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제2형 당뇨병 여성 노인 환자의 혈당 조절을 위한 국내 운동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주요 결과를 고찰하고 중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은 국내 데이터베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178821
2019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21-128(8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제2형 당뇨병 여성 노인 환자의 혈당 조절을 위한 국내 운동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주요 결과를 고찰하고 중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은 국내 데이터베이...
본 연구의 목적은 제2형 당뇨병 여성 노인 환자의 혈당 조절을 위한 국내 운동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주요 결과를 고찰하고 중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은 국내 데이터베이스로 한국 교육학술정보원, 한국 학술정보, 대한 의학 편집인 협의회, 한국 의학논문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검색하였으며, 2010년부터 2017년 5월까지 출판된 국내 논문을 분석하였다. 검색어로는 당뇨, 여성 당뇨, 노인 당뇨, 제2형 당뇨병을 사용하였으며, 중재 관련 검색어로는 프로그램, 중재, 운동, 혈당, 혈당장애, 혈당조절, 공복 시 혈당, 당화 혈색소를 사용하였다. 최종 12개의 논문이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연구결과 운동프로그램의 중재 기간은 12주(50%), 주당 3회(58.3%), 1회당 50-69분(83.4%)이 가장 많았다. 또한, 유산소와 무산소 복합운동은 혈당뿐 만 아니라 당화 혈색소도 조절할 수 있는 효과적인 운동방법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제2형 당뇨병 여성노인 환자의 체력 수준과 건강 상태를 고려하여 집단교육보다는 개별교육의 운동 프로그램 중재를 적용해야 하며 일회성 운동보다는 지속적인 운동을 통해 효과적인 혈당조절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ercise program intervention in Korea for the control of blood sugar levels in elderly women patients undergoing diabetes mellitus typeⅡ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ercise program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ercise program intervention in Korea for the control of blood sugar levels in elderly women patients undergoing diabetes mellitus typeⅡ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ercise program intervention. Research methods were searched through RISS, KISS, KoreaMed, and KMbase as domestic databases and limited to domestic papers published from 2010 to May 2017. Diabetes, female diabetes, and diabetes mellitus typeⅡ were used as the search terms related to the patient group. Programs related to intervention, intervention, exercise, blood glucose, glucose insufficiency, glucose control, fasting glucose and HbA1c were used. A total of 12 papers were provided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method. The mediation period was 12 weeks(50%), 3 times per week(58.3%), and 50 to 69 minutes(83.4%) was the most. The combined aerobic and anaerobic exercise was found to be an effective exercise method to control not only blood glucose level but also HbA1c. Individualized exercise program intervention should be provided considering the physical fitness level and health status of elderly patients undergoing diabetes mellitus typeⅡ and should be encouraged to maintain effective blood glucose control through continuous exercise rather than one-off exercis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송낙훈, "탄성밴드를 이용한 저항운동이 제2형 당뇨병 노인여성의 당화혈색소 및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4 (24): 1359-1369, 2015
2 이종민, "제 2형 당뇨병 여성노인환자의 웨이트트레이닝이 심혈관계 위험인자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 25 (25): 71-84, 2011
3 최필병, "제 2형 당뇨병 노인에게 있어 장기간의 운동이 당뇨지표, 혈중지질 및 췌장암 지표에 미치는 영향과 상관성 분석" 한국운동재활학회 8 (8): 93-102, 2012
4 정채원, "유산소/저항운동이 제2형 여성 노인 당뇨병 환자의 심혈관 질환 위험요인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과학회 22 (22): 1211-1221, 2013
5 신원태, "운동 유형이 당뇨병 여성노인의 혈중 염증지표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 7 (7): 201-211, 2012
6 최필병, "시간대별 운동이 노인성 고혈압과 당뇨의 위험요소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과학회 20 (20): 831-841, 2011
7 오봉석, "수중운동이 당뇨병 여성 노인의 HbA1c, CRF, HGH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45) : 891-900, 2011
8 최종환, "산림 걷기 운동이 내당능장애와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노인 환자의 혈당치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림과학회 99 (99): 47-51, 2010
9 강설중, "복합운동이 노인 당뇨병 환자의 당화혈색소,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운동학회 16 (16): 21-30, 2014
10 임수, "국내 3차 의료기관의 당뇨병 조절 상태 및 합병증 보고 - 2006∼2007 대한당뇨병학회 역학소위원회 -" 대한당뇨병학회 33 (33): 48-57, 2009
1 송낙훈, "탄성밴드를 이용한 저항운동이 제2형 당뇨병 노인여성의 당화혈색소 및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4 (24): 1359-1369, 2015
2 이종민, "제 2형 당뇨병 여성노인환자의 웨이트트레이닝이 심혈관계 위험인자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 25 (25): 71-84, 2011
3 최필병, "제 2형 당뇨병 노인에게 있어 장기간의 운동이 당뇨지표, 혈중지질 및 췌장암 지표에 미치는 영향과 상관성 분석" 한국운동재활학회 8 (8): 93-102, 2012
4 정채원, "유산소/저항운동이 제2형 여성 노인 당뇨병 환자의 심혈관 질환 위험요인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과학회 22 (22): 1211-1221, 2013
5 신원태, "운동 유형이 당뇨병 여성노인의 혈중 염증지표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 7 (7): 201-211, 2012
6 최필병, "시간대별 운동이 노인성 고혈압과 당뇨의 위험요소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과학회 20 (20): 831-841, 2011
7 오봉석, "수중운동이 당뇨병 여성 노인의 HbA1c, CRF, HGH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45) : 891-900, 2011
8 최종환, "산림 걷기 운동이 내당능장애와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노인 환자의 혈당치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림과학회 99 (99): 47-51, 2010
9 강설중, "복합운동이 노인 당뇨병 환자의 당화혈색소,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운동학회 16 (16): 21-30, 2014
10 임수, "국내 3차 의료기관의 당뇨병 조절 상태 및 합병증 보고 - 2006∼2007 대한당뇨병학회 역학소위원회 -" 대한당뇨병학회 33 (33): 48-57, 2009
11 Zeinab AminiLari, "The Effect of 12 Weeks Aerobic, Resistance, and Combined Exercises on Omentin-1 Levels and Insulin Resistance among Type 2 Diabetic Middle-Aged Women" 대한당뇨병학회 41 (41): 205-212, 2017
12 Naomi Brooks, "Strength training improves muscle quality and insulin sensitivity in Hispanic older adults with type 2 diabetes" Ivyspring International Publisher 4 (4): 19-27, 2007
13 Pál Brasnyó, "Resveratrol improves insulin sensitivity, reduces oxidative stress and activates the Akt pathway in type 2 diabetic patien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UP) 106 (106): 383-389, 2011
14 Preethi Srikanthan, "Relative Muscle Mass Is Inversely Associated with Insulin Resistance and Prediabetes. Findings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Endocrine Society 96 (96): 2898-2903, 2011
15 R. J. Sigal, "Physical activity/exercise and type 2diabetes" 27 (27): 2518-2539, 2004
16 R. J. Sigal, "Physical Activity/Exercise and Type 2 Diabetes: A consensus statement from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29 (29): 1433-1438, 2006
17 S. Y. Kim, "NECA's guidance for undertak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for intervention"
18 Abd A Tahrani, "Management of type 2 diabetes: new and future developments in treatment" Elsevier BV 378 (378): 182-197, 2011
19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VI, the 3rd year" Statistics Korea
20 Chung-Hwan Chen, "Exercise training ameliorates glucosamine-induced insulin resistance in ovariectomized rats" Ovid Technologies (Wolters Kluwer Health) 24 (24): 617-623, 2017
21 Jaehyun Park,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on changes of lower extremity muscle activation during walking in older wome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7 (27): 1515-1518, 2015
22 Normand G. Boulé, "Effects of Exercise on Glycemic Control and Body Mass in Type 2 Diabetes Mellitus"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AMA) 286 (286): 1218-, 2001
23 T. P. Gavin, "Aging and the Skeletal Muscle Angiogenic Response to Exercise in Women" 70 (70): 1189-1197, 2015
24 Ellen M. Evans, "Aerobic power and insulin action improve in response to endurance exercise training in healthy 77–87 yr olds" American Physiological Society 98 (98): 40-45, 2005
25 W. R. Thompson,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26 Anders Grøntved, "A Prospective Study of Weight Training and Risk of Type 2 Diabetes Mellitus in Men"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AMA) 172 (172): 1306-, 2012
27 최현아, "8주간의 유산소운동과 resveratrol 섭취가 제2형 당뇨병 여성 노인의 체력, 인슐린 저항성, 간기능 및 혈압에 미치는 영향"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7 (27): 507-522, 2016
28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7 Life table"
29 김찬회, "12주간 유산소 운동이 당뇨병 노인여성의 염증지표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19 (19): 1337-1349, 2010
30 정진욱, "12주 한국무용프로그램이 당뇨 노인여성의 신체조성, 체력,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연구학회 29 (29): 259-280, 2011
치매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노인부양의식, 인지-정서적 공감에 미치는 효과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스트레스가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직무요구-자원모형을 기반으로 한 요양병원 간호사의 소진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7-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 ![]() |
2017-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8-28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2007-07-0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Academic Inderstrial Society ->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8 | 0.68 | 0.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6 | 0.61 | 0.842 | 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