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험디자인 기반의 브랜드 서비스 개발 사례연구 : 교보문고 핫트랙스 사례를 중심으로

        ChangHo Lee,KyungHwa Kang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2017 서비스디자인융합연구 Vol.1 No.1

        서비스 산업의 중요성이 증가됨에 따라 업계는 물론 학계에서도 다양한 서비스디자인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많은 비즈니스 및 조직은 고객과의 다양한 경험적 접점으로 이루어진 서비스 개발을 위해 경험 디자인 활용에 초점을 두고 있다. 최근 들어 서비스디자인은 사회문제 및 공공디자인 문제 해결에서 벗어나며 그 쓰임 및 범위가 확장되고 있다. 이에 따라 경험디자인은 기업 및 비즈니스와의 확장성에 대한 연구로 가치창출기반의 서비스디자인과 관련되어 연구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험에 근거한 ‘Good experience’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분석하고 실증 사례분석을 통해 서비스디자인에서의 경험과 디자인의 역할에 대한 연구 및 제언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브랜드 개발에 있어 통합적 경험 제시를 위한 서비스 디자인 측면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As the importance of the service industry has increased, research on various service design has been going on in the industry as well as in academia. Many businesses and organizations focus on using experience design to develop services with a variety of empirical contacts with customers. In recent years, service design has escaped from solving social problems and public design problems, and its use and scope are expanding. Therefore, experience design needs to be studied in relation to service design based on value creation through research on scalability with corporations and business.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researching and suggesting the role of experience and design in service design through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experience through the theoretical review of Good experience based on experience and analyzing empirical cases. Specifically, we will study the aspect of service design for presenting integrated experience in brand development.

      •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 연구 : 라이프스타일 기반 푸드큐레이션 서비스 사례를 중심으로

        JoneKeun Lee,NamKyung Kim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2017 서비스디자인융합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1인 가구와 소규모 가구의 전반적인 식생활 개선을 위한 서비스를 알아보고, 1인 가구를 위한 상품 기획에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 적용을 통해 기존의 비즈니스 모델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보다 나은 방안을 실시하고자 했다. 오늘날 1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이에 따라 소규모 가구의 식생활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먹방’, ‘쿡방’ 이라는 트랜드를 통해 1인 가구 소비자들은 직접 요리해 먹는 건강식에 관심을 보이고 있지만 1인가구나 소규모 가정의 특성상 시간적인 여유가 부족하여 요리를 위한 준비와 과정은 쉽지않다. 그러므로 밈 컴퍼니 기업은 1인 가구와 소규모 가정의 다양한 소비자를 퍼소나를 통해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을 분류하고 그에 맞는 상품을 제공하고자 했다. 그리고 푸드 큐레이션을 활용해 소비자에게 더 알맞는 서비스를 전달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소비자만을 위한 상품을 기획하는 것에 앞서 서비스제공자간의 사회적인 협력을 하고자 노력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현재 1인 가구를 위한 서비스 디자인을 제공하는 국내 사례를 보면서 서비스 제공자와 사용자의 원활한 상호작용을 위한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를 적용한 비즈니스 모델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그리고 서비스 디자인을 통해 기존 비즈니스 모델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따라서 제공자와 사용자의 연결이 어떻게 서비스 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을지 그 솔루션을 제안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a service to improve the dietary life of single-person and smaller households. To develop a concept, this project adopted a service design process in order to plan the products for those households with intent, to address the challenges resulting from the existing business model, and to propose better options. Today, the situation-increasing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implies the importance of small households’ dietary life. With the growing popularity of ‘eating and cooking programs’ on TV, single-person household consumers start to care about cooking their own healthy food. Yet, it is hard for single-person or smaller households to find time for preparing and cooking proper food. Thus, MiiM & Co intends to provide goods for single-person and smaller households by classifying their diverse consumer lifestyles via personas, and to personalize its service for consumers with food curation. In addition, to curate products customized for individual consumers, MiiM & Co seeks to facilitate the social collaboration between service providers. The present case study on the service design for single-person households suggests needs for a business model based through seamless interactions between service providers and users by applying a service design process to supplement defects of the traditional business model. Then, this project aims to propose a solution to improve the service quality by connecting service providers with users.

      • 서비스디자인프로세스를 활용한 크리에이터 굿즈 제작을 위한 사용자-공장 매칭 프로세스 제안

        SeongRim Choi,SuGyeong Ryu,BoMin Lee,NaYeong Kim,JaeIn Lee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2023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23 No.1

        본 발표논문은 아마추어, 프로 크리에이터의 굿즈 제작 과정과 제작 업체를 찾는 경로와 설문 조사와 심층인터뷰를 통해 실제 크리에이터들이 겪는 문제점이었던 공장 간 비교 과정 이슈, 결과물 의 완성도 이슈, 한정된 제작공장 정보에 대한 이슈, 업체와의 커뮤니케이션 어려움 등의 이슈들을 도출 및 분석하여 크리에이터와 공장 간의 온·오프라인 매칭 서비스에 대해 제안한다. 본 서비스는 업체와 크리에이터를 연결하는 플랫폼이며 서비스의 핵심 키워드로는 효율성, 연결, 직관적이다. 서 비스의 핵심 고객은 굿즈 제작 업체를 찾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20-30대 크리에이터이며 서비스 는 웹서비스와 오프라인 페어 서비스로 구성되어 있다. This presentation paper proposes online and offline matching services between creators and factories by deriving and analyzing issues such as comparison process issues between factories, completeness of results, limited production plan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ifficulties. This service is a platform that connects companies and creators, and the key keywords of the service are efficiency, connection, and intuitive. The core customer of the service is creators in their 20s and 30s who are having difficulty finding goods manufacturers, and the service consists of web services and offline pair services.

      • 영유아 동반 여행 고객을 위한 기내 서비스디자인 제안 : 서비스요소개발을중심으로

        Jungwoo Lee,Jongho Lee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2019 서비스디자인융합연구 Vol.3 No.1

        경험 소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여행산업도 지속적인 발전을 하고 있고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사용자에 맞춘 특화서비스 발굴에 대한 필요성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영유아 동반가족의 비행 여행경험의 불편함을 개선하고자 시작되었다. 영유아 동반 가족의 여행경험 저니맵 연구와 항공업계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과 인터뷰를 통하여 기내에서 1) 영유아 동반 여행계획 수립 문제, 2) 기내에서 영유아 보살핌 문제, 3) 기내에서 영유아 안전 관련 정보 제공 문제, 4) 타 승객에게 피해를 주는 문제 등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 동반 여행 계획수립 문제와 기내에서 영유아 보살핌 문제를 중점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유아용 아기침대와 유아용품 수납함이 결합한 형태의 제품을 제시하였고, 가족과 함께 하는 여행의 가치와 즐거움을 배가시키기 위한 FlyEASE 라는 브랜드를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본 제품과 서비스를 통하여 기존의 물리적 / 심리적 제약으로 인하여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던 영유아 가족에게도 비행기를 이용한 여행경험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With the growing interest in experience consumption, the travel industry is growing, which lead airlines to deliver specialized services for users for competitiveness. This study s initial goal was to improve the problems of families and people travelling by planes. Analyzing through journey maps of those travelling with babies and surveying people in the aviation industry I discovered following problems 1) planning stage problems of families with kids, 2) taking care of babies in aeroplanes, 3) problems concerning the safety information delivery and 4) discomfort issues of people nearby caused by babies. In this study, I suggested a combined product of a baby bassinet storage to resolve the baby caring issue on the flight and a brand named FlyEASE to enhance the values of travelling with the family. This product and service could bring wider experiences of travelling through planes to families with babies who today face limitations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 완벽한 룸메이트를 얻기 위한 룸메이트 매칭 플랫폼 서비스 연구 : 2030세대를중심으로

        Ui-Jin Lee,Seung-In Kim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2019 서비스디자인융합연구 Vol.3 No.1

        이 연구는 급증하는 1인 가구의 증가로 기존의 혼자 사는 주거 형태에서 서로의 필요, 조건에 따라 세분화하여 룸메이트를 찾을 수 있는 ‘룸메이트 매칭 플랫폼 서비스’ 제안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서비스는 부동산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면 적합하다고 판단하였고, 국내 부동산 시장의 수요를 더욱 충족시킬 수 있는 서비스라고 여겨진다. 이 연구를 통하여 향후 4차 산업 혁명으로 더 커지는 국내 부동산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중심으로 1인 가구의 초기 사회 진출을 위한 방법을 확대하고, 적합한 주거환경의 활성화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 방식은 기존의 스마트 폰에서 함께 지낼 룸메이트를 찾는다는 단순 방향에서, 다양한 조건을 가지고 우선순위를 두어 필터로 걸러내어 찾는 보다 효과적인 룸메이트 찾기 방식이다. 이 연구를 발판으로 국내 부동산 시장 활성화가 더욱 커질 수 있길 기대하며, 급증하는 1인 가구 서비스 발전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The study is aimed at proposing a roommate matching platform service which can find roommates according to the needs and conditions of each other in the form of existing single living with the surge of single - person households. These services are considered to be suitable for real estate applications and are considered to be a service that can better meet the demand of the domestic real estate market. Through this research, I intend to expand the method for the advancement of one person s household into the early social life centered on the domestic real estate application service, which is getting bigger du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future, and help to activate suitable living environment. This method is a more effective way to search for roommates by searching for a roommate to stay together on an existing smart-phone, filtering it by prioritizing it with various conditions.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help to revitalize the domestic real estate market and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rapid growth of single-person household services.

      • 개인방송 플랫폼을 활용한 사용자 콘텐츠 스쿨 서비스 제안 : 유튜브채널을 중심으로

        Seong Hun Choi,Seung In Kim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2019 서비스디자인융합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개인방송 플랫폼을 활용한 사용자 콘텐츠 스쿨 서비스 제안을 위한 연구이다. 현재 개인방송 플랫폼은 양적, 질적으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모든 세대에서 소비되는 성향을 갖고 있다. 특히 ‘유튜브’의 경우 10대에서 40대에 이르기까지 가장 많은 사용률을 나타내는 온라인 플랫폼이다. 유튜브의 사용은 단순 오락거리로써의 소비뿐만 아니라 정보의 검색, 교육 콘텐츠 소비, 자율적인 학습을 위한 창구로 활용되고 있으며 이런 추세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사용자가 주도하는 사용자 콘텐츠 스쿨을 유튜브 채널을 통해 서비스 하여 많은 계층의 사람들이 손쉽게 서비스의 제공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유튜브에서 활동하는 개인창작자와 사용자들이 함께 정보를 공유하고 함께 배우며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 수 있도록 온/오프라인 서비스를 지원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개인방송 플랫폼인 유튜브 채널과 사용자 콘텐츠 스쿨을 합쳐 새로운 다목적 교육 서비스를 제안한다. ‘유튜브 스쿨 플러스’라는 이름의 서비스를 만들어 온라인 및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온라인 UI를 제작하고 오프라인 공간의 설계와 렌더링(Rendering)을 통한 공간 디자인 콘셉트를 각 분야별 상황에 맞도록 제안한다. This study is a study for proposing user-driven school service using personal broadcasting platform. Currently, the personal broadcasting platform is growing steadily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d has a tendency to be consumed by all generations regardless of age and sex. In particular, YouTube is the online platform that shows the highest usage rates from teenage to 40s. The use of YouTube is being used not only as a source of entertainment but also as a way for information retrieval, educational content consumption, and autonomous learning, and this trend is steadily increasing. At this point, the user-driven school of the user is served through the YouTube channel, so that many users can easily provide services. It also supports on-line and off-line services so that individual creators and users on YouTube can share information, learn together, and create new content. In this regard, this study proposes a new multi - purpose educational service combining the YouTube channel and the user contents school. We create online UI to provide online and offline service by creating a service named YouTube School Plus , and propose space design concept by designing and rendering offline space according to each field.

      • 찾아가는 동 주민센터 서비스디자인 : 연희동 주민센터를 중심으로

        KyumgMi Lee,JoungYoun Lee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2017 서비스디자인융합연구 Vol.1 No.1

        이 연구는 서울시의 ‘찾아가는 동 주민센터’사업의 일환으로 서대문구 연희동 주민센터를 주민들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을 공급자 관점이 아닌 수요자 관점의 행정 공간에 대한 서비스디자인 연구이다. 서비스디자인을 통하여 기존 주민센터가 새로운 주민 커뮤니티 센터로 전환하기 위해 공간, 서비스, 커뮤니케이션을 ‘오픈 키친’이라는 하나의 서비스 콘셉트로 통합되었고 이러한 통합 모델을 통해 서울시 423개 주민센터가 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확산시키고자 한다. This is a study of service design for the community space at Yeonhee-Dong. Through the service design, the existing resident centers were integrated into a single service concept in order to transform the new resident community center into an ‘Open Kitchen’ service concept. Through this integrated model, 423 community centers in Seoul will present and disseminate directions.

      • 인공지능 서비스 플랫폼의 사례연구를 통한 UX 디자인 고찰 : 빅 데이터 활용과 플랫폼을 중심으로

        Sung Sil Kim,Young Hwan Pan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2019 서비스디자인융합연구 Vol.3 No.1

        본 연구의 배경은 4차 산업 발달 기술 중 가장 많은 화두가 되고 있는 인공지능의 기술적 의미와 기술 종류를 명확히 하고, 이를 바탕으로 산업 전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정의할 필요가 있다는 것에서 시작되었다. 인공지능 서비스의 기술 활용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 보다 더욱 긴밀하고 넓게 우리 주변의 다양한 서비스에서 활용되어지고 있는 반면, UX디자인 분야에서는 기본적인 기술에 대한 이해도도 매우 낮은 편일뿐만 아니라 해당 기술을 바탕으로 한 활용에 대한 방향도 못잡고 있는 듯하다. 이에 인공지능 기술과 활용 분야에 대한 관계를 정립하는 것은 UX디자인 관점에서 매우 필요한 요건이라고 판단되었으며, 기술들을 이해하고 유익하게 활용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우리의 자세이자 책임이라고 생각되었다. 이 연구는 인공지능기술의 원리와 빅 데이터와의 관계를 정리하고 어떤 서비스로까지 이어지는지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향후 UX디자인 분야에서 어떠한 역량과 방향을 가져가야할 지에 대해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의 방법론으로는 데이터 수집과 테스트의 한계로 인해 문헌연구와 사례조사를 통해 진행하였으며, 그 중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서비스 플랫폼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향후 미래 디자인에 대한 기술적 해석과 발상에 도움이 되길 기대하며, UX디자이너로써의 역량과 통찰력에 대해 재조명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began with the need to clarify the technical meaning and type of technology in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is the most talked about among the 4th industrial development technologies, and to define how it affects the industry as a whole. While the use of technology in artificial intelligence services is being used more closely and widely than we think, in the UX design field, understanding of the basic technology is also very low, and the direction of its use based on that technology seems to be poor. It was judged that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I technology and utilization areas is a very necessary requirement from the UX design perspective, and that it is our position and responsibility to understand and utilize the technologies wisely. The study aims to outline the principl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its relationship to big data and show what capabilities and directions to take in the future UX design area by studying what services it leads to.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studies due to limitations in data collection and testing, and was centered on big data and AI service platform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Hopefully, it will help us interpret and think about future designs, and it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our capabilities and insights as UX designers.

      • 자동차 감정 표현을 활용한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의 감정 선호도 분석 연구

        Young Jin Kim,Hoon Sik Yoo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2019 서비스디자인융합연구 Vol.3 No.2

        이 연구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감정 기반의 서비스를 자동차에서 제공하기 위한 HMI(Human Machine Interaction)를 설계함에 있어서 사용자들이 가지는 감정의 선호도를 한국인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서 20~60대 한국 사용자 160명을 대상으로 서베이 방식의 조사를 수행하였다. 자동차의 감정표현은 테이어의 2차원 감정모델을 기반으로 총 12개를 선정하였으며, 각 감정에 대한 선호도를 리커트 5점 척도로 수집하였고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자동차의 감정표현에 대해서 사용자들이 가지는 선호도를 분석할 수 있었다. 특별히 이에 대해서 한국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기 때문에 자동차 제조사에게 있어서 한국인에 대하여 어떠한 전략을 가지고 접근해야 하는지에 대한 가이드라인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자동차에서 감정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자동차 감정 표현이 어떠한 감정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한 사용자 조사기반의 가이드를 개발했다는데 의의와 가치를 가진다. This research is aimed to analyze the consumer preference of emotion in designing HMI(Human Machine Interaction) in order to provide emotion-based service in vehicles. A total of 160 Korean users in their age between 20s and 60s participated in the survey for this research. 12 emotions of vehicles were selected based on Thayer’s 2-D emotion model and the preference of each emotion was collected by 5 Likert scale. The result was also used to analyze the consumer preference on emotion of vehicles. This in particular can provide a guideline for car manufacturers on how to build local strategies in Korea, for the research is focused on Koreans. In sum,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lies in developing survey-based guidance on what kind of emotion should be considered in providing emotion-based service in vehicles.

      • 국제 디자인 워크숍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연구 : 디자인워크(Design Walk)를 중심으로

        Chaemoon Yoo,Jeon Hyemi,YoungHwan Pan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2021 서비스디자인융합연구 Vol.5 No.1

        많은 기업에서 글로벌 감각을 갖춘 인재들을 요구함에 따라 대학 교육은 기존의 수동적인 교수식 수업에서 능동적 참여 수업으로 수업의 방식이 변화하며 그에 따른 교육 프로그램의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글로벌 디자인 워크숍은 다양한 나라의 디자인 전공 학생들이 만나 짧은 기간에 주제에 맞춰 문제점을 찾고 해결하는 서비스 디자인 과정을 배우는 교육 프로그램이다. 2016년부터 국민대학교에서 진행되었던 글로벌 디자인워크숍 사례를 기반으로 연구하여, 효과적인 글로벌 워크숍 기획을 위한 중요 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고려사항을 정리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고려사항들은 글로벌디자인워크숍 기획 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s many companies require talented people with a global sense, college education changes the way of classes from conventional passive teaching classes to active participation classes, and it is time to think about education programs accordingly. The Global Design Workshop is an educational program where students majoring in design from various countries meet to learn service design courses that find and solve problems according to the topic in a short period of time. Based on the case of a global design workshop held at Kookmin University since 2016, it was intended to derive important elements for effective global workshop planning and to organize considerations based on it. The consideration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reference materials for the planning of global design worksho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