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영숙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본 연구의 목적은 오미자, 구기자, 산수유, 진피, 황기와 같은 약용식물을 이용한 미용음료를 제조하는 것이다. 이에 약용식물의 생리활성(항산화, 효소) 평가를 기반으로 미용음료를 제조하고 품질평가를 실시하였다. 5종 시료 및 5종을 동일한 비율(1:1:1:1:1)로 혼합한 시료의 항산화 활성능 total polyphenol 함량, total flavonoid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과 효소 활성(α-glucosidase 저해 활성인 tyrosinase 저해 활성, elastase 저해 활성 능을 평가한 후 65℃와 90℃에서 우려낸 1:1:1:1:1 혼합시료의 색도와 관능평가를 비교하였다. 항산화 활성의 측정한 결과, total polyphenol 함량은 산수유(91.48±0.38 mg TAE/g)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total flavonoid 함량은 진피(44.77±0.31 mg QE/g)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1:1:1:1:1 mixture (92.49±0.17%)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ABTS radical 소거능은 산수유(99.80±0.02%)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효소 활성을 측정한 결과,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은 산수유(97.83±0.03%)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tyrosinase 저해 활성(67.36±0.08%)과 elastase 저해 활성(54.30±0.15%)은 모두 1:1:1:1:1 혼합시료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65℃에서 우려낸 혼합시료(1:1:1:1:1)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명도는 58.94±0.02, 적색도는 0.04±0.03, 황색도는 0.38±0.05으로 나타났다. 90℃에서 우려낸 혼합시료의 색도를 측정 결과, 명도는 57.08±0.24, 적색도는 -0.01±0.04, 황색도는 1.04±0.06으로 나타났다. 65℃에서 우린 혼합시료의 관능평가를 측정한 결과, 색(color)은 4.33±1.18이고, 향(flavor)은 4.34±1.23, 맛(taste)은 4.60±1.64, 선호도(Overall quality는) 4.73±1.54로 나타났다. 90℃에서 우린 혼합시료의 관능평가를 측정한 결과, 색(color)은 5.80±0.86, 향(flavor)은 580±0.86, 맛(taste)은 5.67±1.04, 선호도(Overall quality)는 5.73±1.10으로 나타났다. 종합해보면, 열수추출을 한 산수유의 시료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오미자, 진피, 혼합물(1:1:1:1:1)의 유의성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생리활성이 우수하였다. 특히, 미용음료로 배합한 차의 경우 65℃에서 우려낸 것 시료보다 90℃에 우려낸 시료가 미용음료의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되며, 약용식물(오미자, 구기자, 산수유, 진피 및 황기)를 활용한 기능성 제품 및 음료 개발의 기초자료를 활용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nufacture beauty beverages using medicinal plants such as Schisandra chinensis, Lycium chinense., Cornus officinalis, Citri Unshius Pericarpium, Astragalus membranaceus. Therefore, beauty drinks were manufactured and quality evaluation was conducted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physiological activity (antioxidant, enzyme) of medicinal plants. The manufactured of this study is to process beauty beverage using Schisandra chinensis, Lycium chinense, Cornus officinalis, Citri Unshius Pericarpium, and Astragalus membranaceus. After evaluating antioxidant activity, total polyphenol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BTS radical scavenging, and enzyme activities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elast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five samples and a mixture of each five types in the same ratio (1:1:1:1:1), this study compared the color and sensory evaluation of the mixture (1:1:1:1:1) brewed at 65℃ and 90℃. The result of measuring antioxidant activity showed that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highest in Cornus officinalis (91.48±0.38 mg TAE/g), while the total flavonoid content was highest in Citri Unshius Pericarpium (44.77±0.31 mg QE/g). DPPH radical scavenging was highest in the mixture (1:1:1:1:1) (92.49±0.17%), while ABTS radical scavenging was highest in Cornus officinalis (99.80±0.02%). The result of measuring enzyme activity showed that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was highest in Cornus officinalis (97.83±0.03%), and both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67.36±0.08%) and elastase inhibitory activity (54.30±0.15%) were highest in the mixture (1:1:1:1:1) sample. The result of measuring the colors of the mixture (1:1:1:1:1) sample brewed at 65℃ showed a lightness of 58.94±0.02, redness of 0.04±0.03, and yellowness of 0.38±0.05. The result of measuring the colors of the mixture (1:1:1:1:1) sample brewed at 90℃, showed a lightness of 57.08±0.24, redness of -0.01±0.04, and yellowness of 1.04±0.06. The sensory evaluation result of the mixture (1:1:1:1:1) sample brewed at 65℃ showed that color was 4.33±1.18, flavor 4.34±1.23, taste 4.60±1.64, and overall quality 4.73±1.54. The sensory evaluation result of the mixture (1:1:1:1:1) sample brewed at 90℃ showed that color was 5.80±0.86, flavor 580±0.86, taste 5.67±1.04, and overall quality 5.73±1.10. In summary, Cornus officinalis showed the highest level in all aspects through hot water extraction, and Schisandra chinensis, Citri Unshius Pericarpium, and mixture (1:1:1:1:1) showed superior antioxidant and enzyme inhibitory activities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eauty drinks, it is expected that the mixture (1:1:1:1:1) sample brewed at 90℃ will be more valuable as beauty drinks than the mixture brewed at 65℃. In conclusion,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valuable as basic data when developing functional products and drinks using Schisandra chinensis, Lycium chinense, Cornus officinalis, Citri Unshius Pericarpium, and Astragalus membranaceus.
初期佛敎의 修行對象에 대한 考察 : 四阿含經과 五Nikaya를 中心으로
This study addresses the objects of practice in the early Buddhism. This study looks into the above subject in each chapter as follows: Chapter Ⅰ introduces the objectives and methods for this study, Chapter Ⅱ refers to the practice in the early Buddhism. It is explained about the concept and the aim of the practice(bha ̄vana ̄), the art and the development of the method of the practice. Chapter Ⅲ introduces the virtue of the early Buddhism. In this chapter I am try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practice and the threefold set of study(sikkha ̄ 學), i.e. (higher) maorality(si ̄la 戒), contemplation(citta 定), wisdom(pan~n~a ̄ 慧). In this chapter I expained also the division of the contents, namely, the division according to the trainee and mental, material element, time and space. Chapter Ⅳ addre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bjects and method of the practice. I investigate on the objects of the vipassana ̄(觀), the four intent contemplation(satipat.t.ha ̄nas 四念處), referring to the body, the sensations, the mind, and phenomena respectively. in addition to the object of the meditation, the four divine state of mind(brahmaviha ̄ra 無量心), the instruments of meditation(kammat.t.ha ̄na 業處), thirty seven qualities constituting to enlightenment(Bodhi)(助道品). Chapter Ⅴ attempt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bjects and the aim of practice. The objects of the practice should be considerable to according to the state of trainees, the subject of the meditation and the method of practice. Finally, in Chapter Ⅴ, In general, my assertions about the objects of the practice can be summarized. This study tries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various objects in practice in the early Buddhism. Summing up, the study can be concluded as follows: The highest aim of every practice enters into Nibba ̄na(涅槃) state, having removed from pains and attained enlightenment. First, we should understand the present state of things and cirumstances, and then in order to practice the subject of the practice should be at first selected according to various circumstances of the trainee. The second thing to be considered is to choose the objects of practice which are related into the threefold study(tisikkha ̄ 三學) Thirdly, it is estimated that the objects and the method of practice and the abilility of the trainee are an inseparable relation, therefore that in the practice the subjects, objects and methods, order of practice are emphasized in the early Buddhism, is certainly correct. As a result, I think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teacher of practice to instruct to a disciple in order to enter into the right way of the practice.
Wonhyo's (617-686 in Sinla Dynasty) thought is base on his hyetong, a harmonization axiom to solve and unify conflicting ideas. "The Sutra is the great sea of Buddha's teaching" said he in his commentary of Nirva ̄na Su ̄tra, "and the secret treasury of pround wisdom, synthesizing various parts of all the su ̄tras to the one taste of all the sects, and solve and unify all the conflicting ideas giving an expossion of Buddha's utmost mind and aim of teaching". Nirva ̄na is the ultimate reality and aim of Buddha's teaching, and it is the object of Buddhist discipline. Wonhyo solved and unified all the commentators' different ideas of nirva ̄na in his commentary of Nirva ̄na Su ̄tra. To understand Wonhyo's hyetong logic, it is the best way, to study his commentary. Wonhyo exposited the concepts of nirva ̄na in accordence. not only of the teaching of Nirva ̄na Su ̄tras but also of all the other teachings of su ̄tras. On the name and meaning of nirva ̄na, he solved and unified the two names, nirva ̄na and maha ̄nirva ̄na, and the two meaning, getting rid of affliction and no-rising of affliction by the rule of mutually no-rising of the particular and the general; Nirva ̄na and getting rid of affliction is particular name and meaning maha ̄Nirva ̄na and no- rising of affliction is general. On the substance and quality of nirva ̄na, immateriality and materiality are the both sides of the one. This is the rule of Tatha ̄gata ̄s purpose of the treasury of the profound wisdom(如來秘藏義). On the Hinaya ̄na and Maha ̄ya ̄na, incomplete Nirva ̄na and complete Nirva ̄na, and on the three forms of nirva ̄na, dharmaka ̄ya, prajn~a and vimukti, Wonhyo unified these ideas by the rule of no-opposing of the particular and the general. On a ̄tman and ana ̄tma, and nirva ̄na and its four virtues of eternity, joy, personalty and purity, these ideas are unified by Tatha ̄gata's purpose of the treasury of the profound wisdom. The other various kind of Buddhist Concepts of Nirva ̄na are unified by the mean of between two extremes. On the meaning and aim of the nature of Buddha, Buddhata ̄, the attachment of one meaning makes an error. This is the rule of neither identity nor differnce. On the cause and effect of the nature of Buddha, they are unified by the rule of neither cause nor effect of the nature of Buddha. On the degrees of enlightenment, different letters and concepts of scriptures are solved and unified by the rule of homonyms(同音異義) and synonyms(異音同義), and by the rule of potentiality and teaching. On the existing and non-existing of the nature of Buddha, the characteristics are unified by the rule of the mean between two extremes. On the eternity and mortality of the nature of Buddha, the two concepts are unified by the unity of the absolute body, dharmaka ̄ya, and the body of bliss sambhogaka ̄ya. Various letters and sentences of the scriptures and commentries are unified by the aim and meaning of Buddha's teaching. On the various sects and doctrines of Hi ̄naya ̄na and Mana ̄ya ̄na, for example, the doctrine of Five Periods and Four Sects in Tien-tai sect, they are unified by the rule of potentiality of listeners and teaching. Wonhyo solved and unified all the Buddha's teachings and all the commentators' different ideas by the following rules of solving and unifying, especial all the different ideas of nirva ̄na. The mean between two extremes; The expidient method of teaching; None-attachment; Neither one nor two; Neither identity nor difference; The beyondness of the aime and meaning of Tatha ̄gata's letters words and teaching; The oneness of cause and effect of the nature of Buddha; The oneness of categories of reality and ordinary categories ; The oneness of inside and outside, mind and body; The unity of three bodies of Buddha, dharmaka ̄ya, sambhogaka ̄ya and nirma ̄naka ̄ya; The unity of substence, form and characteristics; The oneness of aim, leters, words and meanings; The oneness of aim of su ̄tras, potentiality of listener and teaching; The unity of the particular and the genal; The oneness of the revelation of the whole meaning and the partial meaning; The oneness of one and many. In a word, Wonhyo's logical axiom to solve and unify confliting ideas is only Tatha ̄ga's words, Buddha S´abda.
김영숙 전북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ecently, attacks in the cyber environment are getting to be intelligent more and more; network is sometimes stoped with a huge amount of intentional traffics, PC and/or server are not worked by malicious codes as virus. These attacks are now considered as a very serious issue in the daily life and even the national security. In this thesis, various attack types are analysed in order to propose an effective their protection methods. Firstly, we examine some attack examples which is collected from a common working environment to classify attack types. Then, attack technologies are categorized along with analyzing their threats and weakness. Eventually, we suggest some protection methodologies in corresponding to the attack types. Additionally, the protection methodologies are specified in detail, in the policy, technology and security point of view. The proposed method requires some degree of extension and refinement in order to put together their benefits into the future cyber environment.
원예치료가 신체장애인의 신체적·심리적 스트레스와 우울, 상태불안에 미치는 영향
원예치료가 신체장애인의 신체적·심리적 스트레스와 우울, 상태불안에 미치는 영향 김영숙 강원대학교 대학원 원예학과 신체장애인이란 외부신체기능의 장애와 내부기관의 장애를 모두 칭하는데 이에는 지체장애, 뇌병변장애, 시·청각장애, 언어장애와 신장 장애 등으로 오랜 기간에 걸쳐 일상생활 또는 사회생활에 제약을 많이 받는 사람을 말한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신체적심리적 스트레스가 많으며 여러 가지 심리·정서적인 문제들에 노출되어 있어 여러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신체장애인들의 신체적심리적 스트레스와 우울, 상태불안에 초점을 맞추어 두었고, 뇌병변장애인 2인과 지체장애인 1인을 대상으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진행한 후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2021년 4월부터 9월까지 (사)신체장애인복지회 강원지부 프로그램 실에서 매주 화요일마다 한 시간씩 진행하여 총 21회기 원예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대상은 (사)장애인복지회 강원지부 회원 5인으로 시작하였으나, 코로나 상황과 취업으로 인해 최종 3인만 전체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본 연구도 3인의 연구 결과로 최종연구가 마쳐졌다. 코로나 19가 심각해진 상황에서 소수 인원으로 모집이 되어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원예치료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의 평가 방법으로는 신체적심리적 스트레스 척도, 우울척도(CES-D), 상태 불안 척도지를 원예치료프로그램 실시 전 후 설문으로 조사하였다. 평가척도지는 SPSS statistics program(version 26, IBM, USA)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이며 이는 다음과 같다. 신체적·심리적 스트레스 척도에서 신체적 스트레스는 프로그램 전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심리적 스트레스와 우울, 상태불안은 프로그램 전과 후를 비교해보았을 때 유의한 수준까지 향상되었다.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매회기마다 원예 활동 평가표를 개인별로 작성하여 질적 평가도 병행하였는데, 이는 총 9가지 평가 항목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중에서 참여성과 관심 및 조력성은 프로그램 초반부터 상승하였으며, 언어 소통 능력, 대인관계 능력과 인지 및 문제해결 능력은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꾸준히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록 코로나 상황으로 치료 대상의 숫자가 많지 않고,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일반적이라고 할 수는 없겠지만, 신체장애인들의 장애는 건강에 밀접한 관련성이 있으며, 신체적 통증들이 계속 더해지는 상황이라 신체적 스트레스에서는 유의미한 결과를 내지는 못했다. 반면에 심리적 스트레스는 원예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스트레스가 경감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우울, 상태불안적인 요소도 마찬가지로 다양한 원예치료 활동을 통해 완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Effects of Horticulture Therapy on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ress, Depression, and Condition Anxiety in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s kim young suk Department of Horticultural Sciences Graduate school,Kangwon Nationsal University Abstract Physically disabled refers to both external bodily function disorders and internal organ disorders. These include physical disabilities, brain lesion disorders, visual/hearing disorders, speech disorders and kidney disorders, etc. someone who gets a lot Basically, they have a lot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ress, and they are exposed to variou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blems, so they are complaining of various difficultie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ress, depression, and state anxiety of the physically disabled, and tri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 horticultural treatment program for two people with brain lesions and one person with a physical disability. . From April to September 2021, a total of 21 horticultural treatment programs were conducted for one hour every Tuesday in the program room of the Gangwon Branch of the Welfare Society for the Disabled. The subject was started with 5 members of the Gangwon branch of the Welfare Society for the Disabled, but due to the Corona situation and employment, only 3 people participated in the entire program, so this study was also completed with the research results of 3 people. This is because the recruitment was conducted with a small number of people in a situation where the Corona 19 became serious. As an evaluation metho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horticultural treatment program,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ress scale, the depression scale (CES-D), and the state anxiety scale were surveyed by questionnaires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horticultural treatment program. The evaluation scale is the result of analysis using the SPSS statistics program (version 26, IBM, USA), and it is as follows. In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ress sca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hysical stres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psychological stress, depression, and state anxiety improved to a significant level when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During the horticultural treatment program, each individual completed a horticultural activity evaluation table for each session, and a qualitative evaluation was also performed, which consists of a total of 9 evaluation items. Among them, participation, interest, and support increased from the beginning of the program, and it was confirmed that language communication skills, interpersonal skills, and cognitive and problem-solving skills improved steadily during the program. Although the number of treatment targets is not large due to the corona situation, and it cannot be said that it is general because it is for a specific area, the disability of the physically disabled is closely related to their health, and the physical pain is continuously increasing, so there is a meaningful result in physical stress. couldn't pay On the other hand, psychological stress was found to be relieved by participating in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It was found that the elements of depression and state anxiety were also alleviated through various horticultural treatment activities.
본고는 明淸交替期 三使의 신분으로 북경에 출사한 조선 문인들이 남긴 일기체 조천록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대체로 15-20년을 간격으로 역동하는 요동정세를 살펴보고, 朝明兩益論의 입장에서 조명관계의 실상과 추이를 살펴보았다. 본고의 성과는 크게 두 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최초로 朝明兩益論의 입장에서 조명의 조공책봉관계를 이해하였다. 朝明兩益論은 명에 실익이 되는 전제하에서 조선의 실익을 추구하는 논리이며, 壬辰倭亂을 계기로 발생하였다. 요동정세가 위급할수록, 조선의 전략적 중요성이 부각될수록 더욱 빈번하게 나타나고 그 효과도 좋았다. 인조책봉을 주청하고, 조선과 후금의 형제의 동맹을 변호하는데 중대한 역할을 하였으나 병자호란 이후에는 아무리 이 논리에 입각하여도 조선의 현안을 해결할 수 없었다. 그것은 명의 힘이 더는 조선에 미치기 힘들게 되었고, 조선에 대한 도움이 오히려 후금을 도우는 꼴이 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둘째, 명의 요동방어를 명을 중심으로 하는 몇 개의 삼각구도로 이해하였다. 요동은 九邊之首로써 그 전략적 위치는 극히 중요하다. 건국 초기부터 요동도사를 설립하고 수많은 衛所와 驛站, 그리고 遼東邊墻을 수축하여 요동방어를 강화하였다. 또 ‘朝貢冊封’, ‘逆革順賞’, ‘以夷制夷’의 원칙에 따라 이들의 상호 견제를 강화시키고, 반역하는 세력은 수시로 무력 평정하였다. 임진왜란 전, 요동에는 3개의 삼각구도-명ㆍ조선ㆍ후금(청), 명ㆍ후금(청)ㆍ몽고좌익, 명ㆍ몽고좌익ㆍ몽고우익-가 형성되어 있었고, 임진왜란으로 또 하나-명ㆍ조선ㆍ일본-가 추가되었다. 이후 누르하치는 滿蒙連姻을 국책으로 제정하고 蒙古 王公에 대한 禮遇와 厚賞으로 혈연적 연맹을 강화하고, 명의 피압박 민족이라는 연대감을 조성함으로써 견고한 滿蒙同盟을 맺었다. 또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으로 조선을 평정함으로서 관외의 모든 세력을 통일하였다. 따라서 모든 삼각구도는 소실되고 명과 후금(청) 양자 대립구도로 전변되었다.
월리엄 워즈워스 시의 생태학적 해석 : 「나는 구름처럼 홀로 헤맸네」와「틴턴 사원」을 중심으로
생태학적 위기가 큰 관심사로 떠오른 현대를 사는 우리 인간에게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운 관계와 상호의존성을 강조하는 영국의 낭만주의 시인 월리엄 워즈워스(William Wordsworth)의 작품은 큰 의미를 지닌다. 그의 시는 생태학적 재앙의 근본인 인간중심주의로부터 인간을 벗어나게 할 수 있는 길을 알려줄 수 있기 때문이다. 워즈워스 시가 지닌 생태학적 이상에 대한 관심은 이미 19세기부터 시작되었다. 예를 들어 이 시대의 대표적인 시인이며 비평가인 매튜 아놀드(Mattew Arnold)는 워즈워스를 자연의 아름다움을 있는 그대로 표현한 시인이라고 했다. 그는 “자연이 그의 손에서 펜을 빼앗아 완벽하고 꾸밈없이 사물을 파고드는 힘을 발휘하여 그를 대신해서 글을 써준 것 같다”(이예성 270 재인용)고 말한다. 아놀드는 워즈워스대신에 자연이 시를 지었으므로 그의 시 내용은 자연을 그대로 담고 있다고 주장한다. 워즈워스는 자연의 모습을 실제로 바라보는 것처럼 자연을 정확하게 표현하고 있다. 그는 워즈워스의 자연시를 칭송하며 그에게 있어 자연은 인간 삶의 가장 평범한 얼굴위에 숭고함을 불어 넣는 힘을 결여한 적이 없다고 설명한다. 아놀드에게 그의 시는 “마치 우리가 태어날 때 대지의 신선한 꽃 무릎위에 누워 있었듯이 우리를 편안히 뉘어 놓은 것”(이예성 270 재인용)이다. 20세기 들어 워즈워스에 대한 비평가들의 평가는 다양한 각도에서 시도되었다. 일부 비평가는 워즈워스의 시를 인간 중심적 관점에서 해석한다. M. H. 에이브럼스(M. H. Abrams)를 비롯한 일단의 비평가들에게 워즈워스의 작품 속에 묘사된 인간은 신의 은총을 가장 많이 받은 존재이며 나머지 창조물들을 보호하는 책임을 맡은 청지기와 같은 역할을 하는 존재이다. 이러한 비평은 자연세계를 보호하는 우월적 인간의 모습을 상정함으로써 ‘신-인간-자연’이라는 계층적 구조를 강조한 것으로써 인간이 자연보다 우위에 있다는 인간중심적 견해에 근거한다. 워즈워스의 자연관에 대하여 반인본주의적 해체주의의 입장을 취하고 있는 제프리 하트만(Geoffrey Hartman)은 워즈워스에게 있어 “상상력은 자연을 위해 부름을 받거나 계발된 이미지와는 본질적으로 반대될지도 모른다” (598)고 주장하면서, 시인에게 있어 자연은 그 자체로서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고 자연 저 너머에 있는 초월의 세계로 그를 이끌어 가는 역할을 한다는 데 중요성이 있다고 보았다. 하트만은 워즈워스의 상상력이 자연과 유리된 것으로 보았으며 워즈워스를 인간과 자연으로부터 소외되고 고립된 것으로 보았다. 1980년대에 들어와 소위 신역사주의자 혹은 광의의 마르크스주의 비평가라 불리는 제롬 J. 맥건(Jerome J. McGann)과 마조리 레빈슨(Majorie Levinson)등은 텍스트의 역사성을 강조하면서 하트만 등이 추구한 초월적 상상력이 낭만적 이데올로기를 형성하여 역사를 희생시키고 사회적 상황을 은폐시켰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워즈워스의 「불멸송」(“Ode: Intimations of Immortality”)에서 객관적 역사는 사라지고 없으며, 역사적 사실을 순수한 의식의 기록으로 치환시켜 놓았다고 비판했다. 맥건을 위시한 신역사주의 비평가들의 관점에서 보면, 워즈워스의 상상력은 역사적 사실을 왜곡, 은폐, 삭제 또는 치환시키는 일종의 ‘허위의식’에 지나지 않는다.(박병희 48) 그들은 워즈워스에게 있어 상상력은 그가 초기에 프랑스혁명에 대해 가지고 있던 열정을 포기함으로써 얻은 것으로 그 가치가 대단히 의심스러운 것이며, 이들에게 워즈워스가 내세우는 상상력은 공동체 의식이 결여됐다는 측면에서 부르주아적 물신(bourgeois fetish)으로 전락한 것에 불과하다. 1990년대 들어와 조너던 베이트(Jonathan Bate)같은 비평가는 워즈워스시의 해석에 생태학적 관점을 적용할 것을 주장한다. 그들은 워즈워스 시를 초월주의적 관점에서만 바라보거나 신역사주의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등의 극단적인 시각을 비판한 것이다. 특히 신역사주의 비평이 워즈워스의 작품을 물질적이고 이데올로기적으로 해석하는 데 반발하면서 워즈워스 시를 다시 자연의 관점에서 볼 것을 주장한다. 그에 의하면 워즈워스 시의 녹색 읽기는 현재 우리가 겪고 있으며 앞으로 더욱 중요하게 부각될 “가장 긴급한 정치적 현안, 즉 온실효과, 오존층과 열대우림의 파괴, 산성비, 바다오염의 문제에 낭만주의를 접목”(Bate 9)시키는 것으로서 낭만주의 전통의 연속선상에 위치한다. 워즈워스 시에 대한 생태주의적 접근은 그동안 우리가 자연에 대해 가졌던 인간 우월주의적 인식을 폐기하고 자연 중심적인 자연관으로 전환할 것을 요구한다. 워즈워스는 그의 시에서 자연 속에서 숨 쉬는 영혼이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우리로 하여금 자연에 대한 경외심을 갖게 함과 동시에 자연이 적어도 인간과 동등하거나 많은 경우 인간보다 우위에 있음을 시사한다. 그에게 자연은 인간중심적 세계의 변방에 위치한 주변부적 존재가 아니라 인간과 더불어 창조주의 영을 나누어 가진 한 가족인 동시에 인간 존재의 뿌리인 것이다. 생태학자 도널드 워스터(Donald Worster)는 인간중심주의로부터의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