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사회복지기관의 조직문화와 혁신활동 사이에 작용하는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그 과정에서 발견된 변수 간 영향관계를 통해 혁신활동 활성화를 위한 실천적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707514
201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29-258(30쪽)
1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복지기관의 조직문화와 혁신활동 사이에 작용하는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그 과정에서 발견된 변수 간 영향관계를 통해 혁신활동 활성화를 위한 실천적 ...
본 연구는 사회복지기관의 조직문화와 혁신활동 사이에 작용하는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그 과정에서 발견된 변수 간 영향관계를 통해 혁신활동 활성화를 위한 실천적 함의를 발견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는 316개소의 사회복지기관 조직구성원 741명으로부터 수집된 것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기관의 조직문화 중 개발문화와 합리문화가 임파워먼트에 의해 완전매개되어 혁신활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여기에서 개발문화는 정적(+), 합리문화는 부적(-) 영향을 매개변수에 각각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사회복지기관의 혁신활동 촉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구성원들의 임파워먼트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창의적 개발문화를 독려하고, 목표달성을 강조하는 합리문화는 지양해야 한다. 이는 조직 내 수퍼비전 체계와 사회복지사 보수교육의 강화, 실적 위주의 기관평가체계의 개선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제안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perceived by social workers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activ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4...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perceived by social workers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activ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41 social workers at 316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area.
The three variables: organizational culture,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activities were measur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s. In addition, this study adopte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sychological empower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perceived by social workers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activities has played a prefect mediating role. Second, developmental culture perceived by social workers has positive effected on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rational culture has negative effected on psychological empowerment.
Specific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pose that administrator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need to exert improving the secondary education and strengthens the supervision system within organization and reform the current result-oriented evaluation system is possibl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종, "한국 사회복지조직들의 혁신을 위한 과제와 조건" (2) : 75-102, 2000
2 Drucker, P. F, "피터 드러커의 위대한 혁신" 한국경제신문 2006
3 김근세, "책임운영기관의 조직문화와 효과성에 관한 연구: 운전면허시험관리단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39 (39): 179-203, 2005
4 윤방섭, "직무특성, 근로윤리와 직무태도의 관계에 있어서 임파워먼트의 매개역할에 관한 연구" (7) : 43-62, 1997
5 한충현, "중간관리자의 임파워먼트가 조직혁신 활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2003
6 왕재선, "조직혁신의 다차원성과 결정요인: 혁신속도, 범위 및 빈도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3 (43): 73-99, 2009
7 최만기, "조직혁신에 관한 연구모형의 개발과 연구명제의 설정" 27 (27): 1331-1360, 1999
8 손선옥, "조직혁신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아동복지시설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06
9 정홍익, "조직혁신성과 조직특성" 17 (17): 1181-1191, 1979
1 김영종, "한국 사회복지조직들의 혁신을 위한 과제와 조건" (2) : 75-102, 2000
2 Drucker, P. F, "피터 드러커의 위대한 혁신" 한국경제신문 2006
3 김근세, "책임운영기관의 조직문화와 효과성에 관한 연구: 운전면허시험관리단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39 (39): 179-203, 2005
4 윤방섭, "직무특성, 근로윤리와 직무태도의 관계에 있어서 임파워먼트의 매개역할에 관한 연구" (7) : 43-62, 1997
5 한충현, "중간관리자의 임파워먼트가 조직혁신 활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2003
6 왕재선, "조직혁신의 다차원성과 결정요인: 혁신속도, 범위 및 빈도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3 (43): 73-99, 2009
7 최만기, "조직혁신에 관한 연구모형의 개발과 연구명제의 설정" 27 (27): 1331-1360, 1999
8 손선옥, "조직혁신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아동복지시설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06
9 정홍익, "조직혁신성과 조직특성" 17 (17): 1181-1191, 1979
10 장재규, "조직분위기, 개인특성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1997
11 박준회, "조직분위기 유형과 임파워먼트가 조직 내 혁신행동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1996
12 최승아, "조직문화와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02
13 강흥구, "조직문화가 의료사회사업서비스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01
14 김경숙, "조직문화가 사회복지사의 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운대학교 2004
15 박선아, "조직문화, 리더쉽, 직무특성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1994
16 이숙영, "정신보건 영역에서의 변혁적 리더쉽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6 (6): 103-125, 2009
17 김대건, "정부조직혁신과 조직리더십: 정부 조직리더십의 개념화를 위한 시론적 연구" 한국행정학회 73-88, 2005
18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 "전국장애인복지관 편람" 2009
19 한국사회복지관협회, "전국사회복지관 현황 안내" 한국사회복지관협회 2009
20 정해주,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98
21 박원우, "임파워먼트: 개념 정립 및 실천 방법 모색" 26 (26): 115-138, 1997
22 김계수, "서비스업에서의 임파워먼트가 서비스 품질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1 (1): 98-107, 2000
23 김도경, "서비스 기업의 혁신" 1-9, 2004
24 박영준, "생활시설의 조직문화와 사회복지사의 능력강회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2003
25 황성철, "사회복지행정론" 현학사 2009
26 김영종, "사회복지행정" 학지사 2010
27 최상미, "사회복지조직의 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리더십과 시장지향성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10
28 이주호, "사회복지사가 인식한 최고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 수준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한국사회복지학회 62 (62): 307-328, 2010
29 박인순, "사회복지기관의 조직문화가 사회복지사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2002
30 신준섭, "사회복지기관의 기관혁신활동에 관한 연구: 미국 사회복지기관의 활동을 중심으로" (8) : 1-21, 1998
31 신혜정, "사회복지관 중간관리자의 인지된 임파워먼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1
32 이균석, "리더십 유형이 구성원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 연구" 연세대학교 1998
33 보건복지부, "노인복지시설현황" 2010
34 박준용, "기업의 위험부담 성향과 혁신의 결정요소" 5 (5): 123-163, 1997
35 이혜경, "간호사가 지각하는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 조직몰입" 연세대학교 2001
36 Harrison, R, "Understanding Your Organization's Character" 119-128, 1972
37 Quinn, R. E, "The Transforma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s: A Competing Values Perspective In Organizational Culture" Sage 1985
38 Clutterbuck, D, "The Power of Empowerment" Kogan Page 1994
39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 1173-1182, 1986
40 Laschinger, H. K. S, "The Impact of Workplace Empowerment, Organizational Trust on Staff Nurses' Work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ummer) : 2001
41 Conger, J, "The Empowerment Process: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13 : 471-482, 1988
42 Block, P, "The Empowered Mana" Jossey-Bass 1987
43 Goodman, E. A, "The Competing Values Framework: Understanding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Quality of Work Life" 2001
44 Drucker,P.F, "The Coming of the New Organization" (66) : 45-53, 1988
45 Damanpour, F, "The Adoption of Technological, Administrative, and Ancillary Innovations: Impact of Organizational Factors" 13 (13): 675-688, 1987
46 Guterman, N. B, "Social Worker's Perceptions of Their Power and Service Outcomes" 20 (20): 1-20, 1996
47 Brockner, J, "Self-esteem at Work: Research, Theory and Practice. Lexington" Lexington Books 1988
48 Redmond, M. R, "Putting Creativity to Work: Effects of Leader Behavior on Subordinate Creativity" (55) : 120-151, 1993
49 Spreitzer, G. M,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Workplace: Dimension, Measurement, and Validation" 38 (38): 1442-1465, 1995
50 Staples, L. H, "Powerful Ideas about Empowerment" 14 (14): 29-42, 1990
51 Hansenfeld,Y, "Power in Social Work Practice" (61) : 469-483, 1987
52 Quinn, R. E, "Paradox, Planning, and Perseverance: Guidelines for Managerial Practice In Managing Organizational Transitions" Richard D. Irwin 295-313, 1984
53 Gummer, B, "Overcoming Barriers to Innovation in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in Serious Play: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Social Work. edited by H. Weissman" 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1989
54 OECD, "Oslo Manual: Guidelines for Collecting and Interpreting Innovation Data" 2005
55 Damanpour, F, "Organizational Innovation: A Meta-Analysis of Effects of Determinants and Moderators" 34 (34): 555-590, 1991
56 Jaskyte,K.,and W.W.Dressler,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novation in Nonprofit Human Service Organizations" 29 (29): 23-42, 2005
57 Kanter,R.M, "Men and Women of the Corporation" Basic Books 1997
58 Perri 6, "Innovation by Nonprofit Organizations: Policy and Research Issues" 3 (3): 397-414, 1993
59 West, M. A, "Innovation at Work: Psychological Perspectives". in Innovation and creativity at work: Psychological and Organizational Strategies" John Wiley and Sons 15-30, 1990
60 Drucker, P. F,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Heineman 1985
61 Madanmohan,T.R, "Incremental Technical Innovations and Their Determinants" 9 (9): 481-150, 2005
62 Hofstede, G. H, "Identifying Organizational Subcultures: An Empirical Approach" (35) : 1998
63 Handy, C, "Gods of Management.London:Souvenir Press" Souvenir Press 1978
64 Vogt, J. F, "Empowerment in Organizations: How to Spark Exceptional Performance" Pfeiffer & Company 1990
65 Wilkins, "Effect Cultures: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28) : 468-481, 1983
66 Thomas, K. W, "Cognitive Elements of Empowerment: An Interpretive Model of Intrinsic Task Motivation" 15 (15): 666-681, 1990
67 Amabile, T. M, "A Model of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Organization" (10) : 123-167, 1988
68 Parasuraman, A, "A Conceptual Model of Service Quality and I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49) : 41-50, 1985
노인이 경험하는 세대통합 프로그램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거주지역의 경제적 특성에 따른 대중의 불평등 인식수준과 빈곤관의 차이 분석
노인일자리사업 실무자의 직무관련 요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9 | 1.29 | 1.3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5 | 1.33 | 1.68 | 0.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