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자인사고방법 활용 메이커교육이 대학생 창업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s of Design Thinking Process and Maker Education on University Students’ Start-Up Activ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642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igh technology is causing many changes in modern society and economy. Among them, changes in industries and jobs require new competencies of future human resources. As an educational alternative to these changes, maker education and design thinking methods are spreading around the world, and it is necessary to actively apply such education in university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the maker education using the design thinking method on the learners’ competencies required as future human resources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 of university students’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and learners’ competencie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vitaliza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by suggesting an educational model.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ior research on maker education/environment and design thinking methods to examin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and analyzed the influences between maker education/environment and design thinking methods and the development of learners' personal, social and technological capabilities.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developed capabilities and university students' entrepreneurial capabilities, and based on the results, suggested directions and conceptual models for education that combine maker education/environment and design thinking methods.
      In conclusion, maker education/environment and design thinking methods in university educa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ognitive, social,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learners, and this h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factors of personal, social, and technological dimensions of university students' entrepreneurial competency. It is analyzed that i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romotion of entrepreneurship activities of university students. Therefore, it is judged that university’s interest and support should be given to the vitalization of maker education using the design thinking method for university student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future human resources nurturing.
      번역하기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igh technology is causing many changes in modern society and economy. Among them, changes in industries and jobs require new competencies of future human resources. As an educational alternative to these c...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igh technology is causing many changes in modern society and economy. Among them, changes in industries and jobs require new competencies of future human resources. As an educational alternative to these changes, maker education and design thinking methods are spreading around the world, and it is necessary to actively apply such education in university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the maker education using the design thinking method on the learners’ competencies required as future human resources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 of university students’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and learners’ competencie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vitaliza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by suggesting an educational model.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ior research on maker education/environment and design thinking methods to examin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and analyzed the influences between maker education/environment and design thinking methods and the development of learners' personal, social and technological capabilities.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developed capabilities and university students' entrepreneurial capabilities, and based on the results, suggested directions and conceptual models for education that combine maker education/environment and design thinking methods.
      In conclusion, maker education/environment and design thinking methods in university educa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ognitive, social,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learners, and this h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factors of personal, social, and technological dimensions of university students' entrepreneurial competency. It is analyzed that i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romotion of entrepreneurship activities of university students. Therefore, it is judged that university’s interest and support should be given to the vitalization of maker education using the design thinking method for university student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future human resources nurtur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4차 산업혁명시대 신기술들은 현대 사회와 경제에 많은 변화를 야기하고 있으며 그 중 산업과 일자리의 변화는 미래 인재들에게 새로운 역량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와 요구에 대한 교육적 대안으로 메이커 교육과 디자인사고 방법이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대학교육에서도 이러한 교육의 적극적 연구와 운영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창의 교육 철학이자 환경으로서의 메이커 교육‧환경과 혁신 교육 방법론으로서의 디자인 사고 방법의 특성 분석과 국내 대학생 역량과의 영향관계 파악을 토대로, 두 영역의 특징과 요소들을 상호 보완적으로 접목한 교육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미래 산업의 발전과 일자리 창출에 주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대학생 미래 역량 강화 교육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메이커 교육·환경과 디자인 사고 방법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조사하여 그 개념과 특징을 살펴보고, 메이커 교육·환경과 디자인사고 방법을 통하여 개발되는 학습자의 개인적, 사회적, 산업적 차원의 역량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교육을 통하여 개발되는 학습자의 역량과 대학생의 창업 역량 간에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메이커 교육·환경과 디자인 사고 방법을 접목한 교육의 방향과 개념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학 과정에서 메이커 교육·환경과 디자인 사고 방법을 활용한 교육은 학습자의 인지적, 상호적, 기술적 역량 개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역량들은 대학생의 개인적, 사회적, 산업적 차원의 창업 역량 및 그 하위 요소들과 유의미한 관계를 가지고 대학생들의 창업 활동 촉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디자인 사고 방법을 활용한 메이커 교육·환경은 각각의 교육적 특성들과 효과들이 상호 보완적으로 작동하여 대학생의 통합적 역량 개발을 통한 미래 인재 역량 개발과 창업 역량 개발을 위한 대학 교육 발전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한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제안한 디자인 사고 방법을 활용한 메이커 교육‧환경의 설계 방향과 개념 모델은 대학생의 창의혁신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에 관한 다양한 연구의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4차 산업혁명시대 신기술들은 현대 사회와 경제에 많은 변화를 야기하고 있으며 그 중 산업과 일자리의 변화는 미래 인재들에게 새로운 역량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와 요구에 대한 ...

      4차 산업혁명시대 신기술들은 현대 사회와 경제에 많은 변화를 야기하고 있으며 그 중 산업과 일자리의 변화는 미래 인재들에게 새로운 역량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와 요구에 대한 교육적 대안으로 메이커 교육과 디자인사고 방법이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대학교육에서도 이러한 교육의 적극적 연구와 운영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창의 교육 철학이자 환경으로서의 메이커 교육‧환경과 혁신 교육 방법론으로서의 디자인 사고 방법의 특성 분석과 국내 대학생 역량과의 영향관계 파악을 토대로, 두 영역의 특징과 요소들을 상호 보완적으로 접목한 교육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미래 산업의 발전과 일자리 창출에 주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대학생 미래 역량 강화 교육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메이커 교육·환경과 디자인 사고 방법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조사하여 그 개념과 특징을 살펴보고, 메이커 교육·환경과 디자인사고 방법을 통하여 개발되는 학습자의 개인적, 사회적, 산업적 차원의 역량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교육을 통하여 개발되는 학습자의 역량과 대학생의 창업 역량 간에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메이커 교육·환경과 디자인 사고 방법을 접목한 교육의 방향과 개념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학 과정에서 메이커 교육·환경과 디자인 사고 방법을 활용한 교육은 학습자의 인지적, 상호적, 기술적 역량 개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역량들은 대학생의 개인적, 사회적, 산업적 차원의 창업 역량 및 그 하위 요소들과 유의미한 관계를 가지고 대학생들의 창업 활동 촉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디자인 사고 방법을 활용한 메이커 교육·환경은 각각의 교육적 특성들과 효과들이 상호 보완적으로 작동하여 대학생의 통합적 역량 개발을 통한 미래 인재 역량 개발과 창업 역량 개발을 위한 대학 교육 발전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한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제안한 디자인 사고 방법을 활용한 메이커 교육‧환경의 설계 방향과 개념 모델은 대학생의 창의혁신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에 관한 다양한 연구의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태완, "혁신 제품 개발을 위한 디자인 사고 방법 활용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연구: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상품학회 39 (39): 117-128, 2021

      2 차현진, "해외 메이커교육 우수 사례 분석을 통한 국내 초·중등 메이커교육 활성화를 위한 방안 도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97-113, 2018

      3 권혁인, "한국형 메이커스페이스 활성화를 위한 운영요소 분석 연구" 한국벤처창업학회 14 (14): 105-118, 2019

      4 클라우스 슈밥,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메가스터디북스 2016

      5 임아름, "청년창업가의 역량이 창업행동과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컨설팅학회 15 (15): 143-154, 2015

      6 김형철, "청년창업가의 역량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창업사전준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18 (18): 27-58, 2015

      7 이지안, "청년 창업자를 위한 창업역량 측정도구 개발" 한국벤처창업학회 13 (13): 197-209, 2018

      8 조영재, "창의적문제해결(CPS)을 적용한 메이커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31 (31): 856-876, 2019

      9 김명수, "창의융합 메이커교육을 위한 메이커교육센터 공간구성방안" 충청북도교육연구정보원(충북교육정책연구소) 2020

      10 박재환, "지속가능한 비즈니스모델 설계 도구: 소셜벤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벤처창업학회 14 (14): 187-198, 2019

      1 김태완, "혁신 제품 개발을 위한 디자인 사고 방법 활용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연구: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상품학회 39 (39): 117-128, 2021

      2 차현진, "해외 메이커교육 우수 사례 분석을 통한 국내 초·중등 메이커교육 활성화를 위한 방안 도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97-113, 2018

      3 권혁인, "한국형 메이커스페이스 활성화를 위한 운영요소 분석 연구" 한국벤처창업학회 14 (14): 105-118, 2019

      4 클라우스 슈밥,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메가스터디북스 2016

      5 임아름, "청년창업가의 역량이 창업행동과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컨설팅학회 15 (15): 143-154, 2015

      6 김형철, "청년창업가의 역량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창업사전준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18 (18): 27-58, 2015

      7 이지안, "청년 창업자를 위한 창업역량 측정도구 개발" 한국벤처창업학회 13 (13): 197-209, 2018

      8 조영재, "창의적문제해결(CPS)을 적용한 메이커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31 (31): 856-876, 2019

      9 김명수, "창의융합 메이커교육을 위한 메이커교육센터 공간구성방안" 충청북도교육연구정보원(충북교육정책연구소) 2020

      10 박재환, "지속가능한 비즈니스모델 설계 도구: 소셜벤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벤처창업학회 14 (14): 187-198, 2019

      11 정대용, "자기효능감이 창업참여도를 매개로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대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경영교육학회 28 (28): 545-574, 2013

      12 고등교육정책과, "인구구조 변화, 4차 산업혁명 대응대학혁신 지원 방안 발표"

      13 윤마병, "알파고와 이세돌의 챌린지 매치에서 분석된 인공지능시대의 학습자 역량을 위한 토포필리아 융합과학 교육" 한국융합학회 7 (7): 123-131, 2016

      14 변충규, "스타트업의 앙트레프레니얼 마케팅 성공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벤처창업학회 15 (15): 183-192, 2020

      15 김경식, "벤처기업가의 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5

      16 이지선, "메이킹의 핵심 ‘팅커링’, 메이커 교육"

      17 서진원, "메이커스페이스(Makerspaces)에 대한 창업·경영학적 접근의 필요성" 한국벤처창업학회 14 (14): 111-127, 2019

      18 김소영, "메이커스페이스 구성 및 이용실태에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6

      19 문찬, "메이커산업과 디자인·공학 융합교육의 방향" 한국상품학회 35 (35): 27-34, 2017

      20 실비아 마르티네즈, "메이커 혁명, 교육을 통합하다" 홍릉과학 2015

      21 마크 해치, "메이커 운동 선언" 한빛 미디어 2014

      22 이지선, "메이커 교육에 디자인 사고 적용 연구"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54) : 225-234, 2017

      23 강인애, "메이커 교육(Maker education)을 통한 메이커 정신(Maker mindset)의 가치 탐색" 한국콘텐츠학회 17 (17): 250-267, 2017

      24 강인애, "메이커 교육(Maker Education)을 통한 기업가정신 함양: 대학교 사례연구" 한국융합학회 8 (8): 253-264, 2017

      25 한혜진,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영상디자인 교육방안 - 현재 코로나 시대의 영상디자인 교육 활용방법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6 (26): 7-18, 2021

      26 송지성, "디자인씽킹을 적용한 IC-PBL 수업 역량 분석-디자인대학 수업 사례 중심으로-"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8 (18): 111-122, 2020

      27 고은희, "디자인씽킹 프로세스에서의 시각적 사고의 역할 - 대학생 대상 디자인씽킹 실습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5 (25): 49-58, 2020

      28 유예은, "디자인씽킹 프로세스 기반의 메이커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감성지능의 향상 연구: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융합학회 9 (9): 163-175, 2018

      29 이민하, "디자인사고 기반 수업이 대학생의 통합적 역량 향상에 미치는 효과 연구"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8 : 195-206, 2017

      30 최원식, "디자인 씽킹과 린스타트업을 통합한 디자이너를 위한 스타트업 교육 개발 - 한국디자인진흥원 “우수디자인 아이디어 글로벌 창업지원”사례 -"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9 (9): 11-20, 2015

      31 최진희, "디자인 사고와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한 메이커스페이스의 디자인교육 프로그램 연구- 충남 소재 디자인대학 내 메이커스페이스 교육프로그램 개발 -"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8 (18): 67-78, 2020

      32 윤혜진, "디자인 사고 기반 메이커 교육 모형 개발: 상호보완적 특성을 바탕으로" 한국콘텐츠학회 21 (21): 707-722, 2021

      33 정다래, "도시 내 창업 활성화를 위한 메이커 스페이스 계획방향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35 (35): 23-31, 2019

      34 최대수, "대학생의 창업역량과 창업의도의 관계: IT 역량, 창의성 역량, 사회적 역량, 시장인지 역량" 한국벤처창업학회 12 (12): 101-109, 2017

      35 이지안, "대학생의 창업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한국벤처창업학회 14 (14): 73-82, 2019

      36 원연정, "대학생 대상의 디자인 사고 교육이 창의성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공학회 35 (35): 193-226, 2019

      37 이명숙, "기업가정신교육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창업자, 예비창업자, 비창업자를 중심으로" 한국직업교육학회 32 (32): 99-134, 2013

      38 김진수, "기업가정신 역량평가지표 개발" 중소기업청·(사)창업진흥원 2009

      39 양수희, "기술창업기업의 기업가 역량과 기술사업화 능력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벤처창업학회 6 (6): 195-213, 2011

      40 이영태, "공학교육에서 메이커 교육의 가치와 역할" 27 (27): 25-29, 2020

      41 박혜영, "‘공예 대중화’를 위한 메이커 교육 프로세스 연구 -디자인 씽킹 방법론(W-I-P-R)과 전문가 인터뷰를 통하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6 (26): 185-196, 2020

      42 EMPATHIZE@IT, "design thinking models"

      43 NN/g Nielsen Norman Group, "design thinking"

      44 IDEO U, "design thinking"

      45 IDEO, "design thinking"

      46 Ajzen, I.,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50 (50): 179-211, 1991

      47 World Economic Forum, "The Future of Jobs Report 2020" 2020 : 2020

      48 Bandura, A.,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84): 191-215, 1977

      49 김화영, "Entrepreneurship, 기업가 지향성 및 기업가 활동에 대한 개념적 고찰: 현대중공업의 창업가 정주영을 중심으로" 한국경영학회 21 (21): 1-46, 2017

      50 Brown, T., "Design Thinking" 86 (86): 84-92,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5 1.12 1.187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