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Karl Barth as a Scholar and Interpreter of John Calvin
Kang, Joseph J. 칼빈대학교 2004 칼빈論壇 Vol.2004 No.-
칼빈은 거대한 폭포, 원시림, 마력적인 힘, 거대한 산 히말라야로부터 직접 내려오는 어떤 것 절대적으로 중국적이며, 경이스럽고, 신화적인 그 어떤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네; 1922년 괴팅엔(Go¨ttingen) 대학교에서 여름 학기 강의를 칼빈의 신학으로 준비하면서 - 사실상 칼 바르트의 괴팅엔 대학에서의 첫 번째 임무 중 하나는 개혁자들의 신학에 대한 강의를 준비하는 것이었다 - 그의 친구 에드아르드 투루나이젠(Eduard Thurneysen)에게 쓴 편지의 일부이다. 이러한 사실적이며, 프란쯔 카프카적인 서술이 칼빈에 대해 항거할 수 없는 엄청난 충격에 대한 서술로 다음과 같이 이어지고 있다. “나는 그것을 적절하게 제시하여 언급하는 것은 고사하고, 심지어 이러한 현상을 소화해 낼 수 있는 수단, 흡입관을 전혀 가지고 있지 못하고 있네. 내가 받아들은 것은 단지 가늘고 작은 개울물일 뿐이고, 그때 내가 다시 내보낼 수 있는 것은 단지 이 작은 개울물 중에서도 훨씬 더 가늘어진 추출물일 뿐이네, 어쨌든 나는 즐겁고 그리고 유익하게 나의 생애의 남은 세월들을 칼빈과 함께 보내고 헌신 할 수 있을 것 같네” 칼 바르트 이러한 천명에 대한 결실은 「칼빈의 신학」 (Die Thologie Calvins) 이라는 552 페이지의 책으로 출간되었다. 필자는 본고에서 신 칼빈주의자로서의 칼빈학자이며 또한 기독론 지향적인 칼빈의 해석학자로서의 칼 바르트의 신학에 대하여 칼빈과의 첫 번째 조우(遭遇)로부터 시작하여, 칼빈의 신학에 대한 동의하는 점과 동의하지 못하는 점을 중요한 모티프로 설정하여 칼 바르트 신학의 신학적 방법론(Theologische Methode), 칼 바르트의 성경원리(Schriftprinzip) 그리고 선택교리(Doctrine of Election)에 대하여 그의 대표적 저작인 「교회 교의학」(Kirchliche Dogmatik)을 중심으로 논구했다. 결국 칼 바르트는 1959년 칼빈에 대하여 마르틴 루터와는 달리 칼빈은 천재는 아니었으나 의식있는 해석자였으며 완고하나 집요한 사상가였고, 동시에 교회에서의 그리스도인의 삶의 실천에 지칠줄 모르는 관심을 지닌 신학자요, 훌륭한 선생이었다고 평가하면서 그리스도인들과 신학자들은 칼빈의 「기독교 강요」에 대한 진지한 학습자가 되어야 하며 진리에 대한 추구에 자신의눈과 귀를 사용하려는 지대한 관심 속에서 칼빈주의자(Calvinist)가 될 수 있었다고 바르트는 고백하고 있다.
이현주 칼빈대학교 2023 칼빈논단 Vol.- No.4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가상적 사태에서 도덕판단을 측정하는 일반적 도덕성과 실제적 사태에서 자신과 밀접한 관계에서 도덕판단하는 맥락적 도덕성에서 배경변인 및 관계맥락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1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WIN 2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의 일반적 도덕성의 배려지향성, 정의지향성과 맥락적 도덕성의 배려지향성, 정의지향성 경향을 살펴본 결과, 일반적 도덕성의 정의지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적 도덕성의 배려지향성, 맥락적 도덕성의 배려지향성, 맥락적 도덕성의 정의지향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배경변인들 중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일반적 도덕성의 배려지향성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대학생의 배경 변인에 따른 맥락적 도덕성의 정의지향성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맥락적 도덕성의 정의지향성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종교가 있는 집단이 종교가 없는 집단보다 정의지향성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배경변인, 관계맥락이 일반적 도덕성(배려지향성, 정의지향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부모관계 맥락이 있는 행동일수록 그리고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일반적 도덕성의 배려지향성을 많이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관계, 교사관계 맥락의 행동에서도 일반적 도덕성의 정의지향성을 높게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배경변인, 관계맥락이 맥락적 도덕성(배려지향성, 정의지향성)에 미치는 상대적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부모관계, 교사관계의 행동일 수록 맥락적 도덕성의 배려지향성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관계, 형제관계, 친구관계, 교사관계의 행동일 수록 그리고 종교가 있는 집단이 맥락적 도덕성의 정의지향성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칼빈과 니버의 정치 사상 : 정치 권력과 그 한계를 중심으로
임종헌 칼빈대학교 2024 칼빈논단 Vol.- No.44
본 논문에서는 존 칼빈(Jean Calvin)과 라인홀드 니버(Reinhold Niebuhr)의 정치 사상을 “신의 종복으로서의 국가”, “정부 형태”, “모든 영혼을 더 높은 권세에 복속케 하자”, “우리는 인간보다는 하나님께 복종해야 한다”의 네가지 주요 개념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두 사상가는 모두 국가를 신의 섭리 하에 사회 질서와 정의를 유지하는 도구로 보았으나, 접근 방식과 강조점에서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칼빈은 16세기 종교개혁 시대의 신정주의적 관점에서 국가와 교회의 긴밀한 협력을 강조하며, 정부가 하나님의 법을 준수할 때 복종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저항할 권리를 주장했다. 그는 혼합 정부 형태를 선호하며, 종교적 통일성과 도덕적 순수성을 유지하기 위해 제한적 관용을 지지했다. 칼빈의 사상은 현대 법치주의와 형평주의에 중요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며, 교회와 국가의 협력을 통해 사회적 질서를 유지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반면 니버는 20세기 기독교 현실주의의 대표자로서, 정치 권력의 불완전성과 인간의 죄성을 인정하며, 권력 남용을 방지하기 위한 견제와 균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민주주의의 실용적 관용과 정치적 타협을 중시하며, 다원적 사회에서 다양한 신념과 이념을 수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보았다. 니버의 사상은 현대 정치 현실에서 윤리적 결정과 권력 통제를 위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하며, 국제 정치 이론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칼빈과 니버의 정치 사상 비교는 기독교적 원칙이 정치권력과 정부의 역할을 이해하는 데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심도 있게 탐구하는데 기여한다. 칼빈의 신정주의적 접근과 니버의 현실주의적 접근은 각각 현대 사회의 법치주의와 다원주의를 이해하는 데 유용한 이론적 틀을 제공한다. 이들의 사상은 기독교와 정치의 상호작용, 도덕적 책임, 권력의 한계와 견제 등 현대 사회가 직면한 복잡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중요한 학문적 및 실천적 의미를 지닌다.
개혁주의의 본류와 지류에 관한 연구 : 칼빈과 카이퍼의 ‘세상관’을 중심으로
이봉근 칼빈대학교 2022 칼빈논단 Vol.- No.42
16세기 종교개혁운동에 근착되어 형성된 ‘개혁주의’는 자신의 사상과 방법론으로 개혁주의의 본류인 칼빈의 사상과 방법론을 수정한 다양한 지류를 낳았다. 이러한 현상을 본고에서는 ‘신앙고백주의’로 설명하였다. 나아가 조지 말스덴의 논의에 기초하여 개혁주의의 세 지류를 소개하였고, 마지막으로 개혁주의의 본류인 칼빈과 본류화된 지류인 카이퍼의 ‘세상관’을 통해서 본류와 지류가 어떻게 같은 물길 안에 있는지를 고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