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박경수 CMPMedica Korea 2005 Diabetes Research Digest Vol.2 No.2
정상 혈중 포도당 농도를 유지하는 것은 골격근과 간의 인슐린 반응성과 췌장 베타세포의 포도당 유발성 인슐린분비 사이의 복합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 된다.
윤덕미 CMPMedica Korea 2004 PARTNERS AGAINST PAIN Vol.4 No.2
암 환자의 통증 관리에서 아편양제제의 전신 투여로 제동 불충분한 경우 통증에 대한 대책으로 아편양 제제의 교대, 진통보조제의 적극적인 사용, 경막외진 통법, 신경블록 및 신경자극 등의 방법 등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35. 제1형 당뇨병 환자에서 Insulin Detemir의 효과는 NPH Insulin 또는 Insulin Glargine과 비교하여 환자 간의 차이가 적다
우정택 CMPMedica Korea 2004 Diabetes Research Digest Vol.1 No.3
본 결과는 insulin detemir가 HPH insulin 또는 insulin glargine보다 혈당 강하 효과를 더 예측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17. LFA-1과 CD154 또는 CD45RB의 작용을 동시조절함으로써 신생 돼지 췌도 이식절편의 생존율을 무한정 증가시킨다.
박정규 CMPMedica Korea 2005 Diabetes Research Digest Vol.2 No.2
종합해 볼 때, 이 결과들은 T세포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서로 다른 경로를 동시에 표적하는 면역조절법은 이종 이식 절편의 생존을 장기간 연장시키고 숙주의반응성 저하 상태를 연장시키는데 큰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논평 본 논문은 이종 췌도이식(돼지-생쥐)후 T림프구 활성화에 관계하는 분자들을 조절함으로써 이식된 췌도의 생존을 영구히 연장할 수 있다는 내용을 보고하고 있다. 실험에 사용한 항체들은 T림프구가 활성화될 때 초기의 시냅스를 형성하는데 관여하는 LFA-1에 대한 항체(LFA-1은 항원제공세포의 ICAM-1과 결합하여 항원제공세포가 T 세포에 효과적으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잇는 시냅스를 형성한다). T림프구의 보조자극 인자로 중요하게 작용하는 CD40-CD40L의 결합을 방해하는 antiCD154Ab, 아직 정확한 기전은 밝혀져 있지 않지만 T림프구의 CTLA4표현을 증가시켜 억제 기능을 항진시킬수 있는 anti CD45RB Ab로 작용 기전이 서로 다르고 작용하는 시기도 또한 다르다. 동종췌도 이식에서 좋은 성적을 보인 각 항체의 병행 요법을 이종췌도 이식에 적용하여 마찬가지의 좋은 성적을 보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계통발생학적으로 볼 때 돼지 췌도를 생쥐에 이식하는 것은 discordant 모델이라 할 수 있지만 돼지 장기를 사람에게 이식할때 발생되는 초급성 거부반응의 측면에서 볼 때 concordant 모델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이와같은 병행요법이 영장류 및 사람에서도 같은 효과를 나타낼 지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24. 건강, 노화 및 체성분 코호트 연구에서 관찰된 건강한 노인인구에서의 대사증후군, 혈중 산화 LDL 및 심근경색 위험성
차봉수 CMPMedica Korea 2004 Diabetes Research Digest Vol.1 No.3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인자인 대사 증후군은 관상동맥의 죽상혈전의 고위험과 관련된 더 높은 농도의 혈중 산화 LDL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36. 자발적으로 회복되는 실험적 당뇨병성 신경병증 : 회복불능의 손상이 있는가? Is there irreparable damage?
박태선 CMPMedica Korea 2005 Diabetes Research Digest Vol.2 No.2
이상의 결과에서, 사람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뚜렷한 모델을 확인하였으며 목표장기의 보조적인 신경재분포에도 불구하고, 뚜렷하고 회복할 수 없는 감각신경의 소실을 보였다. 따라서 췌도세포 재구성 요법에도 불구하고 감각신경보존을 위해 특별한 보호전략이 필요하다.
27. 심혈관질환 위험인자가 제2형 당뇨병의 발생을 예견한다 : 인슐린저항성 죽상동맥경화증 연구 The Insulin resistance Atherosclerosis Study
차봉수 CMPMedica Korea 2004 Diabetes Research Digest Vol.1 No.4
여러 개의 추가적인 심혈관 위험인자들을 갖는 사람들은 제2형 당뇨병의 발생 위험이 증가된다. 이러한 결과는 위험인자 평가를 통하여 당뇨병 발생에 대한 고위험군의 환자를 확인하는 것이 유용함을 보여주고 있다.
16. T 세포의 항상성 증식에 의한 자가면역에 대한 새로운 이론체계
박정규 CMPMedica Korea 2005 Diabetes Research Digest Vol.2 No.2
이런경우 IL-7, IL-15같은 T 세포 생존을 촉진하는 싸이토카인을 투여하거나 IL-21 같이 T 세포 증식을 촉진하는 사이토카인을 차단하는 것이 림프구 감소에 따른 자가 면역 질환의 발생을 억제할 것이다. 또한 반복되는 항상성 증식의 잠재적인 부작용에도 불구하고, T 세포의 급성 항상성 증식을 의도적으로 유도하고 종양-항원 백신을 같이 투여함으로써 종양에 대한 면역관용 현상을 차단하고 효과적인 항종양 자가면역 반응을 시작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