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육적 공간 전략으로서 ‘탈’한국: 특징과 영향 = ‘Ex-Korea’(overseas education) as Spatial Strategies for Education in Korea: its Characteristics and Effe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936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educational spatial strategies in Korea. I also attempt to understand the particular role and significance of ‘Ex-Korea’ (overseas education) as a transnational mobility strategy for education. In Korea, there are three patterns of spatial strategies for education: ‘Ex-rural’, ‘Ex-local’ and ‘Ex-Korea’. Students move to small cities from rural areas to get improved middle and high school opportunities. They also exit from local cities to Seoul to get ‘prestige’ university degrees. ‘Ex-Korea’ is a transnational mobility for an overseas education. I found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lass and transnational spatial mobility for education. The middle-class chooses the ‘Ex-Korea’ spatial strategy to get a more valuable form of academic capital in an American university. ‘Ex-Korea’ is a class spatial strategy for capital accumulation. However, the ‘Ex-Korea’ spatial strategy has negative effects on educational sovereignty.
      번역하기

      In this paper, I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educational spatial strategies in Korea. I also attempt to understand the particular role and significance of ‘Ex-Korea’ (overseas education) as a transnational mobility strategy for educ...

      In this paper, I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educational spatial strategies in Korea. I also attempt to understand the particular role and significance of ‘Ex-Korea’ (overseas education) as a transnational mobility strategy for education. In Korea, there are three patterns of spatial strategies for education: ‘Ex-rural’, ‘Ex-local’ and ‘Ex-Korea’. Students move to small cities from rural areas to get improved middle and high school opportunities. They also exit from local cities to Seoul to get ‘prestige’ university degrees. ‘Ex-Korea’ is a transnational mobility for an overseas education. I found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lass and transnational spatial mobility for education. The middle-class chooses the ‘Ex-Korea’ spatial strategy to get a more valuable form of academic capital in an American university. ‘Ex-Korea’ is a class spatial strategy for capital accumulation. However, the ‘Ex-Korea’ spatial strategy has negative effects on educational sovereign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교육을 목적으로 거주지를 떠나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공간 전략(spatial strategy)의 시대적 특징을 살펴보고, 오늘날 대표적인 공간 전략으로서 ‘탈’한국의 성격과 그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거주지와 다른 곳에 있는 학교에 진학하기 위하여 거주지를 떠나는 행위는 오래 되었으며, 전학은 그 대표적인 현상이다. 여기에서는 사람들이 사회적으로 지위경쟁에 유리한 상징적 자본의 취득을 위하여 보다 우월한 지위가치를 지닌 학교 혹은 지역으로 거주지를 이동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적 공간 전략이 시기적으로 어떠한 변화를 경험하였는가를 ‘탈’농촌, ‘탈’지방, ‘탈’한국의 3시기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근대교육의 존립 기반인 국가의 경계를 넘어 다른 나라로 공간 전략의 외연을 확장한 ‘탈’한국의 성격과 그 영향을 밝히고자 한다. 조기교육, 해외유학, 어학연수 등 교육을 목적으로 한국을 떠나는 ‘탈’한국 현상이 증가하고 있다. 교육적 공간 전략으로서 ‘탈’한국은 계급적 전략의 형태를 보이며, 중요한 문화자본으로 기능하고 있는 영어의 습득을 위하여 영어 사용 국가로 집중되는 지역적 집중화 현상을 보였다. 아울러 ‘탈’한국 현상은 국가의 교육주권을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교육을 목적으로 거주지를 떠나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공간 전략(spatial strategy)의 시대적 특징을 살펴보고, 오늘날 대표적인 공간 전략으로서 ‘탈’한국의 성격과 그 영향을 살펴...

      이 연구는 교육을 목적으로 거주지를 떠나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공간 전략(spatial strategy)의 시대적 특징을 살펴보고, 오늘날 대표적인 공간 전략으로서 ‘탈’한국의 성격과 그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거주지와 다른 곳에 있는 학교에 진학하기 위하여 거주지를 떠나는 행위는 오래 되었으며, 전학은 그 대표적인 현상이다. 여기에서는 사람들이 사회적으로 지위경쟁에 유리한 상징적 자본의 취득을 위하여 보다 우월한 지위가치를 지닌 학교 혹은 지역으로 거주지를 이동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적 공간 전략이 시기적으로 어떠한 변화를 경험하였는가를 ‘탈’농촌, ‘탈’지방, ‘탈’한국의 3시기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근대교육의 존립 기반인 국가의 경계를 넘어 다른 나라로 공간 전략의 외연을 확장한 ‘탈’한국의 성격과 그 영향을 밝히고자 한다. 조기교육, 해외유학, 어학연수 등 교육을 목적으로 한국을 떠나는 ‘탈’한국 현상이 증가하고 있다. 교육적 공간 전략으로서 ‘탈’한국은 계급적 전략의 형태를 보이며, 중요한 문화자본으로 기능하고 있는 영어의 습득을 위하여 영어 사용 국가로 집중되는 지역적 집중화 현상을 보였다. 아울러 ‘탈’한국 현상은 국가의 교육주권을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은우, "한국의 농촌?도시 간 인구이동함수" 41 (41): 213-232, 1993

      2 강창동, "한국의 교육문화사" 문음사 2001

      3 오욱환, "한국사회의 교육열:기원과 심화" 교육과학사 2000

      4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의 현실과 조기유학(유학이민)의 명암" 한국교육개발원. 2002

      5 채만식, "탁류" 송정 2003

      6 "초?중등교육법시행령"

      7 오성배, "지역 간 학업성취도 격차 원인 분석:지역 효과와 학생이동의 영향 탐색" 31 (31): 169-192, 2004

      8 조선중앙일보, "전학자에 요구하는 백육십원의 기부. 1936년 8월 27일"

      9 동아일보, "전학불능비관 자살한 학생. 1934년 9월 7일"

      10 김경근, "자녀교육을 위해 거주지 이동을 선택한 가족의 특성" 11 (11): 65-87, 2005

      1 이은우, "한국의 농촌?도시 간 인구이동함수" 41 (41): 213-232, 1993

      2 강창동, "한국의 교육문화사" 문음사 2001

      3 오욱환, "한국사회의 교육열:기원과 심화" 교육과학사 2000

      4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의 현실과 조기유학(유학이민)의 명암" 한국교육개발원. 2002

      5 채만식, "탁류" 송정 2003

      6 "초?중등교육법시행령"

      7 오성배, "지역 간 학업성취도 격차 원인 분석:지역 효과와 학생이동의 영향 탐색" 31 (31): 169-192, 2004

      8 조선중앙일보, "전학자에 요구하는 백육십원의 기부. 1936년 8월 27일"

      9 동아일보, "전학불능비관 자살한 학생. 1934년 9월 7일"

      10 김경근, "자녀교육을 위해 거주지 이동을 선택한 가족의 특성" 11 (11): 65-87, 2005

      11 손준종, "일제 식민지 시기 학력 담론의 출현과 분화" 9 (9): 93-115, 2003

      12 통계청, "유학국가별 유학생 수(초?중?고)"

      13 김대영, "우리나라 인구이동의 특징,1965-70" 한국개발연구원. 1976

      14 동아일보, "수용력 이백칠십에 지원자 팔백명. 1936년 4월 7일"

      15 Pain, R., "사회지리학의 이해" 푸른길 2008

      16 한우희, "보통학교에 대한 저항과 교육열" 6 (6): 53-76, 1991

      17 조선일보, "도시로, 서울로, 국민교 전학 붐. 1968년 5월 19일"

      18 노국향, "대학지원양상에 기초한 한국 고등교육인구의 편포분석" 9 (9): 63-84, 1997

      19 손준종, "누가 교육을 위해 한국을 떠나려고 하는가?:교육 관련 ‘탈’한국 현상의 사회적 성격 분석" 15 (15): 65-90, 2005

      20 Smith, A., "국부론" 동아출판사 1993

      21 이종각, "교육열 올바로 보기:그 정체는 무엇이며 어떻게 다루어야 하나?" 원미사 2003

      22 손준종, "교육공간으로서 강남(江南)읽기:교육정책에 주는 함의" 14 (14): 107-131, 2004

      23 조선일보, "경기도 국민 학생들 서울로 불법 전학. 1980년 4월 23일"

      24 최은영, "거주 집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공교육 환경의 차별화:강남구와 광진구를 사례" 9 : 66-86, 2004

      25 Waters,J.L., "Transnational family strategies and education in the contemporary Chinese diaspora" 5 (5): 359-377, 2005

      26 Ball,S.J., "The risks of social reproduction:The middle class and education markets.of" 1 (1): 163-175, 2003

      27 Massey,D.S., "The age of extremes:Concentrated affluence and poverty in the twenty-first century" 33 (33): 395-412, 1996

      28 Halsey,A.H., "The Decline of Donnish Dominion:the British Academic Professions in the Twentieth Century"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29 Harvey,D., "The Conditions of Postmodernity" Blackwell 1989

      30 Castles, S., "The Age of Migration: International Population Movements in the Modern World" Macmillan 1998

      31 Ball, S. J, "New class relations in education. In Sociology of education today" Palgrave 2001

      32 Foessel,M., "Legitimations of the State:The Weakening of Authority and the Restoration of Power" 13 (13): 308-319, 2006

      33 UNESCO, "Global Education Digest 2006" UNESCO 2006

      34 Bourdieu,P., "Forms of Capital" Greenwood Press 1986

      35 Ong,A., "Flexible Citizenship.The Cultural Logics of Transnationality" Duke University Press 1999

      36 Hirschman,A.O., "Exit,voice,and loyalty:Responses to decline in firms,organizations,and states" Harvard University Press 1970

      37 Mitchell,K., "Educating the national citizen in neoliberal times:from the multicultural self to the strategic cosmopolitan" 28 : 387-403, 2003

      38 Bourdieu,P., "Distinction:A social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Harvard University Press 198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6 1.66 1.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3 1.75 1.963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