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케어매니지먼트 연구동향과 정신보건영역에의 시사점

        두진영 지역사회정신보건학회 2009 지역사회정신보건 Vol.1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rend of researches about care management in Korea through analysis of a doctoral dissertation and journals published from 1995 to 2008. A total of 60 articles were analyzed with according to periodic by standard with afterwords confirmed a same research tre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introduction period (1995∼1999), the major part of the research was to inform the necessity and the reasonability of introduction of care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doc-ument research and case research and there was a development of a model for the care management that fits senior citizens and the handicaps. Second, in the development period (2000∼2004), there was an effective research conducted, applying care management which has been introduced in the introduction period to the various sites where social welfare was realized along with researches for the development of a model and programs for the mentally handicapped people. Third, To fixation period (2005∼2008) there is an aged persons' long-term medical treatment insurance system so the research regarding the policy related to it's conveyance structure and system itself were increased rapidly so that it has attempted the making of an assessment tool. It was an gradual expansion period of the objects which is applied to the care-management into the local social welfare center, etc., but the patients of mental disorder area were showing a decreasing trend. Also observed the result educational system characteristic of care management research and the duty and a major field of study of researcher and in order to see investigated to observe the research trend which follows in data analytical method tried. Result of the research which sees in end with character presented the current point of mental health from conclusion and discussion.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케어매니지먼트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을 살펴봄으로 정신보건영역에의 시사점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술진흥재단 등재 및 등재후보 학술지에 게재된 케어매니지먼트 관련논문 50편과 박사학위논문 10편을 포함하여 총 60편을 선정하여 시대별 기준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동향을 확인하였다. 첫째, 도입기(1995년∼1999년)에는 케어매니지먼트를 국내에 알리는 차원에서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통해 케어매니지먼트의 도입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알리는 연구가 주를 이루면서 노인과 장애인 대상의 맞는 케어매니지먼트 모형개발이 있었다. 둘째, 발전기(2000년∼2004년)에는 정신장애인에 따른 모형개발연구와 프로그램개발연구와 더불어 도입기에 소개된 케어매니지먼트를 다양한 사회복지 실천현장에 적용한 효과성 연구가 있었다. 셋째, 정착기(2005년∼2008년)에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있어 전달체계와 관련된 정책과 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급증하면서 한국적 실정에 맞는 사정도구개발을 시도하였으며 케어매니지먼트를 적용한 연구대상이 지역사회복지관 등으로 점차 확장되는 시기였지만 정신장애인영역에서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또한 케어매니지먼트 연구의 협업성과 학제성을 살펴보기 위해 연구자의 직책과 전공분야를 고찰하였고 자료분석 방법에 따른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정신보건 영역의 시사점을 결론 및 논의에서 제시하였다.

      •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이 정서행동문제 청소년의 자기표현 및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두진영 (Du, Jin-Young) 지역사회정신보건학회 2008 지역사회정신보건 Vol.14 No.-

        본 연구는 소아청소년정신과 외래진료를 이용하는 정서행동문제 청소년들의 자기표현과 공감능력 향상을 위해 의사소통훈련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정신보건 임상실천의 효과성을 입증한 연구이다. 개입대상은 정서행동문제 청소년 6명이었으며, 연구설계는 단일체계설계로 20일간의 기초선 단계(A)와 50일 동안 주1회씩 총8회의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B)으로 구성된 AB설계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 청소년의 가장 큰 어려움인 자기표현과 공감능력을 표적문제로 규정하여 사전-사후 검사와 개입에 따른 연구대상의 변화를 관찰자 척도로 확인하였고, 6명의 서로 다른 문제행동을 개선하기 위해 가족의 욕구에 따른 개별적인 치료목적을 세우고 이를 평가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가족들의 도움을 받아 연구대상자의 개별화된 문제행동여부를 평가하였다. 결과의 분석은 사전사후검사와 관찰자의 시각적 분석과 통계적 분석이 사용되었다. 통계적 분석은 SINGWIN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기상관(Autocorrelation)의 여부를 확인하고, 비율/빈도 분석과 효과크기를 통해 통계적인 유의미성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 6명 모두 자기표현과 공감능력이 향상되었고, 의사소통훈련 개입에 따른 반응턱도에서 2-4배 향상되는 시각적 효과가 나타났으며, 연구대상자의 개별화된 평가에 따른 비율/빈도 분석과 효과크기에서 31~50% 이상 문제행동이 감소하고 긍정적인 행동이 증가하는 모습이 관찰된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정신보건 임상현장에서 신속한 개입 때문에 비교집단을 모집하기 어려운 한계로 인해 임상실천의 효과성 검증을 포기하는 안타까운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실험집단만으로도 연구의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는 지속적인 노력을 할 수 있기를 제언한다. 또한 정서행동문제 청소년들에게 의사소통훈련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자기표현과 공감능력이 향상된 결과 이는 학습과 훈련으로 의사소통능력 개선이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한 것으로 향후 임상사회복지실천 영역에서는 청소년들의 자기주도성 향상에 맞춘 개입이 필요함을 설명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