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문화유산콘텐츠 스토리텔링 선택속성이 지역브랜드자산과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서정선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This study examines how the storytelling attributes of local cultural heritage contents contribute to co-creating local brand equity and brand loyalty. Since the content used for cultural heritage is different from general tourism, storytelling-based performing arts and participatory programs have become mainstream in the field. Additionally, people who are interested in cultural heritage search for locality and historic contents with a specific purpose and theme. Therefore, in this study, we looked at the storytelling methodology of local cultural heritage contents emphasized by local culture strategy planners as well as local policy makers and we defined the storytelling attributes. Through the survey of actual consumers of cultural heritage contents, we scrutinized how the selection attributes of storytelling affect regional brand equity including brand image and perceived quality, and brand loyalty as well. In addition, we studied to figure out what kind of correlation each of the attributes has. For the empirical study, we derived the storytelling selection attributes of cultural heritage content experts through the focus group interview process and in-depth targeted discussion, and conducted a survey from the visitors of a series of state-of-the-art heritage storytelling events selected by Government Ministry. We found, through the process of reliability verification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at the storytelling attributes of cultural heritage contents were classified by 6 folds, uniqueness, education, ease of understanding, entertainment, artistry, and historicity. And for the city-brand marketing, brand equity consisting of brand Image and perceived quality turns out that it is greately influenced by the 4 storytelling attributes listed below. As a result of hypothesis testing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among the components of cultural heritage contents storytelling, uniqueness, historicity, ease of understanding, and artistr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regional brand equity, while education and entertainment had a low impact.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uniqueness and historicity have a strong influence on brand loyalty. Both the brand image and perceived quality of local brand equity were found to affect brand loyalty. It is ultimately recommended that storytelling about local cultural heritage contents should emphasize the identity of cultural heritage contents which focuses on the intrinsic value of cultural heritage represented by the uniqueness and historicity of the stories.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value delivery from the local cultural heritages, each of the local governments is highly recommended to develop the strategies to increase the factors of artistry and ease of understanding. The local brand equity and brand loyalty furthermore could be enhanced, and as a cornerstone of regional development, storytelling of cultural heritage contents should be actively encouraged along with the community formation of local people including local artists.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among storytelling selection attributes, Uniqueness and Historicity play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local brand assets and brand loyalty by use of local cutural heritage contens. Following this study, local governments are recommended to find strategic ways to strengthen local brand equity and brand loyalty through continued research and empirical analysis of wide variety of local cultures and resources. Keywords: Storytelling Contents, Cultural Heritage Contents, Local Brand Equity, Local Brand Image, Perceived Quality, Brand Loyalty, VRIO Model, Locality, OUV, Authenticity and Integrity, Korea Heritage Service 최근 들어 지역문화, 지역자원, 지역경제, 지역인물, 지역역사 등 지역 브랜드화가 화두가 되고 있다. 특히 지방은 지역소멸의 위 기를 극복하기 위해 지역 문화자원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콘텐츠에 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문화유산에 대한 활용 콘텐츠는 일반 적인 관광과 달라서 스토리텔링을 통한 공연예술과 참여형 프로그 램이 대세를 이루게 되었다. 또한 문화유산에 대한 관심이 있는 사 람이 목적과 주제를 가지고 지역의 문화유산 콘텐츠를 찾게 된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로 문화기획자나 정책입안자들이 강조하 는 지역 문화유산콘텐츠의 스토리텔링 방법론을 살펴보기 위해 문 화유산콘텐츠와 스토리텔링의 선택속성을 정의해 보았다. 또한 문화 유산콘텐츠 수요자를 통해 스토리텔링의 선택속성이 지역브랜드자 산과 브랜드충성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와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는지를 규명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 사례분석과 심층표적인터뷰 방식을 통해 문화 유산콘텐츠 전문가의 스토리텔링 선택속성을 도출해냈고, 국가유산 청의 ‘우리고장 국가유산 활용사업’에서 선정한 대표사업과 우수 사업의 참가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이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또한 신뢰도 검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문화유산콘텐츠의 스토리텔링 선택속성은 고유성, 교육성, 이해용이성, 흥미성, 예술성, 역사성으로 구분되었고, 지역의 브랜드 이미지와 지각된 품질로 구 성된 지역브랜드자산과 브랜드충성도로 변수를 구분하였다. 다중회 귀분석에 의한 가설검증 결과 문화유산콘텐츠 스토리텔링의 선택속 성 중에서 고유성, 역사성, 이해용이성, 예술성이 지역브랜드자산에 높은 영향을 미치고, 교육성과 흥미성은 낮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브랜드충성도에는 고유성과 역사성이 높은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브랜드자산의 브랜드 이미지와 지각된 품질 모두 브랜드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지역 문화유산콘텐츠에 대한 스토리텔링은 문화유산의 고 유성과 역사성으로 대변되는 문화유산 내재 가치를 주제로 하는 문 화유산콘텐츠의 정체성을 중시 해야하고, 이를 관광자원화하기 위한 가치 전달의 효과 향상을 위해 이해용이성과 예술성을 높이는 전략 을 정책에 반영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문화유산의 현대적 활용을 통해 지역브랜드자산과 브랜드충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지 역 발전의 초석으로 문화유산콘텐츠의 스토리텔링은 지역예술인의 주체형성과 지역민의 참여 및 지역 이야기 발굴 노력에 의해 그 꽃 을 피울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전통문화축제에서의 스토리텔링과는 차별화된 접근으로, 문화유산 콘텐츠 스토리텔링의 독창적 주제성이 브랜드자 산과 브랜드충성도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증명하였다. 지역 문화유산의 내재가치를 주제로, 콘텐츠의 진정성과 완전성을 중시하여 예술적으로 표현해야 한다. 이는 지역 브랜드 자산을 강화 하기 위해서는 지역 문화유산의 희소성과 역사적 배경을 강조하는 로컬리티 기반 콘텐츠의 전개와 마케팅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주제어 : 문화유산콘텐츠, 스토리텔링 선택속성, 지역브랜드자산, 지각된 품질,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충성도, 국가유산활용, 로컬리티, 지역 고유성, 역사성, 문화재활용, VRIO모델, 국가유산청
문화축제콘텐츠와 서비스가 소비자공감과 행사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대전 효문화뿌리 축제 중심으로
최명이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축제콘텐츠와 서비스가 소비자공감과 행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문화축제콘텐츠와 서비스가 소비자공감과 행사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존의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2019년 제11회 대전효뿌리문화축제를 방문한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97부를 최종 분석에 적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ver 22.0을 사용하여 인구통계학적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연구모형에 의한 가설검증결과는 첫째, 문화관광축제 콘텐츠가 소비자공감을 일으키는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관광축제 콘텐츠의 하위요인인 예술성, 대중성, 오락성, 창의성 순으로 소비자공감에 대한 영향력이 클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관광축제 서비스(시설안정성, 안내 및 해설, 접근성 및 관광시설, 기타서비스)의 4가지 요인들에 대하여 소비자공감을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비자 공감에 있어서는 문화관광축제 서비스의 하위요인별 시설안정성, 안내 및 해설, 기타서비스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으며, 4개의 문화관광축제 서비스 하위요인 중 3개 요인이 영향을 미침에 따라 “문화관광축제 서비스는 소비자 공감을 일으키는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화관광축제 콘텐츠가 행사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검증으로써 문화관광축제 콘텐츠(대중성, 오락성, 창의성, 예술성)의 예술성, 대중성 오락성의 순으로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행사만족도에 있어서는 문화관광축제 콘텐츠의 하위요인별 대중성, 오락성, 예술성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으며, 4개의 문화관광축제 콘텐츠 하위요인 중 3개 요인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문화관광축제 서비스가 행사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검증으로써 문화관광축제 서비스(시설안정성, 안내 및 해설, 접근성 및 관광시설, 기타서비스)의 4가지 요인들에 대하여 행사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하는 가설 4의 경우 시설안정성, 기타서비스의 순으로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행사만족도에 있어서는 문화관광축제 서비스의 하위요인별 시설안정성, 기타서비스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으며, 4개의 문화관광축제 서비스 하위요인 중 2개 요인이 영향을 미침에 따라 “문화관광축제 서비스는 행사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소비자 공감이 행사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검증으로써 소비자공감을 독립변수로, 행사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하는 가는 소비자 공감은 행사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행사만족도에 있어서는 소비자 공감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축제의 질을 높이고 지속가능한 축제 성장을 위해서 축제브랜드자산을 강화하고, 다양한 문화콘텐츠와 편리하고 안전한 서비스의 질을 높여 지역축제 방문객에게 여러 방향으로 지역을 알려 지속적인 방문을 유도하며 소비자 만족도를 높여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문화콘텐츠와 서비스가 소비자공감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로 축제를 통한 지역 이미지와 소비자 공감이 행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외 문헌들을 통한 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소비자 공감에 있어서는 문화관광축제 콘텐츠의 하위요인별 대중성, 오락성, 창의성, 예술성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으며, 4개의 문화관광축제 콘텐츠 하위요인 중 4개 요인이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 공감에 있어서는 문화관광축제 서비스의 하위요인별 시설안정성, 안내 및 해설, 기타서비스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으며, 4개의 문화관광축제 서비스 하위요인 중 3개 요인인 시설안정성, 안내 및 해설, 기타서비스가 중요한 요인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행사만족도에 있어서는 문화관광축제 콘텐츠의 하위요인인 대중성, 오락성, 예술성3개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행사만족도에 있어서는 문화관광축제 서비스의 하위요인인 시설안정성, 기타서비스 2개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행사만족도에 있어서는 소비자 공감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으며, 문화관광축제를 통한 소비자 공감은 행사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문화관광축제 콘텐츠와 서비스는 문화관광축제콘텐츠 소비자 공감을 일으키고 행사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문화관광축제를 통한 소비자공감은 행사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관광축제콘텐츠는 소비자 공감을 불러일으키기고 행사만족도에 영향을 미침으로. 향후 개최지의 다양하고 질 높은 문화관광축제 콘테츠인 대중성, 창의성, 오락성, 예술성을 갖추어야 한다. 그리고 문화관광축제서비스가 소비자 공감을 불러 일으키고 행사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시설안정성, 안내 및 해설, 기타서비스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중요함을 더욱 인지하고 철저한 안전관리와 참신한 능력있는 인적 자원의 지원을 아끼지 않고 준비해야할 필요성에 대해 인지하고 소비자 공감은 행사만족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소비자 공감을 일으킬 수 있는 주요 요인을 극대화 알 수 있도록 전략적 관리와 더욱더 심화된 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cultural festival contents and services on consumer empathy and event satisfaction, an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festival contents and the impact of services on consumer empathy and event satisfac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hypotheses were established based on existing prior research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visitors to the 11th Daejeon Hyo-root Root Culture Festival in 2019. A total of 297 copies were applied to the final analysi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performed using SPS window ver 22.0 for demographic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hypothesis test by the research model showed that the contents of the Culture and Tourism Festival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reating consumer empathy. It has been shown that the influence on consumer empathy will be great in the order of artistry, popularity, entertainment and creativity, which are sub-factors of cultural tourism festival contents. Second, all four factors of culture and tourism festival services (facility stability, guidance and commentary, accessibility and tourism facilities, and other services)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consumer empathy. In other words, when it comes to consumer empathy, it can be seen that facility stability, guidance and commentary, and other services by sub-factor of the Culture and Tourism Festival service are important factors, and as three of the four sub-factors of the Culture and Tourism Festival service are affected, "Culture and Tourism Festival servic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onsumer empathy. Third, it was found that the contents of the Culture and Tourism Festival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atisfaction of the event, which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ultural and tourism festival contents (popularity, entertainment, creativity, and artistry) in order of artistry and popular entertainment. In other words, in terms of event satisfaction, the popularity, entertainment, and artistry of each sub-factor of the contents of the culture and tourism festival can be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and three of the four sub-factors of the contents of the culture and tourism festival have an important influence.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four factors of the Culture and Tourism Festival service (facility stability, guidance and commentary, accessibility and tourism facilities, and other services) as a dependent variable in the event satisfaction all had positive effects in the order of facility stability and other services. In other words, in terms of event satisfaction, it can be seen that facility stability and other services by sub-factor of culture and tourism festival service are important factors, and two of the four sub-factors of culture and tourism festival service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event satisfaction. Fifth, verification of whether consumer empathy has a significant impact on event satisfaction showed that consumer empathy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event satisfaction as a subordinate variable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vent satisfaction. In other words, consumer sympathy w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satisfaction of the event. Therefore, in this study, to enhance the quality of festivals and to ensure sustainable festival growth, to enhance festival brand assets, to promote various cultural contents and convenient and safe services, to inform local festival visitors in various directions, to induce continuous visits, and to seek ways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by increasing consumer satisfaction, we studied the impact of cultural contents and services on the event's satisfac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research, research and empirical research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were combined and found to have the following significant effects. First, when it comes to consumer empathy, we can see that the popularity, entertainment, creativity and artistry of each sub-factor of cultural tourism festival contents are important factors, and all four of the four sub-factors of cultural tourism festival contents are affected. Second, when it comes to consumer empathy, it can be seen that facility stability, guidance and commentary, and other services by sub-factors of cultural tourism festival services are important factors, and three of the four sub-components of culture and tourism festival services, facility stability, guidance and explanation, and other services, are significant factors. Third, in terms of event satisfaction, three factors, popularity, entertainment, and artistry, which are sub-factors of cultural tourism festival content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Fourth, in terms of event satisfaction, two factors, facility stability and other services, which are sub-factors of cultural tourism festival service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Fifth, consumer sympathy can be seen as an important factor in event satisfaction, and consumer empathy through culture and tourism festival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event satisfaction.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contents and services of the Culture and Tourism Festival content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the event, and that the consumer sympathy through the Culture and Tourism Festival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atisfaction of the event.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the Culture and Tourism Festival have aroused consumer sympathy and affected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event. In the future, various and high-quality cultural tourism festival contents of the venue should be equipped with popularity, creativity, entertainment and artistry. In addition, as the Culture and Tourism Festival service i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facility stability, guidance and commentary, and other service-related effects, we will be more aware of the need to prepare for thorough safety management and support of fresh and capable human resources, and we will provide information on strategic management and more advanced management programs so that we can maximize the key factors that can arouse consumer empathy as consumer satisfac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event satisfaction.
한국 기록문화유산 정보시각화 연구 방안 : 천문류초, 천상열차분야지도 중심으로
정환석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A written cultural heritage is a meaningful resource to enlighten the identity of people of the past, for its ability to describe in great detail. In twenty first century which is said to be the age of culture, the culture is considered to be a country’s competence itself. Under this circumstance, the written cultural heritage of Korea places itself as a source of creativity. To make the present communicate with the past through written cultural heritage, its digitalization is crucial, but digitalization cannot catch up its demand. We can think of two difficulties from which its retard originates. Firstly, it is the difficulty of translation which originates from ancient Chinese alphabet. Secondly, it is the difficulty of its organization as a visual object. The writer attempts to propose an idea on appropriate process of digitalization of written cultural heritage. In researching proper digitalization process, this thesis selected astronomy as its object of visualization of digital content. Because in ancient times, astronomy had a close link in everyday life of people, work of a king, and essential concern of intellectual who led public opinion. Among historic resources on astronomy, the writer selects Chonmunryucho and Chonsangyeolchabunyajido as objects of digitalization, because these two texts contain in themselves an enormous amount of astronomic knowledge of East Asia. Following is the process of research. First, the process begins by an analytic comparison of two texts, followed by data organization and information visualization. The raw data from these texts, through data organization, will be constructed as a database. Finally, this writer will attempt to establish an information visualization process through which the database undergoes visual mapping and transforms into a visual form. Based on this process, this thesis aims to propose an information visualization method for today’s people to gain easier access to the astronomic information transcended from these two texts. Through the process mentioned above, the writer developed a prototypical design of a digital content which is actually served on website. Furthermore, the service of this content can be realized in different forms and can be re-designed for a connected service with other systems. The texts of written cultural heritage developed prior to these two texts mentioned in this thesis, for example, Chosunwangjo Silok, Seungjungwon Ilgi, Goryosa, Samguksagi do not offer astronomic information more than the names of constellations, thus one cannot information on the relationship of different constellations. Moreover, sometimes these texts offer false information. The digital content mentioned in this thesis can help to solve these problems. In technical side, the database can be used through information organization. In service side, the use of the result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enables users to acquire a more profound understanding on ancient astronomy. Furthermore, this content enables users the identify how many times these constellations had been notified and recorded, and how their interpretation differs through the ages. Besides, the astronomic written cultural heritage can be used as an archetypical source for storytelling. Meanings and stories of stars can be used as sources for storytelling sources. Consequently, the development of astronomic written cultural heritage as digital contents through information visualization process makes a good match with the basic principle of One Source-Multi Use. Moreover, its development can help in creating various and practical methods in developing various contents. 기록문화유산은 과거의 모습에 대해 세밀하게 묘사함으로써 당시 사람들의 정체성을 밝히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따라서 과거와 현재 사이의 문화 간극을 잇는 가교의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21세기는 문화의 세기이다. 문화가 곧 국가경쟁력인 오늘날의 현실에서 한국의 전통 기록문화유산은 문화콘텐츠의 창조적 원천이 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하고 방대한 기록문화유산은 다른 전통문화 소재에 비해 디지털 콘텐츠화가 미비한 상태에 놓여있다. 이는 한문텍스트가 지닌 번역이라는 원천적 한계와, 그것이 시각적 대상물로 구성하기 어렵다는 점에 기인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어려움을 극복하고 기록문화유산의 디지털콘텐츠digitalize화를 시도해보고자 하는 목적을 지닌다. 본 논문은 국내에 산재한 다양한 자료들 가운데 천문기록문화유산을 중심으로 디지털 콘텐츠화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과거 천문은 실생활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었으며, 당시 사람들에게 절대적으로 중요한 주제였다. 또한 그것은 군주의 업무와도 깊이 관련되어 있었으며, 나라를 이끌어가는 지식층의 관심사이기도 했다. 특히 조선시대 천문기록문화유산 중 대표성을 지니는 두 편, ‘천문류초’와 ‘천상열차분야지도’는 각 별자리에 대한 설명과 방대한 동양의 천문 지식이 함축되어 있는 자료이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는 두 기록문화유산을 연구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연구 과정은 우선 양자를 비교 분석하여 디지털화에 있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부분들을 선택하는 것이다. 그런 다음 기록문화유산의 정보조직화(data organization)와 정보시각화Iinformation visualization)를 진행한다. 기록문화유산의 데이터는 조직화(organized data)를 통하여 데이터베이스(database)로 구축된다. 이어서 시각적 매핑(visual mapping)과 시각적 형태(visual form)로 만들어서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전달(representation)되는 ‘기록문화유산 정보시각화‘ 프로세스를 재정립한다. 이(프로세스)를 기반으로 두 기록문화유산을 통해 전승된 별자리 지식 정보를 현대인이 보다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정보시각화 하는 것을 이 연구의 목표로 한다. 위에서 언급한 과정을 통해 실제 웹상에서 서비스되는 디지털 콘텐츠로서 개발하였다. 이러한 결과물은 단순한 웹서비스에 머물지 않고 다른 정보시스템과 연계 가능하다. 먼저 시스템으로 구축된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고려사, 삼국사기 등의 정보시스템에는 별자리와 관련된 정보들이 별자리명에 국한되어 있으며, 별자리들에 대한 체계와 관계를 확인 할 수가 없다. 또한 잘못된 별자리 정보를 전달하는 오류를 범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문제는 본 논문을 통해 개발된 디지털 콘텐츠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기술적인 부분에서는 정보조직화를 통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고, 서비스 부분에서는 별자리의 데이터를 정보시각화한 결과물을 제공한다면 사용자는 별자리에 대한 이해가 심화될 것이다. 더불어 동일한 별자리의 기록 횟수와 별에 대한 해석을 시대별로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천문기록문화유산은 다양한 문화콘텐츠의 근간이 되는 스토리텔링의 보고로도 활용될 수 있다. 각 별이 담고 있는 의미와 이와 관련된 이야기들은 스토리텔링 소스로 활용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기록문화유산 정보시각화’ 프로세스를 이용한 천문기록문화유산의 디지털 콘텐츠 구축은 원소스멀티유즈(One Source-Multi Use)라는 콘텐츠의 기본 제작 방침과도 일맥상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콘텐츠의 개발 방안이 다양하게 창출되는 데 있어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문화원형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개발 사례 연구 : 요괴와 도깨비를 중심으로
김미조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A Case Study on the Culture Contents Development by Using Cultural Archetype: Focusing on Youkai and Dokkaebi Cultural archetypes underlying traditional culture are drawing attention in the development of culture contents nowadays.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developing culture contents using cultural archetypes can guarantee the production of differentiated culture contents and promote the national brand in the global market as they incorporate the elements of traditional culture. In this sense, a Korean cultural archetype, Dokkaebi has a high utility in culture contents development as it is a cultural representation that has often been used in folklore and has come to be familiar to the general public in Korea. In every cultural sphere, there are ghosts, demons, monsters or goblins among other creatures, which are considered to be projections of fear. Dokkaebi, in particular, is a unique type of ghost used in Korean culture, and thus has differentiated value. For this reason, it can be used when developing culture contents of Korea that are differentiated, but also have universal themes. The development of culture contents using Dokkaebi, a cultural archetype of Korea, has been occurring at a low but steady rate, but there are few cases of success in the domestic and overseas contents markets. In contrast, the Japanese Youkai has been the subject of numerous culture contents, which have gained popularity in the global market.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ulture contents concerning Dokkaebi and Youkai based on a comparative analysis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ulture contents on Dokkaebi. For a systematic analysis of such culture contents, the contents were analyzed based on Christopher Vogler’s “The 12 Steps of the Hero’s Journey,” Stuart Voytilla’s 7 archetypes of characters, and OSMU patterns. The results showed several differences between Dokkaebi contents and Youkai contents. First, compared to the Japanese culture contents, the Korean culture contents concerning Youkai omitted a part of “The 12 Steps of the Hero’s Journey” or had a limited number of characters fitting the 7 character archetypes, which made the story lack tension during its progress. Second, in the Japanese culture contents, Youkais are described as having close relationships with humans and play various roles in terms of character archetypes, whereas Youkais are depicted to be threatening and played limited roles in the Korean culture contents. Third, the Japanese culture contents were produced, taking into account OSMU starting in the planning stag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lack of such consideration during the planning stage for the Korean culture contents, and OSMU was not achieved sufficiently, making it impossible to develop the source contents into marketable products despite their potential. Despite the fact that the development of culture contents using cultural archetypes has garnered attention for a long time in Korea, tangible results have yet to be achieved. In order to gain prominence in the global market,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the success cases of culture contents in the global market, and to formulate strategies for successful development of culture content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n overseas countries, there has been active development of culture contents relating to ghosts, and such contents have gained popularity in domestic and overseas markets. Based on this situation, developing culture contents with Dokkaebi, a type of ghost that is unique to Korean folklore, may become a useful strategy in expanding into the global culture contents market.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Dokkaebi culture contents, derived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Japanese culture contents in this study. To this end, there is a need to develop stories based on the archetype of narrative model and character archetypes, in order to develop Dokkaebi as a friendly and familiar character, and to consider OSMU in the contents planning stage. Such efforts mad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ave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culture contents that can gain wider popularity in the global market. 문화원형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개발 사례 연구: 요괴와 도깨비를 중심으로 오늘날 문화콘텐츠를 개발하는 데 있어서 한 나라의 전통문화 소재인 문화원형이 주목을 받고 있다. 문화원형을 활용한 문화콘텐츠의 개발은 그 나라의 전통적인 문화요소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세계 시장에서의 차별성 있는 문화콘텐츠의 제작을 담보할 수 있고, 나아가 국가브랜드를 제고시킨다는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때 한국의 문화원형 중에서 도깨비는 문화콘텐츠 개발에 있어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소재라 할 수 있다. 도깨비는 민중의 가까이에서 그 삶을 함께 해 온 귀신으로서 한국인들에게 매우 친숙한 존재이기 때문이다. 세계 어느 나라에나 인간의 공포심이 투영된 귀신이 존재하고 있고, 귀신 중에서도 한국에만 존재하고 있는 우리 고유의 귀신인 도깨비는 한국만의 차별성 또한 내포하고 있다. 이로써 보편성 있고 동시에 한국만의 차별성을 갖춘 문화콘텐츠로의 개발이 가능하다. 그러나 한국의 문화원형인 도깨비를 활용한 문화콘텐츠의 개발은 저조하게나마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세계 시장은 물론이고 국내 시장에서 흥행에 성공한 사례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반면에 일본의 요괴는 문화콘텐츠로의 제작이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세계 시장에서도 높은 성과를 보이며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계 시장으로 도약하기 위한 도깨비 문화콘텐츠 개발이 이루어지기 위해 일본의 요괴 문화콘텐츠 사례와 도깨비 문화콘텐츠 사례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요괴와 도깨비 문화콘텐츠 사례의 차이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때 문화콘텐츠 사례의 체계적인 분석을 위해 보글러의 ‘영웅의 여행 12단계’, 보이틸라의 7가지 캐릭터원형, OSMU 활용 양상에 따라 콘텐츠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깨비와 요괴 콘텐츠 사례 간에 여러 가지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일본의 요괴 문화콘텐츠 사례에 비해서 도깨비 문화콘텐츠는 ‘영웅의 여행 12단계’ 중 어떠한 부분이 생략되거나 ‘캐릭터 원형’ 중에서 활용된 캐릭터가 매우 제한적이어서 스토리가 진행되는 데 긴장감이 많이 떨어진다는 특징을 보였다. 둘째, 일본의 콘텐츠에서는 요괴가 인간과 매우 친근한 존재로 등장하며, 캐릭터 원형에 있어서도 다양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에 반해 도깨비는 위협적인 존재로 등장하고 있으며, 캐릭터 원형에 있어서도 그 역할이 제한적이었다. 셋째, 일본의 문화콘텐츠는 콘텐츠를 기획하는 단계에서부터 OSMU를 고려하여 문화콘텐츠 제작을 추진한 반면 한국의 문화콘텐츠는 콘텐츠 기획에 있어서부터 이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며 결과적으로 OSMU를 활발히 추진하지 못해 상품 개발 가능성이 있는 원천콘텐츠가 사장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에서는 문화원형을 활용한 문화콘텐츠의 개발에 오랫동안 주목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그 성과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세계 시장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세계 시장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낳은 문화콘텐츠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토대로 성공적인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전략을 세워야 한다. 해외에서는 귀신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국내외 시장에서도 성공적인 성과를 얻고 있기 때문에 이미 한국 고유의 귀신인 도깨비를 활용하여 문화콘텐츠를 개발한다는 것부터가 하나의 전략이 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일본 요괴 문화콘텐츠와의 비교를 통해 도출해 낸 현재 도깨비 문화콘텐츠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원형적인 서사모델과 캐릭터 원형에 기반한 스토리 개발, 친근한 존재로의 도깨비 캐릭터 개발, 문화콘텐츠 기획 단계에서의 OSMU 추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노력을 통해 이 연구가 세계 시장으로 도약할 수 있는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밑거름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어린이를 위한 국내 지식그림책의 미래설계 : 전통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시리즈물 출판기획 전략을 중심으로
박은지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본 연구는 파편화된 지식정보와 분절된 학문 체계를 지식교육으로 답습해왔던 지난날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어린이를 위한 지식그림책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안하고 출판기획 전략을 도출하였다. 또한 이를 적용할 예시 샘플을 제시함으로써 국내 지식그림책의 미래를 설계하는 데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재 ‘지식’을 다루는 그림책은 ‘정보’와 ‘지식’의 개념을 혼동하여, 분절적인 정보를 ‘전달’하는 데에만 치중된 기획양상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어린이로 하여금 스스로 ‘지식’을 탐구할 수 있는 삶의 태도를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다. 이처럼 스스로에게 구체적인 의미로 작동되지 않는 지식은 삶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힘을 형성하지 못한 채 그 의미를 퇴색시킬 수밖에 없다. ‘앎의 강요’로 억압된 지식교육의 현장을 그대로 그림책 속에 옮겨놓는다면, 그림책이 어린이에게 줄 수 있는 즐거움과 감동이 사라지고 말 것이다. 그림책이 교과서의 보조 참고서로 전락하지 않고 그 정체성과 가치를 잃지 않기 위해서는 ‘앎의 기쁨’을 실현시킬 수 있는 매개체로서 기획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단편적인 호기심을 자극시켜서 짧은 재미만을 추구하는 책보다는 어린이로부터 지적 호기심을 유발하여 스스로 생각하고 상상할 수 있는 장(場)에 돌입케 함으로써 지식의 원리를 발견하는 감동을 삶의 태도로 치환시킬 수 있는 그림책이 필요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새로운 개념의 ‘지식그림책’의 출판기획 전략을 도출함으로써 어린이를 위한 지식그림책의 미래를 설계하고자 했다. 지식그림책의 목표는 어린이로 하여금 지식의 원리를 탐구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궁극적으로는 스스로 찾아낸 원리를 타 영역에도 적용하거나 응용하여 재구성함으로써 스스로에게 의미가 구체화된 ‘참지식’을 생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지식그림책의 목표를 달성토록 하기 위해서는 책 속에서 능동적인 지식의 재구성이 일어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연구자는 이를 출판기획의 측면에서 실현시키기 위해 어린이 독자의 반응을 예상하여 인위적으로 가공한 <단계별 사고의 확장 모형>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지식그림책의 개념과 정의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출판기획자로 하여금 지식그림책의 작동원리를 실행시킬 수 있는 기본 전략으로써 기능할 수 있다. <단계별 사고의 확장 모형>은 총 4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단계에서 일어나는 사고의 확장 과정이 진행되면서 궁극적으로는 지식의 능동적인 재구성이 실현되는 ‘참지식’의 생성 단계에 이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출판기획자는 <단계별 사고의 확장 모형> 4단계를 이해하고, 이를 의식적으로 상기함으로써 지식그림책의 정체성과 그 가치를 훼손시키지 않는 출판기획의 일관성과 체계성을 확립할 수 있는 것이다. 지식그림책의 시리즈물을 기획할 때에는 <단계별 사고의 확장 모형>을 통해 시리즈물의 구성 프로세스나 글·그림의 표현 전략 등에서 기획의 방향성을 찾을 수 있다. 전체 시리즈물의 기획 의도는 하나일 수 있지만, 각 권에서 추출해낼 수 있는 지식의 원리와 시리즈물과 시리즈물 간의 연관성을 이해하는 것은 독자마다 인지하고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이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출판기획자에게 필요한 자질은 다양한 지식의 원리를 향해 깊숙이 탐구하게끔 독자를 유도하는 길잡이의 역할에 충실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상과 같은 논의를 통해 도출된 지식그림책 출판기획 전략을 실제 예시 샘플에 적용해 제시하였다. 지식그림책의 권장 연령인 초등학교 저학년 1학년과 2학년의 발달적 특징 중 대표적인 것은 자아 정체성이 형성되는 시기로, 나를 다른 타인과 구분하여 생각하는 능력이 생성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초등학교 저학년을 타깃으로 하여, 전통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지식그림책의 시리즈물을 교과연계의 직·간접적 방식에 따라 기획하였다. 직접적 연계는 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나의 몸과 전통문화』시리즈를 기획하였고, 간접적 연계로는 초등학교 1학년과 2학년의 교과단원명을 염두에 둔 채 전통문화콘텐츠의 특성을 살린 3개의 시리즈물을 기획하였다. 전통문화콘텐츠의 특성을 파악하여 기획 의도는 3개로 나누어서 진행하였다. 그 결과, 물질문화를 연대기별로 엮은 기획의 예시로 『마음으로 빚는 우리그릇』시리즈, 파생테마를 심화하여 특별주제로 엮은 기획의 예시로『불꽃속의 아름다움』시리즈, 역사의 흔적이 남아 있는 유적을 중심으로 한 기획의 예시로 『천불천탑의 비밀』시리즈를 제시하였다. 지식그램책 개념에 대한 본 연구의 새로운 규정과 그에 따른 출판기획 전략은 하나의 가능성으로 제안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 주제가 향후 연구자들에 의해 보다 면밀히 검토될 것과 이를 토대로 국내 그림책 출판 기획 분야에서 현실화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지역 문화자원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개발 전략 연구 : 문화자원의 활용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설연수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본 연구는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문화콘텐츠 개발이 어떤 유형과 방식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특히 지역의 문화자원과 연계한 문화콘텐츠 개발과정에 중점적으로 모색해야할 지점들은 무엇인지에 대한 문제의식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지역의 문화자원이 콘텐츠로 개발되는 과정을 이론적으로 정립한 뒤 구체적인 사례를 확인하였다. 광주․전남 지역에서 이루어진 문화콘텐츠 개발 사례에 대한 현황조사를 통해 문화자원의 도입배경, 활용유형, 콘텐츠화 방법, 결과물의 지역 연계성 등을 분석하였다. 사례조사 결과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하는 문화콘텐츠는 가치사슬 체계(기획․창작, 제작․개발, 유통․확산)에 따라 다른 특성을 보였으며, 사전 기획단계에서 주로 고려해야할 사항이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정리한 문화콘텐츠 개발전략은 세가지로 ‘문화자원 활용기반 구축’, ‘소비자 지향 문화콘텐츠 개발’, ‘공간자원의 브랜드가치 확대’이다. 첫 번째 문화자원 활용기반 구축 전략의 세부 실행방안으로는 지역 문화자원 데이터베이스의 통합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지역형 스토리텔링 발굴 및 스토리자원을 창조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두 번째 소비자지향 문화콘텐츠 개발 전략을 위한 실행방안으로 지역정보를 활용한 생활콘텐츠 개발과 지역적 가치의 대중적 변용을 통한 문화콘텐츠 개발을 제시하였다. 세 번째 공간자원의 브랜드 가치 확대를 위해서는 EIP(Exhibition/Event Identity Program) 발굴을 통한 브랜드형 문화콘텐츠 개발, 문화자원과 지역 공간의 연계성 강화를 실행방안으로 정리하였다. Critical mind is focused on in what types and methods, the development of local cultural content is progressed and especially what are the critical points to be sought after in priority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 in association with local cultural resources. Based on this critical mind, the development process from the local cultural resources to the cultural contents was theoretically established and their specific cases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survey of the state regarding the development cases of the cultural content in Gwangju, Jeonnam area, the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of cultural resources, the type of the uses, the methods used to make them the content, and the regional connectivity of the result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case studies, the cultural content using local cultural resources showed the attributes that varied depending on the value chain system (planning, creation, production, development and diffusion), and then the point that needed to be specifically taken into account, were derived. The development strategies of cultural contents organized through these studies are 3: 'the establishment of the foundation for the use of cultural resources,' 'the development of consumer-oriented cultural content' and 'the extension of the brand value of spatial resources'. As for the detailed plan for implementing the strategies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the use of cultural resources, the establishment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DB of local cultural resources, the discovery of the regional storytelling, and the creative use of story resources are required. Second, for the plan for implementing the strategies to develop the consumer-oriented cultural content, the development of the living content using local information and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the local value for the public was suggested. Third, for the extension of the brand value of the spatial resources,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through the discovery of EIP (Exhibition / Event Identity Program), and strengthening the connectivity between cultural resources and local spaces, were suggested as the plans for the implementation.
한국과 체코의 문화교류 주요 콘텐츠 현황분석 및 활성화 방안
최아름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2 국내석사
최근 국가 간 관계형성에 있어 국제문화교류의 중요성 및 필요성은 세계화 현상과 더불어 더욱 더 강조되고 있다. 20여년 전만해도 한국 외교의 주안점은 정무와 안보분야에 국한되어 있었고, 1990년대에는 경제와 통상이 외교의 중요한 분야였기 때문에 국제관계형성에 있어 문화 분야에 대한 국가적 관심은 타 분야에 비해 낮을 수밖에 없는 환경이었다. 하지만, 21세기 오늘날 한류의 세계화와 더불어 문화 분야가 한국외교의 주안점으로 떠오르고 있고, 정부는 문화를 통한 국가이미지 형성과 ‘한국문화의 세계화’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기 시작하였다. 현재 문화교류는 세계화의 급속한 진전에 따라 국제사회에서 국제 정치와 경제를 위한 보조수단으로써 뿐만 아니라 교류 그 자체를 통한 각국의 문화예술발전과 문화정체성을 확립하는 중요한 역할까지 수행하게 되면서 각국은 국제 흐름에 부응하는 동시에, 민족적·국가적 문화정체성을 지키려는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국 또한 이와 같은 세계화의 흐름에 발맞춰 국제문화교류에 힘쓰고는 있지만, 여전히 많은 부분에서 한계와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무엇보다 한국의 주 문화교류는 아시아, 미국, 주요 유럽국(영국, 프랑스, 독일)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여전히 국가 간 관계형성에 있어 문화교류보다는 경제교류를 중시한다는 점에서 국제문화교류의 한계가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이러한 국제문화교류의 한계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아시아, 미국 등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한국의 국제문화교류를 그동안 문화교류가 활성화되고 있지 않았던 지역까지 그 범위를 확대할 필요성이 있음을 강조 하고자한다. 이에 분석할 사례국가로 중부유럽에 속하는 국가인 “체코”를 선택하였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고, 급변하는 정치·경제·사회 속에서 빠르게 안정을 찾으며 경제적 성장을 이루고 있는 중·동부유럽국가들, 특히 체코는 국가 간 수교이후 우리나라 기업들의 진출과 더불어 국가 인지도가 상승하고 있으며, 그들의 문화에 대한 관심도도 증가하고 있다. 현지 지역민들 또한 한국기업의 현지진출에 따라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문화에 대한 홍보가 구체적이고 장기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문화교류가 타 국가에 비해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현지인들의 한국문화에 대한 인지도와 관심도는 그리 높지 않은 편이다. 또한, 9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정치적으로 사회주의체제를 유지하며 폐쇄적인 대외정책을 폈던 중·동부유럽 국가들은 동일한 체제를 유지했던 북한과의 수교가 남한에 비해 이른 시기에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한국문화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지니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이와 반대로 체코 문화는 2004년 대한항공 프라하직항 취항과 2005년 드라마 ‘프라하의 연인’이 한국 방영 이후, 그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했다. 이후, 2009년에 한국 내 체코정보문화원이 들어서면서 체코 관련 전시 및 정보 제공 등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체코 뮤지컬, 영화, 음악 등 다양한 콘텐츠들이 한국에 소개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체코 문화와 관련된 지역문화전문가들이 소수라는 점에서 체코 문화를 알리는데 있어 한계가 있다. 이처럼 한국과 체코, 양국의 문화교류는 2010년 수교 20주년을 맞으면서 활성화 되고는 있으나 아직까지는 여러 가지로 한계와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러나 양국에게 있어서 체코와 한국은 문화산업의 시장 확장에 있어서 서로에게 미개척지인 만큼 앞으로 문화교류가 증대될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미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한·체코 문화교류 현황 및 콘텐츠 내용 분석을 살펴봄으로써 한·체코 문화교류 콘텐츠의 활용 및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이 내용들을 바탕으로 한국과 그동안 교류가 많지 않았던 기타 국가들과의 문화교류가 활성화 되는데 있어 필요한 시사점 제시 및 방안 모색에 있어서 조금이라도 일조하고자 한다. Recently,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is being emphasized with the globalization in the formation of relations between the nations. 20 years ago, the main focus of Korean foreign diplomacy was limited in the state affairs and the security issues. Also, since the international economy and trade was the quite important part in Korean diplomacy in 1990s, the environment of giving a national interest in cultural part was very low compared to other parts. However, with the Korean globalization today, the cultural part is rising as the main focus of Korean diplomacy in this 21st century, and the government is starting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the formation of global image of Korea through the culture and the ‘Globalization of Korean culture’ itself. As of right now, not only the cultural relation becoming the sub-method of national politics and the economy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globalization, but also becoming as the important part of establishing the nations’ development of cultural arts and the cultural identity through the exchange itself. With that, each nations are trying to fulfill the international flow, and also are trying hard to take care of the ethnic, national identity. Korea is also trying hard on the international cultural relations with this flow of globalization, however, still shows some limits and problems in many parts. Most of all, Korea’s cultural exchange is mainly comprised of Asia, United States, and the major European countries, such as England, France, and Germany. The formation of relations between the countries is still mainly in the economic exchange, not in the cultural exchange, and this shows the obvious limitation in international cultural relations. This paper suggests the importance of the range expansion in cultural relations with the lethargic nations other than having a relationship with Asia, and the United States to overcome the limitation and the problem of not being communicated with them. We decided to talk about “The Czech Republic" in the Central Europe as an example because of the following reasons. Eastern and central European countries are such a melting pot and also have been quickly established the stability with the economic growth. The Czech Republic, especially, is becoming high on national awareness after establishing diplomatic ties with Korea and the Korean enterprises being settled in there. The local residents are also giving a big interest to the Korean culture with the on-site expansion of Korean companies. However, the level of awareness and the interest of local residents in Korean culture is not big enough since the promotion of Korean culture is limited, not detailed and the term is not long enough yet. Plus, Eastern and central European nations might have a negative idea of Korean culture since they have maintained the Socialist system with the closed foreign policy by the early 1990’s, and have had an earlier relationship with North Korea than with South Korea. On the other hand, the Czech Republic culture started to give a lot of attention to Korean culture since 2004 and 2005, by making a direct flight to Prague at Korean Airline, and by showing the TV show ‘Lovers in Prague’ on air. After such a thing happened, many Czech Republic’s contents such as musicals, movies, and songs are being introduced to Korea after the Cultural Institute of the Czech Republic came into Korea in 2009. However, there is still a limit to introduce the Czech Republic culture since the regional culture experts, who are connected to the Czech Republic culture, are not enough yet. So,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Republic of Korea and the Czech Republic is being active for 20 years after 2010, however, too many problems and limits are still shown. This study still represents much because the cultural exchange can be quite largely increased since the Czech Republic and Korea are both an untapped territory of cultural industry expansion to each other.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several ways to activate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the Czech Republic by looking through the present condition of our cultural relations. Also, based on the contents, we want to contribute by giving suggestions and a consideration on important current affairs in order to invigorate the cultural relations between the countries that have not been quite active.
향토문화콘텐츠 제작을 위한 스토리텔링 방법 연구 : 인천시 검단지역 현장연구를 중심으로
최근 세계화에 따른 문화의 획일화를 넘어서기 위한 돌파구로 향토문화콘텐츠가 주목받고 있다. 향토문화콘텐츠는 오랜 시간 동안 일정한 지역에서 전해져 온 향토문화를 재창조한 산업을 의미한다. 이는 역사성과 현재성, 지역성을 동시에 지니며 지역 문화의 발굴과 함께 지역민의 정체성 형성과 지역 경제의 활성화에 영향을 미친다. 향토문화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향토문화의 이러한 특성을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이를 문화콘텐츠로 변용하는데 효과적인 방법론을 활용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연구를 포함한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여 향토문화콘텐츠를 제작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향토문화콘텐츠는 향토문화의 가치를 파악하고 이를 대중화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화기술지를 중심으로 한 현장연구와 전문가 인터뷰와 같은 질적 연구를 통해 수행되었다. 문화를 공유한 집단의 가치를 파악하는 문화기술지와 향토문화의 가치를 이해해야하는 향토문화콘텐츠는 그 맥락을 같이 한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대중에게 익숙한 ‘이야기’라는 방법을 통해 문화콘텐츠로 변용되어 대중에게 친근하게 접근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향토문화콘텐츠의 개념을 파악하고 이와 관련된 문헌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향토문화콘텐츠의 제작을 목적으로 실제로 진행되었던 인천시 검단지역의 현장연구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현장연구 방법론을 보완하였다. 또한 전문가와의 인터뷰를 통해 스토리텔링 과정에 현장 연구의 과정을 포함하는 향토문화콘텐츠 제작 과정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토대로 구성된 스토리텔링 방법을 통하여 향토문화콘텐츠를 구성함으로써 연구방법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도출된 향토문화콘텐츠 제작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향토문화의 목적을 수립한다. 둘째, 연구 대상지와 연구 참여자를 선정한다. 셋째, 연구 대상지에 대한 문헌연구를 진행한다. 넷째, 연구 대상지와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현장 연구를 수행한다. 현장연구는 다시 서술연구, 집중연구, 선별연구의 과정으로 나누어지며 각 과정은 다시 연구, 정리, 논의의 단계로 세분화 된다. 이 중 ‘논의’는 기존의 방법론에서는 직접적으로 드러나지 않은 과정으로, 이를 방법론의 전면에 내세움으로써 신뢰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다섯째, 문헌연구와 현장연구의 결과를 현장 텍스트로 기록한다. 위의 문헌연구와 현장연구, 현장 텍스트 과정은 순환적인 구조로 구성되었다. 여섯째, 앞으로 진행할 스토리텔링의 유형을 결정한다. 이는 향토문화콘텐츠의 미디어와 그 내용(콘텐츠)의 성격에 나타난 사실성과 허구성을 기준으로 구술 스토리텔링과 결합 스토리텔링, 창작 스토리텔링으로 유형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스토리텔링의 기본 요소인 시간, 공간, 맥락, 행위자, 행동, 역할에 따라 스토리텔링 개요표와 개요도를 작성한다. 이 단계는 스토리텔링에 체계성을 부여함으로써 일관된 작업이 진행되도록 도울 것이다. 본 연구는 향토문화콘텐츠의 전체 개발 단계 중 기획 단계를 포함한 제작 단계에 관한 논의에 한정된다. 또한 현장연구 분석 대상지였던 검단지역의 특성과 크게 상이한 향토문화콘텐츠 제작에의 적용 가능성을 타진해보지 않았다는 한계를 지닌다. 하지만 그 중요성과 필요성에 비해 방법론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향토문화콘텐츠에 대한 초기 연구로서의 의의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안한 향토문화콘텐츠 제작 방법이 인문학자의 영역으로 여겨지던 향토문화의 발굴과 공학자들의 영역이었던 기술 개발 사이에서 문화경영학자들이 가교 역할을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나아가 현장연구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방법이 향토문화콘텐츠의 발전과 성공 사례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우즈베키스탄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화콘텐츠 기반 문화교육 방법 연구 : 속담과 웹툰을 중심으로-
사보핫 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2024 국내박사
ABSTRACT Culture education method based on cultural content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in Uzbekistan – Focus on the webtoon and proverbs- Graduate School of Joongbu University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Doctoral dissertation MAMATKULOVA SABOKHAT ABDURASULOVNA Advisor CHOI TAE-HO In this paper, the goal is to present a plan for the effectiveness of cultural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in Uzbekistan, focusing on proverbs, cultural contents, and webtoons. It is true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Uzbekistan has been in charge of learning Korean without feeling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cultural education. However,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n Uzbekistan who are now diversifying and specializing at the level of daily conversation, the time has come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move beyond teaching 159 simple language knowledge and is moving in a direction that can improve learners' intercultural communication skills. Accordingly, research on ways to realize effective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Uzbekistan has begun to be conducted. However, as it is still in its early stages, there is some research discussing the question, ‘Why is cultural education necessary?’ Through this study,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mentioned, related factors were analyzed, and problems were identified. Next, we discussed ways to solve this problem and the direction to take. In addition, we studied the use of cultural elements such as proverbs, cultural content, and webto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Uzbekistan,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Uzbek Korean language learners about their influence on Korean culture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presenting a cultural education pla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in Uzbekistan. According to the in-depth interview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most difficult thing for Uzbek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s cultural differences, and that misunderstandings caused by this can be effectively resolved through proverbs. In modern Uzbek society and Korean society, reading is moving away from paper books and changing to e-books. Accordingly, in Uzbekistan 160 It was confirmed that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also needs to be developed in the form of electronic textbooks or apps with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added, rather than in the form of paper books.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we proposed a plan to develop various cultural content programs that can be u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o select webto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Uzbekistan, the use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al content is slowly spreading, but the concept of webtoon is not yet common, so it is one of the new media for Uzbeks. However, there are limits to actively using webtoons, and because it is a new concept, it often feels unfamiliar, so discussions about its educational application and utilization are necessary. Accordingly, this study proposed ways to utilize webtoons i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using proverbs, cultural content, and webtoons,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cultural elements in cultural education for learning Korean in Uzbekistan. In other words, the expected effec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Uzbek Korean language learners' perceptions, reactions, and cultural elements were identified. After analyzing the points to be considered when using Korean proverbs, cultural contents, and webto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Uzbekistan and the causes of problems that may arise during the 161 application process, a positive educational plan was presented. However, since detailed discussions o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 and webtoon programs for learning have not been held even within Uzbekistan, this will be left as the next task. Key-word: content, proverbs, webtoon, cultural, education, Korean language
문화콘텐츠에 기반한 대학기념품(goods)의 지각 가치가 대학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중국의 대학교를 중심으로
대학기념품은 이미 대학의 이미지와 대학 문화를 전파하는 새로운 수단이 되었으며, 상품 가치로서 문화 사회와 커뮤니케이션을 향상하고, 본교 구성원의 유대를 강화하는 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대학 문화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대학기념품 디자인의 지각된 가치가 대학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대학 문화콘텐츠에 의해 대학기념품이 갖는 특성이 지각 가치 및 대학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대학기념품을 통한 지각 가치가 대학 이미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따라서 중국 대학기념품의 디자인 전략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중국 대학 이미지 제고 및 대학의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론적 검토는 물론, 각국 대학의 기념품에 대한 사례 연구로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실증분석을 통해 문화콘텐츠에 기반한 대학기념품 디자인, 지각된 가치와 대학 이미지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기념품 구매 경험이 있는 중국인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과정으로 아래와 같이 의미 있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각 대학교는 전통문화와 현대 트렌드의 결합을 통한 예술적 표현으로 학교 특색을 살려 기념품을 디자인하고 제작하였다. 대부분 대학기념품은 현대화된 예술적 표현을 통해 중국 전통문화를 계승함과 동시에 학교의 역사문화콘텐츠, 학교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음악 출판 콘텐츠에 구현된 문화적 디자인 요소를 구현하였다. 또 학교의 특별한 이벤트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한정판 대학기념품을 출시해 소비자의 구매를 적극 유도하고, 소비자와 정서적 공감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대학기념품의 소장가치를 높이고 있다. 둘째, 해외 대학기념품의 디자인 현황 분석을 통해서 비교한 결과, 중국의 대학기념품은 시각적 이미지 구현이 부족했고 학교 자체의 특유한 정체성이나 상징성이 부족했다. 이에 따라 중국 대학기념품은 학교의 아이덴티티 전용색상의 정체성을 높여야 하고, 학교 심벌마크와 로고타입을 디자인 요소로 유연하게 적용하여야 한다. 또한, 대학기념품을 다른 브랜드와의 협력을 통해서 그 자체의 부가적인 브랜드 가치를 높여야 할 필요도 있다. 셋째, 대학 문화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대학기념품의 디자인 특성이 지각된 가치와 대학 이미지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그중에서도 특히 문화성이 지각된 가치와 대학 이미지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대학 문화콘텐츠 기반의 대학기념품을 통해 학교의 오랜 역사, 전통문화의 구현, 긍정적인 정신이념을 감지할 수 있고 학교가 전달하고자 하는 문화적 함의와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는 결국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는 물론 대학 이미지에도 영향을 미친다. 넷째, 중국 대학의 기념품 디자인 요소는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에 현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기념품의 미적 요소는 지각된 가치에 절대적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며 기능적 가치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는 대학기념품에 내포된 해당 학교의 문화적 함의와 정체성, 디자인 아이디어와 자신의 소비수준을 결합해 대학기념품이 더 높은 가성비를 보유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기념품의 문화적 정체성과 보다 합리적인 가성비야말로 지각된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다섯째, 중국 대학기념품에서 나타난 디자인 특성은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지만, 대학 이미지에 완전히 영향을 주지는 않았다. 하지만 대학기념품을 통한 문화적 정체성, 다차원적이고 창의적인 영감 표현, 대학의 특색 있는 상징물은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와 대학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여섯째, 중국 대학의 문화콘텐츠 기반의 대학기념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지각된 가치가 대학 이미지에 모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학기념품 디자인 과정에서 기본적인 제품 품질, 제품 기능, 제품의 실용성 및 제품의 높은 가성비를 유지하면서 대학기념품에 지각된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긍정적인 감정 표현과 학교 특성을 살릴 수 있는 상징성을 높여주고, 이를 통해 대학기념품의 정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높여 궁극적으로 대학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중국 대학은 대학 문화콘텐츠 기반의 대학기념품 디자인을 통해 디자인 속성을 제고하여 대학 브랜드의 지속가능한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향후 중국 대학의 대학기념품 디자인 관련 학술 연구 및 디자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주제어 : 문화콘텐츠, 대학기념품(goods), 지각 가치, 대학 이미지, 중국 대학기념품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ceived value of university souvenir design based on Chinese university cultural contents on university im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in detail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ouvenirs on the perceived value and image of the university by university cultural contents, and how the perceived value through university souvenirs affects the image of the university. Therefore, by examining the design strategy of Chinese university souvenirs and suggesting the direction, we intend to contribute to enhancing the image of the university and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Chinese universities.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not only a theoretical review, but also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as a case study on souvenirs from universities in each country.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ouvenir design and perceived value and university image based on cultural contents was analyzed, and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was verified by conducting a survey of 500 Chinese who had experience in purchasing souvenirs.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meaningful conclusions could be drawn as follows. First, each university designed and produced souvenirs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through artistic expression through the combination of traditional culture and modern trends. Most of the university souvenirs inherited traditional Chinese culture through modernized artistic expression and at the same time realized cultural design elements embodied in the school's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school multimedia contents, and music publication contents. In addition, by continuously discovering special events at the school and releasing limited edition college souvenirs, we are actively encouraging consumers to purchase and enhancing the collectible value of college souvenirs in a way that creates emotional empathy with consumers. Secon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esign status of overseas university souvenirs, Chinese university souvenirs lacked visual image realization and lacked the unique identity or symbolism of the school itself. Accordingly, for Chinese university souvenirs, the identity of the school's exclusive color should be enhanced, and the school symbol mark and logotype should be flexibly applied as design elemen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value of an additional brand of university souvenirs through cooperation with other brands. Third,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ouvenirs based on university cultural cont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perceived value and university image. Among them, it was found that culture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perceived values and university image. Therefore, it shows that consumers can sense the long history of the school, the realization of traditional culture, and the positive mental ideology through university cultural content-based university souvenirs, and form the cultural implications and identity that the school wants to convey. This ultimately affects not only the perceived value of consumers but also the image of the university.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souvenir design elements of Chinese universiti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ceived value of consumers.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aesthetic elements of souvenirs did not absolutely affect the perceived value and did not affect the functional value either. It was found that consumers judge whether university souvenirs have a higher cost-effectiveness by combining their consumption level with the cultural implications, identity, and design ideas of the school contained in the university souvenir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cultural identity of university souvenirs and a more reasonable cost-effectiveness ar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he perceived value. Fifth,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Chinese university souvenirs can effectively increase the perceived value of consumers, but do not completely affect the university image. However, cultural identity through university souvenirs, multidimensional and creative expression of inspiration, and distinctive symbols of the university can be important factors that can effectively enhance the perceived value of consumers and the image of the university. Sixth,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ceived value of consumers for university souvenirs based on cultural contents of Chinese univers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university image. In the college souvenir design process, while maintaining the basic product quality, product function, practicality of the product and high cost-effectiveness of the product, it enhances the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of consumers toward the product perceived by the college souvenir and the symbolism that can save the school characteristics.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emotional value and social value of university souvenirs can be raised, and ultimately the image of the university can be improved. Chinese universities should promote the sustainable competitiveness of university brands by enhancing design attributes through university cultural contents-based university souvenir designs. Final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academic research and design development related to the design of university souvenirs in Chinese universities. Keywords : Cultural contents, university souvenirs (goods), perceived value, university image, Chinese university souveni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