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안보수단의 비대칭화와 안보딜레마의 전이: 미국의 Stuxnet와 Drone 비교 연구 = Strategic Asymmetry and Transition of Security Dilemma - A comparative Study of U.S. Stuxnet and Drone Strike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925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oth cyber weapons and unmanned aeriel vehicles as an offensive mean are unstabilizing the international security structure that has been created by the traditional weapons systems since the Cold War period. The emergence of these weapons has been shi...

      Both cyber weapons and unmanned aeriel vehicles as an offensive mean are unstabilizing the international security structure that has been created by the traditional weapons systems since the Cold War period. The emergence of these weapons has been shifting the offense-defense balance and provoking the situation of security dilemma. America’s leading use of these weapons in specific forms of Stuxnet and Drone set a precedent, which brought about security dilemma in the states at stake and its transition in other neighboring states. However, because of the distinctive features of the weapons and international security environment, the transitions of security dilemma create different security effects that cannot be expected with regard to traditional military forces. Offensive cyber weapons, which contain the significant elements such as the cheap cost of obtaining them, diverse types of potential attackers, lack of international regulating norms and uncertainty of security strategies, deepen and spread more unstability than Drones in the international security order. Although Drones can be an effective means to threaten an opposing side, it needs more advanced techniques to fly a long distance and to equip a strategic warhea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사이버 공간에서 사이버 무기와 지리적 공간에서 무인항공기는 공격 수단으로 기존의 무기 체계로 형성된 국제안보질서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들 공격형 무기는 국가 간 공수...

      사이버 공간에서 사이버 무기와 지리적 공간에서 무인항공기는 공격 수단으로 기존의 무기 체계로 형성된 국제안보질서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들 공격형 무기는 국가 간 공수균형에 변화를 초래함으로써 심각한 안보딜레마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미국이 선도적으로 활용한 Stuxnet와 Drone은 공격형 무기의 선례가 되었고, 이는 갈등 관계의 이해당사자의 범위를 넘어서서 주변 국가들에게로 안보딜레마가 전이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러나 이들 안보수단은 상이한 속성과 국제안보환경의 여건 때문에 전이의 파급 효과가 일반적인 기대와 다르게 나타난다. Stuxnet와 같은 공격형 사이버 무기는 아직 공식 인정받는 시설파괴와 인명살상의 심각한 상황을 빈번하게 만들지 않았지만, 저렴한 진입 비용과 다양한 행위자의 관여가 가능하고 존재하지 않는 국제안보질서에서 국제적 갈등의 가능성은 증대하고 있다. 반면에 Drone은 국가 간 무력충돌의 수단으로 활용되는데 당장 기술적 한계가 있고, 국제 무력 분쟁에 관한 국제규범의 적용이 가능하여 Stuxnet 보다는 국제안보질서의 안정성을 덜 저해하는 방향으로 발전할 것이다. Drone은 대규모 무력충돌을 피하기 위해 비정규전에 투입되어 다른 국가의 국경선을 침범하거나 군비경쟁의 확대로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사이버 공간의 안보를 위협하는 Stuxnet는 물리적 파괴력이 높은 Drone보다 무분별한 안보딜레마의 전이를 일으켜 국제안보질서를 더욱 불안정하게 만들 가능성이 높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동주, "한국정치학에서 '사이버 공간·안보' 연구동향과 정책적 함의" 세종연구소 14 (14): 5-32, 2008

      2 장노순, "사이버무기와 안보딜레마의 전이" 국제지역연구센터 17 (17): 379-404, 2014

      3 김성배, "미사일기술통제체제(MTCR)가 무인항공기 획득에 미치는 영향"

      4 장노순, "드론의 군비경쟁과 안보 환경의 변화"

      5 Byman, Daniel L., "Why Drones Work: The Case for Washington’s Weapon of Choice" 92 (92): 32-43, 2013

      6 Glaser, Charles, "What is the Offense-Defense Balance and Can We Measure It?" 22 (22): 1998

      7 Mazzetti, Mark, "Use of Drones for Killings Risks a War Without End, Panel Concludes in Report"

      8 Miller, Greg, "Under Obama, An Emerging Global Apparatus for Drone Killing"

      9 Shanker, Thom, "U.S. Suspects Iran Was Behind a Wave of Cyberattacks"

      10 Sanger, David E., "U.S. Document Reveals Growth of Cyberwarfare Between the U.S. and Iran"

      1 서동주, "한국정치학에서 '사이버 공간·안보' 연구동향과 정책적 함의" 세종연구소 14 (14): 5-32, 2008

      2 장노순, "사이버무기와 안보딜레마의 전이" 국제지역연구센터 17 (17): 379-404, 2014

      3 김성배, "미사일기술통제체제(MTCR)가 무인항공기 획득에 미치는 영향"

      4 장노순, "드론의 군비경쟁과 안보 환경의 변화"

      5 Byman, Daniel L., "Why Drones Work: The Case for Washington’s Weapon of Choice" 92 (92): 32-43, 2013

      6 Glaser, Charles, "What is the Offense-Defense Balance and Can We Measure It?" 22 (22): 1998

      7 Mazzetti, Mark, "Use of Drones for Killings Risks a War Without End, Panel Concludes in Report"

      8 Miller, Greg, "Under Obama, An Emerging Global Apparatus for Drone Killing"

      9 Shanker, Thom, "U.S. Suspects Iran Was Behind a Wave of Cyberattacks"

      10 Sanger, David E., "U.S. Document Reveals Growth of Cyberwarfare Between the U.S. and Iran"

      11 Mearsheimer, John J., "The Tragedy of Great Power Politics" Norton 2001

      12 Booth, Ken, "The Security Dilemma: Fear, Cooperation and Trust in World Politics" Palgrave 2008

      13 Glaser, Charles L., "The Security Dilemma Revisited" 50 (50): 171-201, 1997

      14 Levy, Jack S., "The Offensive/Defensive Balance of Military Technology: A Theoretical and Historical Analysis" 28 : 1984

      15 Kreps, Sarah, "The Next Drone Wars: Preparing for Proliferation" 93 (93): 2014

      16 Kello, Lucas, "The Meaning of the Cyber Revolution" 38 (38): 7-40, 2013

      17 Lindsay, Jon R., "The Impact of China on Cybersecurity" 39 (39): 7-47, 2014

      18 Boyle, Michael J., "The Costs and Consequences of Drone Warfare" 89 (89): 1-29, 2013

      19 Becker, Jo, "Secret ‘Kill List’ Proves a Test of Obama’s Principles and Will"

      20 Zenko, Micah, "Reforming U.S. Drones Strike Politics"

      21 Parker, Richard, "Pilotless Planes, Pacific Tensions"

      22 Barry, Buzan, "People, States and Fear" L. Rienner Publisher 1983

      23 Van Evera, Stephen, "Offense, Defense, and the Causes of War" 22 (22): 5-43, 1998

      24 Sanger, David E., "Obama Order Sped up Wave of Cyberattacks Against Iran"

      25 Nye, Joseph S., Jr., "Nuclear Lessons for Cyber Security?" 5 (5): 18-38, 2011

      26 Schweller, Randall L., "Neorealism’s Status Quo Bias: What Security Dilemma" 5 (5): 1996

      27 Greenwald, Glenn, "NSA Claims Iran Learned From Western Cyberattacks"

      28 The White House, "International Strategy for Cyberspace"

      29 Hsia, Tim, "How Cyberwarfare and Drones Have Revolutionized "Warfare”"

      30 Office of the National Counterintelligence Executive, "Foreign Spies Stealing US Economic Secrets in Cyberspace"

      31 Hazelton, Jacqueline L., "Drones: What Are They Good For?" 42 (42): 29-33, 2013

      32 Terrill, W. Andrew, "Drones over Yemen: Weighing Military Benefits and Political Costs" 42 (42): 17-23, 2013

      33 "Drone Wars: Risks and Warnings" 42 (42): 7-16, 2013

      34 Bergen, Peter, "Drone Wars"

      35 Jonston, Patrick B., "Does Decapitation Work?" 36 (36): 47-79, 2012

      36 Rid, Thomas, "Cyberwar and Peace: Hacking Can Reduce Real-World Violence" 92 (92): 77-87, 2013

      37 Rid, Thomas, "Cyber War Will Not Take Place" 35 (35): 5-32, 2012

      38 Valeriano, Brandon, "Cyber War Versus Cyber Realit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39 Goodman, Will, "Cyber Deterrence: Tougher in Theory than in Practice" 4 (4): 2010

      40 Finnemore, Martha, "Cultivating International Cyber Norms" 89-101, 2011

      41 Jervis, Robert, "Cooperation under the Security Dilemma" 30 (30): 167-214, 1978

      42 Sanger, David E., "Confront and Conceal" Crown Publishers 2013

      43 Shane, Scott, "Coming Soon: The Drone Arms Race"

      44 Goldsmith, Jack, "Can We Stop the Global Cyber Arms Race?"

      45 Breen, Michael, "Asymmetric Strategies as Strategies of the Strong" 41 (41): 41-55, 2011

      46 Davis, Lynn E., "Armed and Dangerous? UAVs and U.S. Security" RAND 2014

      47 Mazzetti, Mark, "A Secret Deal on Drones, Sealed in Blood"

      48 Stevens, Tim, "A Cyberwar of Ideas? Deterrence and Norms in Cyberspace" 33 (33): 148-170,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국제문제연구 -> 국가안보와 전략
      외국어명 : The Studies of International Affairs -> National Security and Strategy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1-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ies of International Affair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3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7 0.57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