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교체육의 양성평등 실현방안에 관한 연구: 타이틀 나인의 3가지 검사에 대한 활용 = Research regarding the Realization of Gender Equity in School Sports: Application of the Three-Part Test of Title IX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810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itle IX, adopted as a portion of the United States Education Amendment of 1972, dramatically raised the rate of female participation on school sports program, which has long been dominated by male students. Especially, the three-part test, introduced by federal government in 1979, provided precise criterion to enforce severe penalties(e.g., suspension of government funding) for the breach of Title IX. It is obvious that Title IX has contributed to the achievement of gender equity; however, its problems also exist. Focusing on analyzing the three-part test, this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 of Korean legislative system, which is aimed at boosting female participation on school sports.
      With regards to the operation of intercollegiate athletics, an institution can comply with Title IX when the three-part test find no breach on one of the following three benchmarks: 1) substantial proportionality of athletic participation rat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2) history of female sports program expansion and its continuous practice, and 3) fully and effectively accommodating the interest and ability of female students regarding sports participation. The main problem of the test was the reverse discrimination against male student athletes in that non-revenue male athlete programs, such as swimming, wrestling, and gymnastics, were often be dismissed due to schools’ efforts to comply with the substantial proportionality standard of the first test. Also, there have been practical difficulties in complying with the second and third tests for many schools.
      If the three-part test is introduced in Korean school athletics, it can be applied to every school level since most schools focus on running varsity teams. Therefore, the study sought the way of applying the test to all school levels including elementary, secondary, and college levels. Also, because comments were commonly made on Korean female students' low sports participation rates, the study paid attention to sport-related extracurricular activities, such as club sports and intermural sports, in approaching the three-part test from a different viewpoint.
      Further Title IX research would be recommended to investigate relevant law clauses and policy requirements in more detail. Also, further research would be expected to identify which issues can cause any legal disputes regarding Title IX through the detail analyses of relevant legal cases. Finally, further research would find unique way of applying the three-part test in Korean school sports, which would be different from what this study suggested.
      번역하기

      Title IX, adopted as a portion of the United States Education Amendment of 1972, dramatically raised the rate of female participation on school sports program, which has long been dominated by male students. Especially, the three-part test, introduced...

      Title IX, adopted as a portion of the United States Education Amendment of 1972, dramatically raised the rate of female participation on school sports program, which has long been dominated by male students. Especially, the three-part test, introduced by federal government in 1979, provided precise criterion to enforce severe penalties(e.g., suspension of government funding) for the breach of Title IX. It is obvious that Title IX has contributed to the achievement of gender equity; however, its problems also exist. Focusing on analyzing the three-part test, this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 of Korean legislative system, which is aimed at boosting female participation on school sports.
      With regards to the operation of intercollegiate athletics, an institution can comply with Title IX when the three-part test find no breach on one of the following three benchmarks: 1) substantial proportionality of athletic participation rat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2) history of female sports program expansion and its continuous practice, and 3) fully and effectively accommodating the interest and ability of female students regarding sports participation. The main problem of the test was the reverse discrimination against male student athletes in that non-revenue male athlete programs, such as swimming, wrestling, and gymnastics, were often be dismissed due to schools’ efforts to comply with the substantial proportionality standard of the first test. Also, there have been practical difficulties in complying with the second and third tests for many schools.
      If the three-part test is introduced in Korean school athletics, it can be applied to every school level since most schools focus on running varsity teams. Therefore, the study sought the way of applying the test to all school levels including elementary, secondary, and college levels. Also, because comments were commonly made on Korean female students' low sports participation rates, the study paid attention to sport-related extracurricular activities, such as club sports and intermural sports, in approaching the three-part test from a different viewpoint.
      Further Title IX research would be recommended to investigate relevant law clauses and policy requirements in more detail. Also, further research would be expected to identify which issues can cause any legal disputes regarding Title IX through the detail analyses of relevant legal cases. Finally, further research would find unique way of applying the three-part test in Korean school sports, which would be different from what this study sugges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972년 미국 교육개정법 중 일부로 채택된 타이틀 나인은 이전까지 남학생 위주로 실시되었던학교체육의 여학생 참여율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특히 1979년 연방정부에 의해 도입된 3가지 검사(Three-Part Test)를 통해 보다 명확한 기준에 의거해 타이틀 나인 준수 여부를 평가하여 이를 어길경우 정부의 재정지원 중단 등의 강력한 처벌이 가능하게 되었다. 타이틀 나인이 미국 학교체육의양성평등 실현에 큰 공헌을 한 것은 사실이지만 이에 관련된 문제점 또한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타이틀 나인의 핵심인 3가지 검사의 심도 있는 분석을 토대로 국내 실정에 부합하는 여학생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한 법정책의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3가지 검사는 미국대학의 1군 운동부를 대상으로 ‘전체 학생 대비 남녀 운동선수 비율의 실질적 비례원칙’, ‘여학생 운동부 확대의 역사와 이에 대한 지속적인 실천’, ‘여학생의 스포츠에 대한능력/흥미의 충분한 수용’의 3가지 기준을 제시하여 이 중 어느 하나만이라도 충족시킬 수 있다면타이틀 나인을 준수한 것으로 판단한다. 3가지 검사의 대표적인 문제점으로 역차별 문제를 들 수있는데 첫 번째 검사 기준인 실질적 비례원칙을 준수하기 위해 수영, 레슬링, 체조 등 비인기 종목의 남자 운동부가 다수 해체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두 번째와 세 번째 검사의 경우 학교들이현실적으로 법을 준수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국내 학교 운동부는 대부분 1군 위주로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3가지 검사를 국내 학교체육에 도입할 경우 초중고 및 대학교를 비롯한 모든 학교 운동부에 이를 적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가지 검사를 모든 학교 운동부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에 더해, 국내 학교체육에서 일반 여학생의 저조한 체육 참여율이 지적되고 있는 만큼 클럽 스포츠, 교내 스포츠 등의체육 관련 특별활동에 주안점을 두어 3가지 검사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도 함께 살펴보았다.
      추후의 타이틀 나인 연구에서는 관련 법 조항의 구체적인 분석과 함께 정책의 세부적인 실행 사항에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또한 관련 판례를 보다 자세히 분석하여 어떠한 이슈들에의해 법적 분쟁이 발생하였는지를 구체적으로 규명하는 연구가 진행되었으면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제시한 방안 이외의 다른 방식으로 3가지 검사를 국내 학교체육에 적용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번역하기

      1972년 미국 교육개정법 중 일부로 채택된 타이틀 나인은 이전까지 남학생 위주로 실시되었던학교체육의 여학생 참여율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특히 1979년 연방정부에 의해 도입된 3가지 검사...

      1972년 미국 교육개정법 중 일부로 채택된 타이틀 나인은 이전까지 남학생 위주로 실시되었던학교체육의 여학생 참여율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특히 1979년 연방정부에 의해 도입된 3가지 검사(Three-Part Test)를 통해 보다 명확한 기준에 의거해 타이틀 나인 준수 여부를 평가하여 이를 어길경우 정부의 재정지원 중단 등의 강력한 처벌이 가능하게 되었다. 타이틀 나인이 미국 학교체육의양성평등 실현에 큰 공헌을 한 것은 사실이지만 이에 관련된 문제점 또한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타이틀 나인의 핵심인 3가지 검사의 심도 있는 분석을 토대로 국내 실정에 부합하는 여학생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한 법정책의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3가지 검사는 미국대학의 1군 운동부를 대상으로 ‘전체 학생 대비 남녀 운동선수 비율의 실질적 비례원칙’, ‘여학생 운동부 확대의 역사와 이에 대한 지속적인 실천’, ‘여학생의 스포츠에 대한능력/흥미의 충분한 수용’의 3가지 기준을 제시하여 이 중 어느 하나만이라도 충족시킬 수 있다면타이틀 나인을 준수한 것으로 판단한다. 3가지 검사의 대표적인 문제점으로 역차별 문제를 들 수있는데 첫 번째 검사 기준인 실질적 비례원칙을 준수하기 위해 수영, 레슬링, 체조 등 비인기 종목의 남자 운동부가 다수 해체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두 번째와 세 번째 검사의 경우 학교들이현실적으로 법을 준수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국내 학교 운동부는 대부분 1군 위주로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3가지 검사를 국내 학교체육에 도입할 경우 초중고 및 대학교를 비롯한 모든 학교 운동부에 이를 적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가지 검사를 모든 학교 운동부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에 더해, 국내 학교체육에서 일반 여학생의 저조한 체육 참여율이 지적되고 있는 만큼 클럽 스포츠, 교내 스포츠 등의체육 관련 특별활동에 주안점을 두어 3가지 검사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도 함께 살펴보았다.
      추후의 타이틀 나인 연구에서는 관련 법 조항의 구체적인 분석과 함께 정책의 세부적인 실행 사항에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또한 관련 판례를 보다 자세히 분석하여 어떠한 이슈들에의해 법적 분쟁이 발생하였는지를 구체적으로 규명하는 연구가 진행되었으면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제시한 방안 이외의 다른 방식으로 3가지 검사를 국내 학교체육에 적용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주종미, "학교체육에서의 양성평등 실현을 위한 법정책적제안"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8 (18): 65-93, 2015

      2 스포츠G1, "체육정보 등록현황: 종별 현황" 체육정보센터

      3 김성진, "여학생 체육활동 참여의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마련"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7 (17): 59-77, 2014

      4 Erik Brady, "Women’s groups, OCR spar over Title IX surveys"

      5 Doris Nhan, U.S. women, "U.S. women, Title IX win big in Olympics"

      6 Brenda L. Ambrosius, "Title IX: Creating unequal equity through application of the proportionality standard in collegiate athletics" 46 (46): 2012

      7 Sue Ann Mota, "Title IX, the NCAA, and intercollegiate athletics" 33 : 2006

      8 Jeffrey P. Ferrier, "Title IX leaves some athletes asking, “Can we play too?”" 44 : 1995

      9 Zachary W. Anderson, "Title IX compliance: in the name of financial stability or gender equality? An in-depth review of Title IX and the University of Nebraska at Omaha athletic department’s compliance" 10 (10): 40-, 2012

      10 National Coalition for Women and Girls in Education, "Title IX at 40: Working to ensure gender equity in education" NCWGE 2012

      1 주종미, "학교체육에서의 양성평등 실현을 위한 법정책적제안"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8 (18): 65-93, 2015

      2 스포츠G1, "체육정보 등록현황: 종별 현황" 체육정보센터

      3 김성진, "여학생 체육활동 참여의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마련"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7 (17): 59-77, 2014

      4 Erik Brady, "Women’s groups, OCR spar over Title IX surveys"

      5 Doris Nhan, U.S. women, "U.S. women, Title IX win big in Olympics"

      6 Brenda L. Ambrosius, "Title IX: Creating unequal equity through application of the proportionality standard in collegiate athletics" 46 (46): 2012

      7 Sue Ann Mota, "Title IX, the NCAA, and intercollegiate athletics" 33 : 2006

      8 Jeffrey P. Ferrier, "Title IX leaves some athletes asking, “Can we play too?”" 44 : 1995

      9 Zachary W. Anderson, "Title IX compliance: in the name of financial stability or gender equality? An in-depth review of Title IX and the University of Nebraska at Omaha athletic department’s compliance" 10 (10): 40-, 2012

      10 National Coalition for Women and Girls in Education, "Title IX at 40: Working to ensure gender equity in education" NCWGE 2012

      11 Susan M. Shook, "The Title IX tug-of-war and intercollegiate athletics in the 1990’s: Nonrevenue men’s teams join women athletes in the scramble for survival" 71 : 1996

      12 Kristin Rozum, "Staying inbounds: Reforming Title IX in collegiate athletics" 18 : 2003

      13 Katie Thomas, "Rule change takes aim at loophole in Title IX" New York Times

      14 Andrew J. Boyd, "Righting the canoe: Title IX and the decline of men’s intercollegiate athletics" 37 : 2003

      15 Edward Martindale, "Participation in college sports:Motivational differences" 71 : 1990

      16 Andy Rogers, "Olympics emboldens athletes of all kinds"

      17 "National Wrestling Coaches Ass'n v. United States Dep't of Educ., 263 F. Supp. 2d 82(D.D.C. 2003)"

      18 Gary Brown, "NCAA women’s sport inventory: A guide to the NCAA’s championship and emerging sports for women" NCAA

      19 Erin Irick, "NCAA sports sponsorship and participation rates report: 1981-1982 - 2012-2013" National Collegiate Athletics Association 2014

      20 "NCAA report: Economy cuts into sports" ESPN 2010

      21 "Males play sports much more than females"

      22 Doyice J. Cotten, "Law for recreation and sport managers" Kendall/Hunt Publishing Company 2003

      23 "Grove City College v. Bell, 465 U.S. 555 (1984)"

      24 "Gonyo v. Drake Univ., 879 F.Supp. 1000 (1995)"

      25 "Franklin v. Gwinnett Public Schools, 503 U.S. 60"

      26 "Equity in Athletics, Inc. v. Department of Education, 675 F. Supp. 2d 660 (W.D. Va. 2009)"

      27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A policy interpretation: Title IX and intercollegiate athletics" 44 (44): 1979

      28 Kristina Sowder, "Defining “sport”" Athletic Management

      29 "Debunking the myths about Title IX and athletics" National Women's Law Center

      30 Katie Thomas, "College teams, relying on deception, undermine gender equity" New York Times

      31 "Cohen v. Brown Univ., 809 F.Supp. 978, 1001 (D.R.I, 1992)"

      32 Office for Civil Rights, "Clarification of intercollegiate athletics policy guidance: The three-part test" U.S. Department of Education

      33 "Civil Rights Restoration Act of 1987, Pub. L. No. 100-259"

      34 Ashlee A. Cassman, "Bring it on! Cheerleading vs. Title IX: could cheerleading ever be considered an athletic opportunity under Title IX, and if so, what implications would that have on university compliance?" 17 : 2010

      35 National Federation of State High School Associations, "2012-13 high school athletics participation surve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6-1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스포츠와 법 ->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9-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스포츠법학회 ->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Sports Law -> The Korean Association of Sports & Entertainment Law
      KCI등재후보
      2007-09-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ports and Law -> The Journal of Sports and Entertainment Law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78 0.741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