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아랍어 번역 교육을 위한 번역 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

        곽순례 한국아랍어아랍문학회 2019 아랍어와 아랍문학 Vol.23 No.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duce an evaluation standard for translations in the classroom for Korean-Arabic translation. Beginners and intermediate learners tend to consider Korean-Arabic translation more difficult than Arabic-Korean translation. This could be because Arabic relies on grammar to a much larger extent than Korean, and thus Korean-Arabic translation requires much more grammatical knowledge than translation in the other direction. A quantitative approach was used to classify translation errors into form-related and meaning-related errors, with these errors further classified into five levels of magnitude to enable qualitative evaluation. The error scores gained in this manner were subtracted from a total of 100 points to produce a translation evaluation method that could measure the quality of a translation.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first, investigate translation evaluation criteria for learner translators in the Korean-Arabic direction; second, compare and analyze the evaluation results of multiple evaluators based on specific evaluation criteria; third, establish the basic framework upon which learners could be provided with quantified, objective and scientific evaluation results; and fourth,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material to improve not only translation ability but also Arabic communication skills. 모의 실시한 한국어-아랍어 번역 결과물에 대해 예비 평가, 모의 평가, 외국인 평가를 실시하고 평가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평가 항목과 배점을 조정한 결과 [표 3. 한국어-아랍어 번역 평가표2]가 마련되었다. 평가표가 완벽하다고 볼 수는 없지만 객관적인 기준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할 경우 다음과 같은 결과가 기대된다. 첫째,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에게 객관적인 평가자료를 제시한다. 결과물보다 과정중심적인 교육현장에서 평가는 교육 방향을 제시하는 기능을 한다. 교수자가 평가기준과 배점을 학습자에게 미리 고지하여 학습자에게 학습 방향을 제시하고 평가 결과를 구체적으로 알려주어 학습자가 자신의 부족한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도적인 학습전략을 세워 외국어 능력을 향상시키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전통적인 학습번역 평가방식인 학습자들의 어휘적, 문법적, 통사적 지식 부족에 기인한 언어적 오류 지적에 그치지 않고, 의미 등가 전달에 평가가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전문번역의 일부 요소를 이해하고 교실 밖에서 진행되는 채용 시험이나 승급시험, 외국어능력시험 등에 대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한국에서 한국어-아랍어 학습번역 능력 평가 모델로 활용되고, 아랍어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자료 개발에 기여하고, 더 나아가 한국어-아랍어 전문번역 능력 평가 모델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한국어 콘텐츠가 아랍어로 높은 품질로 번역되어 아랍사회에 제공되는 결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물인 번역 평가표의 한계점은 평가항목과 기준에 따라 평가하는 것이 직관적으로 평가할 때보다 시간이 2배이상 소요되어 실용성이 떨어진다. 또한 가독성 항목과 같이 평가자마다 다른 의견이 나올 수 있는 항목들에 대해 구체적인 평가 기준을 제공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따라서 올바른 평가와 평가표 활용을 위해 평가자 교육이 필요하고, 평가자들이 평가 경험을 축적하여 대부분의 평가에서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여 평가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객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 KCI등재

        뉴스 텍스트에 나타난 아랍어의 통합성지수 연구 - 아랍뉴스 ‘al-Riyadh’, ‘al-Ahram’과 KBS, CNN의 아랍어 번역뉴스 비교를 중심으로 –

        이계연 한국아랍어아랍문학회 2019 아랍어와 아랍문학 Vol.23 No.4

        The study aims to compare the index of synthesis of Arabic language between non-translated news texts and translated news texts. It is analyzed through an index of synthesis of media Arabic language, which means internet Arabic news; including, ‘al-Riyadh’ of Saudi Arabia, and ‘al-Ahram’ of Egypt, in contrast to ‘KBS Arabic news of South Korea’ and ‘CNN Arabic news of the United States’. The average of the index of synthesis of internet news in Saudi Arabia and Egypt stood at 4.34, the index of synthesis of Arabic language of internet news of South Korea stood at 4.07, and the index of synthesis of CNN Arabic news stood at 4.27. In addition, translated news texts in Arabic were affected by language customs of the source texts: it is neither target-language nor source-language dependent, and that is what we call “levelling out”. 본 고에서는 현대 표준 아랍어의 특징이 형태적으로 잘 유지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우디 아라비아의 ‘알리야드’지와 이집트의 ‘알아흐람’지가 포함된 아랍권 뉴스 텍스트의 통합성 지수와 국내의 KBS의 아랍어 뉴스와 미국 CNN 아랍어의 통합성 지수를 비교해 보았다. 아랍권 뉴스의 평균 통합성 지수는 4.34, 국내의 KBS 아랍어 뉴스의 통합성 지수는 4.07, 미국 CNN 아랍어뉴스의 통합성 지수는 4.27임을 확인하였다. 통합성 지수 전체로 보아서는 미국 CNN 아랍어뉴스의 통합성 지수가 국내의 KBS의 아랍어 뉴스보다 아랍권 뉴스의 현대 표준 아랍어에 더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타갈로그어, 베트남어, 페르시아어, 터키어와 같은 언어와 아랍어의 통합성 지수를 측정했던 페인(Payne 1990, 178)은 그의 연구에서 아랍어의 통합성 지수를 3.14로 규정했는데, 그는 통합성 지수에 사용된 언어자료를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그런데 이 수치는 본 연구에서 측정한 사우디 아라비아의 대표적 인터넷 신문인 ‘일 리야드’지의 통합성 지수 3.14와 일치한다는 흥미로운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수치는 품사를 제외한 수치이므로 페인이 측정한 텍스트의 유형은 현대 표준 아랍어 중 뉴스 텍스트일 가능성이 매우 높고, 단어당 형태소를 측정하는 통합성 지수 수식에서 품사를 제외했을 가능성도 있다. 아랍권 뉴스나 미국의 CNN 아랍어 뉴스에 비해 국내의 KBS뉴스에서 품사수의 분포가 1,000여개 더 적게 나왔다. 총 형태소 수에서도 동일한 경향이 나타나 국내의 KBS뉴스의 총 형태소 수가 아랍권 뉴스나 미국의 CNN 아랍어 뉴스에 비해 더 적게 나왔다. 아랍권 뉴스 평균과 국내의 KBS 아랍어 뉴스에서 동사 사용이 각 428개, 453개로 유사한 분포를 보였으나, 미국의 CNN 아랍어 뉴스에서는 동사 사용이 200 여개 더 많은 674개로 상이한 양상을 나타냈다. 게다가 명사류의 사용분포를 보면, 국내의 KBS 아랍어 뉴스와 미국의 CNN 아랍어 뉴스에서는 각 3,826개, 3,776개인 반면 아랍권 뉴스 평균이 4,091개로, 아랍권 뉴스에서 명사류의 사용분포가 더 많았다. 이것은 문 구조에서, 아랍권 뉴스와 국내의 KBS 아랍어 뉴스의 경우 명사문을 더 선호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반면 미국의 CNN 아랍어 뉴스에서는 명사문보다 동사문을 더 선호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선행 국내의 연구 중 코란과 현대 표준 아랍어를 비교한 연구가 있는데(이인섭 2019, 11-12), 본 연구와 동일한 코퍼스 크기인 코란 5,000 어절을 기준으로, 코란에서는 1,311개의 동사가 사용되었다. 코란과 비교하자면, 아랍권 뉴스와 국내의 KBS 아랍어 뉴스 텍스트와 달리 미국의 CNN 아랍어 뉴스 텍스트의 문 구조가 동사문을 선호하는 코란의 문구조 경향에 더 가깝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미국의 CNN 아랍어 뉴스 텍스트에서 동사문이 선호되는 현상은 실제로 코란의 아랍어에 근접하게 번역되었기 때문인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CNN 아랍어 뉴스에 쓰인 내용을 보면 아랍의 시리아 공습과 리비아 혹은 아랍과 이스라엘 간의 관계에 관한 내용 등도 있었지만 미국 뉴스 사이트인 만큼 미국 국내의 사정내용도 상당 부분 언급되고 있다. 여기서 영어로 기사 작성된 미국 국내의 뉴스가 아랍어로 번역되었다는 점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기사가 영어에서 아랍어로 번역되는 과정을 감안하면, 출발어인 영어의 언어관습이 아랍어 번역문에도 영향 ...

      • KCI등재

        고전 아랍어와 현대 표준 아랍어의 통합성 지수와 구조 연구: 코란, 요르단 교과서, 한국의 아랍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인섭 한국아랍어아랍문학회 2019 아랍어와 아랍문학 Vol.23 No.3

        Arabic is a polysynthetic language in terms of its morphological synthesis.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indexes of synthesis for texts from the Quran, a Jordanian high school textbook (Geography of Jordan, 10th grade) and Arabic books used in Korean high schools (Arabic I, Arabic II, Arab Culture). First, to measure the degree of morphological synthesis of Classical Quranic Arabic (fuṣḥā), the study calculated 5,000 synthetic units from the Quran. Next, to compare this result with other texts, the study examined a Jordanian high school textbook and Arabic textbooks used in Korean high schools, calculating 5,000 synthetic units from each. While these indexes of synthesis do not demonstrate remarkable differences between the texts, it shows that the components of texts have different structures, especially in the usage of verbs. Thus, despite the similar index values of the Modern Standard Arabic and Classical Arabic (fuṣḥā), each exhibit distinct contents and structu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identify how much Modern Standard Arabic has diverged from Classical Arabic. It will also help provide a mechanism to bring Modern Standard Arabic closer to Classical Arabic and to ensure that the former does not deviate significantly from the latter. 이 연구에서는 코란의 고전 아랍어(العربية الفصحى)와 현대 요르단과 한국 고등학교 아랍어 교과서의 표준 아랍어를 통합성지수와 구조적인 특성면에서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살펴본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아랍어 문장 내에서는 코란과 현대 아랍어 모두에서 명사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동사가 가장 적게 사용되었다. 그러나 코란의 아랍어에서는 동사 사용이 많고, 현대 아랍어는 명사 사용 빈도가 높은 특성을 보였다. - 코란에서는 불변사류가 전체 품사 수 중 34%를 차지한다. 이는 현대 아랍어에 비해서 1.48배 많이 사용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란의 통합성지수가 현대 요르단과 한국의 아랍어 교과서의 표준 아랍어의 통합성지수보다 10% 정도 더 높은 것으로 보아, 코란의 텍스트가 현대 교과서에 사용된 표준 아랍어 보다 더 많은 문법적 정보를 가지고 있다. - 코란과 현대 표준 아랍어의 격 표지 중에는 소유격 표지 형태소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지만, 코란에서는 현대 표준 아랍어보다 연결형태가 적게 사용되어서 소유격 표현이 상대적으로 많지 않다. - 코란에서는 불변사류, 즉 지배소가 현대 교과서보다 1.48배 정도 많이 사용되어, 현대 아랍어와 달리 목적격이 주격보다 더 많이 사용되었다. - 한국 교과서가 요르단 교과서보다 의 격 표지가 적게 나타났는데, 그 이유는 외래어 인명과 지명이 많이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 한국 교과서가 초급용 교재인 점을 고려하면 주격이 가장 많은 이유를 가늠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 교과서가 초급 과정의 교재임에도 불구하고 통합성지수가 4.43이 유지된 이유는 고유명사, 형용사, 수사가 사용 빈도가 다른 텍스트에 비해서 많았기 때문이다. - 요르단의 지리 교과서는 정보적 텍스트의 특성상 대화문이 없기 때문에 대명사, 의문사, 호격사, 부정사 등의 사용이 다른 테스트에 비해서 적다. 본 연구는 코란과 현대 요르단과 한국의 아랍어 교과서를 분석, 비교한 것이다. 그러므로 코란의 고전 아랍어와 현대 아랍어 사이에 나타나는 간극과 통시적인 변화 양상을 일반화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코란의 아랍어와 현대 표준 아랍어의 차이를 연구함으로 달라진 언어 특성과 구조가 무엇인지를 부분적으로 조명하여, 향후 코란의 아랍어가 보여주는 표준성을 현대 표준 아랍어에 어떻게 반영할 것인지를 고민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이러한 연구가 완성되기 위해서는 통시적인 변화를 보다 명확하게 밝힐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즉 시대별, 단계별 아랍어 표준어의 통합성 지수를 비교 분석하면 객관적으로 어떠한 요인 때문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알 수 있다. 이처럼 보다 많은 텍스트를 연구하면 고전 아랍어와 현대 아랍어의 차이를 특정할 수 있고, 고전 아랍어의 표준성을 현대 아랍어 텍스트에서 어떻게 회복시킬 수 있을 지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아랍어에서 유래된 영어의 별 이름

        이규철 한국아랍어아랍문학회 2018 아랍어와 아랍문학 Vol.22 No.1

        지금까지 알려진 별 이름은 천 개가 넘으며 서구에서는 대부분 아랍어에서 유래된 이름을 쓰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 아랍어에서 유래된 영어의 별 이름을 고찰하였다. 먼저 음운론적 및 형태론적으로 고찰하였다. 음운론적으로는 아랍어의 문자 순으로 자음과 모음, 음절로 구별하여 살펴보았다. 이 경우에 아랍어 음운 중 영어에 없는 것은 영어의 근사음에 맞추어 표기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일부 별 이름은 라틴어를 통해서 영어에 들어왔기 때문에, 라틴어의 발음을 적용한 경우도 알 수 있었다. 형태론적 면에서는 아랍어의 관사, 연결형, 명사-형용사구로 나누어 아랍어의 단어 또는 구가 변화된 경우를 살펴볼 수 있었다. 이 경우에 아랍어의 단어 또는 구가 영어로 차용되는 과정에 문법적으로 일치하기도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살펴볼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일부 천문학 용어를 알아보고, 영어의 개별 별 이름을 그 경유 언어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별 이름은 아니더라도 이 연구의 주제에 맞추어 아랍어와 영어의 천문학 용어를 비교해 볼 수 있었다. 또한 13개의 잘 알려진 개별 별 이름을 통해서 아랍어의 별 이름이 영어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별 이름에서 아랍어에서 영어로 오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음운 법칙과 형태론적 변화를 고찰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영어를 비롯한 서구 여러 언어의 별 이름에 끼친 아랍인들의 영향이 지대함을 알 수 있었다. There are above 1,000 star names in Western World, and in most of them are derived from Arabi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of star names in English which are derived from Arabic. In the phonological aspect, Arabic consonants and vowels retained its phonetic value in English. But in some consonants which do not exist in English they are changed and represented in similar pronunciation. In some they are reflexed in the Latin pronunciation. Because the star names are introduced in English through Latin. In the morphological aspect, the words and phrases are reviewed in the phases of article, construct state and noun-adjective phrase. In some cases their forms agree with Arabic, but in other cases they disagree with Arabic and their grammaticality is violated. In the astronomical terms are examined in the aspects of non-derived and derived from Arabic. And the most well-known 13 star names are examined individually by way of alphabetical order. They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loan English, Korean meaning, Arabic meaning and the language or languages through which the star names are derived from Arabic into English.

      • KCI등재

        아랍어 연어의 개념과 유형 연구

        정규영 한국아랍어아랍문학회 2019 아랍어와 아랍문학 Vol.23 No.3

        Arabic collocations are a phenomenon which was not studied enough by the Arab scholars and Korean scholars as well. This article tries to classify the types of collocations in Arabic and present the way how to translate Arabic collocations into Korean.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compares the Arabic collocations with Korean and English if necessary. Also, this article is interested in the methods how non-native Arabic speakers are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translating collocational expressions. The researcher proposes the necessity of working on the so-called Arabic-Korean Lexicon of Collocations in the near future. 지금까지 본 연구는 연어의 개념을 조사하고 아랍어의 연어 유형 및 한국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봉착할 수 있는 몇 가지 문제점들을 고찰해보았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몇 가지 결론을 도출하였고 이를 효율적인 아랍어 교육을 위해 제안하고자 한다. 1. 연어, 숙어(Idioms), 복합어(Compounds), 속담이나 격언은 통사적, 의미론적으로 중첩되는 부분이 있으나 이에 대한 구별은 충분히 가능하다. 고정성과 가변성을 기준으로 스펙트럼 상에 표현하자면 한쪽 끝에 자유 결합(free combinations)이 있고 다른 한쪽 끝에 숙어가 있으며, 그 가운데 연어와 복합어가 놓이는 상태를 상정할 수 있다. 2. 아랍어 연어는 통사와 의미를 기준으로 크게 단일 연어, 복합 연어, 문화적 연어, 차용 연어, 전문 연어의 5가지로 나눌 수 있고 각 부류는 다시 세분이 가능하다. 이러한 분류적 접근을 통해 학습자들은 연어의 이해를 위한 기준을 가질 수 있을 것이며, 따라서 연어를 보다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3. 한 언어를 다른 언어로 번역하는 작업에는 항상 어려운 문제가 수반된다. 특히, 연어를 번역할 시 번역자들은 TL과 SL의 구조를 상호 대응시키는 방식을 택할지 아니면 전체적 의미만을 고려해 둘 가운데 하나만 고려할 지 고민하게 된다. 본 논문은 상기한 연어의 구조에 따라 중점과 번역이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4. 아랍어 교육, 특히 어휘 교육에서 연어의 중요성은 숙어나 복합어, 속담 및 격언 교육에 뒤지지 않는다. 학습자의 능동적 아랍어 학습 및 문제해결 능력을 고취시키기 위해서 아랍어 연어 사전의 제작을 제안한다.

      • KCI등재

        대학생 아랍어 학습자들의 탈 동기 요인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공지현,신기일 한국아랍어아랍문학회 2020 아랍어와 아랍문학 Vol.24 No.1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demotivation factor scale suitable for Arabic learners across Korean universities. To this end,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on 63 Arabic learners in two Korean universities. A primary questionnaire was consisted of 59 questions over 8 factors, prepared by the analysis of the preliminary survey. As a next step, 493 Arabic learners in 7 Korean universities were picked up and surveyed with the questionnaire from the previous survey. Finally, by conduct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 responses, the current study developed 46 questions of the following seven factors: learning difficulties and frustration experiences, teachers' behaviors, textbooks and teaching materials, learning instrumentality, decreased interests and confidence of learners, competition or comparison with classmates, attitudes towards target culture and native speakers. It can be emphasized that the scale developed from this study is the first ever independent scale designed to measure demotivation of Arabic learners in Korean universities. 본 연구의 목표는 한국인 대학생 아랍어 학습자에게 적합한 탈 동기 요인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63명의 대학생 아랍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열린 결말 식 예비 설문을 수행하였다. 예비 설문 응답지의 내용을 분석하고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8개 요인의 59개 문항으로 구성된 1차 설문지를 마련하였다. 다음 단계로 1차 설문지를 사용하여 493명의 대학생 아랍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본 설문을 수행하였다. 수집된 설문 응답 내용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등을 통해 최종적으로 7개 요인- 학습의 어려움과 좌절 경험, 교사의 행동, 학습 교재와 자료, 학습의 도구성, 학습자의 흥미와 자신감 저하, 동급생과의 경쟁 혹은 비교, 목표 문화와 원어민에 대한 태도- 의 46개 문항으로 구성된 대학생 아랍어 학습자들의 탈 동기 요인 척도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탈 동기 요인 척도는 한국인 대학생 아랍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최초의 독자적인 척도라는 의미를 갖는다.

      • KCI등재

        중세 번역운동에서 아랍어의 역할

        김동환 한국아랍어아랍문학회 2023 아랍어와 아랍문학 Vol.27 No.1

        Historically, there have been two major translation activities through the medium of Arabic. Both translation movements were actively developed in Baghdad of the Arab region and in Andalus of Spain, across the Mediterranean Sea for centuries, respectively. Both translation movements were very important events in the history of civilization, such as cultural exchange and knowledge transfer. Arabic works, the legacy of the first movement, served as a foundation for the intellectual growth of medieval Europe and later became one of the driving forces of the Renaissance. Arabic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two translation movements. So, when we refer to the history of translation, we cannot avoid Arabic translation movement.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ranslation movement through consideration of the historical situation and progress of the two Arabic translation movements and to compare the factors that enabled each translation movement to be strongly promoted. 역사적으로 아랍어를 매개로 하는 번역 활동은 크게 두 차례 있었다. 두 번역운동은 지중해를 사이에 두고 아랍지역의 비옥한 초생달 지역과 스페인 이베리아 반도의 안달루스에서 활발하게 각각 수 세기에 걸쳐 짧지 않은 기간에 전개되었다. 1차 번역운동은 이라크 바그다드의 바이트 알히크마를 중심으로 전개되었으며, 2차 번역운동은 스페인 톨레도의 톨레도 학파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지중해를 중심으로 동, 서 지역에서 수 세기에 걸쳐 진행되었던 1, 2차 아랍어 번역운동은 문화의 교류와 지식의 전달이라는 문명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사건이었다. 1차 운동의 유산인 아랍어 문헌들은 유럽의 지적 성장에 밑거름 역할을 했으며, 후일 르네상스의 원동력 중 하나로 자리 매김하게 된다. 두 차례 번역 운동의 중심에 아랍어가 있었으며, 우리는 번역의 역사를 언급할 때는 아랍어 번역운동을 피해 갈 수 없다. 본 연구는 두 차례의 아랍어 번역 운동의 시대적 상황과 진행 과정의 고찰을 통해 각 번역 운동의 특징을 확인하고 각 번역 운동이 강력하게 추진될 수 있었던 요인을 비교하고자 한다.

      • KCI등재

        아랍어 신문을 활용한 유도작문과 통제작문이 아랍어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중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문지영(Mun, Ji-Young) 한국아랍어아랍문학회 2017 아랍어와 아랍문학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eaching Arabic writing through guided writing by using Arabic newspapers would help intermediate level learners to develop their Arabic writing ability. The study was put into practice over 12 weeks with the different groups which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mentioned below. Firs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o studied Arabic writing with textbooks, the experimental group who studied Arabic writing with Arabic newspaper showed an increase in their grades on the post writing ability test for omnibus. In the other words the result confirmed that the guided writing activity with Arabic newspaper was more effective than with intermediate level learners’ textbooks. Also according to the surveys, the experimental group indicated that their affective domains were more positive about Arabic, Arabic writing and Arabic newspaper. Second, the results of all experimental learners’ tests displayed that teaching Arabic writing with Arabic newspapers by using the guided writing were more effective than the controlled group although individual learners had different variation in the post test for the guided writing ability in the holistic marking. Namely teaching Arabic writing with Arabic newspaper through the guided writing was more successful than teaching Arabic writing with intermediate level learners’ textbooks through the guided writing. Third, compared to the result of the controlled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indicat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their writing ability of a subordinate territory in the analysis marking. In case of the result of the experimental group, both vocabulary and organization showed to be improved while the control group, both vocabulary, language use, and mechanics indicated improvement. Although both the groups exhibited better record of vocabulary,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more statistically.

      • KCI등재

        아랍어 쓰기 교육이 아랍어 학습자의 문법과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자유작문 및 유도작문을 중심으로-

        문지영 한국아랍어아랍문학회 2020 아랍어와 아랍문학 Vol.24 No.1

        The study provided a period of free and guided writing classes for intermediate Arabic learners before assessing their learning effect with a focus on a grammaticality judgment and the use of vocabulary. To this end, the study divided the learners into two different groups - the control group that involves controlled writing activities primarily on vocabulary learning and working on grammar questions presented in the textbook in a conventional manner and the experimental group involved in writing activities mainly handling free and guided writing activiti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as a result of conducting tests on grammaticality judgment and vocabulary, respectively, among the learners as the experimental subject,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Firstly, free writing and guided writing activities have led to improving grammar skills of intermediate Arabic learners. After the 8-week experimental period, grammaticality judgment skills were improved in both groups. Based on no significant difference mad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t appeared that writing activities which are not direct grammatical practice had positive effects also on strengthening the learners’ grammatical skills. Secondly, free writing and guided writing activities were far more effective among the learners with a lower level of grammaticality judgment skills. As a result of dividing into upper and lower levels in effects of grammaticality judgement and analyzing them, the control group presented with grammatical practice demonstrated significant improvements among the learners in the upper level. On the other hand, the experimental group who was involved in activities dealing mainly with free and guided writings had significant improvements among lower-level learners. Thirdly, free and guided writing activities can help learners use vocabulary in a better way or improve vocabulary. Vocabulary improvement was not substantial due to the short duration of the experiment. However, significant improvement in vocabulary was found among lower-level learners, whereas no great improvement was seen in vocabulary among the control group. 본 연구에서는 자유작문과 유도작문 활동이 중급 아랍어 학습자의 문법능력과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통제집단에는 기존에 사용하던 문법 연습문제 풀이와 단어 뜻풀이 및 연습문제 학습을, 실험집단에는 내용면에서 교사의 통제가 가미된 유도작문과 주제에 따라 자유롭게 쓰고 싶은 내용을 써나가는 자유작문활동을 주1회 10주에 걸쳐 실시하였다. 실험 대상 학습자들에게 실험의 전과 후에 문법성 판단력과 어휘력을 측정하는 테스트를 각각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자유작문과 유도작문 활동은 중급 아랍어 학습자의 문법능력 향상을 가져왔다. 기존의 문법 연습식 통제작문 활동과 비교하여 학습자의 문법능력 신장에 대한 기여도 측면에서 뒤떨어지지 않았다. 8주간의 실험이 진행 된 후, 두 집단 모두에서 문법성 판단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직접적 문법연습이 아닌 작문활동이 학습자의 문법능력 강화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여졌다. 둘째, 자유작문과 유도작문 활동은 문법성 판단 능력이 낮은 학습자들에게 더욱 효과가 있었다. 문법성 판단의 효과에 대해 상, 하 수준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문법연습을 실시한 통제집단에서는 상위 수준의 학습자들에게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난 반면, 자유 및 유도작문 위주의 활동을 한 실험집단에서는 하위 수준의 학습자들에게서 유의미한 향상이 발견되었다. 셋째, 자유작문과 유도작문 활동은 학습자의 어휘의 사용이나 어휘력 증진에 도움이 된다. 짧은 실험기간으로 인해 어휘력 향상도가 크지는 않았지만 통제집단에서는 어휘력에서 유의미한 향상도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실험집단에서는 하위 수준의 학습자들에게서 유의미한 어휘력 향상이 나타났다.

      • KCI등재

        Arabic Simple Sentences; Study on the area of agreement and difference between Egyptian dialects and classical Arabic

        한국아랍어아랍문학회 한국아랍어아랍문학회 2015 아랍어와 아랍문학 Vol.19 No.3

        This is a study of Arabic simple sentences (nominal and verbal) and an outline of areas where agreement and disagreement occur between classical Arabic and modern Egyptian dialects. The researcher had direct discourse with communities living in the outskirts of the Fayoum district, the linguistic environment in which the researcher lives. A model was taken to be applied on the Egyptian dialects because they are distinguished into two kinds, the dialects spoken by people in the rural areas, which are characterized by distinctive dialectic features, and the dialect of the Bedouin people, which is closer to classical Arabic than the dialects of the countryside. There exists therefore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these modern dialects and their origins in ancient Arabic dialects and classical Arabic. The researcher used data from the generative approach, and the descriptive approach to support and add to the depth of this study. Mechanisms of the comparative historical approach were also adopted to deal with cases of dialectic change which have occurred over time and place, and to identify linguistic laws that have contributed to these historical changes. Similarly, comparative approach mechanisms were used to deal with topics of agreement and disagreement between the grammar and rules of the dialects, and their counterparts in classical Arabic. The following important findings have arisen from this research: The Egyptian dialects agreed with the classical Arabic language in that the verbal sentences contained two types of verbs, transitive and intransitive. The dialects also used nominal composition consisting of the predicate and the subject in simple nominal clauses as in classical Arabic,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formation of the intransitive verb which was not found in the studied environment, such as the form which was replaced by the fo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