기는 문제가 논란되었다. 밤나무의 건정이 쉽지 않아 개조할 신위를 2번으로 나누어서 하기로 결정했다. 강도에서 잃어버린 인순왕후와 명종, 가장 손상이 심한 원경왕후・세종・문정왕후・인성왕후・선조의 5위 등 7신위부터 개조하고, 나머지 의비・의인왕후・인목왕후・원종・인헌왕후 등 5위는 추향대제 이전에 개조・개제하기로 했다.
제주할 장소는 종묘와 시민당 중 논의 끝에 2군데로 나누어서 하기로 했다. 손상이 심한 5위는 시민당에서 개제하고, 인순왕후와 명종은 열성의 신주를 종묘로 이안한 후 종묘 안에서 행했다. 마지막으로 시민당에서 종묘로 신주를 이안하는 동선인데, 종묘 정전 뒤에 있는 북신문과 正路가 논란되었다가 최종 북신문을 통해 시민당에서 종묘로 옮겨 봉안했다.
국왕이나 왕후가 승하한 뒤 신주를 조성해서 종묘에 봉안한 뒤 기존 신주를 대신해서 새롭게 신주를 조성한다거나 신주의 내용을 고쳐 쓰는 것은 전통시대 위정자들이 매우 어렵게 여기는 일 중의 하나였다. 따라서 병자호란 직후 신주의 개조・개제는 병자호란의 전후 시기에 보기 힘든 유례가 드문 사건이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林下筆記" 국역 민족문화추진회 1999
2 "禮記集說大全" 학민문화사 1990
3 "禮記注疏" 北京大學出版社 2000
4 "한국고전종합DB"
5 이현진, "종묘와 사직" 책과함께 2011
6 이현진, "조선후기 종묘 전례 연구" 일지사 2008
7 "조선왕조실록 웹사이트"
8 李賢珍, "조선시대 종묘의 神主位版題式의 변화 -明淸의 교체를 기점으로-" 101 : 2006
9 한명기, "정묘��병자호란과 동아시아" 푸른역사 2009
10 "승정원일기 웹사이트"
1 "林下筆記" 국역 민족문화추진회 1999
2 "禮記集說大全" 학민문화사 1990
3 "禮記注疏" 北京大學出版社 2000
4 "한국고전종합DB"
5 이현진, "종묘와 사직" 책과함께 2011
6 이현진, "조선후기 종묘 전례 연구" 일지사 2008
7 "조선왕조실록 웹사이트"
8 李賢珍, "조선시대 종묘의 神主位版題式의 변화 -明淸의 교체를 기점으로-" 101 : 2006
9 한명기, "정묘��병자호란과 동아시아" 푸른역사 2009
10 "승정원일기 웹사이트"
11 허태구, "병자호란의 정치·군사사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12 허태구, "병자호란 講和 협상의 추이와 조선의 대응" 조선시대사학회 (52) : 51-88, 2010
13 韓明基, "명청교체기 동북아 질서와 조선 지배층의 대응" 37 : 2000
14 이현진, "대한제국의 선포와 종묘 제도의 변화 -七廟의 구성과 황제 추존, 신주 改題를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회 (40) : 499-538, 2012
15 김종원, "근세 동아시아관계사 연구 -朝淸交涉과 東亞三國交易을 중심으로-" 혜안 1999
16 "규장각한국학연구원"
17 韓明基, "韓中關係의 관점에서 본 仁祖反正의 역사적 의미 -明의 조선에 대한 ‘擬制的支配力’과 관련하여-" 16 : 2011
18 "燃藜室記述" 국역 민족문화추진회 1976
19 최소자, "淸과 朝鮮-근세 동아시아의 상호인식-" 혜안 2005
20 배우성, "正祖의 留守府 경영과 華城 인식" 한국사연구회 (127) : 243-276, 2004
21 "東典考" 민창문화사 1991
22 李存熙, "朝鮮王朝의 留守府經營" 47 : 1984
23 尹邦彦, "朝鮮王朝宗廟와 祭禮" 문화재청 2002
24 金容欽, "朝鮮後期政治史硏究Ⅰ - 仁祖代政治論의 分化의 變通論" 혜안 2006
25 池斗煥, "朝鮮前期儀禮硏究-性理學正統論을 中心으로-"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4
26 "春官通考"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75
27 "春官志 (奎貴963)"
28 최소자, "明淸時代中韓關係史硏究"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7
29 "承政院日記"
30 "宗廟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997
31 "宗廟儀軌續錄 (奎14221)"
32 "宗廟修理都監(藏K2-3587)"
33 "增補文獻備考" 명문당 1985
34 "國朝五禮儀" 민창문화사 1994
35 "儀禮注疏" 北京大學出版社 2000
36 "仁祖實錄"
37 許泰玖, "仁祖代對後金(對淸) 방어책의 추진과 한계 -守城전술을 중심으로-" 61 : 2012
38 "京畿道邑誌"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0
39 "五禮通考" 聖環圖書公司 1994
40 許泰玖, "丙子胡亂江華島함락의 원인과 책임자 처벌 -金慶徵패전책임론의 재검토를 중심으로-" 113 : 2011
41 한명기, "丙子胡亂 패전의 정치적 파장-청의 조선 압박과 仁祖의 대응을 중심으로-" 국학연구원 (119) : 53-93, 2003
42 韓明基, "17세기 初仁祖反正과 朝明關係" 단국대학교 27 : 1997
43 韓明基, "17 8세기 韓中關係와 仁祖反正-조선후기의 ‘仁祖反正辨誣’문제-" 13 : 2002
임진왜란 초기 지방관의 守土活動 - 善山府使 丁景達 형제의 활동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199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7 | 0.87 | 0.9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7 | 0.98 | 2.253 | 0.4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