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종교문화원형 활용 현황과 과제

        이재수 ( Jae-soo Lee )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구 한신인문학연구소) 2014 종교문화연구 Vol.- No.22

        본 논문은 문화의 세기인 21세기에 종교문화가 얼마만큼 중요한 것인지를 고민하고, 향후 발전방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서 현재한국의 종교문화와 종교문화원형 활용의 현황과 앞으로의 과제를 논의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본 논의에서 종교문화원형의 범위를 활용의 측면에 맞추어 설정하였고,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종교문화원형에 대해서 공공재의 성격을 지닌 문화자원이라는 점, 복합적 활용을 위한 문화상품, 문화콘텐츠제작 등으로 접근할 수 있다고 밝혔다. 종교문화원형을 활용하는 데는 종교문화콘텐츠의 가치체계인 종교성, 공공성, 대중성의 세 가지 특징을 모두 지니고, 이 가치를 모두 실현할 수 있어야 한다. 논자는 한국의 종교문화원형의 활용의 현황을 문화콘텐츠형, 공간기반형, 체험지향형으로 분류하여 활용의 성공사례를 살펴보았다. 본 논의를 통해 한국과 같은 다문화, 다종교사회에서 종교문화원형이 지니는 가치와 다양한 활용의 사례를 유형별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종교문화원형의 가치를 더욱 높이고, 과거의 전통에서 현재로 나아가 미래를 향해 문화변동을 이끌어나가는 데 길잡이로 삼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religious culture in the 21st century as the century of culture, to investigate how it may be developed in the future, and to serve as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the actual status of using the existing Korean religious culture and religious culture archetypes and for discussing future tasks. The religious culture archetypes are cultural resources as public goods and could be approached by cultural goods for multiple applications and production of culture contents. For application of the religious culture archetypes,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religiosity, publicness and popularity as the value system of contents of religious culture should be included and all of the values should be realized. I investigated successful cases of the applications by classifying the actual status of application of Korean religious culture archetypes into culture contents, space-based type, and experience-oriented type. In this study the author identified values of the religious culture archetypes in multi-cultural and multi-religious society of Korea and various cases of application. This study may serve as basic data for enhancing the values of the religious culture archetypes and for promoting cultural transformation from the past tradition through the present for the future.

      • KCI등재

        한국 성보박물관의 현황과 과제

        이재수 ( Jae-soo Lee )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구 한신인문학연구소) 2015 종교문화연구 Vol.- No.24

        본 논의는 한국의 종교박물관 가운데 불교와 관련된 성보박물관의 현황을 살피고, 향후 발전 방향과 과제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성보박물관은 불교의 종교적 기능과 역할을 위한 것에만 국한하지 않는다. 과거의 종교활동의 결과를 담은 유물보존 전시장을 넘어서 현재와 미래의 소통의 공간이라는 종교문화적 가치에 주목하였다. 아울러 박물관의 연구 교육과 관람자의 체험과 참여하는 문화생산의 열린 공간으로 자리 잡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현재 우리나라 종교박물관 119개소 중불교박물관이 59개소로 가장 많으며, 개신교 33개소, 천주교 8개소 순이었다. 이 중 불교관련 박물관 27곳을 선별해 운영현황과 프로그램 등의자료를 검토하였다. 이 가운데 주목할 만한 사례로 통도사성보박물관의 현황과 운영 프로그램을 살펴보았다. 성보박물관은 박물관에 대한 교육과 운영관리 시스템의 정비라는 기본적인 문제가 있다. 성보박물관의 올바른 활용을 위해서는 종교문화콘텐츠 학문적 체계를 세우고 종교문화원형의 복합적인 활용을 위한 연구와 협력이 필요하다. 종교적 경험을 나누는 콘텐츠와 프로그램은 물론 종교문화의 디지털콘텐츠화를 통한 공공적 활용체계를 수립해야 한다. 이러한 성보박물관의 기능과 역할의 검토를 통해, 과거 종교문화의 전통을 계승하고 발전시켜 대중들과 향유하고 그 가치를 나누는 데 이바지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sent status of Seongbo(聖寶) museum related to Buddhism out of religious museums in Korea and to elicit the developmental direction and the task henceforth. Seongbo museum isn``t confined only to the aim for religious function and role of Buddhism. Beyond the exhibition hall of preserving the relics that contained the results of religious activities in the past, the attention was paid to the religious and cultural value called the space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present and future. In addition, it was asserted to be necessarily positioned as the open space of producing culture for the research education of museum and for a viewer``s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It was the largest in Buddhist museum with 59 places among 119 religious museums in our country as of now. It was in order of protestantism with 33 places and Catholicism with 8 places. It selected 27 museums related to Buddhism out of this and examined data such as the present condition of operation and a program. As a case enough to be noted in the middle of this, the current state and the operating program of Tongdosa Seongbo museum were examined. Seongbo museum has a basic problem dubbed the education and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maintenance for museum. For the right utilization of Seongbo museum, a research and cooperation are needed for establishing academic system of religious cultural contents and for complexly using the religious cultural archetype. The public-interest utilization system needs to be established through the digital contents pattern in religious culture as well as contents and a program of sharing religious experience. This examination about function and role of Seongbo museum will contribute to enjoying it with people and sharing its value by succeeding to and developing the tradition of religious culture in the past.

      • KCI등재

        특집논문 1 : 종교문화 개념의 등장과 그 배경: 소전 정진홍의 종교문화 개념의 의미

        장석만 ( Suk Man Jang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13 종교문화비평 Vol.24 No.24

        한국에서 종교문화의 개념이 확산되는데 크게 기여를 한 학자가 바로 소전(素田) 정진홍 교수다. 그는 종교라는 개념의 역사성과 한계를 지적하면서 새로운 개념의 창출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새 언어의 창출은 당장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므로 당분간 종교 개념의 사용은 어쩔 수 없다고 말한다. “종교문화”라는 개념은 이 두 가지의 상황 즉 새로운 서술범주에 대한 열망과 종교라는 용어를 당분간 사용할 수밖에 없는 것의 긴장 속에서 등장하였다. 소전은 종교문화라는 개념을 사용함으로써, 종교 개념 안에 함축되어 있던 두 가지의 연구 방향 즉 개별 종교의 전통에 따라 연구하는 것과 인류의 보편적 관점을 강조하는 연구를 모두 극복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이런 연구는 기존 담론과 기존 질문의 틀에 묶여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가 제시하는 연구의 방향은 “나의 경험 및 기억”에 뿌리를 두고, 물음 주체의 역사적 현실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소전의 이런 강조점은 종교문화라는 개념도 잠정적일 수밖에 없음을 함축하고 있다. Prof. Chinhong Chung ha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the notion of “종교문화” (Religious Culture or Religion in Culture) in Korea. He notes the inherent limitations of the concept of “종교”(religion) and aspires to find alternatives to it. However, he admits that one cannot avoid the use of the concept of religion in the foreseeable future, as the construction of new abstract ideas will take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The perception of “종교문화” has emerged in his theoretical constructions out of this dilemma. By using the idea of “종교문화”, he has tried to overcome two academic directions that are implied in the current concept of religion, which sets conditions which cause people to focus on both the individual religious traditions and the universal dimension of human religiosity. Prof. Chung is very critical of both approaches in the research of Religious Studies. In his view, these attitudes strengthen the established conceptual frameworks and close other possible perspectives. His alternative is to emphasize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questioning subject and the importance of “my personal experiences and memory.” Such a view also leads him to accept the vision of “종교문화” only on a tentative basis.

      • KCI등재

        한국종교문화의 역동적 이해

        박종천 ( Jong-chun Park )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구 한신인문학연구소) 2014 종교문화연구 Vol.- No.22

        한국종교문화에 대한 접근은 대체로 ‘본질주의적 한국종교론’과 ‘유형론적 한국종교사’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전자가 ‘한국종교’(Korean Religion)라는 추상적 개념에서 한국적 종교성의 원형적 구조를 탐색하여 한국종교문화의 개성을 설명하는 것이라면, 후자는 ‘한국의 종교들’(religions in Korea)이라는 구체적 현상에서 출발하여 한국종교문화의 에토스 유형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양자는, 비록 접근방식에서 분명한 차이를 보이지만, 총체적/포용적 영성을 한국종교문화의 에토스로 서술한다는 점에서 수렴한다. 그러나 양자는 각각 구체적인 역사적 맥락에 따른 문화적 양상의 다양성과 복합성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거나 문화접변에 따른 문화의 상호변용을 적절하게 다루지 못한 채 선험적인 고유성 가정에 근거한 정태적인 이해와 일방적인 자문화중심주의의 한계를 노출하고 있다.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본고에서는 문화접변에 따른 상호문화적 변용의 역사적 전개양상, 공식종교와 민간종교 사이에서 일어나는 역동적 긴장관계, 한국적 영성의 중층적 다양성과 문화적 복합성을 주목할 것 등을 집중적으로 검토하면서 상호문화적 접근과 역사적 유형론의 재구성을 중심으로 한국종교문화에 대한 역동적 이해를 제안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riticize the existing approaches of religious culture in Korea. The representative existing approaches are essentialistic discourses of Korean Religion and typological histories of religions in Korea. The former focuses the essence of Korean Religion and original structure of Korean religiosity, while the latter clarifies some typological ethoses of religions in Korea. Both approaches accentuate inclusive religiosity and holistic spirituality of Korean religions, but lead to the problems of ethnocentric nationalism and non-empirical oversimplification.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 propose the necessity of new approach focussing intercultural influences, historical changes, and cultural dynamics of religions in Korea. The new approach is to clarify the relation between historical changes of religious culture and cultural assimilation, the dynamic tension between official religion and popular religion, and the multi-layered diversity and cultural complexity of Korean spirituality.

      • KCI등재

        종교학과 문화비평의 관계에 대한 성찰과 전망

        김윤성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 2019 종교문화연구 Vol.- No.33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ouse a new concern for the role of religious studies as a culture critique project. Although the role of religious studies as culture critique once attracted great attention for a new way out, there have been few elaborate discussions on the theories and methods for the culture critique of religious studies. This thesis is an attempt for such a meta discussion. For this, first, I analyse the works of Chung Chinhong and Jang Sukman. In Korea, Chung invented the terminology of ‘Jonggyo munhwa (religious culture)’ and Jang proposed the necessity of culture critique for religious studies. I compare Chung and Jang to find their commonness and difference. Next, I analyse the works of Jang Sukman, Park Gyutae and Shin Kwangcheol, all of whom discussed the relation between religious studies and culture critique in three different point of views. Lastly, I analyse how Chung Chinhong lies in the crossroads of the discussions of Jang, Park, and Shin. Through this, I suggest a new vision for the culture critique project of religious studies. 이 글의 목적은 종교학의 문화비평 기획에 대한 시들해진 관심을 새롭게 불러일으키려는 데 있다. 종교학의 문화비평 기획은 한때 종교학의 새로운 활로로 많은 관심을 끌었지만, 치밀한 논의의 결여와 구체적 작업의 부족으로 역할 선언과 파편적 개별 연구를 넘어 종교학적 문화비평의 이론과 방법에 대한 메타적 성찰이 별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글은 이러한 메타적 논의를 위한 시론이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에서 ‘종교문화’라는 용어를 창안함으로써 종교학적 문화비평의 가능성을 연 정진홍의 작업과 문화연구의 이론적 논의를 통해 종교학적 문화비평을 본격화한 장석만의 작업이 어떻게 서로 상통하면서도 다른지를 분석한다. 이어서, 종교학과 문화비평의 관계에 대한 나름의 분석을 개진했던 장석만, 박규태, 신광철의 논의가 보여주는 승계와 분화의 양상을 분석한다. 끝으로, 이 세 사람의 교차점에 정진홍이라는 준거점이 놓여 있는 양상을 분석하고 종교학적 문화비평이 넘어서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평가한다. 이를 통해 종교학적 문화비평 기획의 새로운 전망을 위한 토대를 다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종교학분야 학술지 분석에 따른 연구경향과 과제 -대학부설 연구소 발간 학술지를 중심으로-

        박종수 ( Jong Soo Park )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구 한신인문학연구소) 2014 종교문화연구 Vol.- No.2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부설 종교학 관련 연구소에서 발행하는 학술지를 대상으로 그 연구경향을 분석하여 향후 발전을 위한 과제를 제언하는 것이다. 연구대상 학술지는 서울대와 한신대 부설 연구소에서 각각 발간하고 있는 『종교와 문화』와 『종교문화연구』이다. 본 연구는 거시적 측면에서 두 학술지의 내용을 분석했으며, 수록논문 426편을 대상으로 연구주제, 연구목적, 연구범위, 연구방법에 따른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두 학술지는 각 대학부설 연구소의 설립목적을 반영하고 있어서, 『종교와 문화』에는 종교학이론 및 종교전통 관련의 논문, 『종교문화연구』에는 종교학 및 종교문화 관련의 논문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연구범위는 종교학의 전통적 범주에서부터 인접 학문분야까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 사례연구, 비교연구 순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두 학술지는 대학부설 연구소의 특성상 대학의 지원, 대학 내 구성원의 다수 참여, 해당 대학연구소의 특성 반영이라는 공통된 특징을 갖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학회들의 학술지와 다른 차원의 의의와 한계를 갖는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연구주제의 개발, 대학부설 학술지의 특성 부각, 연구 분석단위의 다양화, 연구방법론의 정교화를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research trends of religious studies in journals published by university institutes and to suggest tasks for their development. I took two journals into analysis: Journal of Religion and Culture (JRC) published by Hanshin University and Religion and Culture (RC)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I analysed the general contents of 426 articles in these journals in terms of subjects, purposes, ranges and methods. The research shows that JRC specializes in religious studies and religious culture, RC in theories of religious studies and religious traditions, which explains that each journal reflects the purpose of establishment of the respective institutes. Research ranges vary from typical subjects of religious studies to interdisciplinary subjects. The most popular method of research is literature analysis followed by case analysis and comparative analysis. The two journals share the following features: financial support from its university, the majority of authors being its own members within the relevant university, and the reflec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tinent institutes. These features display different significances and limitations in comparison to journals published by academic societies. Finally, this papers suggests developing various research subjects, emphas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evant institutes, having more varieties in research levels, and elaborating research methods.

      • KCI등재

        연구논문 1 : 종교문화(宗敎文化)와 그 다원성(多元性)-또 하나의 시각

        김대열 ( Dae Yeo Kim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13 종교문화비평 Vol.24 No.24

        본 논문의 의도는, 종교 현상을 특정 종교 전통을 단위로 관찰하기보다는 문화라는 보다 광범위한 인식틀 안에서 보아야 한다는 입장에 서서, 한 종교 집단 내의 서로 다른 계층, 종교 집단들, 종교 집단과 비종교 집단, 종교적 요소와 비종교적 요소들 간의 불가피한 접촉과 상호 반응을 통한 종교 내외적 변화 특히 그 가운데 다원화의 경향을 종교 현상의 하나로 인정하고 그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갖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종교적 정체성은 상대적이며 유동적인 사회적 요구이므로 종교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개별적 종교 전통의 구분으로부터 벗어나 타문화 영역과 마찬가지로 종교 현상 역시 다양한 전통들이 융합하여 새로운 형태를 만들어낸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또한 종교인뿐만 아니라 비종교인, 그리고 이러한 구분이 어려운 사람들도 종교로부터 문화적 혜택을 받는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믿음을 전제한 ‘종교’와는 구분되는, 즉 믿음의 문제로부터 자유로운 ‘종교 문화’라는 개념을 상정할 수 있다. ‘종교 문화’란 어떤 종교 전통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유무형 자산, 관련된 지식, 표상 체계, 그곳에서 체계화되어 행해지는 실천, 그리고 이와 관련된 활동을 통해 재생산되고 전승되고 변형되어가는 자산들을 총칭한다. 문화적 산물로서 그것은 인간의 근본적인 물음에 해답을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의 보고이다. 단순히 표현하자면 그것은 종교적 표상, 지식, 실천을 지칭한다. ‘종교 문화’가 나름대로의 특징을 지니면서 관찰될 수 있는 층위와 ‘종교 문화’를 다양하게 하고 또 변화하게 하는 요인들이 다수이고 복합적으로 연관되어 상호 작용함으로써 종교 문화 자체뿐만 아니라 문화와 사회를 지속적으로 변화시키고 다양하게 만드는 것을 필자는 ‘종교 문화의 다원성’이라는 개념으로써 가리키고자 한다. ‘다원성’이란 개념이 종교 문화가 다양하다는 사실을 넘어서 내외의 영역과 요소들이 상호 작용하며 변화해가는 그 역동성까지를 내포하는 개념임을 상기한다면, 그것을 고찰하기 위해 가질 수 있는 안목의 구조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즉, ‘다원화’와 ‘상호 작용’이라는 두 고찰 영역을 구분하고 각 영역마다 ‘요인’과 ‘유형’이라는 매개 변수를 구분한다. 그리고 두 영역과 두 매개 변수를 조합하면, ‘다원화 요인’, ‘다원화의 유형’, ‘상호 작용의 요인’, ‘상호 작용의 유형’이라는 하부 영역이 유추된다. The paper suggests that, from the point of view seeing religious phenomena in a larger epistemological scope as such a notion of culture rather than in a auto-claimed and segregated unit such as each religious tradition, we should acknowledge in religious phenomena the tendency to pluralisation due to internal and external, centrifugal and centripetal changes of religion through inevitable contact and interaction between different strata in a religious group, between different religious groups, between religious and non-religious groups, or between religious and non-religious elements, and have scholarly interest in it. Religious identity claim is a relative and floating social demand. The scientific interest in religion should break away from the perspective of individual religious tradition and recognize that religious traditions meet and combine each other to give to birth new forms of religious phenomena. Considering the fact that not only believers but also non believers as well as betwixt and between people reap cultural benefit from religions, one can conceive a notion of ‘religious culture’, free from the question of belief, and distinguished from the notion of ‘religion’ implying belief. ‘Religious culture’ refers to material and immaterial assets considered to belong to a religious tradition, knowledge about this tradition, it`s representation system, practices being organized and done in it, and the ensemble of the resources that are reproduced, transmitted and transformed through relative activities. As a cultural production, it is a repository of diverse information providing answers to man`s fundamental questions. Put simply, it indicates religious representation, knowledge and practice. The level in which each ‘religious culture’ can be observed with its characteristics and the factor that diversifies and changes it are plural; intricately inter-related, they interact to bring constantly change and diversification to society and culture as well as to ‘religious culture’ itself; in this paper these facts are conceptualized as ‘plurality of religious culture’. Beyond the diversity of ‘religious culture’, the notion of ‘plurality’ implies the dynamism in which the internal and external spheres and factors interact to change. This in mind, we can organize the approach to investigation as following: to distinguish two observation spheres, ‘pluralisation’ and ‘interaction’; in each sphere, to identify two parameters, ‘factor’ and ‘pattern’; to combine two spheres and two parameters to obtain : ‘factor of pluralisation’, ‘pattern of pluralisation’, ‘factor of interaction’ and ‘pattern of interaction’.

      • KCI등재

        영화를 활용한 다문화교육의 현황과 과제 - 종교영화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제언 -

        박종수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 2016 종교문화연구 Vol.- No.26

        Th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and tasks of multicultural education by films. First, it examines the discussions of the concept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n the status and tasks of multicultural education by virtue of films. It is revealed that there is no systematic program for multicultural education by films, which means that such attempts are only being made by different academic disciplines without coherent pla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a more systematic program and syllabu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by films are to be developed among different disciplines. Furthermore, this paper develops the possibil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by religious films and asks for the enlargem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various fields by archiving religious films. As a filmic genre, religious films can play a role for multicultural education by introducing directly or indirectly different cultures, contribute to understand religions as cultures, especially religions as the fundamental background of cultures, and understand different cultures on the basis of different religious identities. Thus, it is required to archive religious films.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의 효과적인 방법으로써 영화를 활용한 다문화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그 과제에 대해서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우선, 본고는 다문화교육에 대한 개념적 논의들을 살핀 후, 영화를 활용한 다문화교육의 현황과 과제를 살펴본다. 영화를 활용한 다문화교육은 체계적인 교과과정으로서의 프로그램이 현재까지는 구축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현실은 몇 몇 연구자에 의해서, 각 학문 분과에 따라서 단편적으로 시도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영화를 활용한 다문화교육의 보다 체계적이면서도 학제간 교과과정의 프로그램을 만들 필요성이 제기된다. 다음으로, 본고는 종교영화를 활용한 다문화교육의 가능성에 대해서 시론적으로 제시하고, 종교영화 아카이브 구축을 통해서 보다 다양한 영역에서 다문화교육의 확대를 제언한다. 종교영화는 영화의 한 장르로서 존재하지만, 다양한 문화에 대한 직·간접적인 소개, 문화에 대한 이해로서 종교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 문화의 가장 기층 요소로서 종교의 기능과 역할, 종교정체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상호문화에 대한 이해 등, 다문화교육의 한 방편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종교영화에 대한 아카이브 구축이 요청된다.

      • 1901년 제주 ‘신축교안’의 선교사적 고찰

        문창우(Chang Woo Moon)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06 종교문화학보 Vol.2 No.-

        신축교안은 한국 근대 역사의 역사적인 연장선상에서 벌어진 큰 사건이다. 따라서 이는 제주에 국한된 지역적 문제가 아니었고 전국적인 문제였다. 또한 이는 종교와의 갈등에서 생긴 제주도민의 삶과 죽음의 문제와 연결된 것이다. 교회가 정치, 사회, 경제, 문화적인 차원에서 이러한 문제에휩싸이게 된 것은 사실 다른 여러나라의 선교지에서 이미 일어났던 일이었고, 이는 당시 교회의 자기 실재에 대한 교회론적인 인식의 부족에서 생겨났음을 반성해야 한다 . 종교가 선교를 빌미로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며 종교적 집단이기주의 및배타주의를 형성하고 대화를 거부하는 데서, 선교의 근본의미를 망각하는데서, 무조건 사람들을 끌어오는 것만을 선교라고 이해하는 데서, 종교의 폐단이 나타난다. 선교는 종교를 이런 폐단에서 구할 과제를 안고 있다. 신축교안 당시 폭력이 발생했다는 것은 제주도 문화와 종교(그리스도교)의 만남이 되지 못했다는 표시이다. 사실은 그리스도교의 지난 역사를 돌이켜볼 때 이런 종교의 폭력 현상이 늘 발견된다. 그리스도교가 하느님과 인간 ,그리고 인간끼리의 일치와 화해를 부르짖으며 내걸었던 복음화가 실제로는그곳 문화를 이해하기보다는 서구문화를 모방하기 위한 수단으로, 그래서서구 그리스도교의 일방적인 문화우월주의를 주장하며 다른 민족문화를 경시하고 극복하는 것으로 이해된 적이 많았다. 제2차 바티칸공의회는 신학의 토착화라는 이름으로 그동안 교회가 타종교와 문화적 가치들에 대해 보여주었던 배타적 독선주의를 지양하고, 이들안에서 작용하는 하느님의 구원역사를 인정하면서 적극적인 대화의 자세를취하는 현격한 변화를 드러내었다. 이러한 변화된 자세의 맥락 속에서 신앙의 토착화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된 것이다. 하느님의 말씀이 구체적인 역사와 지리를 배경으로 해서 인간의 형상을취하신 ‘육화’를 그 신학적 원리로 하는 토착화는 일회적으로 계시된 복음의 진리를 여러 종교 문화권의 체험 체계 내지 사상 체계로 표현하여서 복음의 본연의 의미가 보다 적절하게 선포되고 생활화될 수 있게 하기 위한작업이다. 다시 말해서 ‘토착화’는 복음의 메시지와 지역문화를 중재하는것을 의미한다. 그러기에 토착화 신학은 무엇보다도 삶의 자리를 규정하는문화 속으로 육화(肉化)하시는 복음에 대한 성찰에서 시작한다.신축교안 당시도 교회가 오늘날의 공의회 정신이 아니고 세상이 교회로부터 배운다는 논리를 무조건 가르쳐주려 한 요구가 있어 왔다. 참으로 교회가 제주도(문화)로부터 배운 것이 무엇인가를 생각한다면 올바른 교회의 자세를 찾게 된다. 배운 것이 있다면 교회가 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단지교회가 자신들의 요구를 관철시키려고만 한다면 교회는 변하지 않는 태도를 보이는 것이다. 교회는 세상 사람들을 교회라는 좁은 틀로 속박시키고그들의 삶의 터전을 빼앗는 것과는 거리가 멀어야 한다. 복음화(선교)는 타인의 인정과 대화를 그 근본내용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신축교안 당시 교회는 그러한 변하는 모습이 없었다. 오늘날 우리가 자신들의 입장을 호교론적인 차원에서 제시한다면 여전히똑같은 상황이 전개될 뿐이다. 따라서 여기서 벗어남이 우리의 과제일 것이다. 선교 역사에 있어서 그리스도교의 우월성은 남을 인정하지 않는 태도이다. 신축교안 당시 겉으로는 경제적인 착취(조세부담 등)를 빌미로 하나 그 이면에는 종교가 등장한다. 여기에서 배타성과 우월성을 지닌 태도들이니 분위기간에(교회-제주문화의 만남) 감정만 남는다. 교회가 이러한우월적인 주장의 태도를 지닌다면 배타적인 모습으로써 나타난다. 즉 신당을 없애거나 자신들과 다른 것을 미신 취급하는 모습은 자신만의 중요성을드러내는 것이다. 또한 신축교안 때 교회와 제주도(문화)와의 만남이 있게 되는데, 여기서발생한 많은 희생자들의 죽음은 성인(聖人)의 모습을 생각하게 한다. 우리는 성인에 대해서 생각할 때 단지 교회를 위해 희생하신 분으로만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국 가적으로도 성인이 아니라면 이는 뭔가? 성인이라면 국가를 위해서도 성인이어야 한다. 즉 교회의 성인은 이 땅을 위해서도 뭔가 기여함이 있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세상이 교회를 위해서도 죽고 교회도 세상을 위해서 뭔가 기여함이 있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세상이 교회를 위해서도 죽고 교회도 세상을 위해서 죽을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참으로 교회도 세상을 위해 있느냐가 중요한 것이다. The ‘Sin․chuk․kyo․an’(diplomatic issue at 1901) is the big matter in the modern history of Korea on the historical flow. so that It is not a matter of Jeju province but the whole country. And this conflict of religion is the problem of 'To be or not to be' for Jeju island people. Actually The reason that the church fall in the this kind of matter on political․social․economical․cultural, was the ordinary ones in others missionary places also. We should reflect the fact that the problem is happened cause in the insufficient of the theological understanding about the church itself. The corrupt practice in religion is growed by the religion seeking a profit cause in missionary, making the religious egoism, denying conversation, forgetting the basic meaning of missionary, thinking the missionary that is just gathering persons. The missionary has the task that saving the church in this corrupt practice. The fact that the appearance of violence in 'Sin․chuk․kyo․an' is the evidence of disconnecting of between the religion(Catholic) and the culture of Jeju island. In fact, this kind of violent state was always discovered in christian church's history. christian church's evangelism always insist the harmony and the reconciliation between The God and human, one and the others. But actually the church not understand the regional culture but transmit the western culture to the other regions, and so sometimes the christian church was understanded the one-side cultural superiority that neglecting the racial culture by region people. The vatican concilium Ⅱ tried to remove the exclusive selfrighteousness in the name of the aboriginality on christian faith that about the regional cultures and religions. And more over the christian church recognize the working of the God's salvation in the regional cultures and religion, so the church remarkable changed and take a place to conversation with others. In this kind of alteration, the necessary of the aboriginality on faith was needed. Aboriginality base on the theological principle(incarnation) that the word of God take the position figures of human, in the midst of concrete history and geography for a background. Aboriginality on faith is the work of to express by variety expression that based on religion-cultural experience structures and thought structures so that the real meaning of Gospel is set up by proper announce and life style. In short, ‘Aboriginality’ is the arbitration between the message of Gospel and regional cultures. Therefore the theology of aboriginality is started by that selfexamination of the incarnation of Gospel to the ‘sitz im leben’ of regional cultures. At that time of ‘Sin․chuk․kyo․an’, the church had been minded the world must learn from the church, it is not the idea of the vatican concilium Ⅱ. If the church will know that what was the teaching from the culture of Jeju island in historical experience, the church will be find a right way in missionary but just will try to carry out the demand of church, the church's manner will not change. The church should be departed from to restrain that the people into narrow matrix and to carry off their life places. Aboriginality (missionary) is base on the acknowledgement and conversation with others. But at a moment of ‘Sin․chuk․kyo․an’, the church had not been this kind of manner. Now days if we present our standpoints on just the church's viewpoint, same situation will be shape up. so to take off this state is the task of the church. In the history of missionary, the christian church's superiority mean the attitude that disregard to others. At that time of 'Sin․chuk․kyo․an', the economical squeezing(taxation) was the aim of face, but the religion was the aim of mind. In this conditions, the sens of exclusiveness and superiority break out the conflict in emotions between the church and the culture of Jeju. If the church continually insist this kind of superio

      • KCI등재

        연구논문 : 식민지 조선에서 "문명-문화-종교"의 개념적 네트워크 형성

        장석만 ( Suk Man Jang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15 종교문화비평 Vol.28 No.28

        이 논문은 문명-문화와 종교와의 개념적 연관성을 검토하고 있다. 세 가지의 개념이 긴밀하게 얽혀있으면서도 그 개념적 복합성의 의미에 대해 별로 논의된 적이 없기 때문에 이런 논의가 필요하다. 다룰 영역은 1910년대 후반 이후, 특히 1920년대를 전후한 식민지 조선이다. 이 시기에 문명-문화개념은 서구에서 형성된 "civilization-culture"의 번역어로서 작용한 측면뿐만 아니라, 당시 동아시아의 국제정치적 맥락, 그리고 3.1운동을 전후한 식민지 조선의 상황이 얽히며 작용한 결과로 복합적인 의미를 지니게 되었고, 종교와의 개념적 네트워크도 만들어졌다. 주요 내용은 우선 문명과 종교의 관계를 개념적인 측면에서 언급하고, 문화와 종교의 연관성이 지닌 문제를 논의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언급하고 있는 문화-종교의 개념적 연관이 만들어내는 세 가지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 속에 포섭된 종교는 기존 체제에 영합하거나 대항하기 위해 통합과 침투의 긴밀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주체화의 동인으로서 움직일 것을 요청받는다는것, 둘째 요청에 불응하거나 역행할 경우에, 문명이 미신 범주를 가동시킨 것과 달리, 유사종교 및 사이비종교라는 범주를 움직여 자동 제거 절차를 진행시킨다는 것, 셋째 문화가 각각 민족에 고착될 경우와 민족 경계를 넘어 보다 광범위한 영역으로 이동할 경우에 종교적 대결이 심화되거나 유착이 일어나게 된다는 것 등이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conceptual network of civilization, culture, and religion in colonial Korea. Recent scholarship in Korea has highlighted the historical formation of important concepts such as nation, citizen, state, civilization, and literature; but less attention has been paid to how a concept was related to other concepts and changed itself over time. In this article, firstly I argue that the various conceptual relations of civilization-religion can be traced while identifying four types of religious discourse in terms of two criteria of civilization and group identity. Secondly, the article investigates some of the effects of the conceptual relation between religion and culture; religion as a strong agent of subjectification; automatic mechanism of exclusion by the concept of pseudo-religion; enlargement of the conceptual domain beyond 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