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선후기 경상도 서원노비 연구

        김영나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807

        Slavery was the most fundamental supporting element in the aristocrat (sajok)-dominated system in the Joseon Dynasty, and an indispensable part for the country. Slaves (or nobi in Korean) were classified into public slaves(公奴婢) and private slaves(私奴婢) depending on their owners. Examining the different aspects of slaves is an important part in making sense of Joseon society. However, there have not been sufficient studies about slaves belonging to seowon(書院), or Confucian academies, the main theater of activities for Joseon Dynasty period aristocrats and the center of their public discourse. By focusing on slaves in Confucian academies, this paper attempts to shed light on the different aspects of the slaves by looking at the number of slaves, the geographical extent and diversity of their living areas, their duties and areas of work they were exempted, spouses, and their children’s status. Slaves under examination in this study are those belonging to Gyeongsang Province’s Dosan Seowon(陶山書院), Oksan Seowon(玉山書院), Byeongsan Seowon(屛山書院), Donam Seowon(道南書院), Sosu Seowon(紹修書院), Dodong Seowon(道東書院), Yeokdong Seowon(易東書院), and slaves of Jeolla Province’s Pilam Seowon(筆巖書院). From this study on Confucian academy slaves, the following features can be gleaned: First, the number of seowon slaves started to gradually increase from the 17th century onwards, showing the biggest growth in the 18th century, before declining in the 19th century. Bearing a close resemblance to the trend in the private slaves, the number of public slaves had already begun declining by the 18th century. In contrast, there were still over 1,000 slaves in Dosan Seowon even in the 19th century. Though it is impossible to affirm whether these numbers are indeed accurate, there were definitely more slaves in Dosan Seowon than in others. Second, while slaves had lived in close proximity to the academies at first, they began to spread to other places in the 18th century, converging again around seowon in the 19th century. This trend also mirrors that of private slaves. Public slaves had different living quarters depending on their type. In the mean time, Dosan Seowon, in the 19th century as in the 18th, held many slaves who resided in many regions other than Andong and Yean, while for Donam Seowon, there were times when more slaves lived in Daegu than in Sangju, where the seowon was located. Third, seowon slaves were usually farmers who paid dues to seowons residing in farming villages. There were also slaves who lived in public places such as government offices, stage stations, hyanggyo(鄕校), others who lived in private places such as aristocrat-owned homes or other places, and villages and temples within seowon. Seowon slaves received pay by performing duties usually done by public or private slaves or slaves from other seowons, thereby offering their dues to seowon. Though seowons would have imposed restrictions on the their slaves had their residence in such places caused any complications, there were no such cases. As long as seowon slaves had no problem offering their dues, it did not matter where they lived. Fourth, seowon slaves had sufficient economic means to pay for emancipation fees. Although the maximum emancipation fee was 100 nyang (a unit of old Korean coinage), some paid more. Sometimes, a re-emancipation followed initial emancipation. In the mid-18th century Pilam Seowon, slaves were emancipated for reasons such as repairing seowon buildings, repaying debts, and performing expensive ceremonial rituals. Also, in the 19th century Dosan Seowon, many slaves were emancipated. As there were a sizable number of seowon slaves who possessed enough wealth to pay emancipation fees, their actual lives were no different from those of commoners. Slaves were emancipated not so much out of their desire to elevate their social status as required by the economic situations of the seowon. Fifth, seowon slaves were subject to some restrictions from the seowon regarding their marriage affairs. In Sosu Seowon, marriage between male seowon slaves(院奴) and female private slaves(私婢) were forbidden so as to eliminate the negative effect of losing slaves, Similarly, in Oksan Seowon, there were worries that marriage between male seowon slaves and female private slaves would decrease the number of slaves belonging to Oksan Seowon. Also, marriages between male seowon slaves and female commoners(良女) were often hidden from being publicized. The above facts suggest that the seowon intended to supervise all marriages of its slaves, and that it would stop any marriage of seowon slaves which would incur losses to them. Thus, marriages between seowon slaves and private slaves were often carried out on the basis of existing ties between the seowon and owners of the said private slaves. Since the passage of the “maternal priority law(從母法),” whereby a child’s social status was determined by his or her maternal social status, marriage between male public slaves(公奴) and female commoners rose significantly. This was part of the Joseon court’s attempt to increase the commoner population, while also serving as a legal means for children of public slaves to elevate their social status. As for private slaves, marriages between male private slaves(私奴) and female commoners decline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maternal priority law. In the case of seowon slaves, offspring of male seowon slaves and female commoners were registered as the property of the seowon until the late 18th century, with the seowon exploiting such marriages so as to increase the number of slaves. However, with the decline of marriages between male slaves and female commoners in the 19th century, their offspring started to disappear from the slave ledgers, because of the gradual influence of the maternal priority law on seowon slaves. Sixth, slaves of Confucian academies, like public and private slaves, had many second and third generation families. However, in some cases, families extended down to the seventh, eighth, and ninth generations. Since seowon slaves, unlike private slaves, were not entitled to inheritance, there were fewer cases involving changing of owner or separation of families. Thus, continuous family lineages were seen more often than among private slaves, with the descendants of a seowon slave playing the same role for generations. Once they started to settle in a region, they often continued to inhabit the same area over generations. Thus, while seowon slaves have features of both public and private slaves, their characteristic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revious public and private slaves. This paper has examined the different aspects of Gyeongsang Province’s seowon slaves and their significance. Although it may be difficult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seowon slaves as a whole with the findings of this study only, this paper nevertheless starts this task by examining a small part of Gyeongsang Province. If more follow-up studies on slaves in other seowons in Gyeongsang Province and those in Chungcheong, Jeolla, Gyeonggi and Gangwon provinces are conducted, it would be possible to better establish the characteristics of seowon slaves.

      • 書院門의 태극문양 연구

        노선희 서경대학교 경영문화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A Study on the Taegeuk mark of Seowon Gate Roh Sun-Hee Depart. of Oriental Studies Graduate School SeoKye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each type of Taegeuk mark, and to present the proper use of Taegeuk mark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e of Taegeuk mark used in the Seowon’s gate. Taegeuk mark is so important that it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Korean flag. The Taegeuk is inseparable from the Korean people to the extent that it is used as a symbol of the government organization. Taegeuk represents the harmony of yinyang, which disappears after everything is born, grown up, and flourished, and implies the logic of the universe that created the all things in the universe. The extreme operation of yinyang does not argue with each other, it mixes and turns and produces everything. This operation illustrated by the Taegeuk mark. Taegeuk marks can be divided into Yin-Yang Taegeuk and Samtaeguk by depending on the number of components, and can be divided into left-turn Taegeuk and right-turn Taegeuk by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rotation, Yin-Yang Taegeuk is composed of yin and yang, which connotate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the creation universe, and Samtaeguk is composed of Heaven, Earth and Humans, which contained the harmonious philosophy of Heaven-Earth-Human. Also, the left-turn Taegeuk has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while the right-turn Taegeuk has a clockwise direction. It is desirable to use left-turn Taegeuk in a dynamic positive space, while right-turn Taegeuk in a static negative space. As a case study of this paper, w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types of Taegeuk mark used in Seowon’s gate. We examined Taegeuk marks of outer three gates and inner three gates in 150 out of about 350 Seowons nationwide. The survey of the Taegeuk mark was conducted mainly through the Internet, and the pictures were used to identify the Taegeuk mark of the outer and inner three gates. According to the survey, the ratio of the Yin-Yang Taegeuk is 73% and Samtaeguk is 27% at the outer and inner three gates, it means Yin-Yang Taegeuk which contained the fundamental logic of the creation universe were used more than Samtaeguk which contained the harmonious philosophy of Heaven-Earth-Human. In addition, left-turn Taegeuk, suitable for dynamic Yang energy space, was used more than right-turn taegeuk, suitable for static Yin energy space. The ratio of left-turn Taegeuk is about 91% and right-turn taegeuk is about 9% in both outer and inner three gates. This means that left-turn Taegeuk were mainly used without considering the meaning of 'left-turn' and 'right-turn'. This can be inferred from the following factors: many of the Seowons were destroyed by the ‘Seowon Abolition Ordinance’ of 1866, damaged and destroyed during the national crisis and then it must have been influenced by the Taegeuk mark of the Taegeukgi during reconstruction since the 1900s. The meaning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Taegeuk mark. You may use either Yin-Yang Taegeuk or Samtaeguk at the outer three gates, and it is desirable to use Samtaeguk at the inner three gates of Seowon. In addition, it is recommended that the outer three gates use the left-turn Taegeuk and the inner three gates use the right-turn Taegeuk. Using the Taegeuk mark proper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and space makes sense and is important in terms of restoring the "traditional meaning". Furthermore, if the Taegeuk mark is used properly in the lives of Koreans today, it is believed to be meaningful in terms of “conventional scalability” in which tradition can permeate into life and develop it in a modern sense. Keywords: Taegeuk, Yin-Yang Taegeuk, Samtaeguk, left-turn Taegeuk, right-turn Taegeuk, Seowon gate, outer three gate, inner three gate 서원문(書院門)의 태극문양 연구 노 선 희 본 연구의 목적은 태극(太極) 문양의 종류에 따른 의미를 고찰하고, 서원(書院)의 문(門)에 사용된 태극문양의 현황을 조사하여 태극문양의 바람직한 사용 방법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태극문양은 대한민국 국기(國旗)의 중앙에 위치할 정도로 중요한 상징성을 갖고 있다. 태극문양이 정부기관의 상징(symbol)으로 사용되고 있을 정도로 태극은 우리 민족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태극은 나고(生) 자라서(長) 성(成)한 후 쇠(衰)하는 음양(陰陽)의 조화로운 운행을 담고 있으며, 천지만물(天地萬物)을 탄생시킨 우주의 이치를 내포하고 있다. 음양의 극단(極端) 운행은 다투지 않고 서로 어울리며 꼬리를 물고 순환 반복하며 만물을 탄생시킨다. 이러한 운행을 도상화(圖象化)한 것이 태극문양이다. 태극문양은 구성 요소의 수에 따라 이태극(二太極)과 삼태극(三太極)으로 나눌 수 있고, 회전 방향에 따라 좌선태극(左旋太極)과 우선태극(右旋太極)으로 나눌 수 있다. 이태극은 음과 양으로 구성되어 우주 탄생의 근본 이치(理致)를 담고 있으며, 삼태극은 천(天), 지(地), 인(人)으로 구성되어 천지인(天地人)의 조화로운 사상(思想)을 담고 있다. 또한, 좌선태극은 태극의 운행 방향이 반시계방향이고, 우선태극은 태극의 운행 방향이 시계방향이다. 좌선태극은 동적(動的)인 양(陽)의 공간에서, 우선태극은 정적(靜的)인 음(陰)의 공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논문의 사례연구로 서원문에 사용된 태극문양의 종류를 조사 분석하였다. 전국에 있는 약 350여 곳의 서원 가운데 150곳의 외삼문과 내삼문의 태극문양을 조사하였다. 태극문양의 조사는 주로 인터넷상의 사진을 통해서 외삼문과 내삼문의 태극문양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조사한 결과 천지인의 조화로운 사상을 담고 있는 삼태극보다 우주 탄생의 근본 이치를 담고 있는 이태극의 사용 빈도가 높았다. 외삼문과 내삼문 모두 이태극의 비율은 약 73% 그리고 삼태극의 비율은 약 27%이다. 또한 동적인 양의 공간에 적합한 좌선태극이 정적인 음의 공간에 적합한 우선태극보다 많이 사용되었다. 외삼문과 내삼문 모두 좌선태극의 비율은 약 91% 그리고 우선태극의 비율은 약 9%이다. 이는 ‘좌선(左旋)’과 ‘우선(右旋)’에 따른 의미를 고려하지 않고 좌선태극을 주로 사용했음을 의미한다. 이에 대한 요인으로 1866년(고종 3) ‘서원 철폐령’에 의한 훼철(毁撤)과 국난(國難) 중에 훼손 및 소실된 상황에서 1900년대 이후 중건(重建)하면서 태극기의 태극문양에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꽁추정해 볼 수 있다. 태극문양의 종류에 따라 의미하는 바가 다르기 때문에 서원의 외삼문에는 이태극과 삼태극 중에서 어떠한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고 내삼문은 삼태극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삼문은 좌선태극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내삼문은 우선태극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태극문양을 장소와 공간의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은 그 이치에도 들어맞으며 ‘전통의 의미’를 복원시킨다는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나아가 태극문양이 오늘날 한국인의 생활에 적절하게 활용된다면, 전통이 생활 속에 스며들어 현대적 의미로 발전시킬 수 있는 ‘전통의 확장성’ 측면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주제어: 太極, 二太極, 三太極, 左旋太極, 右旋太極, 書院門, 外三門, 內三門

      • 韓·中 書院建築의 比較研究 : 嶽麓,白鹿洞,陶山,屏山書院에 대한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LIHU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서원건축은 동양 문인들의 건축으로서 외부의 조촐한 모습에 비해 그 내면에 깊은 뜻을 담고 있다. 서원의 이런 정신적 함의를 중시하는 특성은 상징성이 결여되어 있는 현대건축에 몹시 필요한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서원에 대한 연구는 문화사나 건축역사의 범위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서원은 중국에서 기원한 고대 교육기관으로서 중국 명조시기 즉 조선왕조시기에 서원제도가 조선에 전파되었다. 그리고 퇴계를 비롯한 조선 문인들의 노력에 의해 서원은 점차 조선사회에 정착하게 되었다. 서원은 한 시대를 지배하여온 주도적 사상과 심미관을 제일 잘 반영한 건축형식으로서 동양 주류 철학사상의 물질적 재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서원 내부에는 그 당시 문인들의 ‘정신세계’가 구축되어 있다. 이런 ‘정신세계’는 성리학에 대한 문인들의 이해의 차이에 따라 서로 다른 외부적 특성 뿐 아니라 지역에 다름에 따라 강학 지역적 차이도 나타낸다. 이는 서원제도가 각 지방의 민간건축과 결합되어 다양한 서원건축형식을 창출한데 기인한다. 그러나 그 속에 내재해 있는 이론적 바탕은 동일한 것이다. 서원건축의 이런 특성은 우리에게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가져다 줄 수 있다. 현재 한국 국내에서는 서원건축, 서원제도 등 서원의 여러 방면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연구는 한국 국내의 서원에만 국한되었기 때문에 ‘서원’이란 독특한 교육기구를 전반적으로 이해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의 서원과 그 모태였던 중국 서원에 대한 비교연구는 그동안 발견하지 못했던 한국 서원건축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현재까지 비교적 생소한 중국 서원건축을 국내에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이기도 하다. 본 연구의 진행과정은 아래와 같다. 첫째, 먼저 문헌조사를 통하여 두 나라 서원의 발전역사를 알아보고 비교연구를 진행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두 나라 서원이 서로 다른 양상을 나타낸 것에 대한 역사적 원인을 찾는다. 둘째, 제3장에서 두 나라 국내에서 발행된 문헌자료에 대한 조사와 비교연구를 통하여 두 나라 서원의 입지 및 공간구성에 관한 일반적인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본다. 이는 두 나라 서원건축을 기본적으로 이해하는데 중요한 의의가 있다. 셋째, 본 연구의 정확성과 설복력을 높이기 위하여 제4장에서 두 나라의 대표적인 서원을 선정하여 구체적인 사례비교분석을 진행한다. 본 연구는 비록 한․중 두 나라 서원건축에 대한 비교연구이지만 그 내용에 있어서 현대건축의 발전에 여러 가지 단서와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연환경과 서원건축의 완벽한 조화, 서원건축에 대한 내재적 함의의 부여, 훌륭한 교육환경의 창조 등은 모두 적극적인 의미를 갖는다. 그러므로 서원건축은 한낱 동양의 전통건축에만 불과한 것이 아니다. 書院建築是典型的東洋文人建築,所以比之較簡陋的外表,其內部卻隱含著極為深刻的含義。這種注重精神內涵的特性,是缺乏象徵含義的現代建築所必需的。在這種層面上,對於書院的研究是遠遠超出建築歷史研究範疇的。 書院是起源於中國的一種古代教育機構,發展至明代即朝鮮王朝時期,書院制度傳播到了朝鮮,又經當時的有識之士如退溪的努力,書院得以在朝鮮半島生根發芽。書院是最能體現當時的主流思想和審美觀的一種建築形式,即書院建築是東洋主流哲學思想的物質體現。所以在書院內部構建有當時士人們的‘精神世界’,而隨著士人對理學的不同理解和地域上的差異,這種‘精神世界’又表現出多樣的外部特徵。如上所說,書院建築是文人建築,所以儘管各個地方的書院會呈現出截然不同的建築形式,但其都是以儒學為理論依據的。書院建築的這種特性,也許能給我們帶來非常有意義的研究成果。 現在在韓國國內對於書院如書院建築,書院制度等很多方面已經進行了比較全面和系統的研究,但其大部份研究都僅限於韓國的書院,對於‘書院’的鼻祖-中國書院的研究少之甚少。這種狀況可能會妨礙人們對於‘書院’這個特殊教育組織的全面瞭解。基於這種情況,對於韓中兩國書院建築的比較研究,不僅能反映以前沒能發現的韓國書院建築的特性,而且還能加深對於中國書院建築的理解。 本研究的進行過程如下: 第一,通過調查關於兩國書院發展歷史的文獻,找出兩國書院在發展過程中呈現不同外部特徵的原因。 第二,在第三章中,首先調查兩國國內所發行的關於書院的文獻資料,然後通過所搜集材料的比較研究,找出兩國書院在基址的選擇和空間構成中的一般性異同點。這對於瞭解兩國書院建築的基本特性有著非常重要的意義。 第三,爲了提高研究的準確性和說服力,在第四章中選出兩國有代表性的書院,然後進行具體的事例比較分析。 本研究雖然是對於韓中書院建築的比較研究,但筆者認為其內容能為現代建築的發展提供很多有利的線索和可能性。例如書院建築和自然環境的完美結合,書院建築所隱含的深刻內涵,幽美教育環境的創造等等都有積極的意義。書院建築雖然僅僅是東洋傳統建築的一種形式,但它卻能引發我們對建築深深的思考。

      • 치산서원의 풍수지리 입지 연구

        박동열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울산광역시 두동면에 소재한 치산서원의 풍수지리 입지를 분석하였다. 치산서원은 신라시대 울산의 인물로 충효를 실행한 박제상과 그 가족을 선향하며 후학을 교육하던 곳이다. 이러한 연구는 신라충신 박제상의 삶과 정신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며, 서원의 풍수입지 해석에 대한 근거를 제공할 것이다. 치산서원은 뚜렷한 보호사는 없지만 마지막에 본신용호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이 서원영역을 안온하게 만들어 길격으로 해석한다. 서원의 영역에서 풍수적 혈처에는 충렬사가 입지했고, 이것을 혈의 사상으로 분별하면 겸혐에 속한다. 안산이 조금 낮은 편이지만 조산이 이를 보완해주고, 청룡은 백호에 비해 짧은 편이라 흠결로 지적한다. 백호는 낮은 편이지만 서원 영역 전체를 감싸기에 충분하여 길격의 형상임에 분명하다. 특히 백호는 이전천의 물을 거슬려주는 하수사의 역할을 한다는 점이 두드러져 치산서원의 입지를 명당으로 만들었다. 서원주변의 물줄기는 청룡부분에서 반궁수 형세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지형은 서원영역을 물과 바람으로부터 보호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래서 치산서원은 풍수입지에 대한 비보가 필요하다. 불필요하게 조성된 출입도로를 원래 지형으로 일부 복원하고, 비보방제와 비보림 조성을 해야 한다. 이것은 서원의 설립목적과 풍수입지의 합치는 물론 서원영역의 보존을 위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비보책은 향후 치산서원이 지역문화의 역사성과 정체성을 보여주는데 일조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analyze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Chi-san Seo-won in Dudong-myun, Ul-san City from the Feng-shui perspective. And this study will show the Feng-shui's complementary measures(裨補) about the Feng-shui's defects. This seo-won was the place to offer sticks of incense for Park, Jae Sang and his family who did their duty both to their lord and to their parents in Ul-sa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feng-shui’s condition of the mountain range from feng-shui’s Jusan(主山) to the Chungyeulsa(hyul) is good, showing the vertical(起伏) and horizontal(之玄) change. The feng-shui’s ansan(案山) is a little low, but josan(朝山) complements the defect of it. The blue dragon(靑龍) is a little short, and the white tiger(白虎) is a little low. However the blue dragon and the white tiger of this seo-won wrap around the entire seo-won’s area softly. The feng-shui’s defect from the water(水) perspective is that the stream shows attacking shape nearby the blue dragon. This could lead this seo-won to exposure to the flood and wind. so this seo-won needs Feng-shui's complementary measures(裨補). So a pine tree forest need to be created the area. This complementary measures could this seo-won to show the identity and history of this local culture.

      • 근대기 경남 고성지역 서원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임부춘 慶南大學校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서원건축은 16세기 중엽의 발생 시기부터 19세기 서원철폐령 이전에 건립된 건축물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그렇지만 19세기의 개항 이후 건립된 서원건축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상태에 있다. 한 가지 유형의 건축물이 그 시대의 사상이나 문화를 이끄는 것은 아니지만 사회의 변혁을 이끌었던 세력이 거주했던 서원건축공간의 연구는 필연적인 것이며 지금도 진행 중에 있다. 근대기로 들어서는 전환기에 유교적 전통을 고수하려는 서원건축 중창의 전국적인 현상은 비록 원형에 충실하지 않다 하더라도 연구할만한 가치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경남 고성군 지역에는 사우, 가묘, 정사, 정려 등의 많은 유교건축물들이 남아있다. 그 중에서도 근대기에 중창된 서원건축이 연화산을 중심으로 분포되어 있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근대기 경남 고성지역 서원의 건축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통해 나타나는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입지적 특성으로는 지방의 소규모 지주들이었던 유림들은 조선왕조의 몰락으로 중앙정계로의 진출이 막히면서 혼란스러운 국내외 상황에 대한 대처로 문중을 중심으로 한 혈족세력을 유지하려 했다. 그 결과 근대기 서원은 관리가 편한 경작지와 세거지가 가까운 곳에 위치해 있었다. 둘째, 배치특성으로는 일부의 변화가 있지만 주요건물들이 일직선으로 중심축을 형성하는 전통서원의 정형을 따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셋째, 건축적 특성은 근대기 서원건축의 규모와 구조 및 의장은 전통서원의 경우와 크게 다르지 않으나 다소의 변화를 가져온다. 강학공간의 건물은 모두 민도리형식의 소박한 구조이며 5량 구조의 범위 내에 있다. 그리고 제향공간의 내삼문과 사당은 예외 없이 익공식 3량 구조이고 단청으로 수장하였다. 외삼문, 강당, 내삼문, 사당을 모두 갖추고 있으나 재사건물의 배치와 수에 변화가 있다. 고성지역의 서원에서는 정문을 겸하거나 과정적 공간으로 이용되었던 전통서원에서의 누각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누마루와 공루가 설치되고 있다. 넷째, 공간구성상의 특성으로 고성지역의 서원은 모두 외삼문이라는 상징적인 건축을 통해서 중심축을 형성한다. 외삼문은 그 자체의 건축으로 공간의 관입이나 틀로서의 역할은 존재하지 않고 오직 대문과 중심축의 상징으로만 존재한다. 강당의 전면에 동.서재가 없는 서원은 자연경관과 관계하는 마당의 역할이 미미하거나 상실되어 있다. 마당이나 대지 및 기단의 높낮이를 조절하지 못하여 자연과의 교류에 소극적인 면도 보이지만 마당의 크기를 조절하여 외부공간과 내부공간의 관계성 인식을 유도하기도 한다. 근대기 고성지역의 서원건축에서 성리학적 이상세계를 충실히 반영했던 서원의 성숙기에 형성된 우수한 공간을 기대할 수는 없지만 전통서원의 규범을 지키려고 했던 다수의 흔적들과 다양성도 남아 있다고 판단된다. 이상과 같이 근대기 서원건축은 전통건축과 근대건축을 연결하는 과정에 있었던 것이 아니라 전통건축장인이 근대건축에서 소외되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전통건축이 급격하게 현실에서 소외되어갔던 시기에 중창되거나 건립된 것이었다. 중앙에서는 근대적 변혁이 급물살을 타고 있었던 것과는 대조적으로 지방에서는 성리학적 질서를 유지하려는 움직임이 강하게 나타났다. 근대기 서원건축은 성리학적 높은 이상을 실현하는 공간이라기보다는 자족적인 유교적 질서를 지키려는 상징적인 장소였다. 근대기 서원건축은 다수의 변형과 함께 좌우대칭과 일직선의 중심축이 지켜진다. 재사건물을 생략하거나 누각, 장판각, 전사청 등의 건물이 지어지지 않았던 것은 지형의 협소함도 있지만 자본이 충분하지 않았던 경제적 이유와 교육기능보다는 선현봉사 기능을 우선했던 것에도 그 원인이 있었다. 생략된 건물 대신 나름대로의 대책을 마련하기도 했다. 누각 대신 누마루와 공루가 그 예이며 건축물의 균형과 비례를 고려하여 설치되었다. 전통서원에서 보이는 과정적 공간이 보이지 않지만 마당의 크기를 조절하여 자연경관과 마당의 시각적 관계를 고려하기도 했다. 현실적인 여건으로 충분치 못한 규모와 시설을 가진 근대기 서원건축에서도 전통건축장인들은 나름대로의 기술을 발휘하고 있었다. 그리고 전통건축이 근대기 건축을 통해서 현대건축과 접목되거나 연결되지 못했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이것은 여전히 전통과 현대에서 갈등하고 있는 건축인의 현실이기도 하다. Until now there have been a lot of studies on the Seowon built from the middle of the 16th century to the 19th century, when the closure of Seowon was in effect, but few studies have been done about Seowon constructed since open port in the 19th century. Although one single building can not represent whole trend of thought and culture of the age, studies on building structure of Seowon where leading circle of social change stayed are imperative and underway now. It is valuable to study on nation-wide tendency to rebuild and establish Seowon for the purpose of maintain the tradition of Confucianism at the time of epochal period to the modern age even if they were not exactly conformed to the stereotype of traditional Korean Seowon. In the area of Goseong, Kyungnam, there are many Confucius buildings including ancestral shrine, family shrine, study and lecture hall, and meditation room, and especially abbeys newly constructed or rebuilt during the modern age are around Mt. Yeonwha. This study is to analyze architectural features of these abbeys located in Goseong. From the analysis of their architectural features, we obtained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of all, geographically, due to the decline of Chosun Dynasty, local landlords of small and medium sized estate, called Yourim, could not enter the political mainstream of the central government, so they wanted to maintain their power by forming kinship community, or clan, as a way of dealing with chaos at home and abroad. As a result, modern Seowon were built making residence and farming field close each other for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Second, as for the features of arrangement of buildings, major buildings were lined up in the way of the typical traditional Seowon with some transformations. Third, the features of modern Seowon were changed from the size, design, and decorative design of the traditional ones to some extent without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uildings for study and lecture were all in a simple mindori(no girders) design, consisting of less than five buildings. Internal gate and shrine for sacrifice rituals were without exception three-building in a double-wing style structure, decorated with red and blue, and external gate, lecture hall, internal gate, and shrine all existed changed in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buildings for sacrifice rituals. Seowon in the area of Goseong have attic floor and lofty floor instead of pavilion, which served as a main gate or space for connection in traditional Seowon. Fourth, as for the features of space, abbeys in Kosung are arranged around external gate, a symbolic building. External gate serves as a main gate or symbol of center only rather than intrusion of another space or structure. Seowon without east and west studies in front of lecture hall were weakened or lost the function of lobby in harmony with scenery of the nature around. By leaving the height of lobby, building site, and foundation uncontrolled, the architects of the Seowon tended to be interested in harmony with the nature, but connec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space were tried through the size of the lobby. Although it is hard to find outstanding spaces in modern Seowon remained in the area of Goseong, which well reflect ideal world of Sung Confucianism during the prime time of Seowon, there remained a lot of clues and variety followed the stereotype of the traditional Seowon. As mentioned above, modern Seowon are not the products as a result from connecting traditional architecture to modern one, but they were re-constructed or newly established at the time when traditional architecture was excluded from reality to a larger extent just as the architects of traditional building were forgotten in modern architectural history. In comparison to the central areas of the dynasty, where a wider range of modern transformation was on the rise, it is a main trend to keep the self-satisfactory order of Sung Confucianism in the countryside. Modern Seowon served as a symbolic place to keep self-satisfactory confucius order, rather than a place of embodiment of ideal of Sung Confucianism. Modern Seowon show a lot of transformations, symmetry of left and right, and vertical axis of center. The reasons for omitting pavilion, building to store block books, office for rituals and buildings for sacrifice were partly because of lack of space and mainly due to financial difficulty as well as focus on sacrifice rather than education. In stead of the buildings omitted, they constructed in their own way. Take the examples of attic floor and lofty floor replacing pavilion, considering balance and symmetry of buildings. To substitute the omitted traditional connecting space, they regulated the size of lobby in order to harmonize the scenery of the nature and lobby. Despite relatively small size and poor facilities of the Seowon because of difficult reality, architects of traditional buildings expressed their own skills properly. It is regretful to fail to connect or apply the traditional architectural features to contemporary trend of architecture with the help of modern architecture. This is what architects have been wrestling between the tradition and contemporary trend, as well.

      • 韓·中 書院建築의 比較硏究 : 嶽麓,白鹿洞,陶山,屛山書院에 대한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이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서원건축은 동양 문인들의 건축으로서 외부의 조촐한 모습에 비해 그 내면에 깊은 뜻을 담고 있다. 서원의 이런 정신적 함의를 중시하는 특성은 상징성이 결여되어 있는 현대건축에 몹시 필요한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서원에 대한 연구는 문화사나 건축역사의 범위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서원은 중국에서 기원한 고대 교육기관으로서 중국 명조시기 즉 조선왕조시기에 서원제도가 조선에 전파되었다. 그리고 퇴계를 비롯한 조선 문인들의 노력에 의해 서원은 점차 조선사회에 정착하게 되었다. 서원은 한 시대를 지배하여온 주도적 사상과 심미관을 제일 잘 반영한 건축형식으로서 동양 주류 철학사상의 물질적 재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서원 내부에는 그 당시 문인들의 ‘정신세계’가 구축되어 있다. 이런 ‘정신세계’는 성리학에 대한 문인들의 이해의 차이에 따라 서로 다른 외부적 특성 뿐 아니라 지역에 다름에 따라 강학 지역적 차이도 나타낸다. 이는 서원제도가 각 지방의 민간건축과 결합되어 다양한 서원건축형식을 창출한데 기인한다. 그러나 그 속에 내재해 있는 이론적 바탕은 동일한 것이다. 서원건축의 이런 특성은 우리에게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가져다 줄 수 있다. 현재 한국 국내에서는 서원건축, 서원제도 등 서원의 여러 방면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연구는 한국 국내의 서원에만 국한되었기 때문에 ‘서원’이란 독특한 교육기구를 전반적으로 이해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의 서원과 그 모태였던 중국 서원에 대한 비교연구는 그동안 발견하지 못했던 한국 서원건축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현재까지 비교적 생소한 중국 서원건축을 국내에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이기도 하다. 본 연구의 진행과정은 아래와 같다. 첫째, 먼저 문헌조사를 통하여 두 나라 서원의 발전역사를 알아보고 비교연구를 진행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두 나라 서원이 서로 다른 양상을 나타낸 것에 대한 역사적 원인을 찾는다. 둘째, 제3장에서 두 나라 국내에서 발행된 문헌자료에 대한 조사와 비교연구를 통하여 두 나라 서원의 입지 및 공간구성에 관한 일반적인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본다. 이는 두 나라 서원건축을 기본적으로 이해하는데 중요한 의의가 있다. 셋째, 본 연구의 정확성과 설복력을 높이기 위하여 제4장에서 두 나라의 대표적인 서원을 선정하여 구체적인 사례비교분석을 진행한다. 본 연구는 비록 한․중 두 나라 서원건축에 대한 비교연구이지만 그 내용에 있어서 현대건축의 발전에 여러 가지 단서와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연환경과 서원건축의 완벽한 조화, 서원건축에 대한 내재적 함의의 부여, 훌륭한 교육환경의 창조 등은 모두 적극적인 의미를 갖는다. 그러므로 서원건축은 한낱 동양의 전통건축에만 불과한 것이 아니다. 書院建築是典型的東洋文人建築,所以比之較簡陋的外表,其內部卻隱含著極為深刻的含義。這種注重精神內涵的特性,是缺乏象徵含義的現代建築所必需的。在這種層面上,對於書院的研究是遠遠超出建築歷史研究範疇的。 書院是起源於中國的一種古代教育機構,發展至明代即朝鮮王朝時期,書院制度傳播到了朝鮮,又經當時的有識之士如退溪的努力,書院得以在朝鮮半島生根發芽。書院是最能體現當時的主流思想和審美觀的一種建築形式,即書院建築是東洋主流哲學思想的物質體現。所以在書院內部構建有當時士人們的‘精神世界’,而隨著士人對理學的不同理解和地域上的差異,這種‘精神世界’又表現出多樣的外部特徵。如上所說,書院建築是文人建築,所以儘管各個地方的書院會呈現出截然不同的建築形式,但其都是以儒學為理論依據的。書院建築的這種特性,也許能給我們帶來非常有意義的研究成果。 現在在韓國國內對於書院如書院建築,書院制度等很多方面已經進行了比較全面和系統的研究,但其大部份研究都僅限於韓國的書院,對於‘書院’的鼻祖-中國書院的研究少之甚少。這種狀況可能會妨礙人們對於‘書院’這個特殊教育組織的全面瞭解。基於這種情況,對於韓中兩國書院建築的比較研究,不僅能反映以前沒能發現的韓國書院建築的特性,而且還能加深對於中國書院建築的理解。 本研究的進行過程如下: 第一,通過調查關於兩國書院發展歷史的文獻,找出兩國書院在發展過程中呈現不同外部特徵的原因。 第二,在第三章中,首先調查兩國國內所發行的關於書院的文獻資料,然後通過所搜集材料的比較研究,找出兩國書院在基址的選擇和空間構成中的一般性異同點。這對於瞭解兩國書院建築的基本特性有著非常重要的意義。 第三,爲了提高研究的準確性和說服力,在第四章中選出兩國有代表性的書院,然後進行具體的事例比較分析。 本研究雖然是對於韓中書院建築的比較研究,但筆者認為其內容能為現代建築的發展提供很多有利的線索和可能性。例如書院建築和自然環境的完美結合,書院建築所隱含的深刻內涵,幽美教育環境的創造等等都有積極的意義。書院建築雖然僅僅是東洋傳統建築的一種形式,但它卻能引發我們對建築深深的思考。

      • 立巖書院의 風水地理學的 特徵

        천영희 大邱韓醫大學校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patial composition and fung shui characteristics of Ibam Seowon, which was built to commemorate Yeohyeon Hyeon-Kwang Jang in 1657 (Hyojong 8),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First of all, Ibam Seowon is presumed to be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sacrificial rites, not of lectures, due to the fact that there is no Dongjae or Seojae (dormitories for students), and Gojiksa (a house for custodians), which was placed according to the rules of Confucian decorum, is bigger than the ones in other Seowons. In addition, considering the terrain, it was possible to observe the Confucian Hierarchy through the arrangement of Sajumun (a door with four pillars), a lecture hall, Sajumun again, and then a space for religious services. Also, there are three stairs to the hall and the eyebrow-like roof which are hard to see in the ordinary Seowons. The feng shui features are as follows. Ibam Seowon is surrounded by Oicheongyong (the outermost mountain on the left) including Nakdong range and Oibackho (the outermost mountain on the right) centered on Bohyeon branch, and located inside where Gasa stream and Jaho stream are joined together. In addition, the main ridge dynamically falls into the site and surrounding mountains are wrapping the site. Also, at the spot where the end of Ansan (the mountain on the south) ridge and the end of Naebackho (the innermost mountain on the right) meet, the mountain and the water form the shape of the yin-yang symbol, and the left side of the hall faces toward the place where the water is encircling the most. With regard to the situation of water, two flows of water, Gasa stream and the irrigation canal, encircles the Seowon, and they are not able to escape easily due to the mountain and the water forming the shape of the yin-yang symbol, several Buksins (odd-looking rocks), and the locked place of Kkachi pond. Furthermore, as for complementary measures, there is a forest on the right side of the Seowon to block the wind blowing between Ansan ridge and Naebackho ridge, and Gojiksa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Seowon, which is the opposite side of Iljedang where Juhyangja (the head) resides, to supplement Naechungyong (the innermost mountain on the left), according to the Confucian metho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se characteristics, Ibam Seowon selected the location based on the traditional feng shui, and it was understood that the buildings were arranged according to the rules of Confucian decorum. 본 연구에서는 조선 중기 1657년(효종 8) 여헌 장현광 선생을 기리기 위해 건축 된 입암서원을 연구대상으로 정하고 입암서원의 공간구성과 풍수지리학적 특징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입암서원 공간구성의 특징은 동재와 서재가 없다는 점과 유교예법에 따라 배치 된 고직사가 다른 서원에 비해서 크다는 점으로 미루어 강학목적이 아니라 제향을 목적으로 설립된 서원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지형을 고려하여 전면에서부터 사주문, 강학공간, 사주문, 제향공간으로 이어지는 배치를 통해 유교적 위계성을 엿볼 수 있었으며, 강당으로 오르내리는 세 개의 계단과 눈썹지붕은 일반적인 서원에서는 보기 힘든 사례였다. 풍수지리학적 특징은 낙동정맥을 비롯한 외청룡과 보현지맥을 중심으로 한 외백호가 감싸주며, 가사천과 자호천이 합수하는 안쪽에 자리잡고 있었다. 또한 내룡맥이 생기있게 입수하고, 주변사격이 감싸며, 안산맥의 끝부분과 내백호의 끝부분이 멈추는 곳에서는 산태극 수태극의 형태를 이루었으며 이중 수세가 가장 많이 환포하는 곳을 향해 강당의 좌향을 정하였다. 수세는 가사천과 관개수로의 두 개의 물줄기가 서원을 환포하고, 산태극 수태극의 형태, 여러 개의 북신, 까치소의 관쇄지역 등으로 인해 물줄기가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고 있었다. 그리고 비보로는 서원의 우측에 숲을 조성하여 안산맥과 내백호맥 사이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막았고, 유교예법에 따라 주향자가 기거한 일제당의 반대편인 서원의 좌측에 배치한 고직사가 내청룡을 보완하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러한 특징을 분석한 결과 입암서원은 전통적인 풍수지리학을 근거로 입지를 선정하였고, 유교적 예법에 따라 건물을 배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 대전 숭현서원의 활용방안 연구

        전금규 공주대학교 문화유산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고에서는 조선 시대 회덕(현재의 대전) 지역의 대표적 서원이었던 숭현서원을 현대적인 관점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지금까지의 서원이나 향교 활용은 대개 전통 예절 교실이나 제향을 행하는 정도로 제한되어 있었다. 그러나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와 근대 교육기관의 증가로 서원과 같은 전통 교육기관은 설 곳을 잃게 되었다. 산업화 이후 여행과 관광이 현대사회의 주요한 여가활동으로 자리 잡으면서 전통 문화유산도 볼거리 중의 하나가 되었다. 사람들은 여행을 통해 여유를 얻고, 오감으로 체험하는 과정을 통해 도시에서 찌들었던 생활을 힐링하는 효과를 얻는다. 서원과 향교는 본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기본적인 학문교육과 더불어 사회화를 경험하게 하는 매우 중요한 학술기관이었다. 그러나 요즘 서원을 방문하는 사람들은 그러한 서원의 역할을 제대로 알지 못하고 지나치는 일이 많다. 이러한 현실적 상황을 고려하여 본고에서는 서원의 교육적 기관을 현대적 관점에서 부각해 그 기능을 부활시키는 방안을 강구해 보았다. 인구절벽의 시대, 맞벌이 가정의 증가, 어른과 단절된 문화를 가진 청소년의 증가 등으로 가정이나 학교에서는 인성교육을 기대하기가 쉽지 않다. 서원의 교육적 기능을 부활하면 위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 또한, 요즘 학교에서는 부적응, 학교 폭력 등으로 마음의 상처를 입은 학생이 많다. 교사 중에서도 교권의 실추와 학생들의 반항 등으로 마음이 위축된 교사가 있다. 서원에서 이들을 위한 치유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 만하다. 그 외에도 서원을 요즘 유행하는 독서 모임이나 사회인 동아리 활동 등을 하는 공간으로 제공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들이 실제로 운영된다면 서원은 옛 기능을 회복하면서도 소통, 공감, 협력의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다만 이러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선행되어야 할 것이 있다. 지금처럼 일부 사람들만 오가는 공간이 아니라 성별과 연령(年齡)에 구분 없이 모두에게 사랑받는 공간이 되려면 전통적인 공간으로서의 서원 시설과 함께 현대적인 공간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서원이 유학자들만 모여있는 공간이 아니라 누구나 찾아가면 정서적 안정을 얻을 수 있는 공간이라는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홍보하고, 그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하여야 한다. 숭현서원은 가치가 있는 문화유산이므로 활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 지역사회에 큰 공헌을 할 수 있는 공간이다. 이에 본고가 숭현서원이 지닌 역사·문화적 가치를 바탕으로 한 활용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of the Soonghyun Seown in Daejeon, and to find the most effective utilization schemes of the academy in contemporary Korea. This study started from thoughts that research on the ways to utilize cultural heritage will contribute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the regional community. The study looked into the current status of utilization of other Seowns, especially focusing on better practices and programs, compared them with the current status and programs of Soonghyun Seown, and analyzed the problems and limits of the current practices and programs. Based upon the assessment and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the study identified five new programs and measures which Soonghyun Seown might adopt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and limits of the existing programs and to revitalize the Seown. The first is education for students and teachers in the region. The second is a program for people in the region to know their hometown well and correctly. The third is for multicultural families whose number has been increasing. The fourth is for mutual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between generations. The fifth is the way to inform the citizens of open spaces through continuous utilization and promotion of Soonghyun Seown. Aside from the five suggested in the study, more research for schemes for putting Soonghyun Seown to good and meaningful use should be conducted. But, there are some pre-requisites to execute various programs effectively. First of all, the renovation and maintenance of Soonghyun Seown is required through smooth communication and support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the management of Soonghyun Seown. Also, modern facilities may be needed, along with the Seown as a traditional space, to be a space open to all people regardless of age and gender. Soonghyun Seown is a cultural heritage of great value and meaning and could become a popular attraction which will contribute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the region when it is utilized properly and effectively. Hopefully, this study may move us a step forward to proper utilization of Soonghyun Seown and further our cultural heritage.

      • 尙州 興巖書院의 변천과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정대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 목적은 흥암서원의 역사적 의의와 ‘흥암서원사실록’과 ‘흥암서원지’를 통해 서원의 원형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1702년 창건되어 오늘에 이러기까지 서원의 변천과 보수?복원공사를 통하여 밝혀진 건축적 특성을 고찰하는데 있다. 흥암서원은 숙종 28년(1702)에 건립되고, 3년이 지난 숙종 31년(1705)에 사액되었으며, 숙종 42년(1716)에 친필 현액을 새로이 하사 받고 경종 2년(1722)에 어필비와 어필각을 건립한 사액서원으로서, 고종 8년(1871)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도 훼철되지 않은 상주지역의 대표적인 서원이다. 본 서원은 창건 된지 60년이 지난 영조 39년(1762)에 이르러서 현 위치(상주시 연원동 769번지)에서 약 1~2㎞떨어진 구서원에서 이건 되었는데, 들과 내가 어울린 배산임수한 길지로 상주시 전경과 식산을 조망축으로 한 술좌진향의 구능지 배치를 이루며, 노음산의 한 지류가 지네를 상징한다고 하여 오공입지의 지네비보로서 지세적인 혈에 입지한 특성을 갖는다. 영남학파의 본고장인 상주에서 기호학파의 대표적인 인물 동춘당 송준길선생을 독(獨) 배향하고 있으며 서원의 구성요소를 제대로 갖춘 비교적 큰 규모의 서원으로 배치형식은 전학후묘의 전당후재인데, 동?서재를 강당 뒤에 둔 전당후재는 호남에서 주로 볼 수 있는 유형으로 주목된다. 강당은 보기 드문 7량가로 가구하고 격조 높은 초석과 공포 등의 세부양식이 서원의 위용을 말해준다. 2001년 5월경 문중관계자(흥충보존위원회 위원장 김재궁)에 의해 서울 중앙도서관에서 발견된 ‘흥암서원사실록’에 따라 서원의 변천과정을 살펴보면 1702년 건립이후 1942년까지 약 60년의 주기로 7차례에 걸쳐 신축, 중수, 복원이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서원을 구성하고 있는 건물의 건축적 특성으로 대표적인 건물인 사당과 강당 그리고 동재 및 어필각은 원형이 잘 남아 있으며, 서재는 기록에 동재와 닮은꼴인 3칸으로 툇간이 있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1959년 9월 사라호 태풍때 서원경내지 외곽에 관리인이 거주하든 고직사가 파손되어 임시거처로 서재를 이용하는 과정에 아궁이 부분에 가건물을 설치하고 사용하던 중, 수차례에 걸친 보수와 정비과정에 사용의 편의성과 관리사를 지을 수 없는 서원의 경제력으로 인하여, 4칸 형식의 건물로 고정화 되어 버려 현재의 모습으로 남게 되었으며, 원형복원이 되지 않고 있다. 장판각 역시 위치와 규모면에서 고증자료에 의한 근본적 복원을 못하는 이유가 서원에서 보유하고 있는 동춘당 문집 및 판목의 숫자가 많은 관계로 2칸 보다 넓은 3칸의 면적이 소요되며 유휴공지의 활용성에 따른 문중 관계자의 요구로 변형되었다. 본 서원은 유교문화권 관광개발사업으로 책정되어 2004년부터 강당, 서재, 장판각, 어필각, 본당 외삼문 등을 근본적으로 보수하게 되었으며, 2007년도에 동재 보수, 전사청 과 고사채의 복원이 마무리 되었고, 2008년도에는 어필각 내삼문과 본당 하반청(대문채)을 복원하면서 주변 담장을 원형대로 보수하게 되면 서원의 면모를 일신할 수 있게 된다. 앞으로 소중한 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을 위해 문중관계자의 자발적인 참여와 유지 보수를 위한 관심과 애정이 필요하며, 방학을 이용한 청소년들의 학습장활용 및 시민들의 교육장으로도 사용될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와의 충분한 협의와 협조를 통해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흥암서원은 창건 이후 꾸준하게 복원과 보수를 통해 점차적으로 원형의 모습을 찾아가고 있는데 크게는 배치형태에서부터 작게는 각 건물의 형태까지 변화되었다. 건물의 배치에서는 강학공간만 있던 곳에 관리공간이 새로이 조성되었으며, 각 건물의 보수는 원형을 훼손하지 않은 범위에서 행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This study lays its purpose on considering the original form of the seowon (書院: a memorial hall for Confucianist services to honor distinguished scholars and statesmen) by taking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HeungAm seowon and HeungAm seowon sasilrok' and'HeungAm seowon ji' into consideration, and based on this wxamining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eowon which have been revealed since it was establish in 1702, through changes in the seowon and repair and restoration work of it HeungAm seowon was constructed in King Sukjong's 28th year (1702) and 3 years later titled 'HeungAm seowon' in King Sukjon's ,31th year (1705), and a new autographir hanging board was granted by the King in King Sukjong's 42nd year (1716) for it and it is one of a titled seowon where an eopilbi (a monument with King's handwritings) and an eopilgak (a house for keeping King's handwritings) were constructed in King Gyeongjong's 2nd year (1722), a representative seowon in the Sanju area which survived the Seowon abolition order by Heungseondaewongun in King Gojong's 8th year (1871). This seowon has been transferred to the current location (769 Yeonwond-dong, Sangju-si) from the old location 1~2㎞ from it arriving in King Yeongjo's 39th year (1762) 60 years later since established, and its location is good in terms of such that it has a mountain behind and a brook around it in a viewpoint with the whole view of Sangju-si and Siksan (Sik mountain) with characteristics of the hill area called Seuljwajinhyang arrangement and it is located in a geographical vein so that its location is so called Ogongibsi-Jinebibo because a hranch mountain of Noeumsan (Noeum mountain) is the symbol of the Jine (centipede). In Sangju, the home of the school of Youngnam, it pays a tribute to only a scholar, Dongchun-dang Song Jun-gil, a representative of the Giho school and is relatively large as a seowon with the key elements of the seowon, and its location is characterized by Jeonhakhumyo-Jeondanghujae,that is jeondanghujae with a East jae and West jae behind the hall which is mainly found in the Honam area. Its hall has seven crossbeams (called seven rangga) which is rarely be found in a hall and refined elements in detail such as a cornerstone and gongpo indicating its dignified appearance. When we look at the process of its change according to HeungAm seouwon sasilrok found in the Seoul Central Library by a relative concerned (the chairman of Heungchung preservation committee, Kim Jae-gung), it had been gone through 7 times of new-construction, repair and restoration wok, at a 60 year circle until 1942 since constructed in 1702. The shrine, hall, east jae and eopilgak which represent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a seowon keep the original form well, and the west jae is known to consist of three cans (parts) with partitions, but its gosiksa outside the seowon where a seowon manager live was damaged by typhoon Sara in September, 1959, so whiile the library was used as a temporary dwelling, a new house did and could not be built due to lack of financial resources and for convenience in several repair processes, and as a result the seowon remaln as the current state with a 4 can-building having lost the original form The japangak also has not been restored to its original form referring to historical evidences in terms of its location and size, since it needs 3 cans larger than 2 cans due to a large number of Dongjundang anthologies and wood blocks and it has transformed by the request of a relative concerned due to the usability of unused land. This seowon was selected as a target of the tourism development project of the Confucian culture, and the hall, library, jangpangak, eopilgak, the oesammun (kind of door consisting of three cans) of the main building have been repaired since 2004, and repairs of east jae, jeonsacheong and gosachae were completed in 2007, and when the walls around will have repaired in 2008 restoring the naesammun of the eopilbak, the habanchung (daemunfhae) of the main building according to the original form, the seowon will put on quite a new aspect. In order to preserve and utilire our valuable cultural remains in the future, relatives concerned require voluntary participation and concern and affection, and in order to for the seowon to be used an edurational sito for young boys' and girl's learning during vacations and for citizens, they should try to find solutions through sufficient consultation and collaboration with the local government.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revealed that HeungAm seowon has been being gradually restored to the original form through consistent restoration and repair work, and its arrangement from a wide perspective and the form of buildings form a narrow perspective have changed. In terms of building arrangement, space for management has been created where only space for study existed, and in terms of repairs of buildings, we can see that it has been being done trying not to damage the original form.

      • 청도군 이서면 서원의 풍수지리 연구 : 자계.용강.금호서원을 중심으로

        배성준 대구한의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서원은 유교 및 지역사회의 문화의식을 담고 있는 조선시대 건축물의 상징이다. 청도지역의 사림서원 또한 지역의 사회·문화적 양식을 이해하기에 충분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청도지역 이서면의 3개 서원에 대해 풍수적 관점으로 해석하여 그 시대 사람들의 지리관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3개 서원의 입지적 특성은 완경사 평탄지에 배산을 두고 앞으로는 물을 향한 전형적인 배산임수 형태를 보였다. 또한 전체적으로 사신사가 갖추고 있는 곳에 입지함으로써, 외향적 경관과 더불어 안온한 장소감을 선호했던 것을 알 수 있었다. 좌향의 특징으로는 자계서원과 용강서원이 남동향임에 반해, 금호서원은 서향이었다. 금호서원의 배치가 일반적인 좌향인 남향으로 되어 있지 않은 것은 서쪽의 풍수적 길봉을 보기 위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곧 서원 창건자의 경관선호 의식이 반영된 결과로 보여진다. 조선시대 당시 학문과 문화, 행정의 복합적 기능을 수행했던 서원이 지금은 기능을 잃어버린 채 과거에 머물러 있는 공간이 되어버렸다. 서원의 우수한 풍수 입지적 특성과 유학교육의 산실이라는 장점을 살려 발전적 방향으로 나아가길 바라며, 본 연구가 이에 일조하기 기대한다. Seo-won(書院), which is packed with Confucianism and the local community's cultural consciousness, is the symbol of the Joseon Dynasty’s architecture. The Seo- won in the Chung-do area also has a meaning that sufficiently understand the social and cultural style of the local community. This study examined how the Feng-Shui condition influenced the selection of locations and the arrangement of the buildings. For this purpose, three Seo-wons in Chung-do Lee-seo area have been selected. This study shows that the locational common fact of three Seo-wons are located at the mild slope plain with Bae-San-Lim-Su type(背山臨水形). they are also enclosed by the Sa-Sin-Sa(四神砂), give the users of the places the comfortable sense of place with the external landscape. The Ja-gye Seo-won and Yong-gang Seo-won face southeast, but Gyum-ho Seo-won face west. The aspect(坐向) of Gyum-ho Seo-won is not south, which is applied to usual Seo-won aspect. It is assumed that the Seo-won faces west to see a good hill from the viewpoint of Feng-shui. Seo-won played a vital role in the scholarship, culture and administration in the Joseon Dynasty. But Seo-won lose all functions now. It is necessary to revive the advantages of Seo-wons that has a good Feng-shui location and the birth place of the Confucian edu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