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진애니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지역 경제를 발전시키는 수단으로서 문화유산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관광 분야에서 문화유산에 대한 학문적 연구 또한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관광객 만족 및 유산관광지의 운영과 마케팅에 있어 유산관광의 고유성과 관광체험의 중요성은 많이 연구 되어 있으나 고유성과 관광체험의 관계에 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관광객들이 유산관광지에 대한 고유성 인식정도를 파악하여 이러한 고유성 인식에 의해 야기되는 경험에 대한 감정적 반응을 알아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고유성, 관광체험 및 체험만족에 대한 선행연구고찰을 실시하고, 선행연구고찰을 통해 구성개념 요인들의 하위 차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도출된 구성개념 요인들 간 영향 관계를 분석하고 고유성과 체험만족의 관계에서 고유성이 체험만족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관광체험을 경유한 간접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응답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구성개념 요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실제 유산관광지를 운영하는 데 필요한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2012년 5월 5일에 안동하회마을과 5월 10일, 5월 13일에 외암민속마을에서 한국인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면접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350부를 배포하였고, 최종분석에 사용된 유효 표본은 313부였다. 수집된 자료를 사회과학 통계분석 프로그램인 SPSS 15.0과 Amos 7.0 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고유성은 객관적 고유성, 구성적 고유성, 실존적 고유성 3개 요인으로, 내생변수인 관광체험은 교육성, 심미성, 일탈성, 오락성 4개 요인으로, 체험만족은 1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각 요인들의 신뢰 계수(Cronbach's α) 값은 객관적 고유성만 0.69로 상대적으로 낮게 분석된 외에 다른 요인들이 0.85~0.91로 높게 분석되었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된 구성개념 요인들을 대상으로 재차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성개념 요인들의 집중타당성 및 판별타당성을 확보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해 정제된 구성개념 요인들 간의 영향 관계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체 구조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χ2=1468.09, df=607, p=0.00, RMR=0.05, GFI=0.80, AGFI=0.77, NFI=0.83, CFI=0.89 로 분석되었다. 가설검증 결과, 고유성 요인 중 객관적 고유성과 실존적 고유성은 교육성, 일탈성, 오락성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지만 심미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었다. 구성적 고유성은 관광체험의 네 개 요인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객관적 고유성은 교육성, 일탈성, 오락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객관적 고유성은 체험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구성적 고유성과 실존적 고유성은 체험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관광체험 요인 중 일탈성, 오락성은 체험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지만 교육성, 심미성은 체험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유성이 관광체험을 통해 체험만족에 미치는 효과는 구성적 고유성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고유성, 관광체험 및 체험만족 측정척도의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둘 수 있고, 고유성 세 개 하위차원과 관광체험 네 개 하위차원을 도출하면서 선행연구자들의 연구결과를 재확인하였다. 탈근대사회에서 고유성이 관광객의 동기 혹은 매력성으로서 관광체험과의 영향 관계를 밝혔고, 고유성과 체험만족 사이에서 관광체험을 경유한 간접효과를 확인하였다. 위와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갖는다. 첫째, 설문조사의 공간적 한계점이다. 따라서 향후의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문화관광지를 대상으로 조사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설문지의 시간적 한계점이다. 5월은 가정의 달이라서 설문조사의 표본의 분포가 편중되었다는 한계가 있다. 향후의 연구는 이런 점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셋째, 연구의 조사대상이 한국인 관광객들로 한정되었다는 점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인바운드 시장에서 큰 비율을 차지하는 일본인과 중국인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넷째, 고유성 중 객관적 고유성 요인만이 체험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는 점이다. 이는 선행연구들의 주장을 지지하는 데 역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실증분석 과정에서 측정한 개별 요인들의 경우 설명력이나 신뢰도, 타당성 등은 높게 나타났으나 전체적인 구조모델의 적합도 지수들은 다소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구조모델보다 더 나은 수정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체험마케팅 요소가 관광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산시성 평요고성 중심으로
오늘날 사회발전에 따라 관광산업도 빠른 속조로 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종종원인으로 관광지의 동질화 문제도 있고 관광객들이 단순히 관광목적지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의 내재적인 욕구를 더 만족시킬 수 있도록 관광지를 선택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통마케팅만 사용하고 관광지를 운영하면 매력적인 관광지가 될 수 없다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관광지가 체험요소를 활용하면서 체험마케팅을 투입하고 있다. 체험마케팅을 통하여 여러 체험활동을 제공하면서 관광객들의 관광행동의도를 높게 해줄 수 있다. 본 연구는 평요고성을 중심으로 Schmitt의 전략적 체험모듈을 5가지 요소를 바탕으로 체험마케팅요소가 방문객 관광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방문객들의 특성과 행동에 대하여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가지고 선행연구 검토와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통하여 체험마케팅의 5가지 요소가 두 개 요인으로 묶었으며 이 두 개 요인이 모두 관광행동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분석되었다. 특히 감각·감성·인지요인이 관광행동의도에 가장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방문횟수와 체험활동횟수를 통제변수로 투입하고 분석을 진행하였다. 방문횟수와 체험활동횟수가 많을수록 관광행동의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나타났다. 이상 결과를 토대로 현시대의 관광지와 같이 지나친 개발과 평요고성만의 고유함을 잃은 개발을 하지 말고 평요고성만의 고유함과 자연경관을 보존해야 하고, 재방문한 관광객에 대한 더 신경을 써야하고, 관광객들이 체험활동을 많이 할 수 있도록 유도를 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t present, the rapid socio-economic development promote the deepening reform in the field of tourism. Due to some reasons the homogeneity problem between the tourist attractions is more and more obvious, so tourists are not only select the destination but also pay more attention to their spiritual needs. Following the problem is that traditional marketing has been difficult to make the tourist attractions more attractive. Therefore, tourist attractions are mobilizing experience factors to implement experiential marketing strategy. Experiential marketing makes visitors fully participate in all kinds of activities to enhance the behavioral intentions of tourists. Takeing The Ancient City of Pingyao as a case , on the basis of strategic experience modules put forward by Schmitt, this paper analyses the effect of experiential marketing factors on the tourism behavioral intention. Verified by analysis of frequenc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ll 5 experience marketing factors as such relationship factor, behavioral factor, cognitive factor, sensory factor and emotional factor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visitors behavioral intentions particularly sensory factor, emotional factor and cognitive factor were most significant. And the number of visit and the number of doing experience program also have the significant influence on visitors behavioral intentions. So The Ancient City of Pingyao need to plan and develop the ancient city to keep the characteristic of the ancient city and regulate market order and guide tourists to participate in activities.
체험관광동기가 관광만족도와 관광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함평석두 어촌체험마을을 중심으로
Experience tourism has become more and more interesting issue in tourism study due to its importance from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point of view. However, most studies have shown few limitations focusing on experience tourism only as a tool to increase the number of tourists level and economical effects that might bring to the local communities. Hence, in this study the role of experience tourism was stressed to show how it influences to tourist motivation and satisfaction. In order to do this, the study carried out using both documentary and empirical study. Through extensive literature review, it defined the main components of the study such as experience tourism, tourist motivation, and tourist behavior. Based on this, it also developed study instruments to hypotheses and a study model were suggested. In the empirical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from 170 tourists who had visited Seokdoo Fishing Village in Hampyoung Provence from July 15th ~ August 30th in 2010 and the final samples of 152 used for statistics analysis. SPSS 18.0 for windows was used to analyzed the collected data. Empirical studies have analyzed characteristics of variables and tested hypotheses such a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ANOVA, multiple regression. A summary of the analyzed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study presents that most tourists to this area achieve tourist information through their family and friends since 39.5% of the tourists were involved with family activities. Also, 46.1% of the tourists stayed for 2days along with strong seasonality. B&B(min-bak) was found as a major accommodation during their stay used by 54.6% of the tourists. 78.3% were shown as repeat visitors and 90.1% of the tourists provided their own transportation using a car. Second, it showed that experience, place, relaxation are major components for experiential tourist motivation. This implies that efficient touristic facilities and pleasurable experience are becoming more important to build positive tourist behavior.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has shown both theocratical and marketing implication to the tourism industry. In addition, further study can be carried out with other rural tourist destinations in order to define the fundamental components to experience tourism and extend its theocratical points. Further more, greater effort should be made paying closer attention for the development of study instruments to test satisfactions in experience tourism. 경제성장과 더불어 사회적 여건변화로 가족중심의 사회참여활동이 증가하면서 생활패턴에도 변화를 가져왔다(안종수, 1993, p.1). 이러한 변화는 관광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관광은 관광수요 및 관광행태의 다양화, 전문화, 세분화로 이어졌다. 또한 관광대상도 내륙중심관광에서 어촌체험관광 및 해양체험관광으로 변화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는 체험관광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으며, 체험관광이 갖는 다양한 편익은 실무적인 차원뿐만 아니라 학술적인 차원에서도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어촌체험관광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에서는 체험관광을 통한 어촌체험관광 활성화 방안과 관광개발 이후의 지역 파급효과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임으로써 그 한계성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체험관광의 주요 특성이며, 지속적으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어촌체험관광지에서의 체험을 중심으로 체험관광동기가 관광만족도와 관광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한 검정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고 있는 체험관광에서의 체험관광동기에 초점을 두고 요인분석을 통해 새로운 차원의 측정변수를 도출하여 각 구성개념 간의 관계검정과 체험관광동기가 관광만족도와 관광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또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차이검정을 통해 체험관광동기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의 방법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체험관광동기와 관광만족도, 관광행동의도와 관련된 이론적 고찰과 측정척도 도출을 위해 문헌연구(literature study)를 실시하였고, 이를 검정하기 위해 실증연구(empirical study)를 실시하였다. 이론적 연구를 위하여 국내·외 서적, 논문 및 기타자료에 대한 문헌연구를 통해 연구모형의 구성변수인 체험관광동기와 관광만족도, 관광행동의도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여 분석의 준거로 삼았으며, 이를 토대로 실증연구에 사용될 측정항목들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측정항목들을 토대로 수행된 실증연구에서는 설문지법을 이용하였으며 함평 석두어촌체험마을을 찾은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총 170부를 배포하여 152부를 회수하였고, 이 중 일부 주요항목의 응답누락이나 불성실한 응답처리로 통계분석에 어려움이 있는 18부를 제외한 유효한 설문지 152부(89.4% 회수율)를 가지고 최종적으로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는 예비조사와 본조사로 진행되었다. 예비조사는 본 조사를 실시하기 전에 설문문항을 관광학과 학생들 40명과 일반인 6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예비조사 기간은 2010년 7월 5일부터 2010년 7월 20일까지(16일간) 이루어졌다. 예비조사를 통해 요인분석 및 설문문항을 수정, 보완 후 본 조사는 2010년 7월 29일부터 2010년 8월 30일까지(30일간) 이루어졌다. 자기기입식(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method)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에 사용된 척도는 명목척도와 리커트 5점 척도를 이용하였고, 회수된 설문지는 SPSS 18.0 for window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에는 연구 목적에 따라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차이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단순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함평석두 어촌체험마을을 방문한 체험관광객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성별에 있어서는 남자와 여자의 차이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연령에 있어서는 40대가 가장 많이 체험에 참여를 하였으며 다음으로 20대와 50대 순이었다. 학력에 있어서는 대졸의 참여도가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학생과 회사원이 어촌체험마을에서의 체험에 흥미를 보였다. 소득의 수준에서는 100만원 이하와 200만원 이상과 300만원 미만의 집단이 많은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험관광동기의 18개 측정문항을 추출하여 요인 분석한 결과 일탈성, 자기개발성, 교육성, 경관성, 신기성 등의 총 5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관광만족도의 4개 측정문항을 요인 분석한 결과는 관광만족도 1개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관광행동의도의 5개 측정문항을 요인 분석한 결과 재방문의도, 추천의도 등의 총 2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인 성별에 대하여 체험관광동기 요인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자기개발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결혼여부에 대하여 체험관광동기 요인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는 교육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에 대하여 체험관광 동기요인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일탈성, 교육성, 경관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에 대하여 체험관광동기 요인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는 경관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직업에 대하여 체험관광 동기요인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교육성, 경관성, 신기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에 대하여 체험관광동기 요인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는 교육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체험관광동기요인 중 자기개발성과 경관
주제공원의 이미지와 방문동기가 관광체험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현대의 대표적인 관광목적지인 주제공원은 다수의 사람들이 한꺼번에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서 경계여건의 변화로 인해 여가문화가 확산되면서 방문객 수가 매년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현대인들의 의사결정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이미지로석 주제공원의 경우 공원의 특성에 따른 이미지를 연출하지 못함으로서, 다양한 동기를 가지고 있는 방문객들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주제공원적 이미지는 방문객이 주제공원에 대한 기대에 부응함으로서 방문객들의 방문유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방문체험에 있어서도 방문객에게 만족감을 주지 못해 재 방문, 추천 등의 후속행동에 대한 영향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 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제공원에 대한 이미지, 방문동기, 체험의 속성을 파악을 하여 동기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이미지가 체험에 미치는 영향, 동기가 체험에 미치는 영향, 체험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는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을 하기 위하여 주제공원, 이미지, 방문동기, 관광체험, 만족에 관한 선행연구를 근거로 연구개념을 정립하고 가설을 설정하여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을 하기 위하여 수도권의 용인 에버랜드, 서울 롯데월드, 과천 서울랜드, 경남 양산지역의 통도환타지아의 방문자를 대상으로 현지 조사를 하였다. 동기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이미지가 체험에 미치는 영향, 동기가 체험에 미치는 영향, 체험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성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병행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공원의 방문동기는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관리운영성에 휴가동기, 모험흥미, 오락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서비스의 편의성에 문화적 동기, 휴식동기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시설행사의 편의성에는 휴식동기, 흥미모험성, 오락성, 문화적인 동기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오락성동기, 흥미모험성은 시설행사의 매력성에 영향을 미치며 공원의 조화운영이미지에 문화적인 동기, 오락성동기, 휴가동기에 유의한 영향이 있었다. 그러나, 흥미모험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제공원의 이미지가 방문체험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는 고객에 대한 서비스는 시설행사의 편의성에, 관리운영성은 시설행사 편의성에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화운영성과 시설행사의 매력성은 이용의 편리성에, 서비스편의성과 고객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며, 시설행사편의성, 시설행사 매력성, 서비스편의성, 조화운영성에 대한 전반적인 분위기에 있어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중에서 고객서비스가 시설행사의 편의성 대해서는 관리운영성에 대한 이용편리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제공원의 방문동기가 방문체험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오락성동기, 문화적동기, 흥미모험동기가 시설행사의 매력성 체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휴가동기는 시설행사의 편의성에 영향을 미치며, 오락성동기는 이용편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오락성동기와 문화적인 동기, 흥미모험동기에 고객서비스의 체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휴가동기가 전반적인 분위기, 시설행사의 매력성, 시설행사의 편의성, 고객서비스 체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문화적 동기와 흥미 모험적인 동기는 이용의 편리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주제공원의 체험이 방문자 만족의 영향관계는 방문체험 중 시설행사의 매력성, 시설행사의 편의성, 이용편리성, 전반적인 분위기의 체험이 방문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모든 연구가 그러하듯이 본 연구에서도 연구의 한계점이 있으므로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시간 및 공간상의 제약으로 인해 조사기간과 조사 대상지를 한정하여 조사를 하였기 때문에 전체적인 주제공원에 대해 일반화를 하는데는 무리가 있으므로 향후연구에서는 전체적인 주제공원을 대표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Theme parks that are one of the most noticeable leisure space for the inhabitants of a town, which everybody can enter with out any restrictions, are getting more and more attention because of the growing desire of people towards leisure, which mental abundance is more important than materialism. The tourist image has been known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the Theme parks. Most of the studies of image have examined through cognitive image, while there are little examined through affective image. So, visitor has 'overall satisfaction', 'behavioral intentions', and the determinants of those was investigated as the evaluation attributes by the theme parks visitors. By studying previous research, the determinants of overall satisfaction could be divided conceptually into 'park image attributes' and 'visit experience attributes'. 'park image attributes' are the satisfaction determinants under the control of tourism supplier, include 'service quality', and 'casts satisfaction'. And 'non-supplier attributes' are the determinants that tourism supplier can't control, include 'visitor-oriented variable. According to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toward Everland, Lottle World, Seoul Land and TongDo Fantasia - the largest theme park in Korea - visitors, it was revealed that 'park visit', 'park image', 'visit experience' had an effect on 'visitor's overall satisfaction' statistically. This study intended to find the influence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theme park, the motive, image, and experience of tourism to the satisfaction. This study used the multi-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 10.0 in order to find the influence of the tourist's motive to the image and experience of tourism. This research used the multi-regression in order to find the influence of the visit motive to the tour image, image to the tour experience, motive to the experience, and the influence of the visit experience of the theme parks to the tour satisfac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visit motive exerted to the theme park image. 2. The tour image exerted to the visit experience. 3. The visit motive exerted to the visit experience. 4. The visit theme park experience to the Influences of satisfaction The results offer the suggestion point as follows; 1 .Thmea Parks visit motive exerted image to background knowledge of influence in the parks. 2. You should provide new facility program and various event which turns out to be the major factors of theme park image. 3. The service provides in the theme park is tangible and not tangible program, the differentiation of service from other competitor is very importance, Therefore, marketing should focus on specific image toward the conditional advertisement. As advertisement campaign should be not so much rational as an emotional on the motivation. Image can be considered visitor expectation on the service and the actual benefit of the service can hardly be measured. As expectation has as influence on the evaluation of the satisfaction 4. Segment the market and find the target market the secure stable profit, and maintain continuous growth by attraction more visitors.
호텔 체험관광 프로그램이 고객만족, 재방문 및 추천 의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호텔을 경험한다는 광범위한 의미가 아닌 호텔 체험관광 프로그램 중 아웃도어 액티비티를 체험한 고객을 대상으로 체험관광 프로그램 내 체험요소에 대해 알아보고, 이용 고객의 개인적인 성향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파악해보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특 1급 호텔 체험관광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는 아웃도어 액티비티 이용객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에 의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총 230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확보한 후 SPSS for Window 21.0과 AMOS 18.0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체험관광 프로그램의 체험요소를 좀 더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응용하여 호텔의 이미지 제고나 이윤극대화에 있어서 큰 효과를 낼 수 있는 체험관광 프로그램에 대한 유용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검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체험관광프로그램, 만족, 재방문의도, 추천의도 간 영향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구조모형방정식을 실시하였고, 먼저 체험관광프로그램 요소와 만족 간 영향관계에 대한 분석결과, 체험관광프로그램 요소 중 ‘일탈체험’과 ‘심미체험’이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오락체험’과 ‘교육체험’은 만족에 통계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가설 1은 부분적으로 성립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일탈체험’이 ‘심미체험’보다 만족을 설명하는데 더 기여하는 체험관광프로그램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오락과 교육적인 체험보다는 아름다운 자연과 현실을 잠시 떠나 심신을 힐링 시킬 수 있는 일탈적 체험과 심미적 체험요소가 실제 이용객에 더 긍정적인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만족과 재방문의도 간 영향관계에 대한 분석결과, 호텔 체험관광프로그램 이용객의 만족은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이에 가설 2는 채택되었다. 반면에 만족과 추천의도 간 영향관계에 대한 분석결과, 체험관광프로그램 이용객의 만족은 추천의도에 통계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가설 3은 기각되었다. 셋째, 재방문의도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 호텔 체험관광프로그램 이용객의 재방문의도는 추천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설 4는 채택되었다. 본 연구에서 호텔 체험관광프로그램이 과거와는 다르게 활동성과 체험적인 요소가 가미된 아웃도어 액티비티가 중요하고 그 중에서 심미적이면서 일탈성이 강한 아웃도어 액티비티가 실제 방문객의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후 만족도가 재방문의도, 재방문의도가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순환구조를 갖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호텔 체험관광프로그램 중 아웃도어 액티비티는 ‘심미체험’과 ‘일탈체험’이 만족에 영향을 미친 결과를 토대로 고객의 아웃도어 액티비티 체험의 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먼저 심미체험이라고 함은 인터넷이나 책으로 아는 것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발품을 팔아 체험프로그램 전담팀과 마케팅팀이 함께 기획과 사전 답사를 거쳐 직접 다녀 본 후 선정하여 부산 속 숨겨진 진짜 명소를 안내하는 것이 실제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비용을 아끼면서 최고의 경험과 기분을 내보자는 차선책으로 택하는 것이 아웃도어 액티비티이므로 이러한 사회적 흐름을 잘 이용하여 아웃도어 액티비티의 물리적 환경을 잘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즉, 호텔 체험관광 프로그램과 관련된 아웃도어 액티비티 구성에 있어서 일상생활에 접하기 힘든 다양한 체험관련 구성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기존의 여러 호텔이 모방하기 쉬운 체험관광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보다는 새로운 아웃도어 액티비티를 자체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겠다. 둘째, 호텔 체험관광프로그램 이용객의 만족은 재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재방문의도는 추천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체험관광프로그램→만족→재방문의도→추천의도의 긍정적 관계라는 선순환 구조가 이어진다는 것에서 아웃도어 액티비티 구성의 최우선 과제는 체험의 다양성과 독특성이다. 따라서 고객과의 쌍방향적 의사교환과정에서 도출된 결과를 체험관광전문가들에게 개발영향의 원인이 되도록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호텔 체험관광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확한 목표시장을 설정한 후 목표시장이 원하는 체험관광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홍보하는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호텔 체험관광프로그램을 체험요인으로 고려하여 오락체험, 교육체험, 일탈체험, 심미체험 등 네 가지로 분류하였다. 또한 호텔 체험관광프로그램과 만족 간의 영향관계를 밝힘으로써 향후 호텔 체험관광 프로그램에 따라 집단을 나누고 체험관광 프로그램에 따른 집단별 만족의 차이를 밝히는 연구에 활용도가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아울러 체험관광프로그램의 세분화된 집단 간 인구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xperience elements of the hotel experience tourism program targeting those who participated in outdoor activities and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customer's personal preference.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guests who took part in the outdoor activity at five-star hotels in Busan. A total of 230 questionnaires were valid. Both SPSS for Window 21.0 and AMOS 18.0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In this study, the experience element in the experience tourism program is analyzed in more detail.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applicable strategic implications about the experience tourism program that can improve the hotel’s image as well as to maximize its profit. The results of the hypotheses are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experience tourism program, satisfaction, revisi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As the result of the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the experience tourism program element and satisfaction, both ‘deviational experience’ and ‘aesthetical experience’ from the experience tourism program element have a positive impact on satisfaction, while ‘entertainment experience’ and ‘educational experience’ have not much related to. Therefore, the hypothesis 1 is partially valid. And 'deviational experience’ contributed more to satisfaction than 'aesthetical experience'. Second, as the result of the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satisfaction and revisi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guests’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revisit intention. However, guests’ satisfaction h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recommendation intention. Therefore, the hypothesis 2 is valid, but the hypothesis 3 is rejected. Lastly, as the result of the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revisi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guests revisit intention has a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recommendation intention. Therefore, the hypothesis 4 is valid, as well.
임경환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지난 20년 동안 1인당 GDP 국민수준이 급격하게 증가 했음에도 우리나라의 삶의 질에 대한 만족도는 정체돼 ‘이스털린의 역설(Easterlin Paradox)이 적용되고 있다. 우리는 삶에 있어 중요한 부분 중 하나가 삶의 질이다. 최근 산업이 급격하게 발전하게 되면서 각 분야에서 삶의 질에 대한 관심도는 매우 높아졌다. 이는 개인의 삶의 질이 향상 되면 개개인이 행복한 삶을 누리게 되고 나아가 국가의 질 또한 더욱 개선 될 것이다. 본 연구는 국민소득이 높아진 현 시점에서 관광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을 찾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이 연구를 시도하였다. 최근 한국은 2004년 7월부터 단계적으로 주 5일제가 실시되어 여가시간이 증대됨에 따라 여가활동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킴으로써 행복을 도모하고자 하는 경향이 생겼으며, 여가 연구 분야의 중요한 한 부분인 관광분야에서 관광을 통해 삶의 질의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삶의 질에 대한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인지하고 삶의 질 향상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궁극적 목적인 삶의 질의 향상을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관광체험을 활용하여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였으며, 관광을 통해 이루어지는 체험을 중점으로 연구를 시도하였고, 체험마케팅을 적극 활용하여 상품개발에 있어 새로운 관광마케팅 제안도 함께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료 수집을 2012년 8월 20일부터 9월 20일까지 약 한 달간에 걸쳐서 설문을 실시하였고, 조사 대상은 일반인 대상으로 지난 1년 이내 국내?국외 여행경험이 있는 고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총 375부의 설문을 수집하여 SPSS 18.0 For Windows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관광체험을 통해 관광만족을 한 관광객은 전반적인 삶의 질에 2가지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광체험을 통해 인지만족 즉, 모든 관광활동을 마치고 전반적으로 만족했다는 결과를 얻은 관광객 보다 하나의 아이템과 가치를 통해서 만족을 얻은 관광객일수록 일상으로 돌아왔을 경우 관광을 통해서 새로운 성취감과 활력 등 생활만족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 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반대로 관광체험 후 전반적으로 만족했었다는 결과를 얻는 관광객의 경우에는 여행에 대한 뿌듯함, 행복함, 단순만족 등과 같은 결과만을 도출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서 관광체험 중 어떤 성향과 자세로 관광체험을 즐기느냐에 따라서 향후 느끼게 되는 만족감과 삶의 질에 미치는 부분이 확연히 차이가 난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따라서 여행을 통해 인지만족에 영향을 미친 관광객은 추후 생활만족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며, 여행을 통해 전반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면 관광객은 행복체감에 더 많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 차이분석에 따른 결과를 보면 관광체험에 대한 차이가 있다는 결과를 검증하였다. 이는 즉 여성이 남성보다 감성적인 부분과 인지적인 부분에 더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측되며, 전반적으로 남성과 여성 모두 만족을 하고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긍정적인 연구 결과로 나타났다. 하지만 마케팅적 부분에서는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관광상품 개발에 있어서는 감성적이고 인지적인 관광체험 상품을 고려하여 개발하면 더욱 높은 효과를 얻게 될 것이라는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여행형태 차이분석에 따른 결과를 보면 개별여행은 단체여행에 비해 더 높은 만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별 여행객일수록 여행을 하는 매 순간순간 마다의 체험을 중요시 생각하고 그에 따라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개별 여행객일 경우 고객의 심리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지역별 선정 및 여행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정확한 선별을 통한 효율적인 마케팅 방안이 필요할 것이라는 결과를 나타냈다. 넷째, 여행지역 차이분석에 따른 결과를 보면 국외여행의 관광객이 국내관광을 할 경우 보다 더 높은 만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여행에서 느끼지 못하는 지역 특성에 따른 감각적, 인지적, 행동적 체험을 통하여 국외지역에서 더욱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국내여행 관광체험상품 개발 시 감각적, 인지적, 행동적 체험들을 고려하여 상품개발에 중점 두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또한 국외여행일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이를 고려하여 지역의 차별화된 상품개발이 필요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국가적인 차원에서도 모든 국민 개개인의 객관적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여가활동 즉 관광을 통해 국민과 주관적 삶의 질 향상을 돕는 매개체 역할이 되는 것은 가능할 것이라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Despite the rapid increase in GDP per capita at national level for the past 20 years, the satisfaction level for the quality of life in our country has been stagnant so that Easterlin Paradox is being applied. One of the important parts in the life is the quality of life. As the industry developed rapidly, recent interest in the quality of life increased in the various fields. When the quality of individual life improves, the individuals enjoy their happy lives, and then the quality of the country also be further improv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sent the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rough tourism at the present time the per capita income has risen. Recently, in Korea, five-working days a week is being implemented step-by-step from July 2004. Thus, along with the increase in leisure time, the people tend to promote their happiness by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through leisure activities. The tourism sector, which is an important part of leisure areas, attempt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rough promoting tourism. It can be said that it is tim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quality of life once again and to urgently need to enhance it. Thus, as a means for the 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life,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t is attempted to be promoted through tourism experience and the study has been attempted focusing on the experience achieved through tourism. Also, new tourism marketing proposals in the product development have been presented together by utilizing experience marketing.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for about a month from August 20 from September 20, 2012 for collecting data. Th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he public who have experience in domestic and overseas travel within past one year. A total of 375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using SPSS 18.0 for Windows statistical package program.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is indicated that the tourists with the satisfaction through tourism experience positively affects the overall quality of life in two aspects. It can be seen that the tourists who get satisfied with only one item and its value affect their life satisfaction, such as a new vitality and a sense of accomplishment, more than those who get satisfied through cognitive satisfaction, that is, the result that all tourism activities were overall satisfying through tourism experience when they you come back to everyday life. On the contrary, it indicated that in the case of the tourists who obtained the results of overall satisfaction after tourism experience, only the results of delight with travel, happiness and the simple satisfaction were derived. Through this, it is confirmed that depending on with what attitude and tendency they enjoy it during the tourism experience, there will be differences in the satisfaction which they will feel later and in the quality of life. Therefore, it indicates that the tourists who affect cognitive satisfaction through travel will affect their life satisfaction more in the future and when travel affects overall satisfaction positively, the tourists affect their happiness experience more positively.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gender difference analysis, it is verifi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on the tourism experience. It is thought that women affect the emotional and cognitive part more than men. It is revealed that both men and women were overall satisfied and it has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In the marketing approach, it is revealed that if we consider the development of the emotional and cognitive tourism experience products in the development of tourism products targeting women, it will get a higher effect. Third, the results show tha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differences in travel mode, the individual travelers feel satisfied more than group travelers. These individual travelers are more likely to travel thinking that every moment is important to experience and, accordingly, the higher satisfaction appeared. Therefore, the result indicated that in the case of individual travelers, more efficient marketing approach will be necessary by accurately identifying the customer's psychology, the region selection and development of travel programs and through accurate screening. Fourth, as the result of travel region analysis, it indicated that overseas tourists feel higher satisfaction than domestic tourists. It indicates that through sensuous, cognitive, behavioral experience according to the local characteristics which cannot be felt in domestic travel, it appeared more in the foreign regions. Through this, it is revealed that when developing domestic travel and tourism experience products, the sensory, cognitive and behavioral experience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Similarly, in the case of overseas travel,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differentiated products according to the regions, after considering this. Finally, at national level, it is impossible to improve the objective quality of life of all individual citizens. But it will be possible that through leisure activities, tourism, as a role of mediator, it would help to improve the subjective quality of people’ lives.
체험관광 서비스품질이 지역이미지와 지역발전성과에 미치는 영향 : 한국차박물관 관광객을 대상으로
지방자치제도 시행 이후 박물관은 대도시에서 지방의 작은 섬까지 각 지역의 다양한 이미지를 나타내고자 건립되고 있다. 박물관은 지역의 부족한 관광자원을 해결하고, 이를 통해 관광객을 유치하여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수단으로 뿐만 아니라 지역의 역사·문화를 홍보하고, 지역을 알리면서 지역의 이미지를 개선하려는 목적으로 건립하고 있다. 박물관은 사회교육의 장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그 지역의 중요한 문화시설로서 관광과 연계하여 많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지역주민의 문화적 자긍심을 높여주는 대상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지역박물관은 체험프로그램을 통한 교육적 기능이 요구수준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체험프로그램의 활성화의 중요성에 대해 일반적인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지만, 현장에서는 교육환경의 여건과 전문 인력부족 등의 이유로 박물관 운영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있다. 따라서 박물관 운영자는 관광객의 욕구수준이 다양화 되어가면서, 그들의 욕구를 반영할 있는 체험프로그램이 운영하고, 그 서비스품질의 향상과 지역이미지를 제고하여 지역발전의 성과를 창출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한국차박물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체험관광의 서비스품질, 관광객이 지각하는 지역이미지 및 지역발전성과와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차박물관 운영관리자에게 관광객 유치 전략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체험관광의 서비스품질과 지역이미지와의 영향관계를 파악하였으며, 둘째, 체험관광의 서비스품질과 지역발전성과와의 영향관계를 파악하였고, 셋째, 지역이미지와 지역발전성과 간에 영향관계를 파악하였으며, 넷째, 체험관광서비스품질과 지역발전성과 간에 있어서 지역이미지의 매개역할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는 전남 보성에 있는 한국차박물관을 찾는 체험관광객을 대상으로 2013년 6월 5일부터 6월 30일까지 25일간에 걸쳐 현장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데이터 코딩을 거쳐 SPSS 20.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다중회귀분석, 계층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 및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체험프로그램의 서비스품질 요인은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확신/공감성, 응답성, 신뢰성, 유형성 요인으로 추출되었고, 지역이미지 요인은 흥미성과 편의성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지역발전성과 요인은 관광적성과와 경제적성과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둘째, 상관관계분석결과 독립변수, 매개변수, 종속변수들에 대한 구성개념들의 관계가 정(+)의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연구가설에서 제시한 변수들 간의 관계의 방향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관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험관광의 서비스품질요인 중 확신/공감성, 응답성, 유형성, 신뢰성 요인은 지역발전성과의 관광적성과 요인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제적성과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체험관광 서비스품질요인의 모든 요인이 지역이미지의 흥미성 요인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편의성 요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이미지 요인의 모든 요인이 지역발전성과의 모든 요인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체험관광의 서비스품질 요인 중 확신/공감성 및 응답성 요인과 관광적성과 요인 간에 흥미성 요인의 매개효과를 검정한 결과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뢰성 및 유형성 요인과 관광적성과 요인 간에 있어서 흥미성 요인은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서비스품질 요인의 신뢰성 요인과 관광적성과 요인 간에 있어서 편의성 요인의 매개효과 검정결과,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확신/공감성, 응답성, 유형성 요인에서는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비스품질 요인과 지역발전성과 요인 간에 있어서 지역이미지의 매개효과 검정 결과 모두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Since the implementation of municipality, museums have been established to show various images of each region from metropolis to small islands of region. They establish museums not only to solve the regional insufficient tourist attractions and to revitalize regional economy by attracting tourists through this, but also to promote the regional history and culture and to improve the regional images. Museum is recognized as an object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space for social education, and creates a lot of added values connecting with tourism as a significant cultural facility of the area, and raises cultural pride of the local residents. Nevertheless, most of the regional museums do not satisfy the demand level of the educational function through experience programs. Although a bond of sympathy is developing about importance of the experience program vitalization, in the field there are comments that operation of museum is not sufficient because of poor educational environment and lack of professional manpower. Therefore, as the demand level of tourists are being diversified, museum operators have to manage experience programs to reflect their desires and to create the regional development performance by improving service quality and raising regional image. Thus, in this paper I tried to investigate the effect relationship among service quality of experience tourism run by Tea Museum of Korea, regional image perceived by tourists, and the regional development performance. And through this I aims at providing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strategy of attracting tourist to the operator of Tea Museum of Korea. To accomplish this goal: first, I investigated the effect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of experience tourism and regional image; second, I investigated the effect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of experience tourism and the regional development performance; third, I investigated the effect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image and the regional development performance, and verified mediation role of regional image between service quality of experience tourism and the regional development performance. In this study I conducted an on-site survey for 25 days between June 5 and June 30, 2013 with experience tourists visiting Tea Museum of Korea in Boseong, South Jeolla Province, and using SPSS 20.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through data coding, I carried ou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Major results of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viction/sympathy, response, reliability and tangibility were extracted as factors of service quality of experience programs; interest and convenience were extracted as factors of regional image; and tourist performance and economic performance were extracted as factors of the regional development performance. Second, as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the relations of constructs of independent variable, parameter and dependent variabl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hich was found that the direction of relations among variables proposed in research hypothesis was identical and that correl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among factors of service quality of experience tourism, conviction/sympathy, response, tangibility and reliability factors were found to have a meaningful influence on tourist performance factor of regional development performance, but were found not to affect economic performance factor. Fourth, all factors of service quality of experience tourism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interest factor of regional image, but were found not to affect convenience factor; all factors of regional image were found not to have a meaningful effect on all factors of regional development performance. Fifth, the results of verifying mediating effect of interest factor between conviction/sympathy and response factors among service quality factors of experience tourism and tourist performance factor were found to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 and were identified that interest factor between reliability and tangibility factors and tourist performance factor played a role of full mediator; the results of verifying mediating effect of convenience factor between reliability factor of service quality factors and tourist performance factor were identified to play a role of full mediator, but were found not to play a role of mediator in conviction/sympathy, response, and tangibility factors. And the results of verifying mediating effect of regional image between service quality factor and regional development performance factor were found that all factors didn’t play a role of mediator.
체험관광 요인이 관광만족과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제주목 관아 전통공예 체험 관광객을 대상으로
이정범 제주대학교 경영대학원 2024 국내석사
체험관광은 1990년대 대량관광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나타났으며, 환경에 민감하고, 여행 지의 문화를 존중하고 단순히 구경만 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체험하고 배우고자 하는 활동으 로 적극적인 참여와 관여, 몰입을 포함한다(Smith, 2006)고 하였다. 이런 활동은 자연과 교감하고 다양한 문화를 체험하는 것으로 새로운 도전을 통한 학습적 성장을 발전시켜 높은 만족도와 즐거운 기억을 만들며, 관광지에 대한 애착이 형성되어 재방 문에 대한 의사를 높이고 타인에게 추천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Dieguez & Conceição (2020)는 경험의 시대인 현 경제 시대로 접어들면서 고객의 기대와 요구사항이 근본적으로 달라짐에 따라관광 업계는일반적인 도전에직면해 있고제품과 서비스는더 이상경제적 번 영을 창출하는 데 충분하지 않으며, 경험은 차별화를 위한 도구가 되었다고 하였다. 또한, 관 광은 더이상 제품과서비스의 판매로인식되지 않고소비자의 기대에부응하는 경험을 '판매 '하는 데 점점 더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통적인 마케팅도 현재의 소비자에 맞게 변화하여 체험 마케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하였다. Pine & Gilmore(1999)는 체험경제이론에서 체험을 서비스의 다음 단계로 별개의 경제 적 상품으로 인식해야 하고 새로운 가치 원천으로 미래 경제 성장의 중요한 역할을 하며 4가 지 체험영역차원에서 고객의마음을 사로잡을수 있다고하였고 몰입과흡수, 수동적참여와 능동적 참여 사이에 체험영역이 발생하고 체험영역은 소비자에게 깊은 인상을 주고 독특한 경험을 제공하여 기업이 더 높은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고 하였다. 또한, 소비자들은 단순히 물건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것을 이상으로 기억에 남고 의미 있는 체험 을 구매하려고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기업들이 경쟁력을 유지하고 브랜드 신뢰도를 높 이기 위해서는 이러한 체험을 설계하고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체험관광은 사람들이 직접 경험을 통해 의미를 창조하는 체험 학습을 향한 전 세계적 움직 임의 결과물이며, 체험 경제의발전과도 연결되어있다고 하였다. 또한 관광객에게 경험은만 나는 사람들, 방문하는 장소들, 머무는 숙소, 참여하는 활동 등으로 만들어진 기억을 포함한 다고 하였다(Rajan, 2015). 이와 같은 내용은 체험경제의 구성요인이 체험관광에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말하며, 체험관광은 고객의 경험을 향상시켜주고 경제적 가치를 창출한 다 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선행연구를분석하여 체험관광의특징, 기준, 요인, 유형을분석하고 대량관광과 의 비교를 통해 체험관광의 개념을 더욱 명확하게 정립하고자 하였고 실증적 연구를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으며, 설문은 제주목 관아 체험프로그램을 참여하는 방문객 23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SPSS 27.0, AMOS 24.0)을 활용하여 분 석하였고 체험관광요인과 관광만족간의 영향 관계에서는 체험관광의 요인인 오락적체험, 일 탈적체험, 심미적체험은 관광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교육적체험 요인은 유의한 영 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관광만족과 재방문 의도 간에 영향 관계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는 체험관광요인이 관광객의 만족도와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관광산업과 마케팅 전략, 지역 개발, 관광 경영, 고객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 실질적 영향을 미친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주제어 : 체험관광, 체험경제이론, 체험관광기준, 체험관광요인, 관광만족, 재방문의도, 전통공예 체험
농촌체험마을에서의 체류기간에 따른 청소년 체험객의 만족도 차이 연구
우리농촌은 당일 방문 이외에 소풍 및 수련회, 장소로 선정되어 학교 교육의 일환으로 발전되고 있으며, 수학여행지로도 그 형태가 다양화 되어 가는 경향이 있어 장기 체류 목적으로 하는 청소년 이용자가 점차 확대되는 추세이다. 따라서 농촌체험관광 체류기간에 따른 청소년들의 만족도와 농촌문화 이해도차이를 평가 할 수 있는 인자를 도출하여 당일과 1박2일, 2박3일의 체류기간이 청소년 체험 객에게 어떠한 영향이 미치는가에 대한 가설 검증을 현장에서 수집된 일대일 자기기입식 설문지 166부를 분석하여 고찰하였다. 현장설문은 경기도 양평군 청운면 신론리에서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지 일반적 특성에서는 체험프로그램 경험 유무에 따른 농촌체험 마을 방문여부에 대한 분석결과로 유의 확률 0.05의 수준에서 모두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 되었다. 즉 농촌체험 방문경험이 있는 자의 54.5%가 농촌체험마을을 방문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체험프로그램 경험자가 비경험자보다 농촌체험마을을 더 많이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류기간에 따른 청소년 체험객의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설 및 환경, 서비스, 전반적 만족도를 조사 하였다. 설문조사 자료는 ANOVA 방식 분석을 통한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한 연구가설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청소년 체험객의 농촌체험관광 만족도 조사는 시설 및 환경, 서비스, 및 전반적 만족도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체류기간별 전반적인 만족도와 시설 및 서비스 만족 수준과의 그리고 관계마을 전반적인 만족도와 시설환경 만족도외 체험 마을 만족도와 선호도, 권유정도, 재방문의 경우 전반적인 만족도 부분에서 동일하게 당일보다는 1박 2일, 2박 3일이 높게 나타났다. 농촌체험마을 체류기간에 따라 농촌문화 이해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응답자를 당일, 1박 2일, 2박 3일 등 세 집단으로 나누어 ANOVA 방식 분석을 이용하였다. 농촌체험마을 체류기간 장단에 따른 농촌생활, 농촌문화, 농촌 경관에 대한 이해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즉 당일, 1박 2일, 2박 3일 등 세 집단의 평균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일보다는 숙박을 한 집단이 농촌에서 보낸 시간이 많으므로 그에 따라 농촌문화 이해도의 평균값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 농촌체험마을 만족도와 이해도의 차이는 당일보다는 1박2일, 2박3일 체류기간이 길수록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만족도가 높아짐으로써 농촌체험마을의 대한 문화이해도도 증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체험관광마을에서 체류기간에 대한 연구 체계는 아직 학문적 정립이 안 된 초기단계이다. 따라서 농촌체험 체류기간을 중심으로 접근한 체류기간 만족도와 이해도 간의 인과관계분석을 도출하여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해 주고 있는 것은 농촌체험관광사업의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학문적 기여를 하게 될 것이다. Many youth use our farm stay villages which has been selected and developed for excursion and summer camp except ousting. The villages for school trips are so diversified that more teenagers tend to use them. Therefore, 166 questionnaires filled out on their own analysed, studying the assumption on how 1 night and 2 day or 2 night and 3 day stay in the farm village affects the teenagers after drawing the factors evaluating adolescents' satisfaction and understanding gap of rural culture depending the time of staying in the rural country. Th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in Shannon-hi, Cheongun-myron, Yangpyung-gun, Gyeonggi Province.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extremely high significance was showed with the level of significance probability 0.05 after analyzing the experience of visiting the farm villages depending on the experimental program. That is to say, 54.5% of teenagers visiting the rural countries were confirmed to visit them again. General satisfaction survey with facility, environment, service was investigated to figure out adolescent visitors' general satisfaction depending on staying time. Hypothesis testing for the questionnaires was conducted with the analysis of variance(ANOVA). The results of research hypothesis testing through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1) The teenagers were highly satisfied with facility, environment and service in their agricultural village trips. 2) General satisfaction with facility, environment, service depending on staying time and satisfaction with the villages, preference, recommendation and revisit showed rather 1 night and 2 day or 2 night and 3 day stay than 1 day stay. ANOVA was used to study the understanding difference of agricultural culture depending on the stay period by dividing the respondents into 1 day, 1 night and 2 day and 2 night and 3 day ones. Understanding countryside life, rural culture and rural landscape was meaningful and average values were different in the three groups. The average values for understanding agricultural culture are judged to be high as the teenagers staying only 1 day spend more time than ones staying more than 1 night and 2 days in the countryside. The longer teenagers stay in the villages, the higher satisfaction and understanding with the agricultural district villages is. That is to say, cultural understanding of rural communities increases as the teenagers are more satisfied with the villages. The study on staying period of agricultural trip villages is in the initial stage, which was not established academically. Theoretical suggestions on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staying period and understanding focusing on the time of staying in the villages can academically contribute to developing the various programs for village tour projects as basic researches.
어촌체험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 고창하전어촌체험관광마을 대상으로
오늘날 관광활동은 자연 속에서 휴식을 즐기며 지역의 문화를 접하고 이를 체험하려는 형태로 전환되고 있으며 생태관광의 도입과 함께 갯벌 및 어촌문화체험등 어촌지역에서 관광활동을 즐기려는 수요가 점차 증가 하고 있다. 또한 어촌체험관광은 건전한 사고방식의 관광이며 지역경제의 소득창출을 가져다 줄뿐만 아니라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도움이 되며 관광의 체재기간이 연장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을 더해 주고 있다. 우리나라 어촌 및 어항은 아름다운 자연경관, 다양한 체험활동요소등 많은 관광자원을 내재하고 있으나 개발과정에서의 훼손이 심하여 이를 방지하고 어촌체험관광객의 관광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아름답고 쾌적한 관광어촌 공간조성 방안의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 대상지인 고창하전어촌체험관광마을 역시 2004년 개장이후 1만3천여명의 관광객이 방문했고, 체험관광수입만 해도 9천여만 원의 성과를 올렸다. 많은 관광객이 방문해서 체험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고창하전어촌체험관광마을을 방문한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어촌체험관광의 문제점들을 도출시키고, 개선방안을 찾음으로서, 효과적인 활성화방안을 찾기 위함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한 세부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러 문헌들의 연구를 통해 어촌체험관광의 개념 및 특징, 구조, 유형들을 살펴보고, 지역 활성화를 위한 어촌체험관광자원 개발의 필요성과 국내외 어촌체험관광 현황을 살펴보고, 어촌체험관광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한다. 둘째, 문헌연구, 사례분석, 그리고 실증분석을 통해 이상에서 분석된 내용을 토대로 고창하전어촌체험관광마을의 문제점을 도출시키고, 그 개선방안을 찾음으로써 어촌체험관광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고창 하전어촌체험관광마을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내용적인 범위는 전체 5장을 구성되어져 있다. 제1장은 어촌체험관광 활성화방안에 대한 필요성과 연구의 목적, 연구의 범위와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2장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고, 제3장은 연구대상지의 현황과 조사설계의 분석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제4장은 조사결과와 어촌체험관광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고, 제5장은 결론으로 연구결과의 요약과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2005년 7월10일부터 17일에 걸쳐 고창하전어촌체험관광마을을 방문하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중 유효하다고 생각되는 210명의 응답내용을 조사 분석으로 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분석방법으로는 SPSS 12.0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신뢰성분석(reliability analysis), t-test, 교차분석, 분산분석(ANOVA)등을 사용하였다. 설문을 통해 도출된 문제점을 바탕으로 연구대상지 고창 하전어촌체험관광마을의 어촌체험관광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체험관광객의 체류기가의 연장과 먹거리, 볼거리 및 즐길거리, 특산품 쇼핑 등의 시너지 효과를 유도하여 체험관광객의 욕구에도 부응하고 더불어 마을의 관광수입 증대에도 기여할 수 있는 여러숙박시설 확충이 필요하다. 두 번째, 만원갯벌체험마을과 같은 근접한 지역에 유사 어촌체험관광마을과 경쟁적 구도를 조성하기 보다는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체험마을 끼리 토론과 협의의 장의 마련이 필요하다. 세 번째, 방문한 체험관광객의 체험대기시간 동안 지루함을 달래줄 수 있는 육상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체험센터 내 마을 홍보 동영상 상영이나, 소규모 어패류 전시장을 건립하여 견학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네 번째, 방문한 체험관광객에게는 먹거리를 제공하고, 마을에는 수익증대를 꾀할 수 있는 특산물 직판장을 운영함으로써 관광객과 주민의 상호 만족을 유도해야 하며 그 지역의 대표적인 향토음식의 전문화가 필요하다. 다섯 번째, 현재 설치되어 있는 편의시설을 아직 미흡한 점이 많이 있다. 예를 들어 벤치 같은 경우도 너무 밋밋한 것도 사실이다. 그 벤치 주위에 등나무 같은 나무를 심어 그늘을 만들어줌으로써 좀 더 아늑하고 분위기 있는 공간을 조성하여 다음 체험을 기다리는 대기공간과 체험 중간 중간 쉴 수 있는 휴식공간의 조성이 필요하다. 여섯 번째, 하전어촌체험관광마을의 체험관광객은 최초 개장 전2003년에는 천여명에서 2004년 개장 후 방문객수는 1만3천여 명으로 증가하였고, 2005년은 대략 2만여 명이 어촌체험을 하였다. 이런 증가추이를 감안할 때 현재의 주차시설은 너무도 부족하다. 주차시설 확충을 위한 부지 확보와 기타 관련사항을 준비하여야할 것이다. 일곱 번째, 현재 하전어촌체험관광마을은 방문한 체험관광객들이 갯벌체험을 추억할 만한 기념품이 없다. 그래서 갯벌체험의 추억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기념품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여덟 번째, 여러 루트를 통해 홍보가 이루어지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도 부족한 실정이므로 보다 적극적인 홍보정책 개발과 홍보방안마련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아홉 번째, 체험장 진입로에 꽃길조성으로 방문한 체험관광객에게 관광지 분위기를 느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골마을의 정취 또한 제공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주변에 산재해 있는 고창군의 매력적인 관광지(선운산, 청보리밭, 메밀밭, 고인돌 등)와 하전갯벌체험마을의 연계상품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하전마을의 수익창출 뿐만 아니라 고창군 전체의 관광수입을 증대시키며 또한 관광객의 욕구도 충족시킬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어촌체험관광을 보다 활성화시키기 위해 문헌연구와 실증분석을 통해 수행되었으나, 다음과 같은 연구의 한계가 나타났다. 먼저, 조사대상자가 고창하전어촌체험관광마을의 관광객에 한하였기 때문에 타 지역어촌체험관광객 전체를 대표할 수 없다. 또한 표본의 수도적어 체험한 관광객의 모든 의견을 알 수 없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서 대표적으로 성별, 연령, 직업, 학력에 한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oday's tourism has a new trend to have a rest in nature and experience local culture. With the introduction of eco-tourism, demands for tourism in a fishing village such as experiencing foreshore or local culture are increasing. Fishing village tourism is also a healthy idea and help to revitalize local economy, which is becoming more important in that the length of one's visit can be extended. Although fishing villages and ports in Korea have various tourism resources such as beautiful sceneries and many things to experience, they have been seriously damaged in developing processes. Therefore, agreeable tourism of fishing villages should be organized shortly to prevent such damage and satisfy the needs of tourists. 13,000 tourists have visited Gochang Hajeon experiential tourism fishing village, which I have researched, since it was organized in 2004. Its annual income from tourism exceeded \90,000,000. As a lot of tourists visited, many kinds of problem occurred. I researched tourists who visited the fishing village in order to draw problems of fishing village tourism, find solutions and promote such tourism. The detailed purpose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review the concept, characteristics, structure and types of fishing village tourism through documentary studies, and examine the necessity of developing tourism resources of fishing villages to revitalize local economy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experiential tourism of fishing villages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Second, based on what is acquired by documentary studies, case studies and empirical analyses, draw problems of Gochang hajeon experiential tourism fishing village, find solutions and suggest the ways to promote fishing village tourism. The range of space in this study is Gochang Hajeon experiential tourism fishing village. This thesis composes of five chapters. Chapter 1 suggests the necessity of promoting fishing village tourism and the purpose, extent and methods of the study. Chapter 2 shows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study, and Chapter 3 concerns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village and analysis methods. Chapter 4 suggests research results and the ways to promote fishing village tourism, and Chapter 5 shows the summary and limits of the study. I surveyed tourists who visited Gochang Hajeon experiential tourism fishing village between 10 and 17 July 2005 250 people were surveyed and I analyzed answers made by 210 of them which were judged to be valid. I conducted a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crosstab analysis and ANOVA using SPSS 12.0 program. Based on problems drawn from the survey, I offer some suggestions to promote the tourism of the fishing village. First, it is necessary to extend tourists' stay, produce a synergy effect of combining things to eat, see and enjoy and local product shopping to meet tourists' desire and construct lodging facilities which contribute to tourism income growth of the village. Second, experiential tourism villages located closely should make a discussion to cooperate to produce a synergy effect rather than compete each other. Third, it is needed to develop ground programs for tourists who are waiting. For instance, showing moving pictures publicizing the village in the experiential center and building an exhibit hall of fish and shellfish. Fourth, provide tourists with food and organize a direct sale market for local products so that tourists and local residents might be satisfied. And local cuisine should be specialized. Fifth, convenient facilities are not sufficient at present. For example, benches are too plain. It would be nice to make cozier space by planting trees such as wisterias so that tourist could take a rest while waiting for next experience. Sixth, while the fishing village had about 1,000 tourists in 2003, it had 13,000 tourists in 2004 when the experiential tourism fishing village was organized. The number of tourists in the village amounted to 20,000 in 2005. Considering the progress, it is lacking in parking facilities. They must obtain sites for making parking facilities and prepare for related work. Seventh, there is no souvenir which reminds tourists of their foreshore experie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souvenirs to maximize the memory of their foreshore experience. Eight, the village is being publicized in many channels but not sufficiently. They should develop effective measures to publicize the village. Ninth, build a flower way at an access road so that tourists might taste an atmosphere of the countryside. Finally, develop programs which connect the village with other attractive tourist spots of Gochang province(e.g. Mt. Seonwoon, green barley fields, buckwheat fields, dolmens). It will increase the tourism income of the province and satisfy tourists. I conducted documentary and empirical studies to promote fishing village tourism but some limits are found. First, my research was limited to one fishing village so it could not represent the experiential tourism of all fishing villages. And the number of sample is small. Second, demographic variables are limited to gender, age, occupation, and academic background. I expect a follow-up research to overcome these limi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