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17세기 돈암서원의 강학활동과 정치·사회적 영향

        서동수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조선시대 서원(書院)은 관학(官學)을 능가할 정도로 유생들에게 인기있는 교육기관이었다. 조선은 국초부터 성균관(成均館), 사학(四學), 향교(鄕校)로 구성된 교육체제를 구축하였으나 16세기 중반에 설립된 중등사립교육기관인 서원에는 학생들이 몰려 성황을 이루었고 17세기 중반 이후 서원에서 성장한 사림(士林)들이 서인정권을 이루어 붕당정치를 이끌어나가는 중심세력으로 활동함으로서 서원은 조선후기 사회의 이데올로기를 뒷받침하는 사상적 근거지로서 역할을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서원이 기존의 관학과는 달리 어떠한 교육을 실시하였는지 구체적으로 밝혀내고자 17세기 돈암서원(遯巖書院)의 강학활동(講學活動)을 연구하였다. 17세기 돈암서원에 초점을 맞춘 이유는 16세기의 서원이 과거시험 공부를 완전히 외면하지 않았던 데 반하여 병자호란의 패배 이후 17세기에 설립된 서원은 관학에 대치되는 교육기관으로서 발전기에 이르렀고 학파를 형성함에 있어 상대학파와 상대정당을 인정하여 공론을 논함으로 그 역할과 영향력이 증대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17세기 돈암서원은 효종조에 청나라를 멸하기 위해 추진하려는 북벌을 이끌어나가고자 서인내 청망이 높았던 김상헌(金尙憲)의 권유로 대거 기용된 당대의 산림을 대표하던 김집(金集), 송시열(宋時烈), 송준길(宋浚吉) 등을 배출한 서원이다. 여기에서는 돈암서원의 배출인물의 학문과 교육사상을 통하여 당시 서원교육의 성격과 정치사회적 영향을 고찰하였다. 연구의 진행은 문헌연구로 돈암서원의 건립과정을 살펴본 후 김장생(金長生), 김집, 송시열, 송준길의 교육사상을 문집을 통해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돈암서원의 교육의 성격이 미친 사회·문화적 영향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돈암서원은 기존의 관학과는 다른 교육적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조선 초기 관학에서 행한 성리학은 고려말 원나라를 통해 수입된 유학(儒學) 이해의 한계가 내재된 상황에서 불교를 공격하고 권문세족의 부패를 비판하여 권력을 획득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어 지배체제의 틀을 만들고 굳히는 세속학 및 과거시험을 위한 출세학으로서 역할하고 있었기 때문에 사장(詞章)과 제술(製述)을 위한 암송 위주의 성리학 교육이 성행하였다. 그러나 서원에서는 이황과 이이에 의한 이기론(理氣論)에 따른 이론적 연구를 통해 성리학이 왕도정치를 구현하기 위한 선행단계로서 수양을 통하여 자신을 완성시키는 위기지학(爲己之學)을 강조하여 실시하였다. 성리학에서는 사람의 마음에는 천리에서 나오는 이(理)와 자신의 기질에서 나오는 기(氣)가 있는데 천리를 지키고 보존하기 위해서는 기질을 순수하게 변화시켜야 한다는 기질변화론(氣質變化論)이 서원교육의 핵심이다. 이러한 기질변화론에 있어서 돈암서원에서 강조한 것은 이직양기(以直養氣), 경이직내(敬以直內)로 대표되는 직사상(直思想)이다. 직(直)은 곧 정직으로 김장생은 정직으로서 기(氣)를 기른다고 하였고, 송시열은 경(敬)으로 마음을 정직하게 하고 정직으로 기질을 바르게 길러낸다고 하며 마음의 정직, 몸의 정직, 일의 정직으로 나아가는 수양론과 직결시켰다. 송준길은 경이직내(敬以直內)를 통해 경(敬)을 통하여 내면을 정직하게 하고 의이방외(義以方外)의 의(義)를 통하여 외면을 지킨다는 이론을 내수외양(內修外攘)의 논리로 표출하였다. 이는 곧 국내전치를 닦아 외침을 물리친다는 것이다. 이 같이 돈암서원의 강학활동은 기질변화를 위한 위기지학(爲己之學)을 강조함으로서 이를 실천하는 예학(禮學)을 정립하여 실천적 학문으로서의 성리학을 발전시켰다. 그리고 송시열과 송준길의 도학(道學)을 바탕으로 북벌(北伐)을 뒷받침하는 이론으로 실현되었다. 이러한 돈암서원의 강학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성리학의 기질변화론(氣質變化論)의 실현과 실천 학문으로서 예학(禮學)의 보급을 이루었다. 돈암서원의 강학활동이 미친 정치사회적 영향으로 꼽을 수 있는 것은 돈암서원이 선초 관학에서 행하였던 세속학과는 달리 이이(李珥)에 의해 정립된 이기론(理氣論)에 대한 성리학의 이론적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궁극적으로 왕도정치 실현을 위한 위기지학(爲己之學)을 실행함으로서 성리학을 예학(禮學)과 도학(道學)의 실천적 학문으로 완성시켜 17세기의 공론을 주도한 산림학자(山林學者)를 배출하였다는 것이다. 이는 곧 예절학풍과 의리정신에 근거한 수양론(修養論)의 실천으로 왕도정치를 구현하는 이념을 실현함으로써 완성된 것이라고 하겠으며 이 점은 돈암서원의 위상을 기호학파의 중심지로서 구축시켰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이 서원교육의 사회·문화적 영향을 돈암서원의 배출인물들의 교육사상 및 학문적 행적을 통하여 단계적으로나마 살펴보았으며, 이에 관한 보다 상세한 연구는 17세기부터 이후 서원에서 강학하였던 인물들의 정치적 활동 및 사상적 위상에 대한 고찰을 통해 가능할 것이며 앞으로 계속 살펴보아야 할 과제라고 생각된다. Seowon was a local private education facility for the purpose of educating the next generation in the 16^th century. It served the role of an assistant school for the public school in the early days, but afterwards cultivated learned people after the two great wars. Also, Seongrihak, a kind of scholastic trend, began to be activated with the development of Seowon. The graduates of Seowon greatly influenced the social and political idealistic trend of the later Chosun period as they progressed into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ir ideas were not only formed, but also supported by Seowon. In this research, the 18th Donam Seowon was examined for a concrete analysis of the social and cultural aspects of Seowon in the later Chosun period. Donam Seowon was established during Kim Jang-seng, and Kim Jib was involved in educational activities. Song Si-yeol and Song Jun-gil graduated from that school.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know the social and cultural aspects of Donam Seowon by studying the specialty of the academic tradition of Donam Seowon, which formed their ideology. The studying was completed by analyzing the related documents, and the procedure is outlined below. First of all, the establishing process of Donan Seowon was known by the present research results, then the organization and education system of that school was known by studying the old book 'Donam Seowon Gi', which was a kind of visiting report. And the social and cultural aspects of Donam Seowon was surveyed by studying the activities of the graduates which could be known by reading old documents such as 'Sagejeonseo', 'Songjadejeon', and 'Chosun Dynasty Records(Chosunwangjo Silrok). As a conclusion to this study, it was known that Donam Seowon had the same scholarly tradition as 'Hoseo Sanlim', which was under control of Kim Jang-seng and Kim Jib. It formed a kind of school that was 'Hoseoye Hakpa', and spread 'Juja Gale'. They formed a public opinion in 'Hyangchon'. Song Si-yeol and Song Jun-gil argued 'Myeolchong Bokmyoung', which meant 'Destroying Cheong Dynasty of China, and Restoring Myoung Dynasty of China', that was a kind of 'fidelity'. Their thoughts were based on the scholastic tradition of Donam Seowon, which was 'Jujahak'. As further scholastic developments were achieved by Kim jang-seng, Kim Jib, Song Si-yeol, and Son Jun-gik, who followed the traditional trend of Chosun Seonglihak, a kind of scholastic trend, the foothold of 'Gihohakpa' moved from Gyonggi region to Hoseo region. In this paper, the social and cultural meaning of Donam Seowon was studied through analyzing the educational characters of that school. But, due to the shortage of available documents, there were some limitations in achieving the original intention of this study. The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 of Seowon education system was surveyed by studying the graduates of Donam Seowon, especially their educational ideas and scholastic activities. Left are further studies for the political activities and ideological status of the graduates after the 17th century.

      • 돈암서원(遯巖書院)의 이건(移建)이후 변화에 관한 연구

        김선구 목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 목적은 돈암서원의 역사적 의의와 돈암서원誌의 중수기록을 통해 1881년 이건(移建) 전 서원의 원형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건 후 증축 또는 복원으로 인해 부가되어 발생하는 공간의 변화와 건물의 변화, 또는 각 건물의 증축과 보수로 인한 변화를 고찰하는데 있다. 1) 서원의 창건과 배치의 변화과정 돈암서원의 창건은 김장생이 연산현에서 강학활동으로 배출한 문인들의 세력과 선생을 추모하는 중앙정계의 호서사림의 적극적인 협조를 배경으로 서원의 건립되었다. 1881년 이건 당시 건물구성을 보면 기록상 확실하게 있었던 건물로 사우와 응도당, 숙(塾)이 양 옆에 배치되어 있는 문(門)이 있고 평면형식과 규모는 알 수 없으나 양성당과 산앙루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1881년 이건에 의한 건물배치를 보면 서원이 주변하천 범람으로 이건을 하게되는데 건물 배치는 사우-내삼문-양성당-입덕문으로 건물의 축이 형성되었고 전사청은 건물의 양성당의 우측에 배치되었다. 1960년 배치의 변화는 고직사가 신축되면서 전사청에 거주하던 관리인이 고직사로 옮기게 되고 이로써 전사청을 포함한 제향공간의 독립성을 확보하고 고직사 역시 별도의 영역을 가지게 되었다. 1971년 이후 배치의 변화는 구지(舊址)에 남아있던 응도당이 외삼문 밖의 고직사 정면으로 이건을 하게 된다. 그러나 위치는 원래의 강당 위치가 아닌 외삼문 좌측으로 자리하게되고, 응도당이 현재의 위치로 이건되면서 1974년 외삼문을 이축되고 담장을 증축하여 응도당과 고직사가 서원내로 흡수되었다. 또한 1928년 장판각이 건립되고 1956년 정회당이 건립되어 이건 이후 강학공간이 추가되었다. 1997년 건물 증축에 따른 공간의 변화는 동·서재의 건립으로 강학공간이 재 구성되고 고직사를 새로운 기능을 가진 건물로 개축하였다. 2) 서원의 공간분석 제향공간은 담으로 둘러쳐 있어 강학공간과 분리되어 있고 사우의 기단을 의도적으로 높게 설치하여 건물의 위계를 높게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공간내의 진입공간이 건물의 높이에 비해 좁게 되어 사우의 정면이 한눈에 인지되어 중압감과 경외감을 상승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강학공간은 양성당이 중심된 강학공간과 응도당 건물을 포함한 집회공간, 그리고 정회당을 포함한 휴식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3) 구성건물의 변천과정 서원을 구성하는 건물들은 보수, 혹은 개축으로 인해 변화되는데 1971년 이후의 보수공사는 대부분 원형에 인준하여 보수되고 있다. 보수는 건물마다. 10년 주기로 행하여지며 대부분 산자 이상의 해체 보수공사, 또는 구조재의 교체이다. 이는 기와의 파손이나 누수로 인한 구조재의 부식으로 건물의 구조형식이나 규모는 변함없이 부식부재나 파손부재만 교체되고 있다. 또한 고증을 통해 건물의 복원공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돈암서원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용도변경으로 건물이 개축되는 경우도 보이고 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돈암서원은 창건이후 계속해서 변화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크게는 건물의 배치형태부터 각 건물의 변형까지 변화되는 것을 볼 수 있었고 건물의 배치에서는 강학공간과 관리공간의 동선을 구분하면서 변화가 이루어졌으며 각건물의 보수는 원형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행하여 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riginal form before reconstruction in 1881 through historical meaning of DonAm SeoWon and the archives of the paper DonAm SeoWon, and is to investigate the spacial transition and the transformation of building, or the transition due to extension and repair of each building after 1881. 1) The foundation of SeoWon and transition of arrangement. DonAm SeoWon was established by Kim JangSaeng's Followers. The building in 1881 was made up of shrine, UngDoDang, YangSungDang, and SanAngRoo. In 1881, the arrangement of building is made up of shrine - NaeSamMoon - YangSungDang - EpDuckMoon and JeanSaChung was arranged in the right of YangSungDang. In 1960, as GoGikSa was constructed, the caretaker dwelled in JeonSaChung moved into it. So the space of sacrificial rite was separated and GoGikSa also has special field. After 1971, the transition of arrangement is as follows : DonDoDang in the historic remoains was moved in the front side of GoGikSa. Also, after removing and reconstruction, study space was added by constructing JangPanGak in 1928 and JungHoiDang in 1956. In 1997, the spacial transition of building enlargement is as follows : study space was supplemented by constructing Don·SeoTae and GoGikSa was rebuilt as building with new function. 2) The spacial analysis of SeaWon The space of sacrificial rite was separated with study space because of surrounding with a wall and shrine was high established intentionally. An access road is so narrow by the height of building that the most splendid part was showed at a look. The study space consists of the study space centering around YangSungDang, the meeting space including UngDoDang, and the resting space including JungHoiDang. 3) The transition of building. The building consisting of SeoWon have been changed due to repair and rebuilding, and repair works after 1971 retained its original form. The repair was done every ten years and repair works of pulling down of lattice sticks across roof rafters and the shift of structure materials is mostly. The repair works of building was done through investigate and use modification of building was done to raise the practical use of DonAm SeoWon. As mentioned above, DonAm SeoWon has changed continuously through study after foundation. The arrangement of building was divided study space with managing space. And the repair of each building has kept the original form.

      •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보존과 활용 증대 방안 연구 : 돈암서원 사례를 중심으로

        김영숙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87

        2019년 7월 6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한국의 서원」을 세계유산으로 등재를 결정하면서 9개 서원을 포괄하는 통합 보존·관리방안과 함께 통합해설 마련을 권고하였다. 본 논문은 이에 따른 서원의 보존관리체계 현황과 보존·관리 및 활용과 관계된 법령과 정책, 지정 및 관리 체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유네스코 세계유산 돈암서원의 문화재 보존과 활용 증대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논지를 전개하였다. 첫 번째는 서원의 역사적 변천과 경관적 특성 및 기능, 조선시대 향촌사회에서 역할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서원은 단순히 교육기관으로 그치지 않았다. 체계적인 조직운영과 관리 제도를 바탕으로 선현제향과 학맥형성, 향음주례 등을 통해 향촌문화를 주도했음을 정리하였다. 두 번째는 서원의 보존과 활용현황 분석을 위해 관련 법령과 정책현황, 지정현황과 관리체계를 분석하였다. 문화재보호법과 관련지침,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를 통해 「한국의 서원」 통합관리를 위한 한국의 서원 세계유산센터 설립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나 출범이 지연되면서 연속유산인 9개 서원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세 번째는 서원의 보존과 활용실태 분석을 통하여 9개 서원 연속유산에 대한 통합적인 활용프로그램의 부재에 대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대표적인 유학교육시설 활용사업인 향교·서원 활용사업에 있어서 진정성을 고려하지 않는 양적 성장과 향교·서원 활용사업 지원 건수의 불균형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민관산학 뉴거버넌스를 통한 영주 소수서원의 유교콘텐츠와 선비촌의 선비문화를 통합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우수사례로 제시하였다. 네 번째 돈암서원의 통합적 보존과 활용 증대와 관련하여 유·무형문화재의 지속가능한 통합적 보존과 활용, 세계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와 완전성·진정성 보호 방안, 지속가능한 보호관리 체계와 모니터링 평가 방안, 서원 네트워킹과 주민참여를 통한 지속가능한 관광자원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국의 서원」 돈암서원의 차별성 있는 활용프로그램을 위해 제향인물, 학문과 관련한 콘텐츠를 활용한 개별프로그램 제안과 다른 8개 서원 간 연계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을 제안하였다. 돈암서원 활용 증대를 위해 정부·지방자치단체·지역민 간의 뉴거버넌스를 통해 7년째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신축 체험시설인 예학관과 한옥마을 문제를 해결하고 한국의 서원 세계유산센터 유치 등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함을 강조하였다. 이 같은 간접자본 마련 후에는 돈암서원과 사계고택 등 연산-계룡을 잇는 사계 김장생 관광코스 개발로 활성화를 모색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원의 문화유산적 가치인식과 지속가능한 활용 증대를 위한 통합적 보존·관리 및 활용체계 구축의 필요성 강조하였다. 또한 지역민의 지역유산의 모니터링 및 활용프로그램 참여유도,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돈암서원의 활용 증대 방안을 제시하였다. On July 6, 2019, the World Heritage Center, UNESCO decided to inscribe “Korean Seowons Neo-Confucian Academies” as a World Heritage, it recommended to prepare an integrated explanation of nine Korean Seowons along with an integrated pre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covering them.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conserva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Korean Seowons Neo-Confucian Academies, and the analysis of the legislations, policies, and systems of designation and management related to conserva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thereof; this article set out the following thesis to suggest a measure on increasing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the Donamseowon as the UNESCO World Heritage. Firstly, this study considered the historical change of seowon,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the landscape, and the role and meaning in the country community of the Joseon Dynasty. Seowon was not just an educational institution. Based on a systematic organizational operation and management system, it is summarized that the country community culture was led through the formation of veneration, the formation of academia, and the rite of drinking(Hyangeumjurye). Secondly, this study analyzed related legislations, current policies and designations, and management systems along with the current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Seowons. Based on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and its guidelines and also ordinances by local governments, this study raised a need to establish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Korean Seowons Neo-Confucian Academies. As the launch of World Heritage Center for Korean Seowons Neo-Confucian Academies was postponed, there were difficulties with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serial heritage across many different areas. Thirdly, through th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status analysis of the Seowon, this study suggested measures to overcome the problem of the absence of an integrated utilization program for the serial heritage of the nine Korean Seowons Neo-Confucian Academies. Also this study pointed out the problems of quantitative growth without considering authenticity of the Hyanggyo and Seowon utilization projects and the imbalance in the number of support for Hyanggyo and Seowon utilization projects. Besides, this study suggested the best practice of utilizing integrally the culture of Confucian scholars and Confucian content of Yeongju Sosu Seowon and the village of Confucian scholars based on the new-governance between private, government, industry, and/or academy. Finally, this study proposed a couple of plans to promote the integrated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Donamseowon including the integrated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the protection of World Heritage's remarkable universal value, integrity, and authenticity, plans based on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system and monitoring and evaluation plans, and sustainable tourism resources through Seowon networking and resident participation. Individual programs were proposed based on content about enshrined figures and studies to ensure a differentiating utilization program for Donamseowon as a Korean Seowon. Also proposed in this study were programs to connect eight Seowons in planning and management. It is critical to solve the issues of Yehakgwan, which is a new experience facility not in service for seven years, and Hanok Village to promote the utilization of Donamseowon through the new governance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local residents. It was also highlighted to make active efforts such as the attraction of World Heritage Center. Once such indirect capital is funded, it is important to promote the vitalization of Donamseowon and Sagye's old house to develop a tourist course of Sagye Kim Jang-saeng between Yeonsan and Gyeryong. The present study puts an emphasis on an integrated conserva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system to promote Seowons' value as cultural relics and their sustainable utilization. It also proposed plans to promote the utilization of Donamseowon by inducing local residents to participate in monitoring and utilization programs for local heritage and establishing a cooperative system.

      • 돈巖書院 硏究

        이연숙 충남대학교 1993 국내석사

        RANK : 248607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