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aste and morality through investigating Johann Friedrich Herbart’s concept of taste. Herbart criticized Kant’s concept of morality as being ‘formed’ without ‘contents’, and...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aste and morality through investigating Johann Friedrich Herbart’s concept of taste. Herbart criticized Kant’s concept of morality as being ‘formed’ without ‘content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aste and morality through investigating Johann Friedrich Herbart’s concept of taste. Herbart criticized Kant’s concept of morality as being ‘formed’ without ‘contents’, and provided an alternative viewpoint from Kant. More specifically, Herbart criticized Kant for evading a critical point that needs explanation, which is the fact that morality is not determined by any factor separate from people’s consciousness such as transcendental freedom, but is revealed and established through education. Herbart believed that it is the circle of thought, the standard of morality, that is revealed and established through education, and the concept of ‘taste’ was introduced to explain the undivided state of such circle of thought and the mind. The fact that greatness is not separate from people and that this greatness can be established through education is the major significance that Herbart contributes to moral education.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헤르바르트의 취미 개념을 고찰하여 취미와 도덕성의 관련성을 드러내는 데에 목적이 있다. 헤르바르트는 칸트의 도덕성 개념을 ‘내용’ 없는 ‘형식’이라는 점에서 비판하고,...
본 연구는 헤르바르트의 취미 개념을 고찰하여 취미와 도덕성의 관련성을 드러내는 데에 목적이 있다. 헤르바르트는 칸트의 도덕성 개념을 ‘내용’ 없는 ‘형식’이라는 점에서 비판하고, 그것에 대한 대안적 관점을 제시한다. 헤르바르트가 칸트를 비판하는 구체적인 이유는 칸트가 적극적으로 해명해야 할 지점을 회피하고 있다는 것, 말하자면 도덕성은 선험적 자유와 같이 우리의 의식과 무관한 어떤 원인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교육의 실천을 통해 의미가 드러나고 확립된다는 것이었다. 헤르바르트가 보기에, 교육의 실천을 통해 드러나고 확립되는 것은 도덕성의 표준인 사고권이며, ‘취미’ 개념은 이 사고권과 마음의 분리되지 않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서 도입된 개념이다. 위대한 것이 인간과 분리되지 않은 상태이며, 그 위대한 것은 교육의 실천을 통해 확립해 나갈 수 있다는 것, 이것이야말로 헤르바르트가 도덕교육에 주는 큰 의의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환기, "헤르바르트의 교수이론" 교육과학사 2004
2 구리나, "헤르바르트의 ‘교육적 교수’ 고찰: 사고권을 중심으로" 한국도덕교육학회 25 (25): 93-116, 2013
3 이환기, "헤르바르트 道德敎育論" 한국도덕교육학회 10 (10): 79-110, 1998
4 Paton, H, J, "칸트의 도덕철학" 서광사 1988
5 이재호, "초등 도덕과 교육의 정당화 방안에 대한 소고 -도덕교육에서의 ‘이해’의 성격을 중심으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33) : 257-284, 2010
6 Kant, I, "윤리형이상학 정초" 아카넷 2007
7 Kant, I, "실천이성비판" 아카넷 2009
8 Boyd, W, "서양교육사" 교육과학사 2008
9 이홍우, "도덕교육의 내용으로서의 윤리학" 한국도덕교육학회 1 : 3-128, 1982
10 김대군, "도덕 판단의 근거로서 '취향'에 관한 연구" 한국윤리학회 1 (1): 29-45, 2006
1 이환기, "헤르바르트의 교수이론" 교육과학사 2004
2 구리나, "헤르바르트의 ‘교육적 교수’ 고찰: 사고권을 중심으로" 한국도덕교육학회 25 (25): 93-116, 2013
3 이환기, "헤르바르트 道德敎育論" 한국도덕교육학회 10 (10): 79-110, 1998
4 Paton, H, J, "칸트의 도덕철학" 서광사 1988
5 이재호, "초등 도덕과 교육의 정당화 방안에 대한 소고 -도덕교육에서의 ‘이해’의 성격을 중심으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33) : 257-284, 2010
6 Kant, I, "윤리형이상학 정초" 아카넷 2007
7 Kant, I, "실천이성비판" 아카넷 2009
8 Boyd, W, "서양교육사" 교육과학사 2008
9 이홍우, "도덕교육의 내용으로서의 윤리학" 한국도덕교육학회 1 : 3-128, 1982
10 김대군, "도덕 판단의 근거로서 '취향'에 관한 연구" 한국윤리학회 1 (1): 29-45, 2006
11 임병덕, "교육목적으로서의 자기지식" 한국도덕교육학회 18 (18): 143-169, 2007
12 Herbart, J. F, "The Science of Education: Its General Principles Deduced from its" Swan Sonnenschein & Co 1892
13 Herbart, J. F, "Outlines of Educational Doctrin" The Macmillan Company 1913
14 Eckoff, W. J, "Herbart’s ABC of Sense-Perception and Minor Pedagogical Works" D. Appleton and Company 1869
15 Compayre, G, "Herbart and Education by Instruction" George G. Harrap & Company 1908
증거기반 교육(Evidence-Based Practice)의 도덕교육 적용을 위한 비판적 고찰: 미국의 증거기반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초등학생의 삶의 목적의식(sense of purpose in life) 함양을 위한 실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8 | 1.08 | 1.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7 | 0.89 | 1.393 | 0.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