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ilton`s Utopian Vision : A Preface 유토피아적 비전의 정위 (定位)

        Lee, Jong Woo 한국밀턴학회 1997 중세근세영문학 Vol.7 No.-

        밀턴의 현실인식에 대한 대부분의 논의는 그의 입장을 목적론과 현실론 혹은 이상론과 현실론으로 대별하고 그에 기초해서 전개되고 있지만 밀턴의 인식자체의 복잡성 때문이든 아니면 논의의 편향성 때문이든 일정한 결론에 쉽사리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밀턴의 정치적 입장을 한마디로 규정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이기도 하다. 다만 분명한 것은 당대를 고민하며 살아가는 지식인으로서 그리고 글쓰기에서 자신의 진정한 소명을 발견한 시인으로서 밀턴이 던졌던 질문 즉 '나는 지금 무엇을 해야 하는가'라는 형식으로 정식화된 물음을 묻는 방식과 그것을 답하는 과정에서 보여주는 치열성에서 그가 역사적 현실에 대한 애정과 관심을 끊임없이 표명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를테면 1640-60년대 영국의 복잡한 정치적 현실에서 밀턴은 역사적 진로에 대한 확고한 전망을 보여주고 있으며 왕정복고 이후에도 정치적 신념이 다소 흔들리긴 했지만 새롭게 맞이한 변화된 현설에 대한 애착을 포기하지 않는다. 이 현실참여 과정에서 밀턴의 유토피아적 비전은 그의 이상이 당위적으로 실현하고자 하는 개선된 현실과 실제적 현실을 매개하는 이론적 기초로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문제는 유토피아적 비전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라는 데 있다. 밀턴의 현실인식을 논의할 때 이 용어가 차지하는 중요성을 성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것을 정의하기에 앞서 한 가지 짚고 넘어가야할 점이 있다. 그것은 현실론자였으며 동시에 목적론자였던 밀턴의 현실인식이 양자간의 갈등보다는 오히려 이들 사이에서 생기는 긴장성과 고정되지 않는 역동성에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그리고 이 역동성을 실질적으로 가능하게 했던 힘이 바로 그의 유토피아적 비전과 그 비전이 품은 튼실한 생산적 전망이라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를테면 이러한 유토피아적 비전은 밀턴이 현실문제를 솔직히 제기하고 이에 대한 가장 올바른 대답을 모색하는 자세와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되며 나아가 그의 이러한 비전을 통해 우리는 그의 현실대응방식이 얼마나 유효한지를 따져보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유토피아적'이란 용어는 논리성을 결여한 단순한 꿈이라든지 혹은 비실제적 공상으로서 제시되는 현실도피적 방향성을 내포하고 있는 개념이 아니라, 당대의 역사적 현실이 안고 있는 커다란 사회적 문제들에 대한 숙고의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현실변혁에 대한 의지를 함축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될 필요가 있다. 이런 점에서 만하임의 분석은 자못 시사적이다. 그는 역사과정을 이데올로기와 유토피아의 순환과정으로 파악하고 있는데 이는 밀턴의 유토피아적인 비전을 설명하기 의해 필요한 이론적 준거의 틀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만하임은 역사의 변동은 존재상황의 변화에서 유래하지만 그 변화는 현존질서를 은폐하기 위한 이데올로기와 다른 한편에서 그것을 부정하고 개혁하려는 유토피아 의식간의 갈등속에서 진행된다고 본다. 만하임의 이러한 주장이 어느정도 논리적 설득력을 가지고 있는지는 좀더 따져보아야겠지만, 우리가 밀턴의 유토피아적 비전을 현실변혁에 창조적으로 개입하는 정신적역량 또는 의식이라고 정의내리고자 한다면, 『이데올로기와 유토피아』에서 만하임이 강조하고 있는 유토피아 개념은 분명히 밀턴의 유토피아적 비전의 존재방식을 구명하는데 긴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핵심은 유토피아에 대한 밀턴의 입장이다. 1640년대 초·중반 산문에서 드러나듯 그의 생각은 때때로 애매모호하고 이중적이기까지 하다. 일부 산문에서 밀턴은 모어나 베이컨이 쓴 유토피아에 관한 작품들을 '고귀한 발견'이라고 칭찬하고 있지만 다른 산문에서는 현실도피적인 발상이라고 비난한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유토피아적 비전이 지니고 있는 변혁적 성격을 밀턴이 인정하고 있으며 실제로 그것을 통해 당시의 역사적 현실을 조망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조망은 시민혁명, 공화국 건설, 왕정복고등 정치적 변혁의 소용돌이 속에서 유토피아 의식에 기초하여 당시의 역사적 흐름을 부정 또는 긍정하는 그의 현실진단에서 잘 나타난다. 말하자면 시민혁명 발발이후 언론출판의 자유보장을 위한 노력, 폭군살해의 정당성 주장, 공화국 재건을 위한 긴요한 제언등 정치적 진로의 올바른 방향모색을 위한 강한 의지를 표명하면서 밀턴은 유토피아적 비전을 통해 현실에 대한 예민한 관심을 보이는 것이다. 이러한 관심은 밀턴자신이 글을 쓰는 목적이 동시대의 민감한 문제의식과 절연될 수 없음을 확인시켜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렇게 볼 때 시대적 제약과 가치관 그리고 허위에 찬 사회현상의 모순을 꿰뚫어 보고자하는 밀턴의 노력속에 그의 유토피아적 비전이 자리잡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1660 년의 밀턴

        박상익 한국밀턴학회 2001 중세근세영문학 Vol.11 No.2

        The details of what happened to Milton immediately following the Restoration is not widely known. It is the object of this paper to trace the details of Milton's life as he went through the ordeals of 1660 and to suggest how this experience feeds through to the writing of the major poems. On top of his defenses of the regicide, Milton had further marked himself for retaliation by publishing The Readie and Easie Way, and was forced into hiding when Charles returned to claim his throne. Milton waited in darkness as Parliament sat in session to discuss the fate of the Republicans. With the intercession of friends, he was spared from the original list of those who were to be punished "short of death," but the relief was short-lived. His books were publicly burned by a hangman, and shortly after he was arrested. The short months through which he miraculously survived provide a background to the dark, contemplative side of his later poems. Too often the human ordeal has been slighted in favor of political and ideological interpretations of the poems, but the pain of surviving through the turbulent first months of the Restoration, with the knowledge that England's cause is irrevocably lost, should once again be considered in the reading of the poems. The crowds gathering for a spectacle in the temple of Dagon and the increasingly diminishing angels in Hell should be easily recognizable from the crowds gathering in the Tyburn for the grisly spectacle and the moral diminishment of Parliament, for which Milton had held such hop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