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원불교 마음공부에 기반을 둔 통합예술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삶의 질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방순자,이혜진 한국임상치유예술학회 2015 임상예술치료연구 Vol.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원불교 마음공부에 기반을 둔 통합예술치료가 만성 조현병 환자의 삶의 질과 대인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정신과 전문의에 의해 DSM-IV의 진단에 의거 조현병으로 진단 받고, 0시 정신요양센터에 등록된 220명의 조현병 환자에서 본 연구 선정기준에 맞는 환자 110명 중 무작위 20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씩 무선 할당하였다. 실험집단은 주 2회 90분씩 총 18회 동안 원불교 마음공부에 기반을 둔 통합예술치료를 시행하였다. 통합예술치료를 알아보기 위한 평가 척도로는 삶의 질 척도, 대인관계 척도를 사용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차이를 보기 위하여 2x2 반복측정설계로 혼합변량분석을 하여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원불교 마음공부에 기반을 둔 통합예술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사이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원불교 마음공부에 기반을 둔 통합예술치료는 실험집단에서 통제집단 비하여 질병 특이적 삶의 질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셋째, 원불교 마음공부에 기반을 둔 통합예술치료는 실험집단에서 통제집단에 비하여 전반적 삶의 질 척도에서 활력과 정서적 역할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셋째, 원불교 마음공부에 기반을 둔 통합예술치료는 실험집단에서 통제집단에 비하여 대인관계를 유의하게 변화시켰다. 넷째, 원불교 마음공부에 기반을 둔 통합예술치료는 실험집단에서 통제집단에 비하여 대인관계변화에서 만족감, 의사소통 및 개방성에서 유의하게 호전되었다. 이러한 결과 원불교 마음공부에 기반을 둔 통합예술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대인관계 및 삶의 질의 재활 치료 프로그램으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고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integrative arts threapy based on Won Buddihism Maeum Gongbu on the quality of lif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chronic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mong inpatients of chronic schizophrenia in 00 psychiatric hospital, 20 patients were allocated to either an integrative arts therapy based on Won Buddhism based on Maeum Gongbutherapy(IAT) group, which included 18 sessions of IAT and psychopharmacological treatment over 9 weeks( twice per week), or a control group, which included just psychopharmacological treatment. All participants were assessed at baseline and 8 weeks. Quality of life(QoL) were assessed by Happy-QoL in terms of disease specific QoL and Short form 36 Health Survey-Korean(SF-36-K) in terms of general quality of life. Interpersonal relationship were assessed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 Rating Scale for objective measuring and Interpersonal Change Rating Scale for subjective measuring. The results of baseline and 8 weeks were compared between group, between time and interaction group and time. 1)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2) The score of Happy-QoL of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16 sessions of IA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3) The scores of vitality and role of emotion of SF-36-K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18 sessions of IA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4) The scor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Rating Scal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18 sessions of IA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5) The scores of satisfaction, communication and openness of Interpersonal Change Rating Scal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18 sessions of IA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se finding demonstrate that integrative arts therapy based on Won Buddhism Maeum Gongbu has benefit on the inccreasing quality of life and improv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inpatei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Integrative arts therapy based on Won Buddhism Maeum Gonbu could be considered as a treatment program for in inpatients with schizophrenia.

      • 뚜렛장애아동의 불안감소 및 또래관계 향상을 위한 예술치료 사례

        오승주 한국임상치유예술학회 2013 임상예술치료연구 Vol.2 No.-

        ▸주문제(예술치료를 위해서 방문하게 된 주된 이유) *내담자 제보 : 자신은 모른다고 엄마에게 물어보라고 하였다. *보호자 제보 : 스트레스를 받을 때 뚜렛증상이 더 심해지며, 최근 더 심해진 증상으로 인하여 학교에서 친구들과 싸우는 일이 많고, 특히 친구와 싸웠을 때도 화를 못 참고 충동적으로 행동하는 등 대처능력이 부족하다. 좌절감내력이 부족하고 인내심이 부족하며 불안수준이 높은 편으로 고집스런 성향을 보인다고 하였다. 또한 속마음을 잘 표현하지 않고 숨기려고 하는 등 자신의 감정 및 자기표현을 거의 하지 않는다는 말을 하였다. 예술치료를 통하여 강박불안 및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더불어 자아존중감을 상승시켜 학교에서 또래관계 향상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하였다.

      • 미술치료가 위축성향을 보이는 유아의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미경 한국임상치유예술학회 2015 임상예술치료연구 Vol.4 No.1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 therapy program on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of withdrawn infants. The study subjects are infants under 5 years old going to P kindergarten located at S, who are faced with difficulties in the kindergarten life due to withdrawn disposition, a lack of self-expression and low self-esteem. This researcher had person-to-person interviews with the infants, and selected a homogeneous group of 12 infants for pre-test, and then divided them into two groups-an experimental group of six infants and a control group of six infants. The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total of 20 sessions excluding pre- and post-test, twice a week with 50 minutes each session. Regarding study tools, the self-expression scale and the pictorial self-esteem scale for infants was us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For quality analysis, changes in the study subjects' behaviors and attitudes related to self-expression were observed and recorded, and then analyzed step by step. In addition, the contextual and formal changes appearing in Burns (1998)'s Kinetic House-Tree-Persons Drawings Burns (K-HTP)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supplement statistical resul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 12.0 program. For the test of homogene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efore the performance of art therapy program, Mann-Whitney U test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before the program,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self-expression, but that, after the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s self-expression was significantly improved. Therefore,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oin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Secondly, the analysis result indicated that, before the program,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self-esteem, and that, after the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s self-esteem was significantly improved, and that, regarding a subcategory of the self-esteem,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hysical competence, ye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gnitive competence, peer acceptance, mother acceptance, and self-acceptance. Given the results, the art therapy program positively affected the improvement in withdrawn infants'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art therapy program is useful for the preventive psychological treatment of withdrawn infants and the counseling, education and treatment program for healthy self-development. 본 연구는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위축성향을 보이는 유아의 자기표현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S시에 소재한 P유치원 만 5세반 유아들로 위축성향을 보이며 자기표현의 부족이나 낮은 자존감으로 인해 유치원 생활에 어려움을 나타내는 유아들이다. 본 연구자는 사전면담을 통해 동질집단 12명을 선정하여 사전 검사 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6명씩 배정하였고 S시 P유치원 미술실에서 주 2회 매회 50분씩 사전 · 사후 검사를 제외한 총 20회기에 걸쳐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측정도구는 자기표현력 척도와 유아용 그림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전 · 사후에 실시하였고 자기표현력과 관련된 행동 및 태도변화를 관찰 기록하여 단계별로 비교분석하고 동적 집-나무-사람(K-HTP) 그림 검사에서 나타난 변화를 비교분석하여 통계 결과를 보안하였다 수집된 자료처리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맨-휘트니 U 검증(Mann-Whitney U 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에는 각 집단의 자기표현력이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사후 실험집단의 자기표현력이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되었고 사전 · 사후검사 점수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사전에는 각 집단의 자아존중감이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사후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이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되었고 자아존중감의 하위영역인 신체적 능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인지적 능력, 동료 수용, 어머니 수용, 자기 수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위축성향을 보이는 유아의 자기표현력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도움을 주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위축성향을 보이는 유아의 심리치료와 건강한 자아성장을 위한 상담 및 교육, 치료 프로그램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적응행동에 문제를 보이는 경도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인지적 미술치료사례 -사례발표

        이숙민 한국임상치유예술학회 2012 임상예술치료연구 Vol.1 No.-

        본 연구사례에서는 적응행동에 문제를 보이는 내담자에게 2012년 3월 2일부터 주 1회 50분씩 16회 동안 인지적 치료의 이론을 바탕으로 주제제시 미술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적 미술치료가 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치료가 진행되면서 내담자의 감정과 불안이 표현되었으며, 그로인하여 치료사의 도움으로 통찰하여 수용하게 함으로써 긍정적 변화를 가져왔다. 둘째, 회기별 과정을 통해 내담자의 생각을 탐색하고 긴장을 완화하여 자신감을 가지게 하므로, 특별히 말로써 생각이나 감정을 분명히 나타내는데 어려움이 있는 지적장애 내담자에게 좌절과 우울감을 대화로 갈등을 재 경험하고 자기훈련과 자기이해의 과정 속에서 내적갈등을 해결하고 통합할 수 있었다.

      • 학급중심 학교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문제행동과 정서지능 및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신성숙 한국임상치유예술학회 2013 임상예술치료연구 Vol.2 No.-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lass-centered school art therapy on the problem behavior,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kill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1 students in 6th grade at 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one city. Among the 141 students, 53 student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eacher-Children Rating Scale(T-CRS) by the teacher. The experimental group were 26 students and they received 80 min, school art therapy, 3 times per week, 16 sessions overall.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any therapy. To examine the effect of school art therapy, the results of rating scale for Korean-Youth Self Report(K-YSR),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kill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program were compared. To figure out the effect of this program, the examination of homogeneity was made when the pre-test was taken after setting up a hypothesis, and statistical analysis for the effect of school art therapy were done by mixed ANOVA using 2x2 repeated measurement design.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 difference in behavior problems(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emotional intelligence(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expression, Empathy, Emotional regulation, Emotional utilization) and social skills according to the homogeneity test of the variables between school art therapy and control group in the pre inspection. 2)The score of behavior problems of school art therapy group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3)The score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school art therapy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4)The score of social skills of school art therapy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 Such class-centered school art therapy programs may effect mental health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ositively, where it can help students understand other peers emotions as well as them selves class-centered school art therapy programs will be implemented in schools successfully as an alternative way to recognize and reduce the detrimental factors in student's healthy growth and development. 연구 목적 : 학급중심 학교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문제행동과 정서지능 및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본 연구의 대상자는 00시 N초등학교 6학년 전체아동 141명에게 교사-아동 평정 척도를 사용하여 학급선별 검사를 실시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두 집단을 선정하여 각각 실험집단과 대조집단으로 무작위할당 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은 총 53명으로 26명의 실험집단과 27명의 대조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주 3회 80분씩 16회기로 학교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시행하였으며, 대조집단에는 무처치 하였다. 학교미술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평가척도로는 청소년 자기행동평가, 정서지능, 사회적 기술척도를 사용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두 집단 모두에게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대조집단 간 동질성 검증을 위하여 독립 표본 t 검증을 시행하였고, 실험집단과 대조집단의 사전 사후의 차이를 보기 위하여 2x2 반복측정설계로 혼합변량분석을 하여 집단 간의 차이, 측정시기 간의 차이, 집단과 측정시기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급중심 학교미술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과 대조집단의 사전 동질성 검증은 문제 행동(내재화 문제, 외현화 문제), 정서지능(정서인식, 정서표현, 감정이입, 정서조절, 정서활용), 사회적 기술 등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학교미술치료는 실험집단이 대조집단에 비하여 문제행동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셋째, 학교미술치료는 실험집단이 대조집단에 비하여 전체 정서지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넷째, 학교미술치료는 실험집단이 대조집단에 비하여 사회적 기술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연구결론 : 이 연구를 통해서 학교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문제행동감소와 정서지능, 사회적 기술 향상에 대해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학급중심 학교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정신건강 및 또래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자신을 비롯한 또래의 정서를 이해하고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저해하는 요인을 교정하는데 대안적 수단으로써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여겨진다.

      • 정신분열병 환자의 풍경구성법에 나타난 표현 특징 연구

        이아영 한국임상치유예술학회 2014 임상예술치료연구 Vol.3 No.-

        연구목적 본 연구는 풍경구성법(LMT)에 나타난 정신분열병 환자의 표현 특징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 일반인 그림과도 비교하여 어떠한 특징의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정신과 전문의에 의해서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4판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ition : DSM-Ⅳ)에 의해 정신분열병으로 진단받은 전라북도에 위치한 신경정신병원에 입원한 환자로 의사소통이 가능한 20-30대, 40대, 50대 각 연령대별 40명(남20명. 여20명) 총120명을 선정하고, 대조집단으로 과거에 정신과 진료 및 치료를 받은 병력이 없는 일반인 20-30대, 40대, 50대로 각 연령별 40명 (남성20명, 여성20명) 총120명을 대상으로 그림을 수집하였다. 사회 인구학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수집한 그림을 가이토우의 연구와 국내연구의 선행연구를 수렴하여 새로운 해석지표를 설정한 기정희(2009)의 풍경구성법 해석지표를 사용하여 정신분열병과 정상집단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정신분열병 환자와 일반인과의 그림분석에서 전체지표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2.정신분열병 환자는 강 지표 위치(수평), 위치(수직), 구조, 채색의 현실감, 혼색, 근법, 길과의 만남, 길과의 선 공유, 끊어진 부분, 다리, 차안, 면적 항목에서 정상 대조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나머지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정신분열병 환자는 산 지표의 위치(수평), 능선, 채색의 현실감, 혼색, 길과의 연결 항목에서 정상 대조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나머지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정신분열병 환자는 밭(논)지표의 위치(수평), 채색의정도, 혼색, 경계선, 논두렁, 작물, 작물 외 다른 요소, 면적 항목에서 정상 대조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나머지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정신분열병 환자는 길 지표의 채색의정도, 채색의 현실감, 종류, 원근법, 다른 요소와의 연결, 길 위의 다른 요소, 끊어짐, 갈래의 수, 길의 수 항목에서 정상대조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나머지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6.정신분열병 환자는 집 지표의 사람과의 크기 비교, 출입구, 굴뚝, 집의 수 항목에서 정상대조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나머지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7.정신분열병 환자는 나무지표의 형태(수관중심), 채색의 유무, 채색의 현실감, 혼색, 색 사용 수, 가지의 수, 나무의 수 항목에서 정상대조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나머지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8.정신분열병 환자는 사람지표의 움직임, 얼굴표정, 색사용 수, 사람의 수 항목에서 정상대조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나머지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9.정신분열병 환자는 꽃 지표의 모든 항목에서 정상대조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10.정신분열병 환자는 동물지표의 종류, 동물의 수 항목에서 정상대조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나머지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1.정신분열병 환자는 돌 지표의 모든 항목에서 정상대조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12.정신분열병 환자는 부가요소 지표의 생략, 해, 구름, 동물, 다리 항목에서 정상대조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나머지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결론 본 연구의 결과, 풍경구성법을 통해 표현된 정신분열병 환자의 그림은 정상대조군과 차이가 있었다. 이는 정신분열병 환자의 진단 및 중재와 미술치료에서 고려할 수 있겠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find the features of schizophrenic patients' expressions shown in Landscape Montge Techinique(LMT) compared with normal people. Method All of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were recruited from inpatients at neuropsychiatric hospitals located in Jeonbuk province. Forty pictures were collected from the inpatients who were in their 20s or 30s, 40s and 50s each (male 20, female 20). In total, 120 pictures were collected from inpatients. Also, forty pictures drawn by people who had no history of psychiatric disease or treatment in their 20s or 30s, 40s and 50s (male 20, female 20) were collected. In total, 120 pictures were collected from the control group. All the pictures from both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compared by LMT that was developed by Guytow(2006) and developed by Ki Jeong Hee(2009) Results The result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In picture analysis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control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hole indication. 2.In the river indications of LM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osition(horizontality), Position(verticality), Structure, Coloring, Realism coloring, Color mix, Perspective, Meeting of river and street, Sharing line of river and street, Collapse, Bridge, Sense of reality and Extent between two groups.3.In the mountain indications of LM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ition(horizontality), Ridge, Realism coloring, Color mix and Connecting of mountain and street between two groups. 4.In the field indications of LM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ition(horizontality), Coloring, Color mix, Boundary line, Rice paddies, Crop, Other elements and Extent between two groups. 5.In the way indications of LM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loring, Realism coloring, kind of street, Perspective, Connecting of other element, Collapse, Branch of street and Number of street, between two groups. 6.In the house indications of LM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arison of the size in house and person, Entrance, Chimney stack and Number of house between two groups 7.In the tree indications of LM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hape, Coloring, Realism coloring, Color mix, Number of color, Number of branch and Number of tree between two groups. 8.In the person indication of LM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otion, Expression face, Number of color and Number of person between two groups. 9.In the flower indication of LMT, there were statis ???? 10.In the animal indication of LM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Kind of animal and Number of animal between two groups. 11.In the stone indication of LM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indicators between two groups. 12.In the additional indication of LM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kip, Sun, Cloud, Animal, and Bridge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are many differences betwee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normal control group in expressing LMT, thus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may be considered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 집단음악치료가 시설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이명순 한국임상치유예술학회 2012 임상예술치료연구 Vol.1 No.-

        본 연구는 다양한 문제행동을 보이며 환경적 어려움에 처해있는 시설청소년들에게 바람직한 행동과 자신의 삶을 존중하고 통제하도록 돕는 음악활동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I시에 소재한 S보육시설에 거주하면서 현재 중학교에 재학 중인 만13세 ~15세 남학생 6명, 여학생 4명 총 10명을 대상으로 주 1회 60분씩 20회기의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집단음악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자아존중감, 교사용 공격성, 학생용 공격성척도를 사용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통계처리 방법으로는 SPSS WIN 11.5를 사용하여 비모수적 검증(Wilcoxon Test)을 사용하여 실험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음악치료가 시설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효과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자아존중감이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 하위요인에서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일반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 및 학교 자아존중감 모두 의미 있게 상승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음악치료가 시설 청소년의 교사 평정 공격성 및 청소년 평정 공격성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격성의 경우 교사가 평정했을 때와 청소년 본인이 평정했을 때 모두 의미 있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의미 있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하위 요인에서 언어적 공격성 보다는 신체적 공격성에서의 감소가 의미 있게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집단음악치료가 시설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공격성 감소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an effect on which a variety of programs of a musical action had their self-esteem so that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who exhibited various problematic behaviors and had an environmentally difficult time acted in their desirable ways and respected and controlled their lives. The object of this study were all 10 adolescents (6 boys and 4 girls in 13~15 years of age) who were in residence at S institution in I City and were in a middle school. We conducted group music therapy program to them all 20 times (1 time per a week and 60 minutes per a time). We pre-examined and post-examined by self-esteem scale, aggression scale for teachers and aggression scale for students and compiled statistics by SPSS WIN 11.5 and analyzed the results by Wilcoxon Test to investigate an effect of group music therap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We analyzed whether group music therapy had an effect on the self-esteem of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and the study showed their self-esteem were improved significantly. And, we analyzed changes in sub-theory of self-esteem and the study showed their general self-esteem, social self-esteem, domestic self-esteem and school self-esteem were all raised significantly. 2. This study showed that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gotten group music therapy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cher's calm-aggression and adolescent calm-aggression. In case of aggression, it went significantly down all when a teacher calmed adolescents and adolescents calmed themselves and the result were significant. In addition, sub-theory, in physical aggression than verbal aggress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This result showed group music therapy had a good effect on improvement in self-esteem and decrease in aggression.

      • 긍정마인드 계발을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 - Colorful mind

        주홍,백수정 한국임상치유예술학회 2012 임상예술치료연구 Vol.1 No.-

        This study aims to find out and ensure the material validity of the storytelling art therapy program - Colorful mind (hereafter Colorful Mind) as an art therapy. In order to develop the program, this study examined the previous studies on collective art therapy based on dissertations, self-improvement, color psychology, brain research, and artistic media. Also, in order to gauge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programs, we conducted a total of 14 research sessions on the female memb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a total of 15 mothers and thei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residing in D-Gun, Jeollanam-Do. The study was carried out on a weekly basis from Aug. 9, 2008 to Nov. 15, 2008 for a total of 14 sessions. The exam tool used was acculturative stress scale(Acculturative stress scale: Sandhu and Asrabadi) In order to prove its effectiveness, the study includes ex-ante / ex-post examinations. Als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observation as well as quantitative analysis method based on statistics. A summary of the proven results from the study is as follows. The female members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have experienced a meaningful decrease in their stress level through the Colorful Mind program (p<0.05).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study, it is proven that the Colorful Mind program is proven effective in reducing the acculturative stress experienced by the female memb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본 연구는 긍정마인드 계발을 위한 스토리텔링 미술치료-Colorful mind(이하Colorful mind라 함.)프로그램이 미술치료로써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확보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개발을 위하여 스토리텔링관련 논문, 자기계발서, 색채심리, 뇌 연구, 미술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전라남도에 소재한 D군에 거주하고 있는 15명의 다문화 가정 여성과 자녀들을 대상으로 2008년 8월 9일부터 11월 15까지 주 1회(1시간) 총 14회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척도(Acculturative stress scale : Sandhu and Asrabadi)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사후검사 실험 설계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적 방법에 의한 양적 분석과 함께 관찰법을 병행하였다. 연구를 통해 검증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Colorful mind프로그램에 참여한 다문화가정 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본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감소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증명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