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슈분석

        중남미연구소 외국학종합연구센터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외국학종합연구센터 한국외국어대학교 1996 라틴美洲 Report Vol.- No.3

        김영삼대통령은 9월 3일부터 14일까지 11박12일동안 중남미 5개국 순방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그동안 우리 나라는 한국국제협력단(KOICA)를 통해 개발도상국에 대해 지원해오고 있는 무상협력 사업으로 시설물 건설 지원형태의 프로젝트서업을 비롯해 기자게 공여, 연수생 교육, 각정 전문가 파견, 협외 봉사단 파견, 지역개발조사, 민간원조기관 지원 등 10여개 분야에서 협력을 실시해 왔다. 이번 김대통령의 중남미 순방은 민간기업의 중남미 지역에 대한 자원의 안정적인 공급지로 확보하기 위한 협력 등과 경제공동체를 통해 통합 시장화되고 있는 중남미에 대한 교역을 늘려 유망잠재시장으로 부상하는 중남미에 대한 진출을 확대하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현지 언론들은 우리 나라의 경제성장 경험을 높이 평가하고 있으며 '아시아의 호랑이. 아시아의 용'이라고 묘사하기도 했다.

      • KCI등재

        韓、 中漢語使用者在"這―"、 "那―"使用上的異同点

        梁敬美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中國硏究所 2002 中國硏究 Vol.30 No.-

        본 논문은 2000년 3월 25일부터 2000년 12월 12일 사이의 3명의 20여명의 한국인과 중국인으로 구성된 7.3시간의 "현장 담화(situated discourse)"를 언어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말뭉치 언어학", "직시(deixis)이론", "담화표지(discourse markers)이론"등에 근거하여 그 속에 나타난 "這-(this-)"와 "那-(that-)" 표현 형식의 21가지 기능을 묘사하고 그 분포를 살펴보았다. 기초가 된 저자의 박사학위논문("這-"와 "那-"의 화용 및 담화기능 연구)" 에 의하면 채집한 담화 속에 나타난 "這-(this-)"와 "那-(that-)"의 기능은 모두 21가지로서 크게 "화용기능", "담화기능", "현장기능"으로 나뉘며, 화용기능에 속하는 것으로는 "공간직시", "사물직시", 성질직시", "시간직시", "담화직시", "대용", "연결"등 7가지가 있고 담화기능에 속하는 것으로는 "정황용", "화제 대비", "화제 도입", "화제전환", "말 뺏어오기", "말 유지하기"등 6가지가 있다. 현장기능에 속하는 것으로는 "단어 찾기", "담화 찾기", "메꾸기"등 3가지 "일반 현장기능"과 "말더듬", "말실수", "인용", "말끊김", "모호"등 5가지 "특수 현장기능" 등이 있다. (단 통계의 경우 하나의 표현형식에 하나의 기능만을 부여함) 본 고의 목적은 한국인과 중국인인 중국어 사용자의 "這-"와 "那-" 사용상의 차이점을 밝히는 데 있다. 중국인의 "這-"와 "那-"의 사용은 這-와 那-자체를 놓고 볼 때 대체로 비대칭적인 양상을 보여 어느 기능이 어느 단어를 사용하게 되는 독특한 경향을 보이기도 하는데, 이는 또 한국인의 사용 분포와 다른 양상을 띈다. 외국어로 중국어를 말하는 사람(제2언어 습득자, 여기서는 한국인)의 중국어 사용이 모국어 화장의 언어사용과 사뭇 다른 양상을 보이는 이유는 그들의 언어가 아직까지는 계속 변화 상태에 놓여 있는 이중언어의 특징을 반영하기 때문일 것인데, 본 고는 그 초보적 단계로 지사사의 담화표지까지에의 사용을 묘사, 분석하는 데 그 주안점을 두었다. 한중 사용자의 "這-"와 "那-"사용상의 두드러진 차이점은 이미 담화표지로 볼 수 있는 "일반현장기능"에 속하는 "단어 찾기", "담화 찾기", "메꾸기"등 3가지 기능의 경우 중국인은 "這個"를 많이 사용하고 한국인은 "那個"를 많이 사용하는 데, 이의 원인으로 한국인의 입말에서 근칭에 해당하는 지시사 "이"가 담화표지로 많이 사용되지 않는 반면 중칭의 "그"와 원칭의 "저"는 담화표지로 자주 사용되는 현상이 중국어의 사용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았다. 그 밖에 우리는 한국인과 중국인의 "這-"와 "那-"가 사용 중 빈도수가 높은 단어 및 빈도수가 높은 기능을 대조하였는데, 이에서도 몇 가지 다른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Study o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Hungary through the confidential documents of the Hungaria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Bogook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14 동유럽발칸연구 Vol.38 No.3

        헝가리 외교기밀문서는 남북한 관련 중요한 자료들을 포함하고 있지만 물리적인 접근성과 소수언어라고 할 수 있는 헝가리어로 된 자료라는 언어적 한계로 인해 많은 연구자들에게 연구 자료로서 적극 활용되고 있지는 않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크게 다섯 개의 장을 나누어 그 첫 장에는 헝가리 외교문서가 소장되어 있는 국립문서 보관소에 대한 개략적인 소개를 하고, 두 번째 장은 남북한 관련 소장 자료에 대한 개관에 할애하였다. 그리고 세 번째 장과 네 번째 장에서는 헝가리의 체제 전환 이전, 헝가리-북한 및 헝가리-남한의 관계에 대한 자료들을 각각 개략적으로 살펴 보았다. 헝가리의 외교문서는 남북한 관련 자료들이 뛰끄(TÜK, 기밀문서) 문서에 한정하더라도 약 5 만 3 천 장(1945 년-1993 년)에 달하는, 상당히 방대한 양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자료들 중 한국과 관련하여 가장 배타적이고 직접적인 가치를 가진 문서들은 헝가리를 비롯한 기존의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들의 체제전환과 시기적으로 조금 앞선, 유사한 때에 일어난 한국과 헝가리의 수교와 관련한 자료들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과 헝가리의 수교는 1970 년대 경제적인 한국의 접근에서 그 맹아를 감지할 수 있으며, 특히 1980 년대 초반부터 외교관계 수립이라는 목적의식적으로 접근하게 되는데 이는 단지 한국과 헝가리 양국의 관계 정상화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당시 동서의 냉전적 국제질서가 와해되는 과정이 투영되어 상호 작용하게 되는 하나의 과정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양국의 교류 및 관계의 추이에 대한 자료 및 문서뿐 만 아니라 북한은 물론 미국, 소련, 중국, 일본을 위시하여 당시 외교적 행보를 같이 하던 헝가리에 이웃한 사회주의 국가들과 관련된 자료들에 대한 연구 또한 필요하다. 이 방대한 연구 주제에 대한 하나의 첫 시도로서 본고의 다섯 번째 장에서는 한국과 헝가리의 수교 직전의 상황을 언급하는 자료들을 발굴하여 고찰해 보았다. 이러한 자료들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한국과 헝가리의 수교 과정이 결코 단순한 양국 간의 관계 정상화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북한을 포함하여 훨씬 다양하고 복잡한 동서의 양 진영과 깊은 연관성을 증거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Hungary signed a treaty of amity with North Korea in 1948, because they shared the same ideology. As for the archive, the treaty meant that both countries began to communicate regularly and periodically exchange official documents, and these documents would be kept in the archive. However, South Korea prohibited communications with socialist states because of the Korean War and the Cold War, so it was impossible to access the documents in the archive at that time. But the ex-socialist states experienced regime change, and as the countries changed, the public demand, on political grounds, for documents of the past regime became quite profound. In this paper, I introduce the National Archives of Hungary and the documents related to South and North Korea in brief. The main section focuses on the diplomatic relationship between Hungary and South Korea. With some documents, I tried to introduce rather than analyze. The study of these documents will encourage scholars and research workers to observe modern Korean history on the framework of an emerging paradigm. In particular, Especially, I would like to share my research and, from this time onwards, continue co-working with specialists in various fields, such as political philosophers and historians.

      • KCI등재

        中国語由来漢語オノマトペの韓日両言語での受容と定着

        권경애(Kwon Kyoung Ae,権景愛)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日本硏究所 2015 日本硏究 Vol.0 No.64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와 일본어에서의 한어오노마토페의 수용 양상을 조사하는 것이다. 한어오노마토페는 문어체에 많이 보이고 구어체에서의 사용이 생산적이지 않다. 또한 일반어휘와 오노마토페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아, 연구자들에 따라 한어오노마토페의 인정범위가 각각 다르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용례수집의 편의를 위해 여러 연구들에서 한어오노마토페라고 인정하고 있는 용례를 수집하여 그것들을 쌍성어, 첩운어, 중언 등으로 분류하였다. 그 후에 그러한 용례들에 대해 이 한국어와 일본어에서 어떻게 취급되고 있는지, 각 문헌에서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주요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어오노마토페는 원형 그대로 문장 속에 사용된 경우가 한국어 쪽이 일본어 쪽보다 많다. 그러나 그 예들이 적고 양 언어 모두 동사나 형용사의 어근으로 수용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둘째, 한국어에서 동사나 형용사의 어근으로 사용된 경우 [-이(i)] 형태가 되는 경우는 하나밖에 없고 나머지는 [-히(hi), -하게(hage), -하다(hada)」의 어근으로 쓰인다. 이에 반하여 일본어의 경우에는 거의 대부분이 [-と(to)][-として(tosite)]형태의 부사나 [-な(na)]형용사의 어근이 된다. [-する(suru)]형태가 되는 것은 아주 드물다. 셋째, 동음반복이라는 특성상 양 언어 모두 중언인 경우가 오노마토페로서 수용되기 쉬웠으며 쌍성어나 첩운어는 일반어휘로 수용되기 쉬웠던 것 같다. 넷째, 한국어의 경우, 한어오노마토페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세 가지 기준을 세웠다. 즉, 의성어 및 의성적인 특성을 지닌 의태어, 원형 형태로 문장 속에 나타날 것, [-이(i)] 형 이외의 파생형을 지니지 않을 것 등이다. 그러나 일본어에서는 한국어보다 의성어 및 의성적인 특성을 지닌 의태어가 많지만 원형 형태로 문장 속에 사용되는 용례가 하나도 없다. 따라서 일본어의 경우에는 원형 그대로 문장 속에서 쓰이는지의 여부가 한어오노마토페를 규정짓는 기준이 되지 않는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acceptance phase of 'the onomatopia of Chinese origin' in Korean & Japanese. The onomatopia of Chinese origin seems to be frequently used in literary style, but not in colloquial style. And an ambiguous boundary between the onomatopia of Chinese origin and general vocabulary makes it difficult to establish the certain difference between the onomatopia of Chinese origin and the rest. Therefore I collected the examples that are academically recognized as the onomatopia of Chinese origin for the convenience of the example collection in this report. Furthermore, I classified them into three categories : gemination words, repeated rhymes words, reduplication words. And I conducted an examination on how they were classified in both languages(Korean and Japanese), and how they are being used in the documents. The main finding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Korean has more words that keep the original form of the onomatopia of Chinese origin compared to Japanese. However, there are only few examples, and most of them are received as the root of a word for the verbs or the adjectives in both languages. Second, when they are used as the root of a word for the verbs or the adjectives in Korean, there is only one case that they become the form of [-i], and in most cases, they are used as the root of words of [-hi, -hage, -hada]. In contrast, in Japanese, they are used in the adverb form [-to][-tosite] and the adjective form [-na]. Case they are used in [-suru] form is very unusual. Third, due to the property of tautophony, reduplication words were easily received as an onomatopoeia by both languages. On the other hand, the gemination words and repeated rhymes words were mostly received as general vocabulary. Fourth, I set the three standards for the indication of the onomatopeia of Chinese origin : the case of imitative words and mimetic words that have the imitative connotation, the case when they are used in original form in sentences, the case when the words are used in [-i] derivative form. Although there are more cases of imitative words and mimetic words having the imitative connotation in Japanese than in Korean, there is no precedent where they are used in the original form in the sentence.

      • KCI등재

        한국어ㆍ영어ㆍ중국어모어화자의 일본어 문말표현 습득 양상 - noda형식과 종조사를 중심으로 -

        양내윤 ( Yang Nae-yun ),이길용 ( Lee Kil-yong )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日本硏究所 2016 日本硏究 Vol.0 No.70

        본 연구에서는 정중체 회화문 자료인 KY코퍼스를 사용하여 한국어ㆍ영어ㆍ중국어모어화자를 대상으로 일본어 문말표현의 사용 실태에 대해, noda형식과 종조사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한국어모어화자뿐 아니라 영어 및 중국어모어화자를 분석 대상으로 삼아 모어의 차이를 초월한 보편적 특징과 모어가 영향을 미치는 개별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우선 한국어ㆍ영어ㆍ중국어모어화자 모두 일본어 문말표현 습득 과정의 초기 단계에서 noda형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부정 및 과거 등 초점이 되는 정보를 우선하여 배치하고 정중함을 나타내는 모달리티형식은 문말에 배치하는 일본어 회화체의 보편적 특성과 일치한다. 다음으로 한국어모어화자뿐 아니라 영어 및 중국어모어화자에서도 동일하게 noda형식과 동사술어문의 친화성이 인정된다. 학습자가 활용이 어려운 동사술어문의 정중체에서 형태적으로 활용 절차가 복잡한 `masu`형식을 회피하고 보통체에 기계적으로 `n-desu`를 붙이는 간략화를 추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한국어모어화자는 영어 및 중국어모어화자에 비해 noda형식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대해서는 일본어와 한국어가 언어적으로 유사하기 때문이라는 언어내적 요인보다, 격식적인 상황에서 정중체의 사용이 강하게 요구되는 한국어의 사회언어적 규범의 전이라는 언어외적 요인이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In the current study, we analyzed Japanese sentence final expression usage patterns in Korean, Chinese and English speaking learners specifically focusing on noda form and sentence final particles of Japanese polite forms found in KYcorpus (oral speech data). We analysed common features of learners who have different mother tongu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Usage of noda form by Korean, Chinese and English speaking learners occurs in the early stage of the Japanese sentence final expression learning proc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veying focused information, such as negative and past, is a priority, while the modality type related to politeness is disposed in the final sentence showing common features of conversational Japanese. Next, the affinity between noda form and verbal predicate is commonly recognized in Chinese and English speaking learners as well as in Korean learners. Learners tend to avoid the morphologically complex masu type in difficult verbal predicates in a polite form system and instead pursue a simplified tagging n-desu mechanically. Furthermore, Korean learners tend to use noda form more than English and Chinese learners. We speculate that these results relate to transfer of Korean sociolinguistic norms, which demand the use of a polite form system, rather than linguistic similarity between Japanese and Korean.

      • KCI등재

        헝가리 체제전환시기 한국기업의 진출 및 갈등사례를 통해 본 이문화관리 방안 연구

        김지영(Kim, Ji-yo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07 동유럽발칸연구 Vol.19 No.1

        본 글에서는 체제전환시기의 헝가리의 문화적 변화와 한국기업의 진출 및 정착에 따르는 갈등의 문제 등을 살펴보았다. 특히 한국기업이 헝가리에 진출하여 직면하였던 상황과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효과적으 로 문제들을 해결하였던 기업들의 예와 실패하여 한국으로 철수하였던 기업도 살펴보았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대방의 문화 즉, 이문화에 대한 이해와 이의 극복 또는 조화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이문화 관리라는 방법론이 연구되었다. 이문화관리란 문화자제를 관리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다른 문화 간의 상이점을 이해 하고, 극복하여 성공적인 상호교류를 이루어내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 한다. 문화란 관리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다. 다만 기업의 차원에서 현지에 진출하여 성공적인 정착을 이루어내기 위해 상대방의 문화에 대한 이해와 그를 통하여 문화적 충돌을 최소화 하는데 중점을 둬야한 다. 이러한 의미에서의 ‘관리’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헝가리는 유럽의 문화권속에서 오랜 시간 동안을 지내왔고, 특이하게도 자본주의에서 사회주의로, 다시 사회주의에서 자본주의로 체제가 전환되어 경험을 갖고 있다. 헝가리는 사회주의 시절에도 정치, 경제체제의 변화를 통하 여 동유럽국가들 중 선두적인 위치에서 개혁을 주도해 왔으며, 문화양 상에 있어서도 적극적으로 자본주의적 경향을 수용해 왔다. 이러한 개 방적인 자세에 부응하여 우리나라의 LG화학, 삼성전자, 대우은행 등이 헝가리에 진출하게 되었으며, 삼성전자와 대우은행은 초기 정착 과정 에서 여러 어려움을 극복하고 정착에 성공하였으며, LG 화학은 본국으 로 철수하게 되었다. 삼성전자와 대우은행은 효과적인 ‘관리’를 통하여 성공적으로 헝가리에 정착하였는데, 이러한 과정은 성공적인 이문화 관리의 한 예이다. 헝가리에 진출해서 성공적인 정착을 이루어 낸 삼성 전자와 대우은행의 성공요인은 헝가리의 문화적 배경을 이해하고, 적 극적으로 현지화를 추진했던 점이 중요한 점이었다는 점을 알게 되었 다. 일반적으로 타국기업이 현지에 진출함에 있어, 다양한 갈등의 유형 이 상존하게 되는데, 이러한 갈등을 최소화하고 해결하려는 삼성전자 와 대우은행의 노력은 이문화관리의 한 성공적인 경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삼성전자와 대우은행의 경우에서처럼 향후 헝가리에 성공적으 로 진출하고자 하는 기업들은 이문화 관리의 측면에서 헝가리 문화에 대한 이해와 헝가리인들이 선호하는 문화적 행사에 대한 지원 등을 통 하여 그들에게 접근해 가는 것이 매우 유효한 방법이라는 점이 입증되 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spects of Hungarian situation about the management of different culture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This paper contains a study on methods of different culture management we studied examples of the Korean companies' advance into Hungary and conflict during the transition.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we found that people need to approach Hungary with thorough(detailed and careful) methods because Hungarians are different from other Europeans. Also, it is important that people need to take a flexible stand toward Hungarian sensibility and emotion. Especially, the research indicates that understanding of Hungarian culture is the key point. There are many cases that prove the result of this study. For example, Bank of Daewoo supported regularly new year concerts because Hungarians like music, Samsung's family invitation program which was made based on thought that family is important in Hungary. All of these attempts were judged to be a great success. After the political transition, the economic collapse was even more complete than in the closing years of communism. Foreign banks and governments would help with their advice or would partially finance some programmes, but there would be no aid or external financing to reduce the difference between Hungary and Western European living standards. All these could only be financed from internal sources. As a consequence, economic success would not come for free. Some groups of society must pay for it, or otherwise there would not be any chance for success

      • KCI등재

        對話文における「もっと」の誤用とその分析

        津崎浩一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日本硏究所 1997 日本硏究 Vol.12 No.-

        일본어의「もっと」에 대응하는 한국어가 한국어 대화 중에서 비교적 많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인지, 일본인 사이에서의 비해서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대화중에는「もっと」라는 부사의 사용을 많이 볼 수 있다.단,「もっと」와 그에 대응하는 한국어 사이에 표현, 제약상 어긋나는 부분이 있으므로 오용이나 부자연스러움이 눈에 많이 띈다. 그리하여, 한국 외국어 대학교 일본어과의 학생들에게서 회수한 200건의「もっと」가 사용된 대화문중에서, 그 오용을 수집해서 분석하였다.

      • KCI등재

        한국 대학생을 위한 러시아어 발음교육 연구

        임흥수(Heung-Su Im)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18 동유럽발칸연구 Vol.42 No.3

        이 논문은 한국 대학생을 위한 러시아어 발음교육에 관한 연구로서 자음, 모음, 강세를 다룬다. 오류 예측을 위한 러시아어 음성체계와 한국어 음성체계의 대조 분석 결과와, 한국 대학생 학습자들의 발화에서 직접 관찰하여 축적한 오류 분석 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일반적으로 학자들이 외국어의 발음 습득 과정을 청취 단계와 조음 단계로 나누며, 정확한 청취만이 정확한 발음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우리는 청취력의 향상을 목적으로 청취 단계를 다시 청각적 감지 국면과 청각적인지 국면으로 나누어 접근한다. 실제로 기초적인 음성학적 소양을 갖춘 대학생 학습자들의 발음 습득 과정에서 청각적 감지와 청각적 인지 국면으로 나누어 적용한 결과, 모국어간섭을 의식적으로 배제하고 목표어의 기준에 따라 청취하는 음운론적 청취력의 향상에 효과가 높게 나타난다. 특히 두 언어 음성체계의 특성이 복합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음성 자료에 적용하면 효과적이다. 결국 학습자들 의 청취력 향상은 정확한 발음 습득으로 이어 진다. This paper is a study on Russian pronunciation education for Korean college students. The research scope is Russian consonants, Russian vowels, and Russian accents. The method research is the comparative analysis of Russian phonetic system and Korean phonetic system. In order to overcome limitations of comparative analysis, we analyze the errors of speech of learner. In general, scholars divide the pronunciation process of foreign languages into listening and articulation stages. In this study, the listening stage is divided into auditory sensing phase and auditory perception phase. As a result of applying to pronunciation education divided into two phases, learner’s phonological listening ability improved. The results of improved listening ability of learners helped learners gain accurate pronunciation. This is because it is easy for the learner to consciously exclude the interference of the mother tongue when listening to the pronunciation of the foreign language. Thus, accurate listening and correct pronunciation become possible.

      • KCI등재

        한국과 리투아니아 민요의 슬픔의 정서

        서진석(Seo, Jin-Seok)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06 동유럽발칸연구 Vol.16 No.1

        리투아니아의 민요인 다이나(Daina) 속에 나타나는 슬픔의 모티브를 분석해본다. 가장 한국적인 정서로 알려져 왔던 한(恨)의 정서. 한국이 가지고 있던 특수한 역사적, 정치적 상황 속에서 발생한 것으로 믿는 그 슬픔의 모티브는 다이나 속에 등장하는 시엘바르타스(sielvartas)의 형태와 놀랄 만큼 흡사하다. 일반적으로 경제와 정치적 영향으로 그런 정 서가 발생한다고 믿기 쉬우나, 리투아니아와 비슷한 환경을 공유하고 있는 이웃나라와 비교하여 보아도 다이나의 성격은 아주 특별하다. 리투아니아의 민요를 중점 연구한 외국학자들의 학설을 종합하여 객관적인 배경을 설정한 후, 민요의 주체들과 가장 근접해있는 자연환경을 노래한 민요의 내용분석을 통해서 그 슬픔의 정서의 원형을 살펴본다. 일반적으로 민족이 전쟁나 많은 외침 등 비극적 역사를 거치고 나면 자연발생적으로 나타나는 시성(詩性)이나 정서로 이해하기 쉬우나, 동유럽에서 그와 비슷한 역사를 거친 나라에서는 그런 현상이 꼭 일어나지는 않는 것으로 보아 정치적 역사적 요소로 단정짓기에는 무리가 있다. 만약 그러한 것이 민족간 교류나 영향에 의한 것이라면 주변 국가에서도 그런 양상이 많이 나타나야 하겠지만, 서구 학자들의 말을 빌어보면 이 역시 리투아니아 만의 상당히 독특한 현상으로 문화교류에 의한 현상으로 해석하는 것은 논리에 어긋난다. 상당히 멀리 떨어져있는 리투아니아와 한국간의 공통적인 슬픔의 정서는, 그 사람들의 사고방식을 규정짓는데 큰 역할을 하는 구비문학의 배경에서 그 근거를 찾아야한다. 종교나 주류문학보다 사람들의 가장 근본적인 생활모습을 만들어내는 민속환경이 집단적 정서를 만들어낸 것이다. 그러므로 민족 구성원들의 사고방식과 그 틀에서 공통점을 끄집어 내어 각 민족의 구비문학 (주로 민속시를 중심으로) 속에 나타나는 슬픔의 정서와 표현법을 분석비교해본다. 그와 함께 구체적인 민속적 양상을 통해서 사회적 역사적 배경을 유추비교하며 양국간 전통적 역사적 교류가 없는 두 민족간에 비슷한 문화양상이 나타나게 되는 이유를 고찰해보고, 이웃 국가간 민속비교만이 아닌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두 나라간 민속비교연구가 가능한지도 알아볼 수 있다. 그리고 리투아니아 민요 속에 나타나는 슬픔의 정서의 아름다움과 그 기능, 현대문화에의 영향들은 우리나라의 한의 정서와도 비교해 본다. The aim of the comparative folklore is to analyse the similarity or the relationship of nations, mostly adjacent to each other, in order to discover the mutual influence or exchange of culture. There is nothing surprising to find a few affinities in folkloric aspects amongst the nations in neighborhood. But is it possible to conclude that two nations, located afar from each other in the vast distance, can lie under the same sphere of influence? If some affinities are found in their oral poetry or folklore, is it the result of mutual relationship or nothing but the simple coincidence? The motive of Sadness, which was said to be very unique Korean emotion, is also found in Lithuanian folksongs, called Daina. It would be far fetched to say that such similarity stemmed from the mutual relationship or the exchange of culture between two countries, taking in account the vast distance and the lack of actual exchange between both countries in history. Moreover the motive of sadness is not that often perceived in the oral poetries of neighboring countries of Lithuania, like Latvia and Poland. Presumably this can be understood in this way that they would have formed due to the similar political or historical background, but actually we have to find out the basic reason in other side, not in the outer resources. Lithuania is known for its beautiful folksongs Daina which attracted number of artists and the researchers of Western Europe. Lots of scholars, who did research works on Lithuanian folklore since the 19 century, tend to say that daina is rather gloomy, full of sad expressions and texts (it is true that there ARE repertoires which don't contain the sad mood as well). Even some Lithuanian artist, who are still engaged in dainas, themselves state that Lithuanian daina demand the different type of understanding or harmony. Lithuanian word which can be used for this peculiar mood can be Sielvartas, composed of two Lithuanian words; siela, the mind and vertas, from the verb verstis, to turn over violently. The similar concept in Korea is Han. It also refers to the state of mind disturbed and harmed by exterior factors. Sielvartas and Han, both words are strongly connected with the mental disorders. Songs ridden with Sielvartas and Han compose the majority of Lithuanian and Korean folksongs, and they still have the influence on the modern art. Certainly this is not the fruit of mutual relationship or exchange of culture, not definitely the result of severe political and historical hardship, which both nations had to go through in last centuries, since not all nations of similar historical background don't share the analogous result. I tried to pick out elements which would make influence on the mood of Lithuanian daina and the common factors appearing in Korean customs and lifestyle as well. First of all. the performing body of folksongs in Lithuania is different from that of Western Europe. It was created mainly by the peasants and women living in the countryside, so their songs are rich in the expression reflecting the mental status of singers. They tried to solve out their literary instinct, restricted by many outer factors, through folksongs, and their traditional belief, transferred in songs, carry the concept and ideology of the ancient time, even before the time when the Baltic tribes were formed. And Lithuanians have the tendency to cling to the family relationship. That attachment bears the endless nostalgia and yearning for his or her homeland for the whole life. The function of traditional belief of Lithuania is also enormous that it can be comparable with the function of shamans, who made the contribution to the formation of folk art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