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임상검체에서 분리된 항산균의 균종분포

        박성수 전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31

        Background: Mycobacterium species are composed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complex (M. tuberculosis, M. bovis), Mycobacterium leprae and nontuberculous mycobacteria(NTM). M. tuberculosis is the most important mycobacterial pathogen, but Some species of NTM have become an increasing problem in immunocompromised patients as well as M. tuberculosis. In Korea, the first case of pulmonary infection of NTM was reported in 1981, and isolation rate of NTMs in clinical laboratories and the incidence of NTM infections are increasing recently. Mycobacteria should be identified to the species level, because of the different clinical coarse and the treatment regimen among the species. Methods :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of mycobacteria species in clinical specimen, mycobacteria culture results at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uly 2005 through December 2006 were analysed. PCR-hybridization(Cobas Amplicore) test was performed to differentiate M. tuberculosis complex and NTM on acid fast stain positive specimens among mycobacteria culture positive bottles(MGIT, BD). Then, NTM was identified by PCR-restriction fragment length analysis (PCR-RFLP, M&D). Results : A total of 2,580 specimens from 1,884 patients were requested for mycobacteria culture. Mycobacteria were isolated from 286 specimens (11.0%), most of them were from bronchial washing(157, 59.0%) and from sputum(93, 35.0%). Positive rate was higher in bronchial washing(34%, 157/401) than in sputum(7%, 93/963). The isolation rates of M. tuberculosis complex and NTM among the 266 of culture positive specimens were 83% and 17.0%. Isolation frequencies of M. tuberculosis was evenly distributed in all ages, but isolation rate from requested specimens was high in twenties(23.3%). Seven species identified in 33 NTM specimens, frequently isolated species were M. intracellulare(60.6%) and M. avium (15.2%). Others were M. chelonae, M. abscessus, M. gordonae, M. kansasii, and M. szulgai. Conclusions :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solation rate and distribution of Mycobactium species. The isolation rates of mycobacteria from culture specimens for mycobacteria was 11%. M. tuberculosis complex and NTM were 83% and 17% of isolated mycobacteria, and the most frequently isolated NTM species were M. intracellulare and M. avium. These results were similar to those in recent studies in Korea. 배경 : 항산균(Mycobacterium spp.)은 Mycobacterium tuberculosis complex (M. tuberculosis, M. bovis)와 Mycobacterium leprae 등의 병원성 균종과 기회감염을 일으키는 비결핵항산균(Nontuberculous mycobacteria; NTM)으로 나눌 수 있다. 비결핵항산균은 사람에서만 발견되는 결핵균과는 달리 토양, 담수 같은 자연환경이나 온수탱크, 수돗물 등의 인공 환경에서 정상적으로 존재하는데, 최근 면역저하 환자의 증가로 결핵과 더불어 비결핵항산균에 의한 감염증도 증가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1981년 비결핵항산균에 의한 폐질환 증례가 보고된 이후 증가 추세에 있다. 비결핵항산균에 의한 감염증은 원인 균종과 감염부위에 따라 임상경과가 다르고, 치료방침과 치료약제도 각각 다르기 때문에 결학균 및 비결핵항산균의 신속하고 정확한 균종 동정이 필요하다. 방법 : 2005년 7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전북대학교병원에 항산균배양이 의뢰된 검체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배양(Bactec MGIT 960, BD)양성이고 항산균염색 양성인 검체에 대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핵산부합법(Cobas Amplicor M. tuberculosis test, Roche)으로 결핵균과 비결핵항산균을 구별하였으며, 중합효소연쇄반응-제한절편길이다형성법(Myco-ID, M&D)을 이용해서 비결핵항산균에 대한 균종동정을 시행하였다. 결과 : 총 1,884명의 환자에서 2,580건의 검체가 의뢰되었다. 배양 양성 검체 중 항산균 양성은 286검체(11.0%)로, 기관지세척액(157건, 59.0%)과 객담(93건, 35.0%)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검체 당 양성률은 기관지세척액이 34%(157/ 401)로 객담의 7%(93/963)보다 높았다. 항산균 양성검체 중 266검체에 대하여 결핵균동정을 시행한 결과 221검체(83.0%)에서 양성이었고 나머지 45검체(17.0%)는 음성으로 비결핵항산균이었다. 결핵균의 분리빈도는 모든 연령대에 비슷한 분포를 보였으나, 검체 수 대비 결핵양성률은 20대가 23.3%로 다른 연령대에 비하여 높았다. 비결핵항산균 중 33건에서 균종 동정을 시행한 결과 M. intracellulare이 20건(60.6%), M. avium이 5건(15.2%)으로 이들 두 균종이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기타 M. chelonae 3건, M. abscessus 2건, 그리고 M. gordonae, M. kansasii, M. szulgai가 각각 1건씩이었다. 결론 : 전북대학교병원에서 분리된 항산균 중 결핵균은 83%이었으며, 대부분 호흡기검체에서 분리되었고, 모든 연령대에 고루 분포하였다. 비결핵항산균율의 분리율은 17%로 이중 M. intracellulare와 M. avium의 두 균종이 가장 많이 분리되었으며, 이는 국내의 다른 보고와 유사하였다. 비결핵항산균은 균종에 따라 항결핵제에 대한 반응, 임상경과, 치료 방법 등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결핵균과 비결핵항산균의 감별진단은 물론 비결핵항산균의 균종 동정까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전북지역 대학생의 COVID-19에 대한 예방적 건강행위와 관련요인 : 위험인식, 건강신념, 우울, 불안을 중심으로

        홍영화 전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전북지역 대학생의 COVID-19에 대한 위험인식, 건강신념, 우울 및 불안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예방적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전북지역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2021년 11월 29일부터 2021년 12월 12일까지 온라인을 통해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5.0 program을 이용하여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전북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COVID-19에 대한 위험인식은 63점 만점 중 총점 평균 46.30점, 건강신념은 75점 만점 중 총점 평균 54.39점, 우울은 27점 만점 중 총점 평균 9.60점, 불안은 35점 만점 중 총점 평균 23.31점, 예방적 건강행위는 40점 만점 중 총점 평균 31.51점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대상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우울은 전공과 백신접종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불안은 동거가족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COVID-19 예방적 건강행위는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세 번째로 위험인식은 건강신념, 예방적 건강행위, 불안과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고 건강신념은 예방적 건강행위와 불안과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예방적 건강행위는 불안과 정적 및 우울과는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이며, 불안은 우울과 정적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전북지역 대학생의 COVID-19에 대한 관련요인으로 건강신념(β=.401, p<.001), 우울(β=-.237, p<.001), 위험인식(β=.126, p<.05)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26.4%였다. 결론적으로 전북지역 대학생의 COVID-19 예방적 건강행위는 건강신념과 위험인식 수준이 높을 때, 우울감이 낮을 때 예방적 건강행위 실천이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COVID-19와 같은 신종전염병에 관한 건강신념, 위험인식을 확립할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을 계발하여 제공하고 예방적 건강행위를 향상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주기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며 정신건강의 요소인 우울감 등을 관리하기 위한 체계적인 교육과 더불어 심리적 건강에 대한 다차원적인 접근과 개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 전북지역 대학생의 COVID-19의 예방적 건강행위에 대한 이론적 모형을 검증하고 영향요인을 확인하는 연구가 이루어져 예방적 건강행위와 건강신념, 우울, 위험인식과의 관계를 더욱 명확히 밝힐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대학생들의 결혼관과 자녀에 대한 가치관 조사

        고경애 전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31

        A Study on Values of Marriage and Outlooks of Children among College Students Go Gyeong-ae Dept. of Public Health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Ca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scribe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of marriage and children, and to explore the factors impacting on the marriage life of college studen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revealed. First, the students' interest is focusing on the problem from the marriage life not the rosy side of marriage, and the students have preference for the good personality rather than any others as a marriage partner's qualifications. Second, most of respondents consider 27 to 29 years old as the marriageable age, and over a half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ould like to have two children as their ideal number of children. However, if the burden of soaring education and childcare costs are removed, the birthrate seems to be increased. The nation's birthrate has fallen to a record low as married couple face mounting childcare costs and other financial burdens. Therefore, pan-government plans to cope with the low birthrate are needed to focus on supporting childcare and establishing social programs where women can pursue both career and parenting. Third, students' attitude on marriage seems to be positive considering that they assumed marriage would provide them with happy feeling. Fourth, boy students show a higher affirmative response on sexual relations and living together before getting married than girl students show. Anyway, this social phenomena are apt to collapse the preconceived idea of marriage, in addition, the idea of men-dominated society still seems to prevail. Fifth, many boy and girl students said that to bring up children better, both father and mother, not a lone parent, are needed. It reveals that students have a conventional family view. Finally, many students consider the living expenses after marriage should be shared with each other. It seems to reflect the general trend of working in double harness. So far I looked into the attitude of marriage life and the value of children among college students. Some views were conventional and sound, others were disordered and advanced.

      • 부검 사례를 통한 심폐소생술 손상의 분석

        심명석 전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Backgroun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is a first aid procedure with chest compression up to 5 to 6 cm deep. However, this causes a variable damage, such as rib fractures, sternum fractures and chest organ damage. Thus the author analyzed the pattern of CPR injury in forensic autopsy cases. Method: This study evaluates the pattern of rib fractures, sternal fractures, and chest abdominal organ damage, CPR practitioner and general forensic factors in 140 forensic autopsy cases who received CPR. Results: Among the 140 cases, 99 cases were male and 41 cases were female. The age ranged from 19 to 93 years, with an average age of 54.03 year-old. The rib fractures were observed in 78 of the 99 cases, 78.8% of male, and 32 of the 41 cases, 78.1% of female. Rib fractures frequently occurred in 3rd/4th/5th of the ribs in both male and female. Sternal fractures were observed in 51 of 99 cases (51.5%) in male, and 24 of 41 cases (58.5%) in female. Multiple sternal fractures occurred frequently in female. The most common site of sternal fracture was intercostal 3-4. Heart, pericardium, and liver damage were observed. Conclusion: This study described the pattern of CPR injury in forensic autopsy cases. This study may be helpful in minimizing the interpreting error of chest abdominal injury caused by CPR in forensic autopsy cases, and it is expected to serve as a clinical basis for chest abdominal injury due to CPR for clinicians. 연구 배경 및 목적: 심폐소생술은 흉골 하단의 1/2을 5~6cm깊이로 압박하여 시행하는 응급처치이다. 하지만 이로 인해, 늑골골절, 흉골골절, 흉복부 장기 손상 등 다양한 손상을 유발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심폐소생술이 시행된 법의부검사례에서 손상의 양상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6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법의학교실에서 시행된 법의부검 사례 중 심폐소생술이 시행된 140예를 대상으로 늑골골절, 흉골골절, 흉복부 장기 손상의 양상과 여러 임상인자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총 140예 중 남성은 99례, 여성은 41례였다. 연령 범위는 19세에서 93세였으며, 평균연령은 54.03세이고, 남녀 모두에서 50대가 가장 많았다. 사망의 종류로는 남성에서는 내인사(63/99, 63.6%)가 가장 많았고, 외인사 중에서는 사고사(19/33, 57.6%)가 가장 많았다. 여성에서는 내인사(20/41, 48.8%)가 가장 많았고, 외인사 중에서는 자살(9/17, 52.9%)이 가장 많았다. 사망의 원인으로는 남성의 경우 심장질환(43/99, 43.4%)이 가장 많았으며, 외인사 중에서는 손상사(13/99, 13.1%)이 가장 많았다. 여성의 경우 질식사(9/41, 22.0%)가 가장 많았으며, 내인사 중에서는 소화-간담췌질환(8/41, 19.5%)이 가장 많았다. 심폐소생술 시행자로는 남여 모두에서 119 구조대가 가장 많았다. 늑골골절은 남성은 99례 중 78례, 78.8%에서, 여성은 41례 중 32례, 78.1%에서 관찰되었으며, 남녀 모두에서 늑골 3/4/5번에서 골절이 호발하였다. 흉골골절은 남성은 99례 중 51례, 51.5%, 여성은 41례 중 24례, 58.5%에서 관찰되었으며, 여성의 경우 다발성 흉골골절이 남성에 비해 호발하였다. 흉골골절의 부위는 남녀 모두에서 3-4번 늑간이 가장 많았다. 내부 장기 손상은 비록 그 수가 적었지만, 심장, 심낭, 간에서 발생하였다. 자동흉부압박장치를 사용한 경우 심폐소생술흔이 모든 사례에서 관찰되었고, 흉골골절(36/50, 72.0%)이 호발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심폐소생술로 인한 손상의 양상을 확인하였으며, 심폐소생술로 인한 흉복부 손상의 부검 감정 오류를 최소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되며, 더 나아가 심폐소생술로 인한 흉복부 손상의 임상 기초자료로서 역할을 할 것이라 생각된다.

      • 2011년 전북지역 소재 제조업 사업장의 근로자 직무스트레스 분석

        김영아 전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31

        Job stress factors are the factors causing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emotional responses to job-related emotional and bio-physical stimuli. Job-related problems are more deeply related with health issues than other problems. For the high-stress workers, more than 50% of medical costs have been found to be spending. For psychological stresses such as Job stress,-associated cerebro-cardiovascular disease and bone and structure disease, prevention and management policy is required. Therefore, we have started this study. For this study, we used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Questionnaires. In this study, about 170 workers who work for a manufacturing company in Jeonbuk area answered the Scale Questionnaires. The data was compared and analyzed, based upon the Korean workers’ median criteria. The survey is composed of 8 items and 43 questions. If a worker’s job stress scaled score is higher compared with the Korean workers’ median value,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worker is more frequently exposed to job stress than other workers. According to the results about age differences in job stress, there was difference in the following items; job demands, interpersonal conflict, job insecurity,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compensation. In the results of experience differences in job stress, less than 10 year-hired workers were scored to be highly stressed in job autonomy item. Modern society is more specialized, diversified, complicated in these days. Therefore, workers get to be exposed to rapid changes in social, cultural, economic and psychological field, a possible cause for the job stress. It is important to think how job stress is efficiently checked and how it is successfully relieved. It is also required that productivity decrease, efficiency decrease and competent workers’ loss are prevented. I suggest personal, systemic and social approach as one of the solutions for the relief of job stress in this study. Key words: Job Stress, manufacturing industries, job stress solutions , Jeonbuk area 직무스트레스요인은 작업과 관련하여 생체에 가해지는 정신적, 육체적자극에 대하여 체내에서 일어나는 생물학적, 심리적, 행동적 반응을 유발하는 요인을 말한다. 직장문제는 여러 가지 스트레스요인 보다 건강 문제와 보다 깊은 관계를 갖고 있다. 스트레스가 높은 근로자들에게서는 의료비가 50%이상 더 지출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직무스트레스 같은 심리적인 요인에 의한 뇌심혈관계 질환, 근 골격계질환 등의 증가로 인하여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예방 및 관리대책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설문에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북지역에 소재하는 제조업 사업장에 근무하는 근로자 약 170여명을 대상으로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이라는 객관적인 설문내용을 토대로 한 결과와 한국인의 중앙값과 비교분석하였다. 설문의 내용은 8개 항목, 4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직무스트레스 요인의 영역별 환산점수는 한국 근로자의 성별 중앙값과 비교하여 상대적인 평가를 내릴 수 있다.환산점수가 한국 근로자의 성별 중앙값과 비교하여 참고 값 보다 높다는 것은 직무스트레스에 상대적으로 더 많이 노출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본 연구에서는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령별 차이는 직무요구도,관계갈등,직무불안정,조직체계,보상부적절항목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직력별 차이는 10년 미만으로 근무한 근로자들에게서 직무자율성에 관한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사회는 급변하는 변화에 따라 점점 전문화, 다원화, 복잡화 되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 근로자들은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심리적 변화에 직면하게 되는 것이 스트레스의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직무스트레스는 존재 하지 않을 수 없는 불가항력적인 문제이지만, 직무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파악하고 개선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불필요한 생산력 저하, 능률의 저하, 인재의 손실 등을 사전에 방지하고 관리가 필요하다. 직무스트레스의 감소 및 해결방안으로는 개인적, 조직적, 사회적인 접근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주요어 :직무스트레스, 제조업 사업장, 직무스트레스 해결방안, 전북지역

      • 소변배양으로부터 분리된 균주 및 항균제 감수성검사 (2006-2015년)

        조명희 전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31

        배경: 요로감염은 전 연령층에서 흔히 발생하는 질환으로 재발이 쉽고 적절하게 치료하지 않으면 심한 신 손상을 초래하게 되므로, 적절한 치료와 추적 관찰을 통해 신 손상을 예방하여야 한다. 소변 배양 검사는 올바른 항균제 선택과 효과적인 치료에 도움이 되며, 또한 원인균의 분리 빈도와 항균제 감수성 결과의 분석으로 경험적 항균제 치료에 도움이 된다. 재료 및 방법: 2006년 1월부터 2015년 12월 까지 10년간 전북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 미생물 검사실에 소변 배양 검사가 의뢰된 검체 122,485건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Vitek2 system (bioMerieux, U.S.)을 이용하여 균주 동정 및 항균제 감수성검사를 하였다. 이를 통해 주요 균종의 분리율과 항균제 감수성검사의 변화에 대한 추이를 분석 하였다. 결과: 임상미생물 검사실에 2006년부터 2015년까지 10년간 의뢰 된 소변 배양 검사 122,485건 중 총 30,454건(24.9%)에서 배양 양성이었다. 연령별과 성별 소변 배양 검사의 양성율은 1세미만에서 32.1%로 남자 75.5%,여자 24.5%이며, 1-18세는 19.5%로 남자 60.2%, 여자 39.8%, 19-64세에서 21.2%로 남자 42.6%, 여자 57.4%, 65세 이상에서는 28.9%로 남자 38.6%, 여자 61.3%이었다. 소변 배양 검사에서 분리된 균종으로 그람 음성균이 61.3%이었으며, 그람 양성균이 25.3%, 진균이 13.4%이었다. 주요 원인균으로 E. coli 가 33.4%로 가장 많았으며, E. faecalis가 9.4%, E. faecium 7.8%, K. pneumoniae 6.7%, P. aeruginosa 5.3%의 순이었다. 항균제 감수성 결과는 E. coli의 경우 imipenem, meropenem, amikacin에 대하여 90%이상의 높은 감수성 결과를 나타냈다. 반면 cefepime, cefotaxime, ceftazidime, piperacillin-tazopbactam은 10년간 비교하였을 때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E. faecalis는 vancomycin, imipenem, nitrofurantoin, linezolid에 높은 감수성 결과를 보였고, lovoflocacin, norfloxacin에 대한 감수성은 감소되었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해 요로감염의 원인균은 그람 음성균이 가장 많이 분리되었으며, 다음으로는 그람 양성균, 진균의 순이었고, 균종별로는 E. coli, E. faecalis, E. faecium 순이었다. 또한 각 균종의 분리빈도 및 항균제 감수성에도 많은 변화를 보이고 있어 항균제 선택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생각 되어 진다. 따라서 지속적인 요로감염 원인균의 분리 추이 및 향균제 감수성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항균제 내성균의 발생을 피하기 위한 새로운 항균제를 개발하고, 무분별한 항균제의 선택이나 항균제 남용을 피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Urinary tract infection (UTI) is a common disease of all ages, and frequently recurred. It could cause serious renal damage without proper management. Urine culture is crucial for the choice of antimicrobial agents for the effective treatment. Also, for the treatment of empirical antimicrobial agents, analysis of the frequency of isolating causative bacteria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results are helpful.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122,485 samples submitted to the microbiological laboratory of the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06 to December 2015 were enrolled. All the identification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s were done using the Vitek2 system (bioMerieux, U.S.). Analysis of the prevalence of the isolated species and the trends of antimicrobial susceptibilities were performed. Results: Out of 122,485 urine cultures from 2006 to 2015 in clinical microbiology laboratories, 30,454 (24.9%) were culture-positive cases. For under 1-year-old, the positive rate of urine culture was 32.1%, 75.5% for male and 24.5% for female. For 1-18 years old, the positive rate was 19.5%, 60.2% for male and 39.8% for female. For 19-64 years old, the rate was 21.2%, 42.6% for male and 57.4% for female. For over 65 years old, the positive rate was 28.9%, 38.6% for male and 61.3% for female. The urine culture showed 61.3% of gram-negative bacteria, 25.3% of gram-positive bacteria and 13.4% of fungi. The major pathogens were E. faecium, E. faecium, K. pneumoniae and P. aeruginosa in 33.4%, 9.4%, 7.8%, and 5.3%, respectively.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results showed more than 90% susceptibilities to imipenem, meropenem and amikacin in E. coli. On the other hand, the susceptibilities of cefepime, cefotaxime, ceftazidime, and piperacillin-tazopbactam were decreased in 10-year trend. E. faecalis showed highly susceptible to vancomycin, imipenem, nitrofurantoin and linezolid, and sesceptibilities of levoflocacin and norfloxacin were decreased. Conclusion: In this study, gram-negative bacteria was most frequently isolated as causative organisms of urinary tract infections, followed by gram-positive bacteria and fungi. By species, the most frequently isolated bacteria were E. coli, followed by E. faecalis and E. faecium. In addition, the frequencies of isolation of each organism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ies of each organism were changed, so it may be difficult to choose the empirical antimicrobial ag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onitor the trends of isolation of urinary tract infection pathogens and susceptibility to antibacterial agents persistently.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antimicrobial agent to avoid the occurrence of antimicrobial resistant bacteria, and to avoid the indiscriminate choice of antimicrobial agents and abuse of antimicrobial agents.

      • 학령기 체중 이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

        최경임 전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31

        초록 학령기 체중 이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 최 경 임 전북대학교 보건대학원 지도교수 김 대 곤 연구목적 : 학령기에는 신체적 성장이 왕성하고 심리적, 사회적 성숙이 일어나는 시기이므로 성장발달에 요구되는 영양 필요량이 증가하게 된다. 이 시기는 청소년이 성인기로 전환되는 과도기로 신체적인 변화가 일생을 통해 가장 많은 영양을 필요로 하는 동시에 영양 섭취의 불균형에 노출되기 쉬우므로 영양적 균형과 식품에 대한 올바른 식생활 형성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성과 외모에 관심이 많아 신경을 많이 쓰고 있는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일반 환경요인과 식생활 요인 등을 조사하여 체중이상에 관련된 요인들을 조사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는 전주시 완산구에 거주하는 어린이의 신장과 체중을 이용하여 BMI(Body Mass Index : 체질량지수)를 조사 하였고 저체중과 과체중에 관련된 요인, 즉 식습관에 대한 내용과 식품기호도 그리고 일반사항을 알아보고 학령기의 과체중이 어떤 관련이 있는지 종합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은 유의수준 p<0.05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결과에 따르면 조사대상자의 분포는 저체중 37.6%, 정상체중 51.1%, 과체중 11.3%로 나타나 정상체중의 아동과 체중이상 아동의 비율은 <51.1 : 48.9>로 비슷한 비율의 결과를 보였다. 체중이상에서는 저체중이 과체중에 비해 높은 수치로 나타나 저체중도 심각한 수준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 식사횟수는 정상체중 84.1%, 저체중 90.4%는 3회로 나타났고 과체중은 평균 85.1%이하의 수치 72.0%로 나왔으며 반면 과체중인 경우 2회가 타 집단 대비 높게 나타났다. 위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하루 3식을 일정량 균등하게 먹어야 정상체중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정 식사시간 여부는 정상체중 52.2%, 과체중 52.0%인 반면 저체중은 43.4%로 다른 집단 아이에 비해 식사시간이 일정치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식사와 간식횟수, TV를 보는 습관에서는 p<0.05로 유의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님의 경제력과 학력, 직업 그리고 식사 때 주로 먹는 음식과 좋아하는 음식, 맛에 대한 선호도에서는 유의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정상체중 유지에는 하루 3식 일정량을 균등하게 먹어야 하며 식사와 간식횟수, TV를 보는 습관이 학령기 체중 이상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이라 할 수 있으며, 또한 과체중 보다 저체중이 더욱 높은 빈도로 관찰되어 사회적으로 건강한 적정 체중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과 관심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중심단어 : 정상체중, 저체중, 과체중, 식습관, 신체활동

      • 전북지역의 집단식중독 환자 및 환경에서 분리한 바실러스 세레우스의 구토독소 및 설사독소의 특성 연구

        김세광 전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31

        [Introduction] In July 2011, a group of people who had eaten food prepared at the cafeteria of OO Company suffered from food poisoning. Emetic toxin-producing strains of Bacillus cereus were detected in the people, the food, and environmental sources such as the cooking bench, dishcloth and water used at the cafeteria.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 test of toxin genes, genetic correlation and then gained the following results. Of 99 people who had eaten lunch at the cafeteria, 43 people(43.4%), showed symptoms of food poisoning such as vomiting and abdominal pain. Of the 43 people, 34 (79.1%) suffered from vomiting, 24 (55.8%) from nausea, 11 (25.6%) from abdominal pain, and 5 (11.6%) from diarrhea. The epidemic curve showed that the disease had a very short incubation period of one to four hours and the highest proportion of people developed the disease between one to two hours after the people ate the foo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causes of the outbreak, emetic toxin-producing strains of Bacillus cereus were detected in 22 (61.1%) out of 36 people who displayed the symptoms of the disease. Furthermore, the strains were also detected in salted lettuce and environmental sources such as the cooking bench, dishcloth and water for cooking. The test of the toxin genes of B. cereus strains which cause diarrhea and vomiting showed that the strains did not have hblA, hblC, hblD, cytK and bceT genes which causes diarrhea, but contained nheA, nheB, nheC and entFM genes causing vomiting and ces gene that composes cereulide. The results of the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 of B. cereus strains showed that both human isolated and environment isolated displayed resistance to ampicillin(100%), cefepime(100%), cefotaxime(100%), oxacillin(100%), penicillin(100%), and rifamfin(100%). In order to identify genetic corelation, the researcher tested diversiLab™ rep-PCR fingerprinting. Among a total of 37 isolated strains, 30 strains -22 from humans isolates, 3 from food isolates like seasoned vegetables, five from dishcloth and cooking bench- had more than 90 percent of homogeny. This indicates that salted lettuce which was prepared with contaminated water and then served as a side dish for lunch cross infected a group of people, causing them acute abdominal pain.

      • 요양병원 간호 인력의 직무스트레스와 커뮤니케이션 만족과의 관계성

        유명환 전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 인력의 직무스트레스와 커뮤니케이션 만족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완충작용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는 J도 I시 소재 6개의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호 인력 총 114명을 대상자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통계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연령은 평균 44.57세였으며, 40-49세가 40.4%(46명)로 가장 많았다. 결혼 상태로는 미혼이 19.3%(22명), 기혼이 80.7%(92명)로 기혼이 미혼보다 더 많았으며, 학력에서는 3년 과정 간호학과 졸업 23.7%(27명), 4년 과정 간호학과 졸업 19.3%(22명), 대학원(간호학과) 0%(0명), 대학원(간호학 외) 3.5%(4명), 기타(간호학원) 53.5%(61명)로 나타났다. 임상 근무년수는 2-6년이 28.1%(32명)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11년 이상이 27.2%(31명)이었다. 요양 병원 간호 인력의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평균 2.40점으로 중간(2.5점)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세부 영역으로 직무요구영역이 2.72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직무자율 2.61점, 보상부적절 2.49점, 조직체계 2.37점, 물리환경 2.26점, 직장문화 2.21점, 직무불안정 2.15점, 관계갈등 2.03점이었다. 요양병원 간호 인력의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 정도는 평균 3.06점으로 중간(3점)보다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는 커뮤니케이션 만족(r=-0.565, p<0.01)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요양병원 간호 인력의 커뮤니케이션만족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정한 결과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p<0.05).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communication satisfaction among nursing staff in long term care hospital and to determine buffering factors. The stud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114 nursing staff working at 6 different hospitals located in I-Shi, J-Do.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SPSS/WIN 21.0. The results are as of the following. The average age of the nursing staff was 44.57 years old, and the most commonly identified age group was 40-49 (40.4%). Twenty two (19.3%) were identified as single, and 92 (80.7%) were identified as married. Twenty seven (23.7%) graduated from 3-year nursing colleges, 22 (19.3%) graduated from 4-year colleges 4 (3.5%) graduated from a graduate school(other than nursing), and 61 (53.5%) graduated from nursing assistant academies. The most commonly identified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was 2-6 years (28.1%, n=32), as followed by over 11 years (27.2%, n=31). The average job stress level among long term care hospital nursing staff was 2.40, which was lower than the mid-point stress level of 2.5. Among job stress-related items, our results showed highest score on job demand (2.72) followed by job autonomy (2.61), improper compensation (2.49), organizational system (2.37), physical environment (2.26), workplace culture (2.21), job instability (2.15) and relationship conflict (2.03). The satisfaction level of communication among long term care hospital nursing staff was 3.06, which was higher than the mid-point level of 3.0. Job stress level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ommunication satisfaction (r =-. 565, p <0.01). Our results showed that the communication satisfaction level among nursing staff in long term care hospital has a significant effect (p<0.05) on job stress.

      • 전라북도 일부지역 중소병원 간호요원들의 직무만족과 스트레스 기타관련사항 연구

        김지애 전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업무종사자들의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 현황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소진현상, 이직의도, 우울의 정도와 각각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함이며, 특별히 간호사, 간호조무사(자격 여부)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고자 시행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이를 근거로 병원 내 주요 핵심인력 중 하나인 간호업무종사자의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 관리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자는 전라북도 주요 도시인 전주, 익산, 군산에 위치한 300병상 미만의 중소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요원(간호사, 간호조무사)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506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총 500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s version 21.0을 이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라북도 전주. 익산, 군산 중소병원 간호업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의 형태는, 전제적으로 20대-30대가 75.4%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학력은 간호사의 경우 전문대학졸업자가 57.4%로 가장 많고, 간호조무사의 경우 고등학교 졸업자가 54.3%로 많았다. 종교는 ‘있다’가 56.4%였고, 결혼여부는 간호사의 경우 미혼이 50.2%, 간호조무사의 경우 기혼이 51.3%로 많았다. 부양여부 또한 ‘있다’라고 응답한 간호사는 41.9%, 간호조무사는 44.7%로 의 현황을 보였으며, 대다수 일반간호 요원(86.6%)의 지위였고 관리자는 13.4%였다. 병동근무가 간호사, 간호조무사업무의 주 업무부서이며, 현 병원의 경력 사항은 64.8%가 3년 미만의 입사형태를 지니고 있다. 고용형태는 대부분 정규직(93.8%)이었고, 3교대근무 형태가 59.6%로 다수였으며, 급여는 간호사의 경우 다수가 201-250만원(48.8%), 간호조무사의 경우는 150만원 이하가 65.0%로 다수였다. 2. 대상자의 직무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 이직의도, 우울 각각의 평균점수는 7점 만점을 기준으로, 직무만족도는 3.97±0.97점의 만족도를 보였고, 직무스트레스는 간호사 4.02±0.90점, 간호조무사는 3.81 ±1.00점으로 간호사가 직무스트레스에 더 영향을 받는 양상을 보였으며, 소진은 3.65±1.16점, 이직의도는 3.74±1.42점, 우울은 60점 기준으로 평균 16.12±11.03점으로 나타났다. 3. 자격여부별 직무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 이직의도, 우울의 특징은 간호사의 경우, 직무만족도는 40대 이상, 현 병원 경력1-2년차, 낮 근 무자에서 높았고, 간호조무사는 가족부양이 있는 경우와 현 실무경력 1-2년차가 가장 높았으며, 간호사의 경우, 미혼이면서 20대 연령에서 모두 직무스트레스, 소진, 이직의도, 우울이 높고, 임상실무경력 3-5년차, 현 병원근무 1-2년차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이상이 있었으며, 일반간호사이면서 3교대 근무형태에서 소진과 우울이 높았고, 이직의도는 일반간호사가 높게 나타났다. 간호조무사는 일반병동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높고 우울이상이 많았으며, 3교대 근무형태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높고, 부양여부가 없으면서 3-5년차 총 임상실무 경력자에서 이직의도가 높았다. 또한 30대 이상, 미혼의 경우 우울 이상이 많았으며 소진의 경우는 유의미한 특징의 결과가 발생되지 않았다. 4, 대상자의 가장 큰 만족요인은 동료와의 관계부분이고 적은 부분은 보수부분이며 가장스트레스가 높은 요인은 간호업무요인이며, 교대근무와 업무로 인한 신체적 소진 등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를 바탕으로 병원 내 정기적인 동아리 모임이나 인트라넷 등을 이용한 상담의 장의 활성화를 통한 촉진과 상대적 점수가 낮은 보수만족부분의 개선, 간호업무의 스트레스요인에 대한 대처 능력강화를 위한 문제중심 매뉴얼의 개발과 정착, 신체적 피로완화를 위한 복지적 노력 등 경영진들의 많은 관심과 주의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