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손소희 가톨릭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17 국내석사
2011년 12월 9일, 한국의 서원이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Seowon, confucian Academies of Korea"로 이름을 올렸다. 유네스코 등재를 위해 한국에서는 서원을 활용하기 위해 여러 노력을 하고 있다. 문화재청은 2014년부터 “최고의 보존은 지속적인 활용”이라는 비전 아래 ‘살아숨쉬는 향교ㆍ서원 활용사업’ 진행하고 있고, 이 사업에 참여하는 서원이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문화유산인 서원을 관광자원으로 활용하려는 연구들(2016년 기준, 20편)도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이 내국인 관점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외국인관광객들을 위한 서원 체험 관광 상품은 활성화 되지 않은 상태이다. 서원은 조선시대 중기에 발생한 사립 교육기관으로 그 안에 유교사상과 공동체 생활, 한국의 전통문화가 담긴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사(士)들이 모여 지내던 서원은 학생들뿐 아니라 그들을 가르치던 원장과, 그들의 생활을 도왔던 노비, 그리고 서원 주변 마을사람들의 이야기까지 모두 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국의 선비문화와 전통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서원이 아직까지 개발되지 않은 타겟인 외국인관광객들을 대상으로 관광자원으로서 활용될 수 있도록 그 가치를 살펴보고, 그에 맞는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현재 서원체험 프로그램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월봉서원과 한국의 대표적인 서원이라 할 수 있는 도산서원의 사례 조사와 문헌조사를 통한 선행연구, 일반 외국인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도산서원 관계자 인터뷰 및 도산서원 외국인관광객 인터뷰를 통해 다음과 같은 한국을 찾은 외국인관광객의 특성과 서원 체험관광 활성화 방안을 도출할 수 있었다. 한국을 찾은 외국인관광객들은 대부분이 한국의 전통문화를 체험하였고, 그에 대한 만족감을 나타냈다. 또한 서원체험에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외국인관광객들의 서원 체험관광 시장에 대한 수요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은 공예, 마을 답사 등 참여적 체험형과 탐방형 프로그램을 선호하며, 강의형 프로그램에는 큰 흥미를 느끼지 않았다. 응답자들은 서원에 대해 많은 관심을 보였지만, 아직 서원에 대한 홍보가 충분히 이뤄지고 있지 않아 서원을 알지 못 하는 관광객들이 많았으며, 이에 대한 정보지식 서비스 체계가 구축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서원 관광의 홍보를 위한 지식정보 서비스 체계 구축과 미디어를 활용한 국내외 마케팅, 외국인관광객을 위한 안내 서비스 활성화 및 전문인력 양성, 외국인관광객의 특성을 고려한 관광 콘텐츠 개발과 한류 문화 관광과 연계한 관광 연계 시스템 및 문화 상품 개발, 서원의 운영을 활성화하기 위한 문중-지자체-문화기획자들 간의 파트너십 구축과 그들의 협업, 4차 산업 혁명 트렌드에 발맞춘 VR과 AR 콘텐츠 제공을 서원 체험관광의 활성화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외국인을 위한 사인시스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복합쇼핑몰 방문객을 중심으로
강혜인 한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현대의 관광산업은 오늘날 다양한 분야의 경제, 사회, 문화 등에서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가 이미지 제고 등 높은 성장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는 매력적인 산업이다. 오늘날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는 기대감, 고용과 소득을 늘리는 경제 수단으로써의 세계화 시대에서 무한한 성장 산업으로 각광 받고 있다. 이러한 세계적인 추세에 따라 2013년은 1,217만 명, 2014년의 경우 1,420만 명으로 최고 정점을 찍었으며 우리나라 2015년 방한 관광객 수는 전년 대비 6.8% 감소했음에도 1,323만 명이었다. 이와 같이 매년 국내를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관광객의 소비 패턴이 다양하게 변화되고 있으며, 외국인 관광객 또한 하루에 한 공간, 즉 멀티플렉스의 기능을 갖춘 복합쇼핑몰에서 쇼핑, 음식, 엔터테인먼트 등의 일정을 모두 소비할 수 있는 원 데이 쇼핑(One day shopping)을 선호하게 되었다. 이러한 복합쇼핑몰은 소비자에게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지만 대규모적인 복합 공간이라는 점에서 복잡한 동선체계로 인해 경로 탐색 및 목적지를 찾아가는데 어려움이 따르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복합쇼핑몰을 이용하는 외국인 관광객에게 방향 및 목적지에 대한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인 인지가 필요하며, 이러한 시각적 및 기능적 역할을 위한 사인시스템의 중요성은 높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관광객에게 설문조사를 통해 사인시스템의 인식과 현황을 파악하여 현재 복합쇼핑몰의 사인시스템 요소와 조건에 대한 개선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사인시스템이 효율적인 시각적 속성과 정보적 속성을 잘 전달 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국내를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을 중심으로 코엑스 및 타임스퀘어에서 설문이 진행되었으며, 객관적 검증이 가능한 설문 문항을 바탕으로 사인시스템의 정보적 속성과 시각적 속성에 대한 차이를 검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성별의 차이 분석 결과로 정보적 속성에 대해서는 장소의 구체적 설명, 이동시간, 알기 쉬운 시스템에 대해서는 여성보다 남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휴게실 및 화장실 정보에 대해서는 남성보다 여성이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사인시스템의 시각적 속성에서는 형태, 설명정보, 픽토그램에서 남성보다 여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색, 문자정보에 대해서는 여성보다 남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연령의 차이분석 결과로는 정보적 속성에 대해서는 장소의 구체적 설명, 이동시간, 이동거리, 알기 쉬운 시스템에 대해서는 3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휴게실 및 화장실 정보에서는 50대 이상, 음성 또는 동영상 안내시스템에서는 4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연령별 시각적 속성에서는 색, 픽토그램에서 3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형태에서는 50대, 설명정보에서는 40대, 문자정보에 대해서는 2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방문 횟수의 차이 분석 결과로는 정보적 속성에 대해서는 전체적인 위치파악, 이동 시간, 이동 거리, 알기 쉬운 사인시스템에 대해서는 10회 이상-15회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장소의 구체적 설명에 대해서는 1회가, 휴게실 및 화장실 정보에서는 5회 이상-10회 미만이, 음성 또는 동영상 안내시스템에 대해서는 2회 이상-5회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각적 속성에서는 색, 형태에서 10회 이상-15회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설명정보, 픽토그램에서는 1회가, 문자정보에서는 2회 이상-5회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방문 시간의 차이 분석 결과로는 전체적인 위치파악, 알기 쉬운 시스템에 대해서는 30분 이상-1시간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장소의 구체적 설명, 이동 거리, 음성 또는 동영상 안내시스템에서는 2시간 이상이, 이동 시간에서는 30분 이내, 휴게실 및 화장실 정보에 대해서는 1시간 이상-1시간 30분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각적 속성에서는 색, 설명정보에서 30분 이내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형태에 대해서는 30분 이상-1시간미만이, 픽토그램에 대해서는 2시간 이상이, 문자정보에서는 1시간 30분 이상-2시간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위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외국인들에게 사인시스템에 있어 공간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일관된 디자인의 사인시스템이 요구된다. 문자보다 픽토그램의 활용이 효율적인 정보전달에 우선시 고려해야 할 부분으로 나타났다. 픽토그램은 세계의 공통 언어이며 누구나 쉽게 인지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중요한 디자인 요소로 적극적인 활용 방안이 요구되는 지점이다. 본 연구는 설문을 통해 국내 복합쇼핑몰을 방문하는 외국인들에게 있어 사인시스템에 대한 인식 결과를 알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 앞으로 사인시스템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끊임없는 연구가 필요하다.
外國人 觀光客의 韓國産 寶石商品 購買 增進에 관한 硏究 : 日本人 觀光客을 중심으로
이상언 순천향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0 국내석사
본 연구는 급증하고 급속한 변화를 겪는 관광현상 속에서 우리 나라 관광의 양적 증대를 근간으로 한 질적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 국민 관광은 물론 외래 관광객을 위한 질 좋은 관광상품의 개발 필요성을 자각하는 것으로 출발하였다. 볼거리, 놀거리, 살거리 등 관광의 기본 재료의 부족 문제는 관광업계가 직면한 새롭지 않은 지적사항이다. 관광선진국의 경우 우리 보다 결코 대단치 않은 문화, 전통, 유적 등을 관광상품으로 포장하여 판매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 나라 관광업계도 소재의 부족을 극복하고, 보다 부가가치가 높은 관광상품을 개발할 필요성이 높으며, 그중 새로운 가능성은 관광쇼핑 부문에 있다고 볼 수 있다. 관광지출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며, 유동변수가 많은 관광쇼핑에서 새로운 관광상품을 개발·소비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는 것은 국제수지의 개선 측면에서도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방한 외래관광객 쇼핑성향 결과는 의류, 피혁제품, 김치, 식료품, 인삼류, 주류, 신발류, 보석류, 도자기 등이 상위 품목이며, 이중 본 논문은 높은 부가가치가 잠재된 보석상품에 대한 관광객 소비성향 진단 및 그 판매방안 구축, 관련 관광상품 개발 방안 제시 등을 위해 접근하였다. 이미 익산시 등은 지역 발전의 일환으로 보석산업단지 조성, 2002년 세계 보석 엑스포 개최, 보석 박물관 건립, 보석 테마파크 조성 등의 계획을 추진 중에 있다. 이는 지역발전의 원동력을 보석과 관광의 결합을 통해 이룩하고자 하는 의도라고 볼 때, 지역차원뿐만이 아닌 국가적 차원에서의 전략적 접근이 필요함을 제안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가능성을 뒷받침해 줄 관련 변수도출 및 실증조사를 통한 판매 방안과 관광상품개발 방안의 도출은 실로 중요한 일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기한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석의 범위, 종류, 특성 등을 규정한다. 둘째, 관광시장에서의 보석 시장 현황을 파악한다. 셋째, 한국산 보석상품 및 관련 관광상품의 국내외 관광시장에서의 가능성을 진단한다. 이론적 고찰부분에서는 우선 보석의 개념 및 종류, 분류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관광제품의 특성을 기준으로 보석제품의 특성 및 제품 요인 등을 살펴보았고, 보석의 구매 결정 요인에 대해서도 파악하여 실증분석에 필요한 관련 변수를 도출하였다. 실증분석에서는 우선 인구통계적 요인과 관광객 행동 특성을 독립변수로 활용하여, 종속변수로는 보석의 제품요인 및 보석의 구매결정 요인 간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집단간 평균차이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보석에 대한 사전 인지도, 정보, 관심에 따른 보석 구매 만족도의 관계를 측정하였고, 관광객의 관광과정에 대한 만족도에 따른 향후 보석 관련 관광상품 참여의사와의 관계도 규명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 외래 관광객의 관광행태 및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서 보석의 제품요인과 구매결정 요인 간에는 집단별로 차이가 발견되었으며, 이는 보석산업의 외래 관광객시장의 선택에 있어 시장차별화의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보석에 대한 구매여부, 구매의향, 사전 관심도 등에 따라서 보석에 대한 만족도도 집단별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구매의향이 높은 집단의 표적시장화 및 사전 관심도 개발을 위한 광고·홍보 전략의 마련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관광객의 세부 관광상품별 만족도에 따라 향후 보석 관련 관광상품 참여 의사에 대한 분석 역시 집단별 차이를 발견할 수 있어서 세부 상품별 만족도의 조정 및 보석 관광상품의 연계를 통한 보석 판매 활성화의 가능성은 충분히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쇼핑 관광상품 중 잠재력이 높은 보석상품의 개발에 앞서 외래관광객의 구매 성향을 분석하여 차후 상품개발 자료나 마케팅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접근하였다. 국내 보석상품의 외래관광객 쇼핑부문 비율은 전체의 18% 정도를 차지하고 있음은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특히 보석시장의 철저한 조사와 분석, 저가격 집중전략의 관광상품 개발, 차별화 전략을 통한 구매 선택요인의 강화 등과 익산시와 같은 세계적 수준의 국제행사와 그에 따르는 다양한 사업 추진, 관련 법·제도의 개선 등은 꼭 필요한 보석 관광상품의 판매를 위한 초석임에는 틀림없다. This study was started from being conscious about the necessity of high quality tourism products for both domestic and foreign tourists, to seek the qualitative development of Korean tourism with the quantitative increase in a rapidly increasing and changing tourism phenomenon. The shortage of basic tourism materials, such as the cause of seeing, playing and buying, has been a well-known problem of tourism. In case of tourism developed countries, they are packing and selling the tourism products, such as culture, tradition and remains. Accordingly, our tourism can overcome the shortage of the materials, needs th develop high value-added tourism products and the new possibility is in the part of tourism shopping among those. To supply the opportunities of developing and consuming new tourism products in tourism shopping, which occupies a big part of tourism expenses and has many floating variables, is imminent even for the improvement of the balance of international payment. Foreign tourists to Korea buy cloth, leather, kimchi, foodstuffs, ginseng, wine, shoes, jewelry and pottery mainly. This thesis approached understanding about the consumption propensity of tourists, the construction of marketing and the development of related tourism products of high value-added jewelry product. Therefore, the drag related variables supporting this possibility, the plan of sale through an actual proof research and the development of the tourism products is very important, and the object of this study presents next to solve that. The first, the range, kind and characteristic of jewelry will be defined. The second, the present condition of jewelry in tourism market will be gripped. The third, the possibility of the home made jewelry products and the related tourism products in domestic and oversea tourism market will be diagnosed. At the part of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the concept, kind and classification of the jewelry were analyzed first. Also, the characteristic and factor of the jewelry products were examined with the standard of the characteristic of the tourism products, and the related variables, required of an actual proof analysis, were obtained by searching the decisive factors of purchase on jewelry. To the results of above analysis, according to the foreign tourists tourism behavior and vital statistic characteristic,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on groups, and this can present the standard of market distinction in the choice of foreign tourist market for jewelry industry. In addition, it turned out that target marketing to the groups that are highly intended to purchase and planning the strategy of advertisement and promotion are necessary, because the satisfaction about the jewelry is different among groups, according to purchasing or not, the intention of the purchase and pre-interest. At least, it was analyzed that the adjustment of satisfaction on different products and the possibility of activation on jewelry sales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jewelry and tourism exist sufficiently, because the intention of the tourism products participation in the future, related th jewelry, was also different among groups, depending on the satisfaction of tourists about the each tourism product. In conclusion, apart from the development of the jewelry products that are much potential among shopping tourism products, this thesis' approaches can be used for the data of product development and marketing, due to the analysis of tourist' behavior. It infers the possibility that the portion of foreign tourist shopping in domestic jewelry product is 18%.
외래관광객의 여행상품 지각에 의한 관광목적지 가치 평가
본 연구의 중요 관점은 우리나라 일반여행업체들이 외래 관광객수의 증가와 더불어 우선적으로 선결해야 할 과제를 파악하고 효율적인 여행상품 개발을 위한 관광목적지 가치 평가를 통해 침체되는 외래관광(inbound tour)시장의 활로를 모색하여 관광객 요구에 부합할 수 있는 전략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모형을 이용해 방한 외래관광객들이 여행상품을 지각하는데 있어서 방문전 사전 중요도(기대)와 방문후 사후 실행도(만족)를 비교 분석하여 표적시장별 차이점을 규명하고 여행상품의 질과 구성변수들이 만족수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세부적으로 조사분석 함으로써 요인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외래관광객들의 여행상품 질적 가치평가 요인군별 군집화에 의한 관광목적지 여행상품 사후평가와 인구통계적 특성 및 여행형태와의 지각차이을 분석하여 세분시장별 마케팅 전략수립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수행을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구체적인 연구목적을 설정한다. 첫째, 관광목적지 여행상품을 구성하는 속성별 여행 전 중요도(importance)와 여행 후 실행도(performance)의 지각차이를 확인한다. 둘째, 외래 관광객이 지각한 관광목적지 여행상품의 구성요소가 여행상품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한다. 셋째, 외래관광객이 지각한 여행상품의 질이 전반적 만족, 재방문,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한다. 넷째, 외래관광객이 지각한 여행상품의 구성요인들이 전반적 만족, 재방문,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한다. 다섯째, 외래관광객들의 만족수준에 영향을 주는 여행상품 질적 가치평가 요인군을 추출하고 그 유형에 따라 관광목적지 여행상품의 사후평가에 대한 지각차이를 확인한다. 여섯째, 여행상품의 질적 가치평가 요인군의 유형에 따라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여행형태에 대한 지각차이를 확인하여 세분시장별 여행상품 개발을 위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여행을 마치고 김해공항과 부산부두를 통해 출국하는 단체 외래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 하였으며 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관광목적지 평가 변수들이 관광목적지 여행상품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하였고, 관광목적지 평가를 위한 IP(중요도-실행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관광목적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대한 사전 중요도와 사후 실행도에서 그 평균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일본시장과 중국시장의 각 표적시장별로는 서로 상반된 결과를 가져왔다. 즉 일본시장은 사후 실행도가 중요도보다 낮게 나왔으며 중국시장은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방문회수에 따른 만족의 차이와 맥락을 같이 한다고 할 수 있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여행상품의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가설의 분석단계를 다루고 있다. 먼저 기본단계로 여행상품 질적수준을 구성하고 있는 설문 문항들의 개념타당성(construct validity)검정을 위하여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둘째, 여행상품 질에 대한 지각요인과 여행상품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따른 관련성을 검정하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muh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셋째, 여행상품 질에 대한 지각요인과 만족수준과의 영향요인을 검정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여행상품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와 만족수준과의 영향요인을 검정하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여행상품 구성요인과 질적요인들이 여행상품의 만족수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자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계층적 군집분석(hierarchical cluster analysis)을 통해 여행상품 질적 가치평가 요인군 즉, 비용지출에 큰 비중을 둔 집단, 여행상품가격에 큰 비중을 둔 집단, 여행활동가치성에 큰 비중을 둔 집단 등으로 추출하여 그 가치평가 요인군에 따른 여행상품 구성요소들의 사후평가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세분시장별 마케팅 전략수립의 근거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의한 여행상품의 지각차이와 여행행태 변수에 의한 지각차이를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교차분석을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여행상품 질적 가치평가 요인군별 여행상품의 사후평가(post hoc comparison)와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관광행태에 따른 지각차이가 유의할 것이라는 연구자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IP 분석결과가 상이한 두 표적시장에 따른 관광목적지 평가가 이루어져 표적시장별 방한 외래관광객들을 위한 여행상품 개발과 차별화가 이루어 져야 하겠다. 따라서 외래 관광객들에게 관광목적지 여행상품에 대해 만족을 주기 위해선 표적시장별 관광객들이 지각하는 관광목적지 여행상품에 대한 평가가 정기적으로 이루어지고 그 결과에 따라 관광객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차별적인 관광목적지 여행상품의 구성과 제공이 필요하다. 그리고 관광목적지 평가후 문제점을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하겠다. 즉 외래관광객의 기대와 욕구를 만족시켜 줄 수 있는 다양한 관광목적지 여행상품의 구성 및 제공이 관광객 만족요인으로서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 여행상품과 관련된 관광목적지는 서비스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게 평가되고 있으며 관광객들의 현지에서 지각하는 여행상품의 구성요소와 전반적 여행상품의 질 등의 만족 여부가 관광목적지 선정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논문은 이와 같이 방한 외래관광객의 여행만족과 재방문 유도를 위한 여행상품의 전략적 대안을 제시하고 여행상품 구성요인에 의한 관광목적지 가치평가를 통해 거시적으로는 향후 한국 일반여행업체의 관광목적지 여행상품 모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중대하리라 사료되어진다. 그러나 이 같은 연구 결과의 시사점에도 불구하고 일본, 중국외의 다양한 고객층을 세분시장으로 고려하지 못한 점에서 한계점을 들 수 있다. 더욱이 이론적 심층연구의 부족과 과학적인 시스템을 도입하지 못한 점에 대해서는 차후 연구에서 보완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 같은 한계점들을 해결하고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계속하기 위해서는 관광목적지 선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좀더 포괄적이고 다양한 여행상품의 구성요소에 대한 연구와 함께 외래관광객의 심리학적 내면적 변수를 추적하여 보다 심층적인 연구결과의 도출을 위한 과제를 남겨 주었다. In this study, we aimed at presenting strategic alternatives that can meet the needs of tourists for Korean tourist agencies by recognizing the preliminary tasks with regard to the increase in number of visitors and by performing evaluation on tourist spots which can help themselves position inbound tour market. With the value assessment on tourist attractions using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we confirmed each target's difference on tour tendency by comparing the respective preferences on pre-visit importance and post-visit performance. We also tri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actor by analysing the quality of tour package and the components influence on the overall satisfaction of visitors. We finally are to provide basis for setting up specific target-oriented marketing strategies with our analysis on perceptive differences between the post-assessment of tour package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packages with qualitative factors and demographic features/types of tour. Followings are the specific research goals to perform the research successfully.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attributive pre-visit importance and post-visit performance that consist of tour packages should be recognized. Second, it should be confirmed whether the components of tour package affect the overall quality of tour package. Third, it should be confirmed whether the quality of tour package that the foreign visitors perceived has influence on the overall satisfaction, next visit, and the intention to recommend it to potential visitors. Forth, it should be confirmed whether the components of tour package which foreign visitors perceived affect he overall satisfaction, next visit, and the intention to recommend it to potential visitors. Fifth, the group of factors on the quality of tour package that affects on the satisfaction of visitors should be recognized, and the perception gap on the post-evaluation of tour package should be confirmed by each factor. Sixth,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 gap on the form of tour should be confirmed by the types of quality factors on tour package to help set up the marketing strategies for tour package development targeted on specific markets. The survey sheet was distributed at Kimhae Airport and Pusan harbor to the foreign visitors who leave for their countries after the tour.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We first confirmed with our preliminary study that the assessment variables on tour package were made up of the tour package components. With the result of the IP(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for the value assessment on tour package, the mean difference between pre-importance on tour package hardware/software and post-performa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hile Japanese and Chinese markets showed opposite figures. That is, Japanese market put high significance on post-performance than pre-importance while Chinese market showed high figure on pre-importance in general. Therefore, the specific target-oriented tour package should be developed for the Korean visitors from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to stay competitive in the international tour industry. For the next step, we focused on the analysis procedure of research hypothesis on the factors that are affected by tour package. We first processed factor analysis to examine construct validity of questionnaire items regarding on the quality evaluation of tour package.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followed to recognize the perception factors on the quality and its correlation with tour package software/hardware. Then we reprocesse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confirm the quality perception factors and the influential factors of the quality with regard to the overall satisfaction. Finally, the hardware/software components of tour package and influential factors on visitor's satisfaction were examined with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general, the hypothesis of the research that the tour package components and its quality factors would affect the overall satisfaction of visitor on the package can be accepted by the supporting results of the research. In the third procedure, we classified the influential factors on tour package by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into several groups ; one that put the importance on budget spending, another on the price of tour package, the other on the value of tour activity. To gain the basis for specific market-oriented marketing strategies, we utilized one-way anova and cross analysis to examine the perceptual difference on tour package caused by demographic variables as well as by tour type variables. With the results, the hypothesis that the post hoc comparison of tour packages classified by quality factors would show positive correlation with perceptual differences caused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type of tours can be accepted. In this respect, we can affirm that the regular assessment on tour packages purchased by the visitors from different markets should be performed to develop target-oriented tour packages that can meet the needs of various visitors from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The problems recognized during the assessment should be gradually and systematically improved to have this tour industry stay competitive in the global market. That is, a variety of tour packages that can satisfy the expectation and the demands of foreign visitors should be organized and provided in this market to improve overall satisfaction of tourists. The tourist attractions themselves are also highly appreciated as a part of the tour service. We therefore expect that the components of tour package perceived by tourists in local tour spots along with the overall satisfaction on the quality of the package play an important role in attracting foreign visitors. In this study, we presented strategic alternatives to improve the overall satisfaction of foreign visitors and attract them to revisit Korea. We also suggested that the tour packages currently sold by Korean tourist agencies could be modified and enhanced by the Value Assessment on Tour Package based on the components. Nevertheles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not represent the global market, since it had took only Japan and China into consideration in recognizing the characteristics of specific target-oriented market. It also leaves some tasks that should further be solved by consecutive researches in that profound theoretical research lacked and scientific system was not introduced for this study. Overcoming these limitations that this research has left, further research should be performed on this subject, by using more variables on varied components of tour packages that influence visitor's selecting tourist spot as well as on visitor's psychological aspects.
濟州 地域 訪問 觀光客의 外食嶪 利用에 따른 滿足要因에 관한 研究
고경찬 탐라대학교 경영・사회복지대학원 2008 국내석사
제주 관광산업은 2007년도 542만 여명의 국내·외 관광객을 유치하고 그중 외국인 관광객은 54만 여명 수준으로, 국제관광지로서 시장기반이 취약한 실정이다. 관광지 발전단계상 제주도는 정체상황에 처해 있다. 특별한 대책이 없다면 제주관광은 쇠퇴할 우려가 크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주관광의 정체상황을 타개하고 새롭게 도약시키기 위한 카드는 국제관광의 '식문화'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국제자유도시 추진 이후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한 법·제도적 뒷받침과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 국내관광시장을 효과적으로 유치하고 확대하기 위한 전략은 상대적으로 소홀하다. 전반적인 경기 침체로 외식산업이 불황에 처해 있다. 특히 제주는 물류비용 등이 악재로 작용하고 있고 성문화특별법 통과 등의 이유로 제주외식업 종사자 1만 여명이 해외로 반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골프장 입장료 인하, 내국인면세점 개점, 쇼핑아울렛 개발 등 내국인 관광객들을 주요 타켓으로 한 시책들이 개발되어 일부 시행되고 있으나 제주관광이 실질적인 경쟁력을 갖추려면 제주적인 먹거리문화를 찾아내어 가꾸고 키우는 작업이 선결되어야한다. 내국인 국내여행과 해외여행 지출액은 연간 약 300억 달러(약 40조원) 규모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제주가 추진하고 있는 국제자유도시가 국제관광지로의 도약과 외국인 관광객 유치에 초점을 두고 있으나 내국인 관광시장의 시장규모를 무시할 수는 없다. 내국인 관광시장 관광수입 점유율을 10%정도로 확대할 수 있는 국내관광객 유형별 먹거리 식단에 대한 세부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실업률 증가, 감귤가격 파동, 성매매 특별법, 경기침체의 장기화로 인한 소비자의 소비심리 위축뿐만 아니라 도내의 대형마트 입점 증가로 기존 제주인을 위한 관광 이윤 창출은 경쟁력 강화 노력이 더욱 필요하고 관광객들로 하여금 충분한 만족원인을 분석하여 다시 찾는 제주의 관광이미지를 창출해야 한다. 금번 이 논문은 제주도의 관광객들에게 관광지외식업에 대한 질의를 통해 관광객의 외식업 이용에 따른 만족요인 등을 분석·정리하여 기존 운영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외식업의 업종별 분포현황 및 성별·연령대별·시간대별 유동인구 현황은 조사·분석·편집하여 많은 창업자들의 경영개선에 일조하고, 예비 창업자들의 업종선정·입지선정 등 지역상권에 보탬이 되고자 한다.
김두조 京畿大學校 經營大學院 1998 국내석사
Tourism has long been recognized as a vital force for economic development. The globalization of the travel industry has resulted in increased competition among countries. In response to this increased competition, tourism agencies have begun to develop and implement strategies to market their areas more effectively as tourist destinations. So, it is important to analyse major international tourism markets in order to attract more foreign tourists to Korea. The United States is the most powerful country in the world in every aspect, such as politics, economics, culture, etc. It is also the most influential country in the field of tourism. As allied countries, the U.S. and Korea maintain a close relations in all respects, including the economy. Also, in tourism, the U.S. become an important market for Korea. Even in 1996, despite an overall slump in the number of visitors to Korea, visitors from the U.S. showed 10% growth over the previous year. In developing an effective marketing program for Korea, it is essential to consider a number of important elements of the U.S. The goal of this thesis is to identify target U.S. travel markets to Korea and to provide recommendations for development of tour products in order to attract more American tourists to Korea. The result of this study identified target markets in the United States as follows. 1. Residents of California, New York, New Jersey, Florida, Texas 2. Non-whites 3. The old(over 50) or the retired 4. Professionals whose annual income is more than USD 75,000 The result of this study also provide recommendations for Korean travel agencies to make tourism products in order to attract more American tourists, as below. 1. Development of Eco-tourism product 2. Development of SIT(Special Interest Tour) product 3. Development of a tour product which combines Korea and neighboring Asian countries such as China and Japan 4. Development of "Do it yourself package" product 5.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related tour product 6. Development of Economic tour product for youngsters
여행사의 외국인관광객 대상 공연상품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신동현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관광산업은 ‘굴뚝 없는 산업’ 또는 ‘황금알을 낳는 산업’이라고 불리며 그 중요성이 점점 부각되고 있다. 그에 따른 관광공연의 수요와 중요성 역시 증가하고 있으나 관광공연의 주 구매자인 인바운드 여행사의 관점에서 바라본 관광공연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관광공연의 실질적인 핵심 고객층이라 할 수 있는 인바운드 여행사의 관점에서 관광공연의 선택요인을 연구하였다. 관광공연이란 관광과 공연의 개념을 융합하여 관광객에 초점을 맞추어 제작된 공연을 뜻한다(이송, 2011). 관광공연의 주구매자는 인바운드 여행사이며, B2B의 영업이 주를 이룬다. 관광공연에서는 B2B 마케팅의 특성인 구매자와 소비자의 상호의존적 관계, 단순화된 유통경로, 협상을 통한 가격 결정 등 기존 B2B 마케팅의 특성들과 B2C 마케팅 특성인 고객요청, 브랜드관리 등의 특성이 함께 영향을 미친다. 선행연구를 통하여 공연 선택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관광공연업체 마케팅 책임자 10인에게 개방형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선행연구와 개방형 설문 결과를 종합하여 공연작품, 공연장, 마케팅 총 3가지 영역에서 21개 문항을 도출해내 쌍대 비교 9점 척도 설문지를 구성하였으며, 설문 결과는 계층분석 과정(AHP)을 통해 분석하였다. 조사는 한국 인바운드 여행사 유치 실적의 약 9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 일본, 동남아 3개 지역 인바운드 여행사의 상품기획자 각 20명씩을 대상으로 하여 총 60명에게 실시하였다. 연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경력 10년 이상, 직급 과장 이상으로 대상을 한정 지었다. 또한, 설문 진행 후 일관성 지수(CR) 값이 0.2 이하의 설문에 대해서만 분석을 하여 신뢰도를 높였다. 중요도 및 영향 값을 보면 고객요청, 공연가격, 공연장 친절도, 해외에이전시요청, 공연장 분위기, 공연장위치, 고객서비스, 오락성, 공연인지도, 식사여건, 주차환경, 공연장 규모, 공연장 주변 환경, 작품내용, 영업능력, 홍보, 작품성, 공연 장르, 관계성, 공연시간, 제작사 순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결과와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인바운드 여행사의 관광공연 선택요인 중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요소는 공연가격, 공연장 친절도, 고객요청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행 시 가장 높게 고려되는 요인이 여행상품의 가격으로 조사된 중국인의 특성이 반영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일본 인바운드 여행사의 관광공연 선택요인 중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요소는 고객요청, 공연장 위치, 해외 에이전시 요청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별성향이 강하며 한국을 방문한 횟수가 많은 일본 관광객의 특성과 B2B 비즈니스 관계를 중요시하는 일본시장의 특성이 반영된 결과이다. 셋째, 동남아 인바운드 여행사의 관광공연 선택요인 중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요소는 공연가격, 고객요청, 공연장 위치순으로 나타났다. 동남아시장은 중국시장과 비슷한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가격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서 중국, 일본, 동남아 국가별로 관광공연 선택요인에 큰 차이점이 있음을 증명하였다. The tourism industry is called an "industry without chimney" or a "bonanza," with its importance attracting more attention, and the demand for and the importance of touristic performance are also on the increase. In this context, very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ouristic performance from the perspective of inbound travel agencies that are principal purchasers of touristic performance. This study explored the determinants of touristic performance sele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nbound travel agencies that can in practice be key customers of touristic performance. Touristic performance means performance produced with a focus on tourists by combining two concepts: tourism and performance (Lee, 2011). The principal buyers of touristic performance include inbound travel agencies, which are managed on a B2B basis. Touristic performance is affected both by the properties of the existing B2B marketing, such as interdependent relationships between buyers and consumers, simplistic distribution channels, and negotiation-based pricing and by those of B2C marketing, such as customer request and brand management.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performance selection; on this basis, an open-ended survey was conducted in ten touristic performance marketers. A nine-point scale using paired comparison was constructed with 21 items in three areas―performance works, performance sites, and marketing―on the basis of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open-ended survey; the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nalyzed by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A total of 60 product planners in South Korean inbound travel agencies, 20 for each of the three regions―China, Japan, and Southeast Asia―which hold more than 90% of market share in tourist attraction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To make the research more reliable, it was restricted to section chiefs or those in higher positions who had more than ten years of career. In addition, only those questionnaires with the consistency ratio (CR) of 0.2 or lower were analyzed to make it more reliable. What was most important and influential was customer request, followed by performance price, kindness at a performance site, overseas agency request, atmosphere at a performance site, location of a performance site, customer service, entertainment, performance recognition, meal conditions, parking environment, size of a performance site, environment surrounding a performance site, contents of a work, marketing competence, PR, quality of a work, genres of performance, relations, performance time, and producers.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st influential and important determinant of touristic performance selection among inbound travel agencies for China was performance price, followed by kindness at a performance site and customer request. This result ma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people who have been found to give the greatest consideration to the price of tour products. Second,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 of touristic performance selection among inbound travel agencies for Japan was customer request, followed by location of a performance site and overseas agency request. This result ma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tourists who are more individualistic and may have visited Korea several times and as well as the nature of the Japanese market giving weight to B2B business relationships. Third,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 of touristic performance selection among inbound travel agencies for Southeast Asia was performance price, followed by customer request and location of a performance site. The Southeast Asian market has a similar tendency to the Chinese market, which is strongly affected by price. These results have demonstrated that China, Japan, and Southeast Asian countries have significantly different determinants of touristic performance selection.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the demand forecast of Busan tourism by Jenkins(1976)'s ARIMA(Autoregressive Intergrated Moving Average) method used in previous studi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ccuracy of forecast analysis showed that the accuracy of forecast was high, along with the existing previous studies. Second, time series analysis for the demand forecast of Busan tourism through 2009 to 2015 by the classification of Busan visiting tourists into foreigners and Japanese showed that ARIMA(0,1,4)(0,1,0) and ARIMA(0,1,0)(0,1,1) models were finally selected for foreigners and Japanese, respectively, through the phase of stationarity, model identification and parameter estimation. These three models had a high explanation power of 82.4% and 78.0% and were estimated at relatively low BIC and Q-statistics. Since all three models were greater than 0.05, they all had an independent white noise, indicating that forecast models were appropriate. Third, the demand forecast of foreign tourists in Busan area showed that the demand for them would decline consistently. A monthly demand of them was forecast to be the highest in August, followed by in October, May, April and June, but it was forecast to be the lowest in January and February. Fourth, there were 2,966,000 foreign tourists who visited Busan in 2016, an increase of 41.9% from 2015(2,090,000 persons), and there were 939,000 Chinese tourists who visited Busan in 2016, an increase of 70.1% from a year ago(552,000 persons). But the increase can be attributed to a recovery in the number of Chinese tourists who were sharply reduced in Busan due to the MERS situation in 2015. Overall, the demand forecast of Busan tourism for foreign tourists through ARIMA models was in good agreement with the actual value. The influence of events such as SARS in 2016 or Dokdo dispute with Japan was an impediment factor that drastically reduces the demand for Busan tourism. By contrast, however, the number of Japanese tourists visiting Korea was increased due to the influence of Korean Wave, which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in the Japanese tourist market. This suggests that the number of tourists visiting Korea can dramatically depend on the continuation of the Korean Wave effect. Consequently, the Korean Wave can be an important factor in the policy for Japanese tourists visiting Korea tourist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