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According to the side of the view of historical thought, the major important meanings of the foundation of chosen Dynasty is the ideological reformation from the Buddist idea to the confucian idea which needed the race harmony, new confucian idea which gives rationalization and justification of the establishment of new dynasty have a great influence upon the whole field culture as a kind of government and social ethics. As for consideration of the architectural culture which formed according to the confucian ideas like this, the study of the Spatial Organization of the confucian architecture which say the positive experience space of the confucian ideas as the practice a drill hall where learned and made familiar with the confucian idea must be preceded.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find out the characteristic about the Spatial organization of Hynagkyo and Seowon which built in chosen Dynasty period (1392-1910) Accordingly for the progression of this study, we shall find that the environmental factor exerted influence upon the Spatial Organization of Hyangkyo and Seowon through the literatures, and consider that with on the object of 22 number of Hynagkyo (Survey 17, Literature 5) and 15 numbers of Seowon (Survey 10, Literature 5) which comparatively has a good preservation on the object of study among the existed structures, consider the materials and literatures which have Survey investigation from April in 1985 till August in 1986, and take a part of position of a concept of space of Korean Confucian Archite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ation the positive material through the case analysis. As the result of the synthetic analysis of literature and investigation materials like this, we can get conclusion as following as the characteristic of the Spatial Organization of Hyangkyo and Seowon: First, because of the reason that the nature Korea's environment is suitable of the proper geographical selection through the Yin and Yang Five elements idea and Feng-Shui idea, it affected as the major factor of the Spatial Organization to the location and direction of Hyangkyo and Seowon Architecture. Second, as the Choson Dynasty has the strict social position which laying stress on the nobility for the formation of the strong centralization of government organization, it has adopted the Confucian idea as the principle of politics and education based on the etiquette for the maintenance of household management, society and Nation's order. Third, Hyangkyo and Seowon, the central institution of the confucian ideology as the local educational institution in Choson Dynasty period, have no great difference of education which government and private school which established in the basis of reverence, the floor plan and arrangement form have no great difference also. Fourth, we can see that the Spatial Organization of Hyangkyo and Seowon architecture on the ground of the axis is eventually formed which implied the direction of the love of sky symbolistic of sky and human unity through the social ethics; Kind, Teacher and Parents is one, and Heaven, Earth and Human's Triple universal viewpoint. Fifth, according to the variation element of sight and perceptional space emotion, we can perceive the connection of each space that the observer who approached to the each space to induce the Spatial Organization of Hyangkyo and Seowon architecture to the another space easily. Sixth, the Spatial Organization of Hyangkyo and Seowon architecture which formed with immanence the hierarchy rule gives the space order which implied the location according to the level difference of the ground and structure's volume, finishing grade and form according to the functional connection in the overall location plan. Finally, because of the Structural style of Hyangkyo and Seowon is formed on the basis of the reverence and simplicity, we can feel the solemn coercion as if praise to the lofty character and virtue of modesty even though these have not the splendid and grand character like as the Buddhist temple and the Palace Architecture.
朝鮮時代 鄕校와 書院의 空間構成과 風水立地에 관한 硏究 : 地域別 주요 鄕校와 書院을 중심으로
허태호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본 논문의 목적은 조선 시대 교육과 배향 기관인 향교와 서원이 지닌 풍수적 입지상의 특성을 분석하며, 이의 연장선상에서 교육과 문화관광의 측면에서 이들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조선은 유교이념이 사회운영의 제반원리로 작동하는 유교국가 체제이다. 국가적 차원에서도 유교국가 체제를 구축하기 위하여 지방민을 교화할 목적으로 향교를 모든 군현에 설립하였다. 향교를 통해 유교 중심의 교육과 문화를 강화, 확대하려는 의도였다. 한편 서원의 등장은 조선사회의 정치변동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 조선 중기 사림정치의 도래 이후, 서원은 사림들의 활동 근거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향교와 서원은 유교와 풍수사상이 공존하는 공간이다. 유교의 위계질서와 절제미를 표출하고 있으며, 풍수적 지형을 통하여 인재 배출 통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입지와 배치의 측면에서도 산줄기를 타고 오는 지기地氣를 온전히 받도록 하는 풍수지리의 요소를 중요하게 적용한다는 공통점을 지니면서도, 기능의 중요성에 따라 차이점을 보였다. 본 논문은 여덟 곳의 향교와 다섯 곳의 서원을 대상으로 하여, 배향기능과 강학기능 그리고 이와 연계된 공간배치, 풍수적 입수와 혈의 결지 여부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능과 그 중요성에 따라 공간 구성의 차이를 보였다. 첫째, 기능의 중요성에 따른 우선순위의 차이이다. 향교는 선현에 대한 제향, 강학, 사회교화 등이며, 서원은 강학과 제향, 그리고 풍류와 지역사회의 도서관 역할 등이었다. 둘째, 향교와 서원의 배향대상과 공간구성의 차이이다. 향교는 배향대상으로 중국을 포함시켰다. 반면, 서원은 중국을 제외시켰으며, 서원의 학맥을 대표하는 사람 1인을 배향하였다. 따라서 향교는 배향인물이 많았기 때문에 대성전⦁동무⦁서무에 나누어 배향하였다. 서원은 사당에 배향을 하였다. 다음으로 건물 배치의 차이이다. 향교는 배향공간의 대성전과 강학공간의 명륜당을 중심으로, 전묘후학⦁전학후묘⦁좌묘우학⦁우학좌묘 등을 기준으로 삼았으며, 선현을 배향하는 대성전을 위계상 우선시 하였다. 서원은 배향 인물이 적어 전면으로 나오지 못하고 가장 깊숙한 곳에 배치하고 있다. 규모도 작았으며, ‘사당’이라고 명명하였다. 셋째, 강학기능과 배향기능의 공간구성에 있어서 위계질서를 엄격하게 구분하였다. 강학공간은 유학의 가르침을 직접 주고받는 공간이며 배향공간은 제사를 통해 선현들의 가르침을 되새기는 수양공간으로 제례행사를 매우 중요하게 여겼다. 건물의 배치 위치나 높이도 위계상으로 대성전이 명륜당보다 높고 크다. 명륜당의 단과 건물의 높이는 대성전보다 낮아야 하며, 건물의 규모도 대성전 보다 크지 않아야 한다. 넷째, 향교와 서원의 입수 영역이다. 향교는 지방의 관부에서 읍성 밖으로 1리 혹은 3리 이내에 배치되었으며, 관부의 남쪽에 배치되지 않았다. 이것은 관부가 자좌오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간섭하지 않기 위함이었다. 향교는 관부의 동쪽 혹은 서쪽에 별도의 지맥을 잡아 배치하였으며, 굳이 자좌오향을 고집하지 않았지만 특이한 점은 대성전이 혈처에 배치한 곳이 많았던 것이다. 반면 서원은 관부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좌향은 자좌오향이 대부분이었으며, 강당을 혈처에 배치하였다. 이것은 사림이 자좌오향을 선호하였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혈처에 강당을 배치한 것으로 미루어볼 때, 강학기능을 중요시하였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는 향교와 서원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현시점에서 향교와 서원을 조선시대의 교육기관과 같은 역할로서 기대할 수는 없지만, 점점 사라져 가는 전통문화를 전승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쉽게 학습할 수 있는 기회의 장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주제어: 향교, 서원, 강학, 배향, 대성전, 명륜당, 청룡, 백호, 풍수입지, 사당 Confucian schools and Seowons, two major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e Joseon dynasty, played roles to demonstrate order and moderation of Confucianism and to develop talents by Feng Shui topography as the coexisting space with the perspectives of Confucianism and Feng Shui. Hence, with respect to the locations, orientations, and architectures of two tradi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this study was aimed to review how Confucian schools and Seowons were expressed differently with the selection criteria of Feng Shui topography for local officers and noblemen to receive the wisdom from the mountain range; to seek the utilization status and plans of Confucian schools and Seowons that had maintained their position as serving places of ancestors for some scholars; and to find out the useful implications of the architectures for educational institutions. To do so, 8 Confucian schools and 5 Seowons in the local administrative cities were investigated as the study subjects including Confucian schools in Seonggyungwan, Naju, Jeonju, Sangju, Gyungju, Cheongju, Chungju, and Chuncheon; and Sosoo, Dosan, Byungsan, Pilam, and Museong Seowons, respectively. They were divided by Confucian schools and Seowons first, and general characteristics, spatial functions, organization, and Feng Shui location were reviewed for both Confucian schools and Seowons. Differences were also reviewed and lastly, their utilization status and plans were approach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Confucian schools and Seowons was the organizer, either public or private. With respect to the foundation period, Confucian schools had been originated from the Goryeo dynasty and they were established at the local counties in King Seongjong, the Joseon dynasty while Seowons were originated in the 16th century of the Joseon dynasty. Main functions of Confucian schools were memorial service for the ancestors as a top priority followed by pursuit studies and reforming society. Seowons functioned pursuit studies first followed by memorial service for the ancestors and they played roles as public libraries for the communities. In terms of locations, Confucian schools were located in downtown near the local government offices while Seowons were located in the uncrowded areas with good scenery. Second, with regard to differences of the function of serving the past scholars and space, Confucian schools prioritized serving the past scholars including Confucius, 4 Wes, 10 Cheols, and national 18 Hyuns while Seowons served one scholar representing their schools. Therefore, Confucian schools served separating them into Daesungjeon, the East, and the West since the ancestors were many, and Seowons served them in the shrine. With respect to the allocations of architectures, there were allocation criteria in Confucian schools including Jeonmyowhohak, Jeonhakwhomyo, Jwamyowoohak, and Woohakjwamyo based on Daesungjeon and Myungryundang as the spaces for ancestor service and studies, respectively, and they prioritized Daesungjeon to serve the ancestors. Since the number of ancestors to be served in Seowons was not many, the shrine was located deep inside without exposure in front. Third, the hierarchical order was strictly divided in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lecture function and orientation function. The Ganghak space is a space for directly exchanging the teachings of Confucianism, and the Orientation space is a training space that reflects the teachings of the predecessors through rituals. Fourth, related to the locations, Confucian schools were located within 1 to 3 Ri out of fortress from the local government office, and they were not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government office. This was not to interfere each other since the government office was located as Jajwaohyang. Confucian schools were located in the east or west of the government office following separate vein, and they did not follow Jajwaohyang with clean area of Daesungjeon. On the other hand, Seowons were located in the calm and noncrowded areas without affecting the government office following separate vein, and they followed Jajwaohyang, reflecting its preference by scholars in Joseon. Allocation of auditorium in Seowons at the caves implicated they empathized pursuit studies. Fifth, with respect to the differences of utilization status as the cultural tourism, Confucian schools were designated as ‘treasures’ or ‘local cultural properties,’ while 9 Seowons were enlisted as ‘UNESCO World Cultural Heritages’ in 2019. In terms of education, both institutions focused on personality education commonly, while the students were children and general public for Confucian schools and multiple targets were for Seowons including children, adolescents, adults, foreigners, and so on connecting with cultural tourism. For future development plans, Korean Seowon Integrative Conservation Management Corps took the initiatives for succession of Seowons. There is Union of Confucian schools for Confucian schools, however, they showed ununified features with loud voices from each scholar, separately, which made the investigator depressed. They should develop educational and playing programs integrating the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so as for the youth to approach them easily without burden. Keywords: Confucian School, Seowon, Pursuit Studies, Serving the Past Scholars, Daesungjeon, Myungryundang, Blue Dragon, White Tiger, Feng Shui, Shrine.
황일환 대구한의대학교 보건복지 대학원 2018 국내석사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시대 유학을 통치이념으로 삼으며 유학을 실천하고 가르치던 공적, 사적 교육을 담당했던 선산지역의 선산향교와 금오서원의 입지선정과 건물의 배치 등 전반적인 주변 환경과 자연적인 여건들이 풍수사상에 입각하여 입지를 선정하였음을 고찰 해 보았다. 유학의 위상을 높이고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며 안정되고 위엄 있는 기상을 갖추는 등 제반 조건에 합당한 풍수적 길지를 선택 하였고 이에 부합하고자 자신들이 만든 공간에 풍수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삶터를 명당으로 가꾸고 유지하려 했던 선인들의 노력 속에 담겨있는 슬기로움과 지혜를 찾아내고 재구성하는 노력은 수많은 문화유산들을 체험하고 향유하게 하는 계기가 된다. 선산향교와 금오서원은 모두 공통적으로 주변 산천의 지형과 지세를 면밀하게 살펴 내룡이 끝나는 혈적한 곳에 재혈하였으며, 전형적인 배산임수와 전저후고의 땅을 선택하였다. 즉 조선의 유교건축은 풍수를 바탕으로 입지선정과 건축물의 공간배치가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향교는 읍치와 가까워야 했으므로 전면에 넓게 개방되는 등 경관은 서원과 차이를 보이고 있다. 주산의 경우 향교는 부와 귀를 상징하는 금성체인 반면, 서원은 총명 · 문필 · 관직을 관장하는 목성체로 되어 있으나, 안산과 주위의 사는 대부분 도로 · 택지 개발 등으로 많이 훼손되어 있는 실정이다. 선산향교와 금오서원의 혈처에 해당되는 곳에는 제향공간인 대성전과 상현묘가 각각 차지하고 있는 제향중심의 향교와 서원이다. 주변지형의 장점을 목적에 맞도록 활용하였고 단점을 환경 친화적으로 보완하여 주어진 땅을 길지로 만들어 선비정신에 입각한 상하 위계질서를 준수하는 교육의 場으로 설립하였다 하겠다. 당시의 사림에서는 국가가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공적 · 사적 교육기관인 향교와 서원들을 건립시 “좋은 땅에서 큰 인물이 난다”(‘지령인걸)’ 이라는 명제에 의거 주변 산천을 세밀히 살펴 터를 정한 후 전통질서 체계에 부합된 공간적 위계질서에 따라 자연 친화적인 건축물의 배치구도를 정하였다. 이것은 오늘날 무분별하게 행하여지고 있는 난개발과 환경을 무시한 경제적 논리와 편리성에만 입각한 자연 학대에 대한 본보기가 되어 현대건축이 시대의 요구에 맞는 길로 갈 수 있는 이정표가 되어야 한다. 선산지역의 조선시대 대표적인 유교 건축물인 선산향교와 금오서원의 가치와 전통을 풍수적 측면에서 재조명하고 정리하고 그 시대의 입지여건 및 건축적 특성을 추출하여 상호 비교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Hyang-gyos(鄕校) and Seo-wons(書院) were the public and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which were used in the Joseon dynasty. This study examined how the Feng-Shui condition influenced the selection of locations and the arrangement of the buildings. For this purpose, Sun-san Hyang-gyo and Geum-o Seo-won in Sun-san area have been selected. This study shows that Sun-san Hyang-gyo and Geum-o Seo-won had the good geographical conditions of Feng-Shui's Baesanlimsu(背山臨水) and Jeonjeahugo(前低後高), and that they were the memorial-focused Hyang-gyo and Seo-won that Daesungjeon and Sanghyunmyo were located in hyul(穴: Feng-Shui's ideal spot) of them. The difference of them was the shape of their Ju-san(主山). That is, the Ju-san of Sun-san Hyang-gyo was the Gyumsung-shaped(金星形), which meaned riches and honors. On the other hand, the Ju-san of Geum-o Seo-won was the Moksung-shaped(木星形), which meaned wisdom and writing and government post. The ancestor's nature-friendly idea was emphasized in the selection of locations and the arrangement of the buildings. Recently, however, the ecosystem has been seriously damaged by reckless development. With these concerns, this study will provide a way for today's architectural developments to have greater harmony and Sangsaeng(相生, Living Together) between human beings and the nature. Keywords: Feng-Shui, Sun-san area, Sun-san Hyang-gyo, Geum-o Seo-won, Confucianism buildings, Baesanlimsu(背山臨水), Jeonjeahugo(前低後高).
향교·서원 문화콘텐츠의 브랜드개성이 관광체험과 체험 후 평가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방미영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The cultural value of Hyanggyo and Seowon was re-recognized when Seowon in Korea was listed a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on July 6, 2019. Hyanggyo and Seowon are Korean cultural heritages that are based on the spirit and living culture of Koreans by inheriting the tradition of Confucian culture. There are nine Confucian academies listed as UNESCO World Heritage sites, including Dodong Seowon, Sosuseowon, Dosan Seowon, Byeongsan Seowon, Oksan Seowon, Namgye Seowon, Pilam Seowon, Museong Seowon, and Donam Seowon. As Hyanggyo and Seowon were registered as UNESCO World Heritage sites, it attract the attention of the people who wanted to experience Korean culture and Korean Wave fans. Therefore, Hyanggyo and Seowon need to understand and discuss how to resource the traditions and historical values of Confucian culture as cultural tourism. This study started with the perception that understanding and discussion on brand personality of cultural contents are needed for the resourceization of culture and tourism of Hyanggyo and Seow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Hyanggyo and Seowon cultural contents on cultural contents experience based on brand personality and to present a plan to develop contents suitable for the trend of the times. Based on this, to help Hyanggyo and Seowon become a venue for cultural content experience in the space of cultural assets, this study comes up with a plan for joint utilization in conjunction with facilities in the community. 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propose measures to expand the operation in connection with local human resources so that the cultural contents of Hyanggyo and Seowon can be possessed and enjoyed, to establish a network and to spread the experience contents to make it sustainable. This research was done in parallel with the literature study and empirical study in the research method according to the research methodology of social science. This study established the theory in domestic and foreign related references. The case analysis of Hyanggyo and Seowon cultural contents was conducted in a qualitative manner based on the questionnaire on two Hyanggyo and one Seowon by experts who had a lot of experience in this field as research participants. This study us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to identify the flow of the relationships when causal relationships exist among the constructions concept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personality factors and tourism experience facto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experience factors and post-experience evaluation factors. In addition to evaluating the brand personality of Hyanggyo and Seowon cultural contents, an evaluation of cultural contents are to be conducted after experience. Suggestions obtained based on analysis cases and empirical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ultural contents of Hyanggyo and Seowon are limited to educational experiences as of traditional culture, innovation should be built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that can be reborn as cliche cultural contents for future generations and maintain brand personality continuously through creativity. To this end, the ways to digitize educational experience contents such as web-based electronic publishing, games, entertainment elements and video contents of VR/AR should be seek. Second, the cultural contents of Hyanggyo and Seowon need to develop traditionally enjoyable play experience tools to enhance innovation along with the historical interpretation of tradition and folk games. In addition, Confucian scholars, management staff and local communities should establish a network for consensus together for institutional measures to transform Hyanggyo and Seowon into a space that allows them to enjoy laugh and chat in a solemn space of education and decency. Third, the buildings of Hyanggyo and Seowon already have an aesthetic perspective, but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failure of the surroundings of Hyanggyo and Seowon to maintain aesthetics, a linkage plan should be devised to improve the surrounding landscape along with the perimeter roads where one can enjoy taking a walk. Fourth, it should be regularized to wear traditional clothes during the experience period so that cultural contents of Hyanggyo and Seowon can experience deviant experiences through the effects of immersion, and institutionalized ‘Hyanggyo Stay’ so that creative thinking can be found new through the old things or traditional manner can be continued. Fifth, Hyanggyo and Seowon are not equipped with air-conditioning facilities, making it difficult to proceed with summer events. Experience contents that have not been implemented in a pleasant environment will become a negative perception of brand individuality beyond the intention of the experience to be delivered. Measures should be devised to jointly utilize local community facilities to supplement facilities so that buildings of Hyanggyo and Seowon can overcome weak structures in summer and winter. Sixth, personnel for PR marketing in the New Media Age should be deployed. To this purpose, measures and continuous networks should be established to link with human resources such as local youth and university students. Seventh, in order to highlight originality through in connection with local culture, a network method that can lead to a pilgrimage course of Hyanggyo and Seowon across the country should be explored. Future research projects to addres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analyzing cases of Hyanggyo and Seowon's cultural contents, various studies are needed through regional case analysis of Hyanggyo and Seowon across the country so that Hyanggyo and Seowon cultural contents operated as support projects can be established and considered as their own projects. Second, since the cultural contents of Hyanggyo and Seowon are recognized as the most highly by experienced people and Hyanggyo and Seowon in modern society are recognized as the center of spiritual cultur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fulfill the role of character education for youths who have not participated experiencing in Hyanggyo and Seowon cultural contents. Third, research that includes those who experienced Hyanggyo and Seowon cultural contents as well as those who not-experienced Hyanggyo and Seowon cultural contents is needed to induce the inflow of potential customers into Hyanggyo and Seowon cultural contents and to confirm empathy for Hyanggyo and Seowon cultural contents between experienced and non-experienced people. 한국의 서원은 2019년 7월 6일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면 서 향교·서원의 문화적 가치가 재인식되었다. 향교·서원은 유교문화의 전 통을 계승하여 한국인의 정신문화와 생활문화에 근간을 이루는 한국문화 의 유산이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서원은 도동서원, 소수서 원, 도산서원, 병산서원, 옥산서원, 남계서원, 필암서원, 무성서원, 돈암서 원 등 아홉 곳이다. 향교·서원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계기로, 한국문화를 경험하고 싶어 하는 국민들과 한류 팬들의 관심을 받게 되었 다. 따라서 향교·서원은 유교문화권의 전통과 역사적 가치를 어떻게 문화 관광으로 자원화 하는가에 대한 이해와 논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향교·서원의 문화관광 자원화를 위해 문화콘텐츠의 브랜드개 성에 대한 이해와 논의가 필요하다는 인식으로부터 출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향교·서원 문화콘텐츠가 브랜드개성을 토대로 문화콘텐 츠 체험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여 시대의 트렌드에 맞는 콘텐츠 개발 방안 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바탕으로 향교·서원이 문화재로서의 공간에 서 문화콘텐츠 체험의 장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역사회의 시 설과 연계한 공동 활용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향교·서원 문화콘 텐츠가 향유될 수 있도록 지역의 인적자원과 연계한 운영 확대와 이를 지 속가능하게 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축과 체험콘텐츠 보급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사회과학의 연구방법론에 따라 연구방법에 있어 문헌적 연 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를 국내·외 관련 서적과 논문에 서 이론을 정립하였다. 향교·서원 문화콘텐츠의 사례분석은 향교 2곳과 서원 1곳을 설정하여 이 분야에 경험이 많은 전문가를 연구 참여자로 선 정하여 질문지 토대로 질적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구성 개념들 간의 인과관계가 존재할 때 그 관계들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구조방정 식(Structural Equation Model : SEM)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브랜드개성 요인들과 관광체험 요인들과의 관계와 관광체험 요인들과 체험 후 평가 요인들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향교·서원의 문화콘텐츠 브랜드개성 향상 및 체험 후 평가 그리고 분석 사례와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얻어진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향교·서원의 문화콘텐츠가 전통문화를 답습하는 교육적 체험으로 국한되어 있고, 미래 세대들에게 진부한 문화콘텐츠로 인식되어 있어 창 의성을 통해 브랜드개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시대의 트렌드에 따른 혁신성을 구축해야 한다. 이를 위해 웹 기반의 전자출판, 게임, VR/AR의 엔터테인먼트적 요소와 영상 콘텐츠 등 교육적 체험콘텐츠의 디지털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둘째, 향교·서원의 문화콘텐츠는 전통과 민속놀이에 대한 시대적 해석 과 함께 혁신성을 높이기 위한 전통놀이 체험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향교·서원이 교육과 배례의 엄숙한 공간에서 웃고 떠들 수 있는 오 락적 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공간으로 전환하는 제도적 방안을 위해 유림 단체와 운영진 그리고 지역사회가 함께 공감대를 위한 네트워크를 구축해 야 한다. 셋째, 향교·서원의 건축물은 이미 미학적 관점을 갖추고 있지만 향교· 서원의 주변 환경이 심미성을 유지하게 하지 못한 것을 보완하기 위하여 주변을 산책할 수 있는 둘레 길과 주변 조경을 함께 개선하기 위한 연계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향교·서원의 문화콘텐츠가 몰입의 효과를 통해 일탈적 체험이 가 능하도록 체험기간 동안 전통의복을 입는 것을 정례화 하고, 옛것을 통해 새로움을 발견할 수 있는 창의적 사고가 이어질 수 있도록 <향교스테이> 를 제도화 하여야 한다. 다섯째, 향교·서원이 냉방시설이 갖춰져 있지 않아 여름철 행사 진행에 대한 어려움이 있다. 쾌적한 환경에서 이루어지지 않은 체험콘텐츠는 전 달하고자 하는 체험의 의도를 벗어나 브랜드개성에 부정적 인식으로 자리 매김하게 된다. 향교·서원의 건축물이 여름과 겨울철에 취약한 구조를 극 복할 수 있도록 시설을 보완하기 위한 지역사회의 시설을 공동으로 활용 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여섯째, 뉴미디어시대 홍보마케팅을 위한 인력이 투입되어야 한다. 이 를 위해서는 지역의 청소년 및 대학생들의 인적자원과의 연계를 위한 방 안과 지속적인 네트워크가 구축되어야 한다. 일곱째, 향교·서원 문화콘텐츠의 체험이 대동소이하게 운영되지 않고 지역문화와의 연계를 통해 독창성을 부각하기 위해 전국의 향교·서원의 순례코스가 하나로 이어질 수 있는 네트워크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한 향후 연구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향교·서원 문화콘텐츠 사례 분석은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지 원 사업으로 운영되는 향교·서원 문화콘텐츠가 자체사업으로 운영되는 구 조를 구축하고 이를 고찰할 수 있도록 전국 향교·서원의 권역별 사례분석 을 통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향교·서원 문화콘텐츠는 교육적 체험이 체험객들에게 가장 높이 인지되어 있고, 향교·서원이 한국의 정신문화 중심지로 인식되고 있어 현 대사회에서 가장 취약하고 필요한 인성교육에 대한 해답을 득할 수 있는 영역이다. 따라서 향교·서원 문화콘텐츠에 참가하지 않은 청소년을 대상 으로 한 인성교육의 역할 수행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향교·서원은 문화콘텐츠에 대한 잠재고객의 유입을 유도하고, 체 험객과 비체험객 간의 향교·서원 문화콘텐츠에 대한 공감을 확인할 수 있 도록 실증분석 대상을 향교·서원 문화콘텐츠의 체험자뿐만 아니라 비체험 자가 포함된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laces where Hyanggyo and Seowon were located during the Joseon Dynasty as indicators determined from a Feng Shui perspective to confirm location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Therefore, the locations where five Hyanggyos and six Seowons in the Yeongnam region are located were analyzed and evaluated using 62 Feng Shui indicators determined from a Feng Shui perspective. As a result, first of all, there were some items that did not match in Hyanggyo. However, in accordance with many items, a high conformity rate of 90.0% on average appeared. And there were some items that did not match even in Seowon. However, in accordance with many items, a high conformity rate of 89.0% on average appeared. Comparing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places where Hyanggyo and Seowon are located,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Cheong-ryong(靑龍) and Back-ho(白虎). most of the conformity rates were the same in Yong-maek(龍脈), Hyeon-mu(玄武), Joan-san(朝案山), Water(水), Jungsim-gonggan(中心空間), and Jwa-hyang(坐向).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re was a time difference of nearly 200 years since the full-scale establishment of Hyanggyo and Seowon, and although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Hyanggyo and Seowon were applied in conflicting ways, it appears that almost the same Feng Shui thinking was applied when determining the location. In addition, most of the Hyanggyo and Seowon are located in a sloped area with Baesan-imsu(背山臨水). Such a place is a good place for Feng Shui. Therefore, the place where Hyanggyo and Seowon are located can be said to be a good place for Feng Shui. As a result, it is believed that Joseon's Confucian scholars actively accepted the Feng Shui thinking of Zhu Xi and used the common Feng Shui at the time to achieve harmony and balance and set a stable good place where Hyanggyo and Seowon were located. As above, the Feng Shui requirements of the place where Hyanggyo and Seowon are located were checked.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Joseon's Confucian scholars clearly applied Feng Shui thinking when determining the location of Hyanggyo and Seowon. In the future, when analyzing the locations where other Hyanggyo and Seowon are located, more efficient analysis will be possible if the Feng Shui indicators presented in this paper are used.
경기지역 향교, 서원의 廟, 學공간간 건축적 위계성에 관한 연구
조선시대 향교는 유교이념을 보급하기 위해 세워진 관학으로 개국과 함께 전국의 크고 작은 고을에 건립되었다. 이후 관학이 부패하여 향교 내 교육이 지지부진해지자 16세기 중엽부터 새로운 사립교육기관, 즉 서원이 등장하였다. 향교와 서원은 크게 교육을 위한 강학공간과 유학의 선현들을 봉사하기 위한 제향공간으로 나뉜다. 그간 이루어진 서원 및 향교에 관한 연구는 현황파악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 본 논문은 강학공간과 제향공간의 상관관계에 주목하여 그 위계적 차별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선행적으로 기초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이후 현장조사를 진행하였다. 기초자료 수집과정 중에서 도면을 구하지 못한 대상지에 대해서는 실측조사를 진행하였다. 현장조사는 크게 실측조사와 사진촬영, 그리고 담당자 및 주민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는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수집 된 자료들은 기초자료들과 더불어 종합적인 분석의 과정을 거쳤다. 다만 현대에 남아있는 향교, 서원의 모습은 교육적인 기능이 사실상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고문헌을 통해 과거의 모습과 현재의 변화추이를 고려하는 과정을 거쳐야한다. 향교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고려 인종5년이나, 이전에도 이미 학교형태의 교육기관이 존재하였다. 단 이때부터 고려 말까지는 ‘廟學同宮’의 시기로 제향공간과 강학공간간의 확실한 영역은 존재하지 않았던 것 같다. 조선조에 들어서면서 태조 때 수령의 직무로 ‘學校興’이 추가되었고 늦어도 성종 17년(1486년)까지는 ‘一邑一校’ 체제가 완성되었다. 1530년 발간된 『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전국의 향교가 331개라고 전한다. 다만 15세기말부터 점차 쇠퇴를 거듭하여 16세기 중엽에는 중국의 서원을 모방한 ‘백운동서원’이 건립되었고, 향교의 교육기능은 마을 내, 상징적으로 자리하는 선현봉사기구로 전락하였다. 서원 역시 건립 초기에는 학문적 기능에 충실한 반면, 17∼18세기에 이르면서 향사우위의 시대에 돌입하게 되었고, 19세기에 들어서면서 본래의 교육기능은 점차 쇠퇴하여 가문과 당파의 이해관계에 따른 기관이 되었다. 이에 흥선대원군은 남설 되어있던 서원을 47개소로 통폐합시키는 지경에 이르렀다. 향교, 서원은 유학 이념인 敬이 표출된 공간으로 철저한 위계를 가지고 있다. 경이라는 것은 유학 본연의 학문 뿐 아니라 생활 전반에서 갖추어야 할 밑바닥 정신으로 제시되는 덕목으로 현대적으로 굳이 풀어보자면 공경함, 엄숙함, 삼가야 함 정도로 풀이된다. 이러한 뜻이 발현된 유교 건축물들은 대체로 화려함과 번잡함을 피하고 정연함을 잃지 않은 채 실용성과 엄숙함을 갖추고 있다. 향교와 서원은 교육적인 시설임에도 한결같이 선현에 대한 봉사(奉祀)시설을 갖추고 있어야한다. 이는 유학의 학문적 경지가 마음가짐에서 온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의지가 표출된 것이 ‘廟’ 공간으로 가장 위계가 높은 공간을 형성한다. 한편 성균관에 입학하기 위해서는 소과에 합격해야 하며, 향교는 그 소과응시를 준비하는 과정이었다. 강당을 비롯한 강학영역은 교학사상을 실천하기 위해 마련된 공간으로써 교육이라는 본래의 취지에 가장 부합하는 장소로 廟공간보다는 위계가 다소 낮지만 일상적인 행위가 일어나는 공간이라는 점에서 상대적으로 다양성과 실용성을 갖추고 있다. 본 연구는 왜란, 호란과 특히 한국전쟁을 통해 원형의 모습을 상당수 잃어버린 경기지역 향교들의 기존 모습을 최대한 추적하여 본래 배치에서 파생되는 위계에 관해 고찰하였다. 특히 16세기에 이르면서 강학영역과 제향영역이 확실히 구분되는 시기로 건축적인 위계질서들이 자리 잡았다. 특히 경기서북부에서 유독 보이는 양재와 강당의 같은 횡 축 배열과 전당후재, 전재후당으로 대표되는 배치관계에 대한 고찰을 통해 경기 향교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반면 경기지역의 서원들이 여타 삼남지방보다 주목되는 것은 정치적인 이해관계가 바로 건축에서 표출된다는 점이다. 삼남지역의 사액비율은 경상도 32.4%, 전라도 41.6% 충청도 55.0%로 나타나는데 경기지역은 90%에 육박한다는 것이 이를 증명한다. 이러한 성향은 정쟁의 흐름에 따라 설립되는 서원들의 색깔까지 정해버렸다. 한편 같은 기호사림의 영향권인 호남권역은 그들의 학문을 발전시켜나가는 장소를 제공하였으며 근간을 이루었다. 그러나 경기지역은 여타 학파들과 격전의 장소로써 그들 통치의 정당성을 드러내기 위한 서원들이 다수 건립되었다. 따라서 같은 기호사림의 영향권이지만 경기지역이 도성과 인접해 있는 지리적인 영향 탓으로 건축적으로 다소의 차이가 발생한 것이다. 그러나 이 중에서도 분명히 제향위주의 서원만은 존재한 것은 아니었다. 도봉서원과 석실서원, 충렬서원, 심곡서원 등은 강학위주 서원들로 장수와 유식의 기능을 두루 갖춘 교육공간이었다. 본 연구는 향교·서원의 위계질서를 결정짓는 요소들로 유교적 논리와 풍수지리, 묘침이론 등이 서로 관계 맺는다고 보았다. 따라서 이러한 배경을 적용하여 분석하
朝鮮時代 鄕校와 書院의 風水地理的 특성연구 :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를 中心으로
본 논문은 조선시대에 건축되어진 전라남도와 광주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향교와 서원의 길흉을 양택풍수지리 이기법인 黃帝宅經와 陽宅三要을 통해 판단해 보았으며, 문제점을 찾고 해결책을 제시해보았다. 그리고 風水地理 형기론을 적용하여 이를 바탕으로 5개의 향교와 서원에 관한 건물의 배치와 좌향 그리고 주변 산세의 형태와 특색을 분석하여 활용도를 최대화 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았다. 본 논문에서 총 5개의 향교와 서원을 먼저 형기론을 적용하기 위해 주변 산세와 모습을 사진을 통해 기록하여 좋은 형태의 산세와 좋지 못한 지형의 모습을 관찰하였다. 형세론을 적용하기 위해서 큰 도로의 형상이 건물에 어떠한 형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 보았고, 향교와 서원 주변 산세의 형상이 아름다워서 좋은 영향을 미치는지 또는 산세가 아름답지 못하여 향교와 서원에 악영향을 미치는지를 형기론으로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건물의 좌향을 확인하여 총체적인 분석을 이기론으로 하였다. 黃帝宅經와 陽宅三要에는 九星과 팔괘방위의 설명과 길흉을 통해 오행의 상생과 길흉의 형상이 잘 나타나 있다. 이 이론을 바탕으로 교육에 있어서 집중이 잘 되는 건물이 어떠한 형태인지에 대한 궁금증을 느끼고 있었으며 이러한 궁금증을 풀기 위하여 본 논문을 작성하였다. 교육의 문제는 인류의 숙제이며 과거부터 현재까지 끊임없이 풀어야 할 과제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그래서 교육을 위한 건축물의 적용에 현실적인 어려움이 많았으므로 실제 건축물에 적용성이 높은 양택의 이론이 더 정밀해질 필요성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광주와 전남지방의 향교와 서원을 분석해 본 결과 다수의 향교와 서원의 형세로는, 뒤는 산으로 둘러 쌓여 있고 앞은 물이 흐르는 배산임수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또한 형기적으로 뒤는 높고 앞이 낮은 전저후고 형태로 좋은 형태를 이루고 있었다. 하지만 후대에 건설된 도로나 주변의 큰 건물로 인한 지형과 환경의 변화에 따른 지리적 손해를 보게 되는 형태가 발견되었다. 이를 통해 문제가 있는 부분은 좋은 기운이 올 수 있도록 ‘趨全避闕 增高益下’ 해주는 방법을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하였고, 이를 개선한다면 향교와 서원이 현대에도 잘 사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다만 風水地理 이론 중에서 양택을 대표하는 이기론인 黃帝宅經과 陽宅三要 두 가지 이론으로만 적용하여 판단하였다. 그래서 보다 다양한 이론을 적용하지 못한 한계가 있으므로 다음 연구에 숙제로 남겨놓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good or bad lucks of Hyanggyo and Seowon in Gwangju and Jeollanamdo which were built in Joseon Dynasty through Hwangjenaegyeong and Yangtaeksamyo, which were related to Yigi of Pungsu-Chiri. This study tried to solve the problem and give a solution. It applied Hyeonggi of Pungsu-Chiri to analyzing shapes and characteristics of neighboring mountains and positions and directions to the left for five Hyanggyos and Seowons in order to maximize the use of them. This study recorded near mountains with photos and looked into good or bad geographies in order to apply Hyeonggi to the five Hyanggyos and Seowons. It investigated how the shapes of big roads influenced surrounding buildings in order to apply morphology and analyzed how good or bad the influence of the shapes of mountains near Hyanggyos and Seowons was through Hyeonggi and checked the direction to the left of the buildings for comprehensive analysis with Yigi. Hwangjenaegyeong and Yangtaeksamyo showed coexistence of the Five Elements and the shape of good or bad lucks by explaining Guseong and Palgwae directions. Tthis study is based on it and wonders what shape buildings that could grab more attentions and solve the wonder. Education is a man's eternal task and one of the challenges that should be solved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s it has been difficult to apply buildings to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Yangtaek of Pungsu-Chiri, which needs to be more specific in order to apply it to real buildings. As a result of analyzing Hyanggyos and Seowons in Gwangju and Jeollanamdo, most of them had mountains in the front, while streams in the back. The back of them was high, while the front was low. However, the changes in topography and environment near roads or buildings which were built later caused some geographical damages. This study gave the way for ‘Chujeonpigwal Jeunggoikha’, which means call good spirit to problems. Hyanggyo and Seowon could be well used in the present when it would be better. This study just applied Yangtaeksamyo and Hwangjenaegyeong, which is Yigi representing Yangtaek. Therefore, a question is pending because many theories were not applied.
김성용 대구한의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3 국내석사
본 硏究는 朝鮮時代 公·私的 學校敎育을 담당하였던 鄕校와 書院이 立地選定과 建物配置 등 전반적인 주변환경과 자연적인 여건들을 風水地理的으로 어떻게 적용하였는지 경산지역의 慈仁·河陽 鄕校와 琴湖·早谷書院을 대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향교와 서원 4개소 모두 藏風과 得水에 유리한 산과 물의 조건을 대부분 갖추고 있으며 虛한 곳에는 裨補를 통해 보완함으로써 明堂으로서의 面貌를 잘 보여주고 있다. 특히 향교의 穴處에는 講學空間인 明倫堂을 세우고 서원의 穴處에는 祭享空間인 祠堂을 건립하여 지형적인 正體性을 건물의 목적에 부합토록 하였다. 주변 지형의 장점을 목적에 맞게 활용하고 단점을 환경 친화적으로 보완하여 주어진 땅을 吉地로 만들어 선비정신에 입각한 상하 위계를 준수하는 교육의 場을 설립하였다. 당시의 邑治나 士林에서는 국가가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향교와 서원 건립시‘地靈人傑’이라는 命題에 의거 풍수이론을 바탕으로 주변 山川을 세밀히 살펴 터를 정한 후 유교 전통 체계에 부합된 공간적 위계질서에 따라 자연 친화적인 건축물의 배치구도를 정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오늘날 무분별하게 행하여지고 있는 난개발과 환경을 무시한 경제적 논리와 편리성에만 입각한 自然 학대에 대한 본보기가 되어 現代建築이 自然과 더불어 調和와 相生을 이루면서 卜居의 理想을 실현하는 길로 갈 수 있는 이정표가 되어야 한다. 특히, 學園·硏究都市임을 표방하고 있는 慶山市의 朝鮮時代 대표적 儒敎 建築物인 鄕校와 書院의 價値와 傳統을 풍수적 측면에서 재조명하여 그 시대의 立地與件 및 建築的 特性을 밝히는데 이 연구가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Hyang-gyos(鄕校) and Seo-wons(書院) were the public and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which were used in the Joseon dynasty. This study examined how the Feng-Shui condition influenced the selection of locations and the arrangement of the buildings. For this purpose, two Hyang-gyos and two Seo-wons in Gyeong-san area have been selected. This study shows that four Hyang-gyos and Seo-wons had the good geographical conditions of Feng-Shui's JangPung(藏風) or DukSu(得水). And to make the best site(Myungdang), the concept of Bibo(裨補) had been applied to either compensate for or remedy minor defects of an auspicious site in terms of Feng-Shui. Especially, Myengryundang Hall(an education area) was located in hyul(穴: Feng-Shui's ideal spot) of Hyang-gyo. On the other hand, Sadang, the household shrine-Sacrificial Space, was located in hyul of Seo-won. This shows the harmony between the geographical identity and the arrangement of the buildings. The ancestor's nature-friendly idea was emphasized in the selection of locations and the arrangement of the buildings. Recently, however, the ecosystem has been seriously damaged by reckless development. With these concerns, this study will provide a way for today's architectural developments to have greater harmony and Sangsaeng(相生, Living Together) between human beings and the nature.
김혜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본 연구는 조선 후기 울산과 언양 지역에 존재하였던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그 설립과정과 운영의 실제를 알 수 있는 기록들을 수집하여 18세기 이후 울산‧언양 지역의 교육 실상을 살펴보고, 지역 내에서 이루어졌던 문풍 진작을 위한 교육적 노력의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울산‧언양 지역은 조선의 ‘추로지향’이자 유학의 본고장이라 자부하는 영남에 위치한 고을이었지만, 울산은 지정학적 위치로 인한 국방상의 요충지로, 언양은 작고 가난한 산간벽지로 학구적인 분위기와는 거리가 먼 곳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울산‧언양 지역에서 이루어진 교육 및 흥학 활동에 대한 기록은 여러 곳에서 어렵지 않게 발견되고 있으며, 그러한 언급들은 조선 후기 향촌 교육의 의미를 밝히는 데에 매우 중요한 단서가 된다. 현재의 울산광역시는 조선시대의 울산부과 언양현을 아우르는 지역인데, 두 지역은 태화강으로 이어진 이웃 고을이었다. 울산부는 지정학적 위치상 일본과의 교류에 매우 중요한 거점이자 외적 침략의 위험에 직접적으로 노출된 곳이기도 하였기에 일찍이 무(武)를 숭상하는 분위기가 형성되었고, 언양현은 경상도에서 손꼽힐 정도의 작은 규모의 벽촌이었다. 그러나 이 두 지역은 수려한 경관과 천혜의 자연 환경을 배경으로 하는 풍류의 거점, 누정과 재사 등이 다수 존재하였으며, 이를 중심으로 지역의 여러 문인들은 풍류를 즐기며 교류하였음을 여러 기록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여러 기록을 통해서 울산과 언양 지역의 향교는 조선 초기부터 존속했으며, 이후 양난과 자연 재해 등의 이유로 몇 차례 이건이 이루어졌고, 17세기 중반을 전후로 현재의 터에 자리 잡은 후 현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울산‧언양 지역의 선비들은 고을의 사풍이 쉽게 진작되지 않자, 그것이 향교의 터가 길하지 않음에 의한 것이라는 이유를 삼아 여러 차례 재이건을 도모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고을 수령들은 선비들이 지령의 탓만 일삼고 배움에 힘쓰지 않는 마음가짐에 대해 꾸짖었던 것으로 기록 되어 있다. 실제로 울산‧언양 지역의 향교는 현재의 터에 자리 잡은 이후, 부단한 수즙(修葺)을 이루고 지역 유사와 유생들이 배움에 노력을 기울인 결과, 18세기 이후 한 명의 문과 급제자와 여러 명의 소과 입격자를 배출시키는 성과를 거두게 된다. 뿐만 아니라 울산과 언양에는 각각 17세기 말, 18세기 초에 구강서원, 반구서원을 시작으로 이후 여러 개의 서원이 설립되었으며, 이로 인해 보다 넓은 범위에서 학풍의 진작이 이루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서원은 관의 지원과 지역 유림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설립‧운영 되었으며, 특히 울산의 유일한 사액서원인 구강서원은 사액되는 과정에 있어서 지역 유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노력이 구체적인 기록으로 남아있어 더욱 의미 있다. 이와 더불어 지리지와 지역 문인들의 작품 및 연보에 언급되어 있는 향교, 서원 외의 기타 강학처, 각종 재실과 정자들 또한 그 내용이 적지 않다. 조선 후기 울산‧언양 지역의 교육기관과 활동에 대한 기록에는 기존의 조선 후기 향촌 교육 명목론 또는 쇠퇴론에 배치되는 내용이 상당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기록들은 1732년 왕명에 의해 전국에 반포된 조현명의 ‘권학절목’이 반영된 실제의 운영이었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 있다. 이와 같은 교육활동의 사실에 대한 기록은 앞으로 꾸준히 발견될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영조 20년(1744)에 완성된 『속대전』의 향교 교관 정원 내용 삭제가 곧 향교의 교육 기능 상실과 동일한 것으로 보는 기존의 시각 역시 울산‧언양 지역의 기록에 의하면 사실과 다름을 알 수 있다. 조정에서 향교 교관을 더 이상 파견하지 않았다는 것은 향교의 교육 기능 상실로 볼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향촌 자치 내에서 충분히 교수요원이 충당이 가능해졌다는 사실로 보아야 하고, 실제로 울산의 경우에도 지방관이 직접 향교의 도훈장을 뽑았다는 기록이 전한다. 조선 후기 지역의 향촌교육기관에서는 강학 활동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사실상 교육 기능이 쇠퇴하였다고 보는 기존의 통념에 대해 조선 후기 울산‧언양 지역의 교육 활동에 대한 기록이 갖는 의미는 실로 크다. 조선 후기 지방 교육에 대한 기존의 편파적인 관점과는 달리 조선 후기 울산과 언양의 다양한 교육 기관에서 여러 형태의 교육 활동이 이루어졌다는 기록이 여러 곳에서 발견되고 있다. 무풍이 득세하고 문풍이 열악하였다는 별 볼일 없는 고을에서조차 고을의 유림과 지방관을 중심으로 자발적인 흥학의 노력과 함께 구체적인 강학 및 문예활동의 실제가 있었으며, 이러한 움직임조차 임의가 아닌 범국가적인 체제에 의해 조직적으로 운영되었다는 사실은 조선 후기 향촌 교육에 대한 기존의 통념이 다시 수정되어야 할 가능성과 필요성을 보여준다.
김연혁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지금의 현대건축은 입지선정 조건으로 무엇보다 경제성과 접근성, 기능성 편리성 등을 위주로 접근하기 때문에 교육 공간 역시 40~50년 전의 환경과 크게 다르지 않으며 개선되어야 할 많은 과제를 가지고 있다. 이렇게 수 년 간 동일한 교육공간의 모습은 우리나라에 근대 학교가 세워지던 일제 강점기의 문화와 형태를 담고 있다는 것에 문제의 심각성이 있으며, 기술과 문명에 의해 야기된 지구의 환경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 친환경건축에 대한 관심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학교 건축에 친환경적인 전통건축의 요소를 접목 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작하게 되었으며, 문헌연구와 실태분석을 통해서 친환경 건축이 자연에 거스르지 않고 순응하며 살아갔던 우리 선조들의 전통건축 사상을 엿 볼 수 있었다. 이제는 과거의 관습적인 건축을 그대로 답습하는 학교건축이 아닌 친환경적인 한국 전통건축의 공간개념과 조형미를 학교시설에 담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문헌연구를 통해서 우리의 환경적 특성과 전통건축의 특징인 자연 환경과 인문적 환경, 전통건축의 일조와 일사, 지형 및 지세의 활용, 통풍과 환기, 수자원의 이용에 관한 사항을 알 수가 있었으며, 오랫동안 적용되어온 풍수사상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현황분석에서는 교육기관인 서원과 향교, 친환경학교를 살펴보았다. 전통교육기관인 향교와 서원이 어떻게 배치가 되며, 어떠한 요소에 의해 구성이 되었는지에 대해 분석하고, 현재 학교 설계 시 어떠한 요소에 의해서 교사가 배치되고 평면이 설계되어지는지 대해서도 분석함으로써 제반요소에 전통건축의 특징을 어떻게 반영하느냐 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로 표출됨을 알 수 있었다. 사례연구에서는 전통요소를 접목한 사례를 분석하여 정규학교. 특히, 도심지의 대규모 학교에서는 교사의 배치와 숲의 조성에 있어 운동장의 규모와 교실의 구성, 면적에 이르기까지 모든 면에서 법적제한이 있어 적용에 어려움이 있고, 학교시설이나 운동장 설치 등에 있어서 제약이 적은 대안학교가 다양한 외부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는 대안과 가능성을 알 수 있었으며, 전통 요소의 접목에도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례연구를 통해서 전통건축의 기법이 어떻게 학교건축에 접목해야 할지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1) 외부공간의 연결성을 강조하여, 자연환경이 자연스럽게 연결 될 수 있도록 동선체계를 구상해야 한다. (2) 친환경적인 재료의 사용과 다양한 교육공간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각 교실 공간이 많은 접촉점을 가지도록 배려하여야 한다. (3) 전통 교육기관의 성리학적 규범을 학교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자연과의 어울림, 작은 크기, 생태적 시각, 기숙학교 등은 현재의 무미건조한 학교에 호소력 있게 적용되어야 한다. Today's modern architecture places stress on economy, accessibility, functionality and convenience as the conditions of location, and current educational environments are little different from those 40 or 50 years ago. There are much room for improvement , and the construction techniques and culture that were prevailing during the occupation of Japan still remained unchanged, which is one of grave problems, Nowadays, there is growing concern for environment-friendly construction, as the global environmental pollution is increasingly compounded due to advance in technology and civil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how traditional construction practices could be applied to school buildings. As a result of examining literature and older buildings, it's found that environment-friendly buildings represented the traditional thought of our ancestors on architecture who adapted themselves to nature without defying it. It's now required to construct school buildings in accordance with the traditional environment-friendly style of architecture. Relevant literature was reviewed to find out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our country, the natural and humanistic environments and sunshine duration of traditional buildings, the use of the topography and geographic features, ventilation and the use of water resources, and deep-rooted geomancy was discussed as well. As for the state of older buildings, tradi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investigated, including Seoweon and Hyanggyo that respectively referred to a lecture hall and a local school belonging to the Confucian shrine. Besides, traditional environment-friendly schools were examined as well. The spatial arrangement and constituents of Seoweon and Hyanggyo buildings were analyzed, and the spatial arrangement and ground plans of current schools were analyzed as well. As a result, it's found that how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rchitecture should be reflected in today's school design is one of critical matters that need an immediate attention. When a case study was conducted, it's found that regular schools, especially large schools in downtown area, had difficulties in applying conventional construction techniques in every regard such as the arrangement of buildings, preparation of forests, size of school grounds, classroom construction and area, due to legal restrictions. Alternative schools on which less restrictions are imposed in terms of facilities and school grounds are more likely to construct external spaces in a diverse way and to apply conventional construction techniques. Based on the case study, there are some suggestions about the application of traditional construction techniques to school buildings: (1) The link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should be stressed. The type of spatial configuration the could ensure nature accessibility is required. (2) The use of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is recommended, and classrooms should be arranged in a way to let them function as multipurpose educational spaces. (3) It's not advisable to construct school buildings according to the sung-Confucianistic construction techniques of tradi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but there should evidently be a change in tasteless school buildings, They should be built in small size and in consideration of harmony with nature and ecosystem, and boarding schools should be constructed in a more careful and discreet man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