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폐결핵 환자의 건강증진행위와 관련요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788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폐결핵 환자의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관련요인으로서 신체적 증상, 지각된 장애성, 자기효능감, 우울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전라남도 M시에 소재한 일개 국립병원 외래를 통해 치료를 받고 있는 폐결핵 환자 152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2016년 7월부터 9월까지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분석과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Duncan 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 점수는 총 5점 만점에 평균 3.29±0.87점이었고 영양, 운동, 휴식/스트레스 관리, 대인관계, 건강관리, 자아실현의 6개 하위영역에 따라 분석한 결과, 자아실현 점수가 3.50±0.88점으로 가장 높았고 건강관리 3.35±0.84점, 대인관계 3.30±0.95점, 영양 3.19±0.98점, 휴식/스트레스 관리 3.18±0.95점, 운동 3.14±1.00점 순이었다. 신체적 증상 점수는 총 4점 만점에 평균 1.91±0.65점이었고, 지각된 장애성 점수는 총 5점 만점에 평균 2.90±1.20점, 자기효능감 점수는 총 5점 만점에 3.11±1.02점, 우울 점수는 총 5점 만점에 평균 2.85±0.70점이었다. 신체적 증상과 지각된 장애성, 우울은 건강증진행위와 유의한 부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자기효능감은 건강증진행위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은 우울로 63.5%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따라서 폐결핵 환자의 건강증진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우울수준을 파악하고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폐결핵 환자의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관련요인으로서 신체적 증상, 지각된 장애성, 자기효능감, 우울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본 연구는 폐결핵 환자의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관련요인으로서 신체적 증상, 지각된 장애성, 자기효능감, 우울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전라남도 M시에 소재한 일개 국립병원 외래를 통해 치료를 받고 있는 폐결핵 환자 152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2016년 7월부터 9월까지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분석과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Duncan 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 점수는 총 5점 만점에 평균 3.29±0.87점이었고 영양, 운동, 휴식/스트레스 관리, 대인관계, 건강관리, 자아실현의 6개 하위영역에 따라 분석한 결과, 자아실현 점수가 3.50±0.88점으로 가장 높았고 건강관리 3.35±0.84점, 대인관계 3.30±0.95점, 영양 3.19±0.98점, 휴식/스트레스 관리 3.18±0.95점, 운동 3.14±1.00점 순이었다. 신체적 증상 점수는 총 4점 만점에 평균 1.91±0.65점이었고, 지각된 장애성 점수는 총 5점 만점에 평균 2.90±1.20점, 자기효능감 점수는 총 5점 만점에 3.11±1.02점, 우울 점수는 총 5점 만점에 평균 2.85±0.70점이었다. 신체적 증상과 지각된 장애성, 우울은 건강증진행위와 유의한 부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자기효능감은 건강증진행위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은 우울로 63.5%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따라서 폐결핵 환자의 건강증진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우울수준을 파악하고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and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is behavior. The subjects were 152 outpatients who were treated for pulmonary tuberculosis at the national tuberculosis hospital located in M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to September, 2016 and analyzed using the t-test, ANOVA, Duncan"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hysical symptoms, perceived barriers, and depression, but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efficacy. The most powerful variable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depression and the model showed an explanatory power of 63.5%.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employ a variety of strategies to practice and maintain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pulmonary tuberculosis patients to decrease their depression and provide psychological support.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and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is behavior. The subjects were 152 outpatients who were treated for pulmonary tuberculosis at the national...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and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is behavior. The subjects were 152 outpatients who were treated for pulmonary tuberculosis at the national tuberculosis hospital located in M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to September, 2016 and analyzed using the t-test, ANOVA, Duncan"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hysical symptoms, perceived barriers, and depression, but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efficacy. The most powerful variable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depression and the model showed an explanatory power of 63.5%.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employ a variety of strategies to practice and maintain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pulmonary tuberculosis patients to decrease their depression and provide psychological suppor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방법
      • 3. 연구결과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방법
      • 3. 연구결과
      • 4. 논의
      • 5. 결론 및 제언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광심, "폐결핵 입원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예측모형" 한국간호과학회 47 (47): 60-70, 2017

      2 변도화, "진폐증 환자의 건강증진행위와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17 (17): 202-209, 2008

      3 김미희, "재가 편마비 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설명모형" 한국간호과학회 36 (36): 1065-1075, 2006

      4 서지혜, "노인의 우울, 생활만족도와 건강증진행위의 관계"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1 (21): 169-177, 2010

      5 오현주,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학회 (32) : 173-197, 2012

      6 송광례, "결핵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인간발달학회 17 (17): 325-348, 2010

      7 최홍조, "결핵의 사회적 결정요인 관점에서 바라본 한국 결핵 연구의 현재와 향후 방향" 한국보건사회학회 (35) : 145-174, 2014

      8 M. Sherer, "The Self-efficacy Scale : Construction & Validation" 51 : 663-671, 1982

      9 Hsin-Yi (Jean) Tang, "The Role of Depression in Medication Adherence Among Heart Failure Patients" SAGE Publications 23 (23): 231-244, 2013

      10 K. H. Kim, "The Relation between Respiratory Symptoms and Depression Level of COPD Patients" 3 (3): 109-123, 2012

      1 장광심, "폐결핵 입원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예측모형" 한국간호과학회 47 (47): 60-70, 2017

      2 변도화, "진폐증 환자의 건강증진행위와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17 (17): 202-209, 2008

      3 김미희, "재가 편마비 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설명모형" 한국간호과학회 36 (36): 1065-1075, 2006

      4 서지혜, "노인의 우울, 생활만족도와 건강증진행위의 관계"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1 (21): 169-177, 2010

      5 오현주,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학회 (32) : 173-197, 2012

      6 송광례, "결핵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인간발달학회 17 (17): 325-348, 2010

      7 최홍조, "결핵의 사회적 결정요인 관점에서 바라본 한국 결핵 연구의 현재와 향후 방향" 한국보건사회학회 (35) : 145-174, 2014

      8 M. Sherer, "The Self-efficacy Scale : Construction & Validation" 51 : 663-671, 1982

      9 Hsin-Yi (Jean) Tang, "The Role of Depression in Medication Adherence Among Heart Failure Patients" SAGE Publications 23 (23): 231-244, 2013

      10 K. H. Kim, "The Relation between Respiratory Symptoms and Depression Level of COPD Patients" 3 (3): 109-123, 2012

      11 K. S. Ya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22 (22): 49-59, 2017

      12 A. Bandura, "Perceived Self-efficacy in the Exercise of Control over AIDS Infection" 13 (13): 9-17, 1990

      13 S. N. Walker, "Health-promoting Life Styles of Older Adults : Comparisons with Young and Middle-aged Adults, Correlates and Patterns" 11 (11): 76-90, 1988

      14 N. J. Pender,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1996

      15 KCDC, "Evaluation of 2015 Tuberculosis Campaign Effectiveness"

      16 R. N. F. Lee, "Effects of Psychological Well-being, Physical Status, and Social Support on Oxygen-dependent COPD Patients’ Level of Functioning" 14 (14): 323-328, 1991

      17 A. T. Beck, "Development of Depression, a Cognitive Model: The Psychology of Depression: Contemporary Theory and Research" John Wiley & Sons 1974

      18 M. Mark, "Depression and Medication Adherence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Bridging the Gap with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26 (26): 1173-1187, 2011

      19 Y. M. Cho, "Coping with Symptom of Dyspnea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Hanyang University 2003

      20 S. J. Park, "An Explanatory Model on Quality of Life for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Yonsei University 2001

      21 J. H. Park, "An Explanatory Model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Early-stage Lung Cancer Patients" Yonsei University 2014

      22 J. S. Moon, "A Study of Instrument Development for Health Belief of Korean Adults" Yonsei University 1990

      23 W. Zung, "A Self-rating Depression scale" 12 : 63-70, 1965

      24 M. J. Cho, "A Predictive Model of Health Promotive Behaviors for Pulmonary Tuberculosis Patients" Chonnam University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7-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KCI등재후보
      2017-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8-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cademic Inderstrial Society ->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1 0.842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