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목적 ? ‘수사권 조정 입법’과 함께, 국가수사본부 신설, 자치경찰제 시행 등 경찰개혁 추진에도 불구하고 경찰권 확대에 따른 인권침해 우려가 여전한 만큼, 「경찰청 인권정책 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E1689612
2022년
Korean
PRIS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 연구목적 ? ‘수사권 조정 입법’과 함께, 국가수사본부 신설, 자치경찰제 시행 등 경찰개혁 추진에도 불구하고 경찰권 확대에 따른 인권침해 우려가 여전한 만큼, 「경찰청 인권정책 기...
1. 연구목적
? ‘수사권 조정 입법’과 함께, 국가수사본부 신설, 자치경찰제 시행 등 경찰개혁 추진에도 불구하고 경찰권 확대에 따른 인권침해 우려가 여전한 만큼, 「경찰청 인권정책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인권경찰’의 비전과 추진목표를 세우고, 이에 따른 경찰 인권정책 및 인권보호체계를 새롭게 구축하고 함
? 아울러, 「국가 인권정책 기본계획(NAP)」과 연계하여「경찰청 인권정책 기본계획」을 통해 범정부 차원의 인권정책을 치안 현장에서 구현할 수 있도록 함.
2. 연구범위
? 경찰과 인권의 역학적 관계 분석, 경찰의 인권보장 관련 국내외 현황분석, 現 경찰청의 인권보장 역량 및 정책 추진실태 분석 등을 통해 「경찰청 인권정책 기본계획」의 비전, 정책목표 및 추진 방향 등 제시
? 기존의 인권정책과 제도(인권영향평가, 인권위원회, 인권교육, 인권보호체계 등)을 진단·평가하여 경찰권에 대한 실효적인 내·외부 인권보장체계 구축방안 제시
? 수사경찰과 수사경찰 외 일반경찰의 주요 사무(생활안전, 정보, 경비 등)별 인권 중심 개혁을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
? 경찰 활동에 있어 사회적 약자 보호 및 차별시정을 위한 가이드라인(Guideline) 제시
3. 연구 추진 체계
? 학술연구자료, 국가인권위원회 결정례, 경찰청 등 주요기관의 보고서 등의 문헌연구를 통해 경찰 관련 인권 현황 및 환경분석
? 경찰관의 인권의식 실태에 대한 인식조사를 통해 경찰관의 인권의식 수준 및 경험에 대해 분석하고 관련 분야 전문가, 활동가, 시민단체 관계자 등의 자문 및 인터뷰를 통해 사회적 시각을 반영하여 보완
? 경찰 인권정책 관련 현황 및 환경분석, 경찰관 인식조사 등을 근거로 「경찰청 인권정책 기본계획」의 비전, 정책목표, 추진 방향 설정한 후, 세부 추진과제로 인권경찰 제도화를 위한 과제, 경찰의 인권중심 개혁을 위한 세부추진과제, 사회적 약자 보호 및 차별시정을 위한 가이드라인 등을 수립·마련
? 경찰의 인권 문제는 수사, 정보를 포함한 全 부서와 긴밀히 연계되어있는 만큼, 인권정책 기본계획 세부 추진과제 발굴, 과제관리, 성과 분석 등을 위해 경찰청 인권위원회, 경찰인권정책협의체, 경찰청 주요부서 등과 상시 협의 간담회 등을 통해 용역연구와 관련하여 귀중한 의견을 주신 경찰관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표 1> 연구 추진 체계
구분
1. 현황 및 환경분석
2. 인식조사
3. 비전 및 추진방향 수립
4. 세부추진과제 발굴 및 정리
연구
내용
· 현황분석
· 환경분석
·경찰 인권의식 실태
·경찰 인권역량에 대한 대외적 평가
·기본방향 및 가치
·핵심지표 및 과제
·추진목표 및 전략
·인권경찰 제도화 방안
·수사경찰 인권중심 개혁
·일반경찰 인권중심 개혁
·사회적 약자 보호 및 차별시정
연구
방법
·문헌조사
·설문조사 및 분석
·전문가 자문 및 인터뷰
·경찰청인권위원회, 경찰청인권정책협의체 등 협의
·전문가 자문 및 인터뷰
·경찰청 주요부서와 협의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