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전통예술공연장의 운영 개선 방안 연구 : - 한국문화의집 KOUS 극장을 중심으로 -
손진영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전통예술 공연장의 운영 개선 방안 연구 - 한국문화의집 KOUS 극장을 중심으로 - 손 진 영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제문화유산협동과정 K-POP 공연이 대세인 이때, 전통문화예술은 민족의 정체성과 관련되어 있어 중요하다. 그럼에도 우리나라 대표 전통문화예술 공연장인 한국문화의집(KOUS ; KOrea cUltural houSe) 공연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KOUS 공연을 비롯한 전통문화예술 공연의 발전을 위하여 연구에 착수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연장의 공간적 특성과 정체성을 준거로 삼아, 공연 운영현황을 살펴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우선 설립목적과 운영방침, 구조와 형태 등 KOUS 자료 분석으로 공연장 성격을 규정하고, 이를 준거로 공연목록 검토, 관객의 설문 자료, 관객심층 면접을 통해 다음과 같이 문제점을 찾고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첫째로 KOUS 자료 분석으로 밝힌 공연의 기준(준거)은 두 방향이었다. 하나는 설립목적과 운영방향과 관련된 ‘전통문화예술의 보급, 선양, 발전이라는 공공의 이익을 추구’, 또 다른 하나는 중소규모 공연에 적합한 (중)소극장, 관객과의 원활한 소통을 위한 돌출 극장이며, 용도로는 다양한 장르와 형태의 예술 공연을 위한 다목적 극장이었다. 둘째로 ‘전통문화예술의 보급, 선양, 발전이라는 공공의 이익 추구’라는 준거로 관련 자료를 분석한 결과 나타난 문제는 홍보의 미흡,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나 관광 상품화 노력의 미흡, 또한 민관협력이나 네트워크 형성 노력의 미흡이었다. 이에 홍보의 미흡에 대해서는, 지인중심의 인지경로를 탈피하여 홍보의 다양화와 선진화를 제안하였다. 특히, TV 등 대중매체, 인터넷, SNS 등 첨단 매체 활용을 강조하였다. 외국인에 대한 서비스와 관광 상품화의 미흡에 대해서는, 밖으로는 한류에 편승하거나 성공한 선진 사례를 벤치마킹해 공연의 세계화를 이루고, 안으로는 관광업체 등 내한 외국인 관련 단체와 연계하여 방한하는 외국인 유치를 제시하고, 공연장내 외국인 편의 시설을 갖출 것을 제안하였다. 민관협력이나 네트워크 부족에 대해서는, 교육계와 연계하여 체험학습 등의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고 기타 노인 단체, 지방문화단체와 연계할 것을 제시하였다. 셋째로, ‘극장규모와 형태를 준거’로 관련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여성 지향적, 프로그램에 따른 연령층의 편중 등의 편향성, 잠재고객 유치 노력 부족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공연의 편향성에 대해서는‘균형’있는 공연 프로그램의 편성과 운영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남성 취향을 고려한 프로그램의 제작이나 편성을 해야 하고, 연령 편중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전통공연과 퓨전공연의 균형을 강조하였다. 잠재고객 유치와 관련해서는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는 등 사전노출을 강화할 것을 제시하였다. 넷째로, 개선안을 종합하여 ‘KOUS 극장의 한국 전통문화예술공연장 랜드마크화’를 궁극적 지향점으로 삼아 장단기전략을 제시하였다. 단기 전략으로는, KOUS 공연장 홍보의 다양화 및 강화(홈페이지, 재단 공연 등 각종 협력공연의 시작과 말미 등 홍보), 협력 공연 추진, 교육계 및 관광업계와 협력한 공연장 활용안을 제시하였다. 장기 전략으로는 한국전통문화대학교의 전통문화예술공연학과 설치 유도, 국내외 관련 대학이 KOUS 극장을 체험코스나 실습장으로 활용하도록 유도, 공연장 외형에 특정 상징물(상징탑) 설치, 주차장 확대 및 전체 건물 사용의 재구조화 등을 제시하였다. 주제어 : 한국문화의집(KOUS), 전통공연, 공연장 성격, 관객 특성, 관람성향, 관객 만족도, 운영 개선안, 랜드마크
백경호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예로부터 색은 인간의 생활에 많은 영향을 미쳐왔다. 인간은 때론 주변의 색에 무관심해 보이지만, 색에서 오는 자극에 반응을 하며 영향을 받는다. 또한 색이라는 것은 사람에게 작용하는 감각과 감정이 달라 물질적, 정신적인 의미를 다양하게 함축하고 있다. 이러한 의미를 담은 색은 과거에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우리 생활에 밀접하게 사용되고 있다. 전통 오방색(五方色)은 우주의 자연 이치를 나타내는 조선시대 성리학인 음양오행(陰陽五行)의 사상을 바탕으로 한, 색 체계이다. 옛 선조들의 의, 식, 주 생활 전반에 사용되었다. 길상, 벽사의 의미를 담아 안녕과 소원을 빌었다. 현대에서의 색채는 직접 색채를 선택하고 활용하는 전문가뿐만 아니라 우리 모두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또한 일상의 모든 상품에서부터 패션, 인테리어, 건축, 산업디자인, 도시환경, 심리치료 등 매 순간이 색채와 더불어 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색채의 효과적인 활용은 즐거움과 치유를 경험할 수 있으며, 생활 전반의 질을 높인다. 이로 인해 색채를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분야에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현대의 색채 활용 속에서 전통성을 지닌 오방색을 연구하고 새롭게 활용하였다. 또한 작품 제작을 통해 전통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이 시대에 맞는 새로운 감성을 찾는 것에 목적이 있다. 먼저, 기존의 선행연구를 조사하고, 문헌을 통해 전통 오방색의 역사적 고찰과 음양오행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오방색인 파랑·빨강·노랑·하얀·검정과 오방간색인 녹색·홍색·벽색·자색·유황색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의미와 특징을 조사하였고, 다양한 감정 표현이 보이는 작품을 위한 체계적인 색의 의미를 정리하였다. 다음으로는 다색을 활용한 다양한 작품을 조사하여 각 작품에 활용된 색의 의미를 정리하였다. 전통 작품은 단청, 민화, 색동, 오방낭, 조각보 등의 유물을 조사하여 특징과 의미를 정리하였다. 현대 작품에서는 김환기, 박생광, 노혜신, 박정근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색의 활용과 그 특징을 살펴보며 작품의 방향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다색을 활용하여 작품 제작 및 표현하기에 앞서 태토, 분장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태토와 분장 사이의 박리현상을 줄이기 위한 실험을 먼저 진행하고, 백색 분장에 색안료를 첨가하는 다색 분장기법 실험을 진행하였다. 작품의 제작 방법은 10가지 다색 분장을 배합하여 작품의 주제에 맞는 색을 고른 뒤, 반건조 된 기물 위에 색의 순서에 맞춰 붓으로 여러 겹 칠하고 건조하는 것을 반복한다. 원하는 색과 두께가 완성되면 반건조 상태보다 조금 더 건조한 후, U자 모양 조각도를 사용하여 표면을 입체적으로 표현해주었다. 색을 현대적으로 활용하는 것에 목적을 둔 작품의 주제는 현대를 살아가는 인간의 인생을 나의 인생에 빗대어 작품으로 표현하는 것이었다. 나의 경험을 돌아보며 떠오르는 다양한 감정과 느낌들을 색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였다. 어린 시절에 대한 그리움, 막연한 행복감, 처음이라는 경험에 대한 설레는 감정, 떠나간 이에 대한 그리움 등 모두가 느낄 수 있는 아주 일상적인 경험을 작품의 소재로 두고 작업을 진행하였다. 작품의 형태는 단순화하여 현대적인 느낌을 극대화하고 색의 전통적인 의미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다색 분장기법을 통해 여러 겹 칠하고 건조하는 과정을 통해 다양한 의미를 중첩시키는 효과를 기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전통과 현대에서의 색채가 가지고 있는 역할과 의미를 정리하고, 전통적인 색인 오방색의 의미를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나아가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색이 단순히 ‘예쁘다’라는 관점에서 벗어나, 우리 고유색을 활용한 작품을 통해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로 하여금 일상적인 경험에 대한 새롭고 다양한 의미를 전달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전재학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그간 가치에 대한 인식이 확장되면서, 유산의 물리적 측면에서 비롯되는 유형적 가치에서, 유산의 사용, 유산과 공동체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나타나는 연관성, 의미 등 무형적 가치의 중요성 또한 커져왔다. 이에 따라 과거를 보여주는 증거로서 물리적으로 보호되어야 할 오래된 기념물에서, 직접적으로 사용되고 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하는 자원으로까지, 유산으로서 인식되고 보존되어야 할 대상의 종류와 범위 역시 지속적으로 확장되어 가고 있다. 이는 단순히 유산의 물리적 특성을 동결적으로 보존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가치에 기반을 두어 유산에 나타나는 변화를 합리적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유산 관리 경향으로 이어졌다. 국내에서도 역시 문화재의 범주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선·면단위 등록문화재제도를 통한 근대역사문화공간 재생활성화 사업, 역사문화권 정비사업 등, 문화재를 지역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자원으로 활용하고자 하고 있다. 특히 선·면단위 등록문화재제도는 완화된 현상변경 규제, 구조의 변경 등을 통해 자유로운 활용이 가능한 등록문화재의 특성을 이용하여 문화재를 지역 활성화의 핵심적인 자원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제도이다. 다만 등록문화재의 경우, 활용함에 따라 물리적 특성에 대한 변화가 수반되기 때문에, 문화재 가치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변화 사이의 균형이 필요하다. 국내에서의 문화재 보존·관리 및 활용은 ‘원형유지’원칙을 기본적인 대원칙으로 삼고 있다. 따라서 등록문화재의 원형이 가지는 가치와 이를 잘 드러내는 속성을 훼손시키지 않는 동시에, 유용한 자원으로서 활용하기 위한 변화를 어느 정도로 수용할 것인지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근대역사문화공간의 경우, 사람이 직접적으로 사용하고 생활하는 공간을 문화재로서 보존하고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한 관리는 단순히 공간과 문화재의 물리적 원형을 유지하기 위한 접근방식보다는, 변화를 어떻게 합리적으로 관리할 것인지에 대한 접근방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면단위 등록문화재는 원형유지의 관점 보다는 합리적인 변화관리의 관점에서 관리되어야 하며, 관리계획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전제로 삼고자 한다. 이를 전제로 가치에 기반을 둔 적절한 변화관리가 어떻게 관리계획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을지 고찰해보고, 실질적인 변화관리를 위해, 관리 과정에 있어 문화재에 대해 제안되는 변화가 문화재의 가치와 속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평가과정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As the perception of value has expanded, the importance of intangible and non-physical values, such as the use of heritage, associations, and meanings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heritage and community, has also grown. Accordingly, the types and scope of objects to be recognized and conserved as heritage are also continuously expanding, from old monuments as evidence of the past to resources directly used and contributing t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society. This led to a tendency to manage heritage management to reasonably manage the changes that appear in heritage based on value, rather than simply preserv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heritage in a frozen image. In Korea, the category of cultural properties continues to expand, and it is intended to conserve and manage cultural properties such as Modern Historical and Cultural Space rehabilitation projects through the Line-Area-Based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System or Historical and Cultural Zone Maintenance Project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domestic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system, unlike 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it is subject to relaxed regulations on changing the status quo, and the focus is on utilization for various use through structural changes. The Line-Area-Based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System is a system that aims to use cultural properties as a key resource for regional revitalization by using these characteristics. However, in the case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since changes in physical characteristics are accompanied, a balance between the preservation of cultural property values and changes of the physical state for utilization is necessary. The dominant principle of conserva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cultural properties in Korea is 'maintaining the original form'. Therefore, in the case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it is necessary to judge to what extent to accept changes to utilize them as useful resources while not undermining the value of the original form of cultural properties and the attributes that reveal and deliver those values well.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Modern Historical and Cultural Space, which is registered and managed as Line-Area-Based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as a means of revitalization of region by conserving and utilizing the space and the cultural properties within the space which are directly used and lived as cultural properties by people, its management should take a rational approach to managing changes rather than just an approach of maintaining the original form. Therefore, in this study, it is assumed that Line-Area-Based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should be conserved and managed based on a value-based rational change management approach rather than based on an approach of maintaining the original form, and such a change management approach should be guided and implemented through a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of cultural properties. On this premise, I would like to examine how appropriate change management based on value can be achieved through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s, and suggest that the impact assessment process of how changes proposed for making use of cultural properties affect the value and attributes of cultural properties should be included.
세계유산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한 문화유산관광 발전방향 연구 : 백제역사유적지구 부여를 중심으로
박지수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본 논문은 세계유산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한 문화유산관광의 발전 방향을 연구하였다. 문화유산관광이 활성화될수록 지역은 경제적 성장과 관광 기반시설의 정비로 인해 지역 생활환경이 개선되는 효과를 얻게 되었다. 하지만 세계유산의 보호에 관한 인식 부족과 무분별한 관광 개발은 세계유산의 지속가능성에 위협을 가져오게 되었고, 관광과 세계유산의 보존관리는 대립적인 태도를 유지했다. 그러나 점차 세계유산의 지속가능한 활용의 측면에서 문화유산관광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관광과 관리의 상호 협력적인 관계들을 주목하게 되었다. 세계유산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한 방법으로 문화유산관광의 발전 방향을 알아보고자 세계유산의 보존관리에 영향을 주는 주요 국제 협약 및 권고 사항의 내용을 살펴보고 방향성을 정리하였다. 이와 함께 국내의 문화재 보호 및 활용과 관련한 법령과 계획들을 살펴보고 방향성을 정리하였다. 주요 방향성 들이 실제로 국내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백제역사유적지구의 부여 지역을 중심으로 개발계획에 드러나 있는 정책 방향성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먼저 부여의 개발 정책의 방향성은 전반적으로 세계유산의 문화유산관광 방향성과 같은 맥락을 보였다. 그러나 각각의 세부 관광 현황에서 문제점들을 파악할 수 있었다. 파악한 문제점들을 중심으로 부여 세계유산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한 문화유산관광 발전 방향을 제시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의 접근성 강화를 통한 지역 활성화를 장려해야 한다. 주변 지역과의 대중교통을 이용한 낮은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 부여의 주변 백제 문화권 지역과의 교통 연계성 향상을 위해 고속버스 연결 증대 및 백제 문화권의 교통권 단일화, 충청도 주요 거점 도시와의 교통 연계를 통한 관광 코스 개발 등과 같은 방법으로 지역의 접근성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생활권역의 관광 자원화를 통한 지역주민의 주체성 및 경제성을 향상해야 한다. 관광객 증가가 지역 내 소비로 연결되지 않는 점과 지역의 문화유산관광 상품화 개발에 대한 주민의 참여도 및 인식 변화를 위한 교육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백제 문화 상품 개발과 연관 산업 육성, 경관 개선 사업 등의 필요성을 주민들에게 교육하여 의식의 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어야 하며 지자체는 제도적·경제적 지원에 대한 정책적 보조를 추가해야 한다. 셋째, 세계유산의 인지도 향상으로 관광객을 증가시켜야 한다. 부여 내 세계유산의 낮은 관광객 유입 효과와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편의시설 및 홍보의 부족 문제가 있다. 이에 부여의 세계적 인지도 향상을 위한 국제 행사 유치 등을 통한 홍보 방법과 적극적인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편의시설 정비와 해외 마케팅 개선에 대해 노력해야 한다. 넷째, 세계유산의 보호 및 정비를 통한 환경 영향을 감소시켜야 한다. 고도 보존 계획으로 경관 개선 사업 및 보수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보수 및 복원은 자칫 세계유산의 훼손을 가져올 수 있지만, 유산의 가치에 초점을 맞춘 고증을 통한 복원 및 정비는 세계유산의 진정성 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보수 및 복원 작업을 통해 관광객들로 하여금 부여의 세계유산 도시로서의 역사적 가치와 문화적 가치에 대한 진정성을 느낄 수 있게 해야 한다. 다섯째, 온라인 마케팅 및 디지털 콘텐츠 개발을 통한 관광 프로그램을 구축해야 한다. 부여는 소극적인 홍보 프로그램과 온라인 콘텐츠의 다양성 부족이 문제점으로 발견되었다. 따라서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적극적인 홍보와 부여의 역사·문화적 즐길 거리를 향유할 수 있는 다양한 온라인 콘텐츠 개발을 통해 국내외 관광객들에게 매력적인 관광지로 꼽힐 수 있도록 관광 프로그램 구축과 서비스를 강화해야 한다. This dissertation presents development direction of cultural heritage planning for sustainability of World Heritage. As the tourism of cultural heritage became active, local environment was ameliorated due to economic growth and improvement of tourism infrastructure. However, the lack of awareness about the protection of the World Heritage and the unreasonable development of tourism posed a threat to the sustainability of the World Heritage, and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World Heritage had stuck to a confrontational attitude. Nevertheless, the importance of cultural heritage tourism comes to the fore in terms of the sustainable use of the World Heritage and mutual cooperative relationship of tourism and management is focused on. To seek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cultural heritage tourism as a method for sustainable management of World Heritage, it summarizes the direction of major international conventions and recommendations affecting conservation management of World Heritage sites. In addition, it explores laws and plans related to the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cultural properties in South Korea. In order to examine how the main directions are actually applied in Korea, it analyzes directions of policy and discerns problems in the development plan centered on Baekje Historical Remains District. As a resul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policy of Buyeo show generally analogous aspect as the direction of cultural heritage tourism of World Heritage. However, the problems discover in each detail of the tourism situation. Focused on identified issues, the following are directions for development of cultural heritage tourism for sustainable management of World Heritage. First, it should encourage local revitalization through enhanced accessibility of the area. The accessibility of the area should be strengthen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high-speed bus connections, unifying the traffic rights of the Baekje culture area, and developing tourism courses through traffic links with urban centers of Chungcheong-do for low accessibility and traffic connection with public transport in the surrounding area. Second, local residents' identity and economic efficiency should be improved through tourism resources of living area. To address the lack of education for residents' participation, change in awareness of tourism development in the region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tourists is not connected to consumption in the region, It should be able to change the structure of consciousness by educating the residents about the necessity of Baekje cultural product development, related industry fostering, and landscape improvement project. Local governments should add policy support for institutional and economic support. Thir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tourists by increasing awareness of World Heritage. The lower tourist influx of World Heritage in Buyeo has the problem of the lack of amenities and promotions for foreign tourists with effect. It should strive to promote publicity through pushful international events to raise awareness of global issues, to improve facilities for active foreign tourists and improve overseas marketing. Fourth, the environmental impacts through conservation and maintenance of World Heritage should be reduced. It is carrying out landscape improvement project and maintenance work with high conservation plan. Repair and restoration can bring about destruction of the world heritage, but restoration and maintenance through the high tide focusing on the value of the heritage can help maintain the authenticity of the world heritage. It should give tourists a sense of authenticity about historical values and cultural values as the World Heritage city of Buyeo. Last, it should establish tourism programs through online marketing and digital contents development. Buyeo was found to be a problem because of the lack of diversity of publicity programs and online contents. thus,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tourism program construction and services so that it can be considered as a tourist attraction to domestic and foreign tourists through the development of various online contents that can enjoy active publicity utilizing the online platform and historical and cultural enjoyment of Buyeo.
캠퍼스타운의 유·무형적 유산속성의 활용을 통한 대학문화 활성화 연구
김나연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우리나라 대학 교육은 근대 개혁 이후부터 시작되었으며 한국인, 일본인, 그리고 외국 선교사들에 의해 설립된 고등교육기관들의 주도로 이루어졌다. 광복 이후, 사립 학교들이 대학으로 인가를 받기 시작했고, 소수 의 지식인 계층이 향유했던 대학 교육은 현재 대부분의 사람이 경험할 수 있는 한 가지의 문화이자 기관으로 자리 잡았다. 이에 따라 사람들의 기 억으로 형성되기 시작한 대학문화가 정의되기 시작했으며, 대학-지역사회 사이에 영향을 끼쳤다. 캠퍼스타운, 대학 마을이자 대학가로고도 불리는 이 공간은 대학생들의 학사 일정과 캠퍼스의 위치 등의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발전했는데, 코로나 펜데믹 이후 학생들의 부재에 따른 침체를 겪으 며 단조로운 캠퍼스타운의 상권에 큰 타격을 입혔다. 코로나 종식 후, 학생들이 학교에 복귀했음에도 불구하고 캠퍼스와 캠퍼스타운의 단절은 심 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절 요인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려는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본 연구는 대학문화와 캠퍼스타운의 개념에 대해 정의하고, 고찰하고자 했다. 캠퍼스타운과 대학 사이의 단절을 일으키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세 곳의 연구 대상지를 선정했는데, 연세대학교 신촌 캠퍼스, 동아대학교 승학캠퍼스, 마지막으로 동아대학교 부민캠퍼스이다. 신촌 캠퍼스타운은 연세대학교를 비롯하여 이화여자대학교, 서강대학교, 홍익대학교 등 대형 종합 사립 대학교들을 대거 보유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 가장 먼저 형성 되기 시작한 캠퍼스타운이기에 연구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했다. 두 번째 로 동아대학교는 하나의 캠퍼스가 아닌 세 개의 멀티 캠퍼스를 각 목적에 맞게 운영 중인데, 이 중에서도 부민캠퍼스는 오픈형 캠퍼스를 추구하고,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세 캠퍼스와 캠퍼스타운을 비교할 목적으로 선정 했다. 이 세 곳을 중심으로 학생들과 일반 시민들의 주 통행로, 출입구의 위치, 대중교통과의 거리 등 다양한 근거로 분석하고자 했으며, 이에 필 요한 조사를 공통 설문, 심층 면담, 공간 분석 프로그램(Space Syntax) 등 의 여러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진행했다. 현재 우리나라 대학들은 폐쇄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캠퍼스는 대부분 주 출입구를 사용하고, 담으로 경계를 구분하여 캠퍼스타운과의 단절을 표현하고 있다. 실제로 연세대학교와 동아대학교 승학캠퍼스는 차량 통행 위주의 도로로 인한 보행자의 통행 위험성, 지리적인 위치 등의 이유로 학생들의 인식 조사에서도 부정적인 응답을 많이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오픈형 캠퍼스를 유지하고 있는 부민 캠퍼스의 경우에는 지역사회와 꾸준 한 교류를 진행하고 있었고, 지역주민들은 학교를 자유롭게 통행하고 있 었으며, 주 출입구가 따로 없다는 상반된 결과를 얻었다. 이에 따라 캠퍼 스타운과 대학의 단절을 해소하고, 이에 따른 정체성 확보 방안을 모색하였다. 첫 번째, 오픈형 캠퍼스 및 대학 도시 개념 도입이 필요하다. 세계 여러 유명 대학 도시 사례를 보았을 때, 대부분은 도시 계획에 관여할 만큼 중 심 공간으로 작용하고 있거나, 명확한 경계를 두지 않고서 도시와 공생하 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대학들은 명확한 경계를 설정하는 담이나 대형 건물들을 설치하고, 정문 외의 다른 출입구로는 쉽게 통행할 수 없다는 상반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대학과 도시는 결코 분리될 수 없는 개념이 자 집단이며, 캠퍼스타운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유명 대학 도시들을 벤 치마킹하여 그 장단점을 분석하고, 그걸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구축해야 한다. 두 번째, 차량 위주의 통행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보편적으로 학생들은 대중교통이나 도보를 이용하여 통학하는 경우가 많은데, 도로 자체는 차량 위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른 통행 문제를 해결해야 캠퍼스와 캠퍼스타운의 단절을 해소할 수 있고, 조금 더 캠퍼스를 많이 활용 할 수 있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세 번째, 지역 문화유산 및 대학 박물관 등의 유·무형유산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창출이 필요하다. 대학 박물관, 근현대문화유산 등의 지역 정체성을 나타내는 지역유산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장기적인 관점에서 대 학과 도시, 즉 캠퍼스타운이 활성화될 수 있는 새로운 문화콘텐츠를 창출 하여 학생과 지역주민 외에도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방문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본 연구는 대학문화를 활용한 캠퍼스타운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모색하고, 고찰하였다. 대학문화라는 정체성과 캠퍼스타운 내에 산재한 다양한 유산을 활용하는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였고, 이를 정책적으로 활 용하기 위한 해외 벤치마킹 사례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다. 이처럼 지역성 을 더욱 명확하게 정의하고, 그 특색을 강화한다면 단조로운 캠퍼스타운 을 재활성화할 수 있을 것이다. Korean university education began after the modern reform and was led by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established by Koreans, Japanese and foreign missionaries. After liberation, private schools began to be approved as universities, and university education enjoyed by a small number of intellectuals has become a culture and institution that most people can experience today. As a result, the university culture that began to form in people's memories began to be defined and influenced between universities and communities. The space, also known as campus town, university village, and university district, developed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college students' academic schedules and campus locations, but suffered a slump caused by the absence of students after the COVID-19 pandemic. Even though students returned to school after the end of COVID-19, the disconnection between campus and campus town is serious. Therefor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analyzing the disconnect factors and seeking ways to do so. This study sought to define and examine the concept of university culture and campus town. Three research sites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cause the disconnection between campus towns and universities: Yonsei University's Sinchon Campus, Dong-A University's Seunghak Campus, and finally Dong-A University's Bumin Campus. Sinchon Campus Town has a large number of large comprehensive private universities such as Yonsei University, Ewha Womans University, Sogang University, and Hongik University, and it was judged worth researching because it was the first campus town in Korea. Second, Dong-A University operates three multi-campus campuses for each purpose, not one campus. Among them, the Bumin Campus was selected to compare the three campuses and campus towns in that it pursues and maintains an open campus. Based on these three sites, students and the general public were analyzed on various grounds, such as the main passageway, entrance location, and distance from public transportation, and necessary surveys were conducted using various methods such as common questionnaires, in-depth interviews, and Space Syntax. Currently, Korean universities operate closedly, and most campuses use the main entrance and border with walls to express a disconnection from campus towns. In fact, Yonsei University and Dong-A University's Seunghak Campus received many negative responses in student perception surveys due to the risk of pedestrian traffic and geographical location of roads centered on vehicle traffic. However, in the case of Bumin Campus, which maintains an open campus, it has been steadily interacting with the community, and local residents are free to pass through the school and there are no main entrances. As a result, the government sought ways to resolve the disconnection between campus towns and universities and secure identity accordingly. First, the introduction of open campus and university urban concepts is necessary. Looking at the cases of many famous university cities around the world, most of them act as central spaces or coexist with cities without any clear boundaries. However, Korean universities have a conflicting characteristic that they cannot easily pass through other entrances except the main gate by installing walls and large buildings that set clear boundaries. Universities and cities are concepts and groups that can never be separated, and in order for campus towns to be activated, famous university cities must be benchmarked to analyze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establish ways to apply them. Second, the problem of vehicle-centered traffic should be solved. In general, students often commute by public transportation or walking, but the road itself is often composed mainly of vehicles. Only by solving the resulting traffic problem can the disconnection between campus and campus town be resolved, and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make more use of campus. Third, it is necessary to create cultural contents using local cultural heritage and university museum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tilize local heritage that shows regional identity, such as university museums and modern cultural heritage, to create new cultural contents that can revitalize universities and cities, i.e., campus town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This study explored and considered ways to revitalize campus towns using university culture. More overseas benchmarking case studies will be needed to present the identity of university culture and revitalize various heritage scattered in campus towns and utilize them as policies. By defining the locality more clearly and strengthening its characteristics, it will be possible to revitalize the monotonous campus town.
1950~1980년대 한반도 비무장지대 안 대성동마을 개발의 의미와 영향
박채린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After the Armistice Agreement of the Korean War on July 27, 1953, the Korean Peninsula was divided into South and North Korea. As a result, a "Demilitarized Zone" was created in the border area to prevent armed conflict. Although civilians are prohibited from entering this place, South and North Korea each have a village where civilians can live. Among them, The village located in the South Korea is “Daeseong-dong Village” and is also known as “Freedom Village”. Between a military demarcation line, Gijeong-dong Village which is located in the North Korea and Daeseong-dong Village face each other. Due to this locational specificity, Daeseong-dong Village has been transformed into a propaganda village that can show the progress of South Korea to North Korea. So, Daeseong-dong Village had a total of three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conducted by the country from the 1950s to the 1980s. During this period, system competition between the South and North Korea reached its peak. The first project of Daeseong-dong Village was to build a "Modern Ideal Village" in 1959. It was to respond up to the village of Gijeong-dong. Through this project, a new type of housing called "Cultural Housing" was built in the village. Furthermore, public facilities for culture and welfare which were not in the usual rural areas of South Korea at the time were also built. The new housing of the village was built by the Korea Housing Corporation, which was leading the reconstruction of the city and the resolution of housing shortages. However, compared to other houses at the same time, the floor plan, appearance, and finish were all inferior. In addition, it did not build an annex that is essential to the residents of rural areas. It means that the housing did not take into account the reality that the location of the village is a rural area. The second project is "The 1st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 which was conducted from 1971 to 1972. The purpose of this project was to develop an ideal "Demonstration Village" that could show off its national power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Through this, the village had a new residential quarter, and new types of houses and public facilities were built. At that time, newly formed residential quarter, houses, and public facilities were more actively deployed to propagate against North Korea, unlike the previous period. This project created a terraced residential quarter using the original sloped topography of Daeseong-dong Village, and all the houses in it were arranged westward to face North Korea. In addition, the new residential area in Daeseong-dong Village was not only against North Korea, but also was created as a "Demonstration Village of Saemaeul Movement," which was an example of Demonstration Village in rural areas of South Korea at the time. Through comparison with the village plans and standard rural houses planned in the early Saemaul Movement, similar village plans and houses were preemptively supplied to Daeseong-dong Village at the time. It implies that Daeseong-dong Village also served as a demonstration village for the Saemaul Movement. Moreover, The 1st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 of the village also affected the "Unification Village(Tongilchon)", a village with the similar purpose – propaganda to North Korea - created in Civilian Control Zone(CCZ) in 1973. In the Unification Village(Tongilchon), houses with the same floor plan as Daeseong-dong Village were built, and the village was placed in a direction facing North Korea. The last one is the "2nd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 conducted from 1979 to 1983. This was the final development project of Daeseong-dong Village to display that South Korea's national power has become stronger internally and externally. Also, it was to encourage local residents to have a sense of security and settle down, and to promote increase production of food. In this project, a development plan was established only for Daeseong-dong Village. Through the project period, a layout plan using direction of the buildings, slope topography, floor height, and axis of buildings was carried out for propaganda against North Korea. Also, houses that reminiscent of Western country houses were built. It was a village optimized for propaganda against North Korea compared to previous development projects, and it can be said that it was " The Best of propaganda village against North Korea". To sum of the above, the meaning and Influence of the development of Daeseong-dong Village in the Demilitarized Zone on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1950s to the 1980s are as follows. Daeseong-dong Village is not only the first, but also the last village which is specialized in propaganda against North Korea. Therefore, it is meaningful as the only village in South Korea that can examine the architectural change process of the village aimed at propaganda against North Korea from the 1950s to the 1980s, when the system competition intensified after the armistice agreement of the Korean War. Furthermore, Daeseong-dong Village played a role as a demonstration village in creating a Unification Village(Tongilchon) formed in Civilian Control Zone(CCZ)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The reason is that village plans and housing construction were preemptively carried out for propaganda against North Korea. In addition, the village plan and the standard rural housing plan of the Saemaul Movement in 1972 were preemptively supplied because Daeseong-dong Village was selected as a demonstration village of the Saemaul Movement in the early 1970s. It implies that this village became an example for general rural areas in Korea during the Saemaul Movement. 1953년 7월 27일 한국전쟁의 정전협정 이후, 한반도는 남한과 북한으로 분단되었고, 접경지역에는 무력 충돌을 막기 위한 ‘비무장지대’가 만들어졌다. 이 비무장지대는 민간인의 출입이 금지된 구역이지만, 남한과 북한에 각각 하나씩 민간인이 거주할 수 있는 마을이 존재하고 있다. 이 중 남한에 위치한 마을이 ‘자유의 마을’이라 불리는 ‘대성동마을’이다. 대성동마을은 북한과 군사분계선을 사이에 두고, 서로의 상황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곳에 위치해 있다. 이러한 장소적 특수성 때문에, 대성동마을은 남한의 발전상을 북한에 보여줄 수 있는 선전마을로 변화해 나갔다. 이에 대성동마을은 1950년대부터 남북의 체제경쟁이 가장 고조되었던 1970년대와 1980년대까지 국가 주도로 총 3차례의 대규모 개발사업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대성동마을의 첫 번째 개발사업은 1959년 ‘근대적 이상촌’을 건립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이는 북한에 있는 기정동마을에 맞서기 위한 개발이었다. 이 사업을 통해 대성동마을에는 ‘문화주택’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주택이 건설되었고, 당시 일반 농촌에서는 볼 수 없는 문화 및 복지를 위한 공동이용시설들도 함께 마련되었다. 이 대성동마을의 문화주택은 동시기 도시의 재건과 주택난 해결을 주도하고 있던 대한주택영단에 의해 건설된 것이었지만, 당시 대한주택영단에서 건설한 주택들에 비하면 평면과 외관, 마감 상태 등 모두가 뒤떨어진 상태였다. 또한 주민들에게 꼭 필요한 부속사도 건설해주지 않은 것으로 보아, 농촌에 있는 대성동마을의 특성마저도 고려하지 못한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개발사업은 1971~1972년에 이루어진 ‘제1차 종합개발사업’이다. 이는 대내외적으로 국력을 과시할 수 있는 이상적인 ‘시범부락’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이 사업을 통해 대성동마을에는 새로운 주택지가 형성되었고, 새로운 형태의 주택과 공동이용시설들이 건설되었다. 당시 새롭게 형성된 주택지와 주택, 공동이용시설들은 이전 시기와 다르게 북한을 더욱 적극적으로 의식하여 배치계획이 이루어졌다. 주택지는 대성동마을이 원래 가지고 있던 경사 지형을 이용하여 계단식으로 택지를 조성했고, 그 안의 주택들은 모두 북한에서 정면이 보이는 서향으로 배치되었다. 또한 공동이용시설들도 서향을 하거나 북한이 위치한 서쪽 위주로 배치되었다. 그런데 대성동마을의 새로운 주택지는 대북 선전 역할 외에도 당시 국내 농촌의 모범이 되는 ‘새마을 시범부락’으로 조성된 것이기도 했다. 초기 새마을 운동에서 계획한 마을계획, 표준형농촌주택과의 비교를 통해 당시 대성동마을에 유사한 마을계획 및 주택을 선제적으로 공급하여 새마을 운동의 시범부락으로서 역할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대성동마을의 제1차 종합개발사업은 1973년 민간인출입통제구역에 조성되는 유사한 성격의 마을인 ‘통일촌’에도 영향을 주었고, 이는 통일촌의 배치계획과 주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세 번째 개발사업은 1979~1983년에 이루어진 ‘제2차 종합개발사업’이다. 이는 한국의 국력 신장을 대내외에 전시하고, 지역 주민의 안보 의식과 정착 의욕을 제고하며, 식량 증산을 도모하기 위한 대성동마을의 마지막 개발사업이었다. 이 사업을 통해 대성동마을만의 독자적인 마을계획이 이루어졌다. 이 개발사업은 향과 경사 지형, 건물의 높이, 축을 활용하여 북한에 효과적으로 보일 수 있는 배치계획이 이루어졌고, 서양의 전원주택을 연상시키는 주택이 건설되었다. 이는 이전 시기의 개발사업들에 비해 대북 선전에 최적화된 마을, 즉 ‘대북 선전 마을의 결정판’이었다고 할 수 있다. 위 내용을 종합해보면, 1950년대~1980년대 한반도 비무장지대 안 대성동마을 개발의 의미와 영향은 다음과 같다. 대성동마을은 대북 선전을 위해 조성된 첫 마을이자 마지막 마을이다. 따라서 한국전쟁 이후 1950년대부터 남북 간의 체제경쟁이 가장 심화한 1970년대, 1980년대까지 대북 선전을 목적으로 한 마을의 시기별 건축적 변화 과정을 모두 살펴볼 수 있는 우리나라의 유일한 마을로서 의미가 있다. 또한 대성동마을은 대북 선전을 위한 마을계획과 주택 건설이 선제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유사한 성격으로 민간인출입통제구역에 형성된 통일촌을 조성하는데 있어 시범마을로서 역할을 하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대성동마을은 1970년대 초 새마을 운동의 시범부락으로 선정되어, 1972년 새마을 운동의 마을계획과 표준형농촌주택설계도가 선제적으로 공급되었다. 이는 새마을 운동 과정에서 국내 일반 농촌의 모범이 되기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양리가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이 논문은 프랑스의 전통공예 분야 무형유산 보호제도인 메트르다르 제도에서 한국의 무형유산 보호·관리원칙인 전형에 대입할 수 있는 공예기술 전승 사례를 연구하였다. 프랑스의 메트르다르 제도는 1994년 도입되어, 공예기술의 혁신과 발전을 적극적으로 추구하고, 현대적 활용이 매우 뛰어난 사례로 알려져 있다. 2015년 한국의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며 도입된 전형이라는 개념은 프랑스 메트르다르 제도를 참고한 것이다. 그러나 국내에서 전형의 개념적 모호성과 관련 세부지침의 부재가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프랑스 공예에 관한 전반적인 지형을 파악하기 위해 프랑스 공예의 용어와 성격, 분류체계, 정책의 주관부서 및 주요 협업기관 등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공예 전승정책으로서 메트르다르 제도의 전반적인 구성과 운영 현황을 살피고 문화재 정책과의 연관성을 살펴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후 메트르다르 제도의 기술, 도구, 전승방법에 대한 혁신을 보여주는 4개 공예기술 전승에 관한 현장사례를 수집·분석함으로써 국내에 참고가 될 수 있는 전형의 용례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전승현황 조사의 연구문제는 메트르다르 제도에서 어떤 부분의 혁신을 추구하는지 밝혀내는 것으로 설정하고, 양적조사와 질적조사를 진행하였다. 프랑스 공예 전승에 관한 직접적 참여자인 메트르다르 장인 및 전수생을 대상으로 장인의 생애사 관점에서 접근한 질문지를 제작하였다. 질문지는 ‘개인 및 보유기술의 현황과 활동’, ‘입문자로서 공예기술의 학습’, ‘교수자로서 공예기술의 전수’, ‘공예 전승에 관한 가치관과 제도에 대한 회고’ 등의 소주제로 유형화한 50여 개의 질문 항목으로 이루어졌다. 이후 심층 인터뷰를 통해 내용을 검증하고 보완하여 구술채록문을 작성하였다. 제도 전반과 전승 사례에 대한 조사·분석 내용을 기반으로 메트르다르 제도의 운영 실태와 시사점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메트르다르 제도는 공예기술에 대한 혁신과 변화를 무형유산의 전승 및 지속가능성의 동력으로 삼고 있다. 둘째, 전승자별 맞춤형 한시적 지원 전략으로 전수생의 미래 진로에 대한 고민을 수용하고 기한내 전수교육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실질적 도움을 주고자 한다. 셋째, 문화적 다양성의 포용력이다. 메트르다르 장인의 공예기술, 생애유형, 유입경로에 대한 다양성이 나타난다. 이로써 정책의 유연성과 포용성 안에서 전승의 역동성을 띠게 한다. 본고에서 제시한 메트르다르 제도의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기적인 전승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동일 공예 복수 지정 지양’의 원칙과 전수생의 처우개선을 검토한다. 둘째, 메트르다르 제도의 공예와 무형유산정책 간 교집합적 특성에 기반한 정책적 연계를 도모하여 전통공예 및 무형유산 보호에 관한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메트르다르 제도의 사례에 기반하여 국내 정책과 무형유산 보호활동에 제언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예를 구분 짓는 관습을 지양하고, 공예창작활동을 통한 기술의 발전을 촉진해야 한다. 둘째, 무형유산 관련 기관의 프로젝트 사업을 통해 한국적 전형의 용례 데이터를 실험·축적한다. 셋째, 전형 개념을 기술, 도구, 교육방법으로 유형화하여 단계적 도입을 추진한다. 메트르다르 제도는 공예기술의 혁신을 통해 무형유산의 진보와 발전을 추구하는 사례로서 의의를 갖는다. 앞으로 우리나라의 전형에 대입될 수 있는 다양한 혁신적 전승 사례를 추가적으로 발굴한다면, 국내 무형유산 정책 운용에 의미 있는 참고사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This paper explores cases of the transmission of traditional crafts centered around the French traditional crafts heritage protection system known as the "Maître d'art” system. Introduced in 1994, the Maître d'art system actively pursues innovation and development in craft technology and is recognized for its highly effective contemporary application. In 2015, the concept of "Jeonhyeong” inspired by the French Maître d'art system, was introduced with the enactment of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nd Promotion Act in South Korea. However, the conceptual ambiguity of “Jeonhyeong” and the absence of detailed guidelines in domestic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nd management principles have been identified as issues. This paper examined the overall structure, operation, and practical cases of craft transmission in the Maître d'art system by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To understand the broader landscape of French crafts, this paper explored terminology,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systems, and collaborating institutions in French crafts. This paper also analyzed the Maître d'art system's characteristics, operational status, and relationship with cultural heritage policies as a craft transmission policy. Specifically, this paper investigated and analyzed four cases representing innovation in technology, tools, and transmission methods within the Maître d'art system. While establishing research questions it was focused on identifying areas of innovation pursued by the Maître d'art system and conduct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Questionnaires for Maître d'art artisans and apprentices were made to address aspects such as the current status and activities of individuals and their skills, learning craft techniques as beginners, teaching craft techniques as instructors, and reflections on values and institutional aspects related to craft transmission.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overall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system and case studies, this paper examined the operational status and implications of the Maître d'art syste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Maître d'art system considers innovation and change in crafts as driving forces for the transmission and sustainability of intangible heritage. Secondly, it has succeeded in preventing the discontinuation of the transmission of traditional crafts through temporary support tailored to individual artisans, promoting policy and economic benefits, and highlighting the excellence of crafts. Thirdly, it embraces cultural diversity, allowing for coexistence and dynamism within the flexibility and inclusiveness of policies. Challenges identified for the Maître d'art system include reviewing its principle of avoiding multiple designations for the same craft for long-term transmission sustainability and considering improving the status of apprentices. Additionally, this paper suggested opinion of promoting policy synergy based on the intersectional nature of the Maître d'art system with craft and intangible heritage policies to achieve synergistic effects in protecting traditional crafts and intangible heritage. Drawing on the case of the Maître d'art system, this paper proposes recommendations for South Korea's intangible heritage policy and protection activities. Firstly, to encourage the intrinsic development of crafts, it is advised to avoid customary genre categorizations and promote internal development through craft creative activities. Secondly, accumulating data on South Korean examples of "Jeonhyeong” from programs such as th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s support for successors is essential. Thirdly, to address confusion among successors caused by the concept of "Jeonhyeong” consider developing a pilot operation of the system, categorizing "Jeonhyeong”into types such as technology, tools, and education, and promoting a phased introduction. Lastly, to expand the domestic group of successors, it is recommended to establish a diverse pool of transferable skills and expertise among successors. The Maître d'art system is a significant example, seeking progress and development of intangible heritage through innovation in craft technology. If additional cases of innovative transmission that can be applied to South Korea's "Jeonhyeong” are identified, they could serve as meaningful reference cases for the operation of domestic intangible heritage policies.
공예문화산업 클러스터 활성화 방안 연구 : 경기 도자 공예문화산업을 중심으로
한민우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국문초록 우리나라의 공예문화산업은 역사적으로 지역 고유의 재료, 문화, 기술적 자산을 바탕으로 성장했다. 이것은 공예 산업체가 한곳에 모이는 집적화를 이끌었는데, 이는 현대의 산업 클러스터와 유사한 형태이다. 현대의 산업 클러스터란 핵심 산업체와 이와 관련된 하부산업체 및 지원기관 등이 한곳에 모여 있는 것으로 간단하게 정의할 수 있으며, 그 목적은 산업을 효율적으로 발전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오래전부터 공예의 미적 가치뿐 아니라 산업적 가치에 주목하며 다양한 정책을 시행했으며, 이는 공예산업발전의 자양분이 되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공예산업은 외생적 근대화와 급격한 산업화, 그리고 이로 인한 도시화 및 대량소비문화가 확산되는 등의 변화에 탄력적으로 적응하지 못하여, 산업체와 판매의 감소 그리고 원활하지 못한 인력 수급 등의 어려움에 처해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공예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하여 정부는 자생적 클러스터를 활성화시키는 한편, 정부주도형 클러스터를 설립했지만, 그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약 30여 개나 되는 두 종류의 즉, 자생적 및 정부 주도형 공예문화산업 클러스터가 있지만, 대부분의 클러스터가 효율적으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공예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이러한 클러스터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일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논문은 공예문화산업 클러스터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한국 클러스터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이의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국내와 해외에서 선택한 세 개의 사례 –한국의 경기도자공예산업, 일본의 사가현 그리고 중국의 경덕진- 을 마이클 포터의 산업 클러스터 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사가현과 경덕진 클러스터는 한국과 오랫동안 도자기술과 재료를 공유했으며, 발전과 쇠퇴 양상 역시 비슷했으나, 최근 우리와 달리 활기를 띠며 각각 일본과 중국의 공예문화산업을 주도하고 있다. 사례연구를 통하여 확인된 문제점과 이의 해결책을 바탕으로 클러스터 활성화 방안을 제시했다. 이것은 경기도자공예산업 클러스터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기는 하지만 같은 문제를 안고 있는 공예문화산업 분야의 다른 클러스터에도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주제어 : 공예문화산업, 산업클러스터이론, 경기 도자공예, 사례연구, 도자 산업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보존과 활용 증대 방안 연구 : 돈암서원 사례를 중심으로
김영숙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2019년 7월 6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한국의 서원」을 세계유산으로 등재를 결정하면서 9개 서원을 포괄하는 통합 보존·관리방안과 함께 통합해설 마련을 권고하였다. 본 논문은 이에 따른 서원의 보존관리체계 현황과 보존·관리 및 활용과 관계된 법령과 정책, 지정 및 관리 체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유네스코 세계유산 돈암서원의 문화재 보존과 활용 증대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논지를 전개하였다. 첫 번째는 서원의 역사적 변천과 경관적 특성 및 기능, 조선시대 향촌사회에서 역할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서원은 단순히 교육기관으로 그치지 않았다. 체계적인 조직운영과 관리 제도를 바탕으로 선현제향과 학맥형성, 향음주례 등을 통해 향촌문화를 주도했음을 정리하였다. 두 번째는 서원의 보존과 활용현황 분석을 위해 관련 법령과 정책현황, 지정현황과 관리체계를 분석하였다. 문화재보호법과 관련지침,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를 통해 「한국의 서원」 통합관리를 위한 한국의 서원 세계유산센터 설립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나 출범이 지연되면서 연속유산인 9개 서원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세 번째는 서원의 보존과 활용실태 분석을 통하여 9개 서원 연속유산에 대한 통합적인 활용프로그램의 부재에 대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대표적인 유학교육시설 활용사업인 향교·서원 활용사업에 있어서 진정성을 고려하지 않는 양적 성장과 향교·서원 활용사업 지원 건수의 불균형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민관산학 뉴거버넌스를 통한 영주 소수서원의 유교콘텐츠와 선비촌의 선비문화를 통합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우수사례로 제시하였다. 네 번째 돈암서원의 통합적 보존과 활용 증대와 관련하여 유·무형문화재의 지속가능한 통합적 보존과 활용, 세계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와 완전성·진정성 보호 방안, 지속가능한 보호관리 체계와 모니터링 평가 방안, 서원 네트워킹과 주민참여를 통한 지속가능한 관광자원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국의 서원」 돈암서원의 차별성 있는 활용프로그램을 위해 제향인물, 학문과 관련한 콘텐츠를 활용한 개별프로그램 제안과 다른 8개 서원 간 연계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을 제안하였다. 돈암서원 활용 증대를 위해 정부·지방자치단체·지역민 간의 뉴거버넌스를 통해 7년째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신축 체험시설인 예학관과 한옥마을 문제를 해결하고 한국의 서원 세계유산센터 유치 등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함을 강조하였다. 이 같은 간접자본 마련 후에는 돈암서원과 사계고택 등 연산-계룡을 잇는 사계 김장생 관광코스 개발로 활성화를 모색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원의 문화유산적 가치인식과 지속가능한 활용 증대를 위한 통합적 보존·관리 및 활용체계 구축의 필요성 강조하였다. 또한 지역민의 지역유산의 모니터링 및 활용프로그램 참여유도,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돈암서원의 활용 증대 방안을 제시하였다. On July 6, 2019, the World Heritage Center, UNESCO decided to inscribe “Korean Seowons Neo-Confucian Academies” as a World Heritage, it recommended to prepare an integrated explanation of nine Korean Seowons along with an integrated pre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covering them.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conserva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Korean Seowons Neo-Confucian Academies, and the analysis of the legislations, policies, and systems of designation and management related to conserva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thereof; this article set out the following thesis to suggest a measure on increasing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the Donamseowon as the UNESCO World Heritage. Firstly, this study considered the historical change of seowon,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the landscape, and the role and meaning in the country community of the Joseon Dynasty. Seowon was not just an educational institution. Based on a systematic organizational operation and management system, it is summarized that the country community culture was led through the formation of veneration, the formation of academia, and the rite of drinking(Hyangeumjurye). Secondly, this study analyzed related legislations, current policies and designations, and management systems along with the current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Seowons. Based on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and its guidelines and also ordinances by local governments, this study raised a need to establish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Korean Seowons Neo-Confucian Academies. As the launch of World Heritage Center for Korean Seowons Neo-Confucian Academies was postponed, there were difficulties with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serial heritage across many different areas. Thirdly, through th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status analysis of the Seowon, this study suggested measures to overcome the problem of the absence of an integrated utilization program for the serial heritage of the nine Korean Seowons Neo-Confucian Academies. Also this study pointed out the problems of quantitative growth without considering authenticity of the Hyanggyo and Seowon utilization projects and the imbalance in the number of support for Hyanggyo and Seowon utilization projects. Besides, this study suggested the best practice of utilizing integrally the culture of Confucian scholars and Confucian content of Yeongju Sosu Seowon and the village of Confucian scholars based on the new-governance between private, government, industry, and/or academy. Finally, this study proposed a couple of plans to promote the integrated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Donamseowon including the integrated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the protection of World Heritage's remarkable universal value, integrity, and authenticity, plans based on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system and monitoring and evaluation plans, and sustainable tourism resources through Seowon networking and resident participation. Individual programs were proposed based on content about enshrined figures and studies to ensure a differentiating utilization program for Donamseowon as a Korean Seowon. Also proposed in this study were programs to connect eight Seowons in planning and management. It is critical to solve the issues of Yehakgwan, which is a new experience facility not in service for seven years, and Hanok Village to promote the utilization of Donamseowon through the new governance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local residents. It was also highlighted to make active efforts such as the attraction of World Heritage Center. Once such indirect capital is funded, it is important to promote the vitalization of Donamseowon and Sagye's old house to develop a tourist course of Sagye Kim Jang-saeng between Yeonsan and Gyeryong. The present study puts an emphasis on an integrated conserva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system to promote Seowons' value as cultural relics and their sustainable utilization. It also proposed plans to promote the utilization of Donamseowon by inducing local residents to participate in monitoring and utilization programs for local heritage and establishing a cooperative system.
이채연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전통 공예는 전통적인 기능으로써 삶에 필요한 생활용품으로 사용하기 위해 자연과 문화, 사회, 역할 속에서 스스로 제작하면서 시작되었다. 공예는 숙달된 기술로 만들어진 기능을 한다는 의미를 지니는데, 특히 전통 공예는 각 지역의 자연의 재료와 지역민인 장인의 기술이 결합하여 생겨난 결과물로 제작방식은 다품종·소량 생산으로 수공예 방식으로 제작한다는 특징이 있다. 변화하는 자연, 문화, 사회 환경 속에서 시대 구성원에 의해 파생된 전통 공예는 발전하는 시대 속에서 정체성을 반영하여 세대의 배경과 흐름을 파악하여 함께 변화하고 성장하는 무형의 문화재이다. 그러나 시대와 사회·문화적인 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하면서 과거의 전통적인 기술과 기법으로 제작한 공예품은 그 역할과 쓰임의 의미를 잃어가게 되면서 관심과 활용의 빈도가 사라지고, 관리 및 보호도 소홀해지며 기술자들에 대한 지원 부족, 전승자 없는 종목이 사라질 현실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전통 공예는 문화 속에서 만들어진 재화이자, 국가와 역사의 정체성의 한 부분으로 지역의 발전과 활성화에 영향을 기여 할 수 있는 충분한 조건을 갖추고 있기에 현재 발생하고 있는 결점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지속적인 전승이 가능하고 활용되기 위해서는 기술의 존재가 중요하기 때문에 전통 공예 기술의 전승이 기초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처음에 만들어진 그대로의 기술을 전승하는 것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이다음 세대가 전승의 필요성을 느끼고 전승을 위한 대상으로 수긍할 수 있는 타당한 근거와 전승의 충분한 의도와 이유 필요하다. 이것이 지속적인 전승의 힘이 강화되는 방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전라북도의 전통 공예 중 소목공예를 대상으로 선정해 이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전라북도는 지역적으로 풍부한 산림과 전통 공예가 성행하던 시대의 문화와 사회적으로 활발했던 지역으로 이는 거주하던 생활 방식에서 사용하는 소목공예품에서도 잘 나타나고 현재까지도 각 지역에서 전승자들이 꾸준히 활동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자는 전라북도의 소목공예를 지정과 전승 활동의 현황을 토대로 분석하여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후에 전라북도에서 활동하고 있는 보유자와 이수자의 의견을 수립하고, 지역의 축제 또는 브랜드화, 단지 활성화, 산업화로써 전통 공예를 활용한 지역의 사례를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서 전라북도 소목공예를 중심으로 전통 공예 전승력을 강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지역의 특수성과 소량 생산 수공예 기법, 자연 재료로 제작하는 전통 공예는 현대의 편리한 교통, 세계화로 인해 확장된 문화, 다양해진 생활 방식 등은 전통 공예의 강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에 한계가 존재한다. 하지만 본 연구는 전통 공예의 본질적인 파악하기 위해 전라북도라는 지역과 지역성을 대표하는 종목인 소목공예로 축소하여 전승 강화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변화하는 현대사회와 문화를 바탕으로 사라지지는 문제점을 고찰하고 전통 공예의 전승력을 강화하여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활동에 보탬이 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