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아다 마리아 이사시-디아즈의 무헤리스타 신학 : 해방과 구원을 향한 라티나들의 연대

        김태연 이화여자대학교여성신학연구소 2013 여성신학논집 Vol.9 No.-

        Mujerista theology has become known to Korean feminist theologians since 2005, when the Hispanic feminist theologian, Ada Maria Isasi-Díaz, visited Korea. There is, however, still little known to us how Mujerista theology has arisen and been shaped for the liberation of Latinas/Hispanic women.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introduce who is Isasi-Díaz and what are the key theological concepts of Mujerista theology. First, Isasi-Díaz’s biography is briefly sketched. Second, based on this biographical information her most important experiences are shown which led her to become a Mujerista struggling against sexism, racism and ethnic prejudices. Finally, we examine the four main characteristics of Mujerista theology: What is the meaning and the context of the birth of the neology, Mujerista? How is Mujerista theology positioned critically in regard to the established feminism? What is the meaning of its theological sources, lo cotidiano, which refers to the daily lived experiences of grassroots Latinas? Why does Isasi-Díaz use Kin-dom of God instead of the traditional metaphor Kingdom of God? How does she reconceptualize Mestizaje-Mulatez as Hispanic identity and culture? Why does she regard adding Mulatez to Mestizaje as an ethical option? Isasi-Díaz’s hermeneutics is a reflective application which deconstructs the boundary of the center and peripheries of traditional feminist discourse dominated by Euro-American white feminists. It tries to reorganize the field of the feminist discourses on the basis of justice and mutuality. Dialogue with Mujerista theology will help us to widen our feminist theological horizon beyond the East-Asian cultural area and seek mutual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 샐리 맥페이그의 은유신학과 트린 민하의 여성주의 이론의 만남: 심연(Tehom, the depth)의 기호학적(Semiotic) 의미를 중심으로

        김수연 ( Soo-youn Kim ) 이화여자대학교 여성신학연구소 2014 여성신학논집 Vol.10 No.-

        성서의 창세기 “흑암(깊음) 위의 영”에 대한 전통적인 해석은 “깊음, 심연, 물, 혹은 어둠을 정복하고 통제하는 하나님의 영”으로 이미지화되어 이해되어 왔다. 둘로 나누고 또한 한쪽은 다른 한쪽에 의해 억압되고 정복되어야 하는 이러한 제국주의적인 논리 속에서 땅, 물,여성 등은 희생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하나님의 몸’에 초점을 두고 창조적인 공간으로서의 자궁 같은 몸을 하나의 은유로 사용하는 샐리맥페이그의 신학과 억압된 심연, 바다 같은 모성, 혹은 몸을 ‘쓰기’라는 프렌치페미니즘의 전략을 통해 의식의 차원으로 드러내는 트린 민하의 여성주의 이론은 서로 닮아 있고 접점을 그리며 기존의 가치 체계에 비판적 역할을 수행한다. 즉, 억압된 기호세계를 드러내는 맥페이그의 ‘은유’와 트린 민하의 ‘쓰기’ 방식은 ‘영이 떠돌던 심연, 흑암,혹은 어둠’의 모습을 오히려 창조적인 공간으로 그려내며 더 이상 억압의 대상이 아닌 생명을 주는 공간으로 테홈, 깊음을 강조한다. 이러한 입장을 반영한 성서의 창조 이야기에 대한 재해석은 이제까지 영육간의 위계적인 질서를 암묵적으로 지지하며 정당화해 왔던 가부장적가치 체계에 도전하며 이분법적인 사고에 비판적 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토마스 아퀴나스의 미 이론 연구

        문한나 이화여자대학교여성신학연구소 2014 여성신학논집 Vol.11 No.-

        This work is about the aesthetic theory of Thomas Aquinas(1224~1274). Aquinas is the first philosopher who overcame the long habitual thinking according to which the aesthetic is in the same line with the good and revealed the unique meaning of the aesthetic. He laid the foundation for theological thinking through the aesthetic. Aquinas had looked at the aesthetic in the metaphysical and theological dimension rather than in the sensual dimension. In his theory, the aesthetic is the reflection of a form existing in the spirit of God and appears in the characteristic of a substantial form(forma), the existence principle of an object. It is considered that something that has a form, or something that exists, is beautiful. He dealt with the aesthetic in the relation between the truth and the good, which are considered to be transcendentals that all entities have on their own. In so doing, philosophically and theologically, he maintained that the aesthetic is not any specific position of an object, but the value that an object has on its own as a creature of God. Aquinas defines the aesthetic as things that give pleasure to the eye(quae visa placent), or things that satisfy a desire when recognized. The aesthetic tradition in the Middle Ages saw the aesthetic in the same way as the good. But, by distinguishing the aesthetic from the good, Aquinas considers the good to be that the good itself is desired, and the aesthetic to be that recognition is desired. Pleasure goes with the activities originating from natural instinct. Nevertheless, he also referred to the possibility of another type of pleasure only human beings have, which is the pleasure attendant upon the recognition. Aquinas regarded the indifferent pleasure experienced in the recognition itself, regardless of the purpose of self-preservation, in the same light with the aesthetic pleasure. The aesthetic pleasure is gained by, the acceptance of an object’s form regardless of any actual profit or availability. According to Aquinas, the aesthetic has the characteristic of the truth as the recognition object of the intellect. The aesthetic recognition, or vision(visio), is not the immediate reaction of the sense, but the cognitive reaction in which the intellect intervenes. The aesthetic pleasure is not the sensual pleasure without the intellect, but the pleasure gained through the recognition reaction to accept an object’s form. When human beings try to recognize an object itself as a purpose, rather than follow the object’s availability and purpose, they come to realize the object’s beauty and experience pleasure. Through the beauty of a form, he overcame the long-existing dualism according to which the world is regarded as inferior and materialistic one, established the aesthetic value of the real world and the beauty of existence itself, and regarded the beauty as the value that a creature of God has. His theory of the aesthetic is not the outcome of speculative interest or romantic sensitivity, but the outcome of the sincere theological thinking about the world he faced. The esthetic theory of Thomas Aquinas provides significant insight which is essential in establishing the theological aesthetic, despite the changes in the aesthetic thinking appearing in the modern aesthetic. 미에 대한 관심이 과열된 시대다. 여러 해 전 상영했던 영화 <친절한 금자씨>에서 붉게 칠한 눈매를 하고선 여상한 목소리로 “예뻐야 돼. 무조건 예뻐야 돼.”하고 읊조리던 금자 씨의 모습은 미에 대한 현대인의 욕망을 인상적으로 표상해준다. 모두가 예쁜 것, 아름다운 것을 추구하는 것 같지만 실상은 자본의 논리에 복속하는 획일화된 미적 기준만 존재할 뿐이다. 바우만의 지적처럼 아름다움의 초월적 힘, 우리를 이미 존재하는 세상 너머로 이끄는 이상으로서의 힘이 사라지고 있는 것이다.1) 공동화(空洞化)된 미적 수사가 넘쳐나는 시대에 기독교 신학은 아름다움에 대한 진지한 성찰로 응답할 필요가 있다. 기독교 신앙에는 하나님과 창조세계의 아름다움에 대한 근원적인 확신이 내재한다. 이러한 믿음은 하나님이 세상을 지으시고 보기에 좋다고 하셨다는 창세기의 보도를 비롯하여 성서 곳곳에 경탄의 언어로 표현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미적 감수성이 신학적 사유로충분히 발전하지는 못했는데, 이는 많은 부분 악의 문제에 대한 기독교 신학의 철저한 인식과 관련된다. 인간이 맞닥뜨리는 고통과 세상의 모순 앞에서 진이나 선이 더욱 절실해질 뿐 미에 대해 생각할 여유가 없었던 것이다. 그러나 미는 간과할 수 없는 하나님의 성품이며 창조세계에 내재한 속성으로서 기독교 신학에서 배제될 수 없는 부분이다. 시대에 대한 응답이라는 실천적 관심과 기독교 신학의 통전성 회복이라는 이론적 목적 모두를 위해 미에 대한 신학적 사유가 요청되는 것이다. 이러한 지점에서 토마스 아퀴나스의 미 이론은 하나의 사상적 자원으로서 주목할 만하다.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 1224 ~ 1274)는 미를 선과 동일한 것으로 여겨온 오랜 관습적 사유를 극복하며 미의 독자적 의미를 밝힌 최초의 사상가로서 미를 통한 신학적 사유의 중요한 토대를 형성했다. 아퀴나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방식에 따라 경험적이고 개별적인 존재자에서 존재 자체로 나아가는 구조 속에서 자신의 형이상학 탐구를 전개시킨 것처럼, 미 사유 역시 구체적인 존재자의 아름다움으로부터 시작하여 모든 미의 근원인 미 자체에 도달하는 방식으로 펼친다. 그의 미 사유는 가시적인 자연사물의 아름다움을 토대로 하고 있으나 유비적 방법에 따라 물체의 아름다움에서 정신적 아름다움으로 확대되며 창조 세계의 아름다움에서 출발하여 초자연적 아름다움으로 향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아퀴나스는 아름다움을 사물의 존재원리이자 인식근거인 실체적 형상(forma,形相)과의 긴밀한 관계 속에서 파악했다. 그는 사물의 아름다움이 형상에 있다고 보았다. 형상이 아름답다는 생각은 아퀴나스 미 사유의 기본적 입장 두 가지와 관련된다. 먼저 아퀴나스의 미 이론을 이해할 때 중요한 것은 그에게 미는 엄연히 실재하는 것이라는 점이다. 근대 이후를 살아가는 우리들은 미를 주관적 판단의 문제로 생각하는 것에 익숙하다. 그러나 아퀴나스가 생각하는 미는 주관적 반응으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실재하는 사물 자체가 지닌 속성이었다. 이러한 도식에서 사물은 주체가 사물을 보고 아름답다고 느낄 때야 비로소 미적 실체가 되는 것이 아니라 주체가 아름답다고 느끼기 이전에 이미 미적 실체로서 존재한다. 이러한 세계의 미의 실재성은 신적 미의 확실성으로부터 보장받는다. 아퀴나스는 모든 피조세계를 아름답게 하는 미의 궁극적인 원인이 되는 미 자체(ipsa pulchritudo)가 있어야 한다고 보았고 이것을 하나님에게로 돌렸다. 그는 하나님이 삼라만상의 조화(consonantiae)와 광채(claritas)의 원인으로서 아름답다고 표명한다. 하나님은 아름다움 자체로서 피조세계의 물질적이고 정신적인모든 아름다움의 근원이고, 사물은 하나님의 피조물로서 그의 완전한 미를 분유받기 때문에 아름답다는 것이다. 이렇듯 미를 실재하는 사물의 문제로 보는 관점은 아퀴나스 미 이론의 두 번째 특징인 미의 초월성에 대한 사유와 연관된다. 이때 ‘초월’이란 감각적 경험의 차원을 넘어서는 신적인 차원을 의미하는 개념이 아니라 존재자가 존재하는 한 그 자체로 지니는 가치, 모든 사물이 공통적으로 지니는 보편적 속성을 의미하는 스콜라적 개념이다. 미의 본질에 대한 아퀴나스의 정의는 존재자, 진, 선과 같이 전통적으로 초월적 특성으로 간주되었던 개념들과의 연관 속에서 논의된다. 이 개념들을 보편성이 아닌 초월성이라 말하는 것은 그 가치의 근원이 초월자인 하나님께 있다고 본 것과 관련된다. 모든 존재자는 하나님의 창조물로서 그의 진, 선, 미를 부여받았고 또한 끊임없이 공급받는다는 점에서 참되고 선하고 아름답다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아름다움이란 존재자의 특정 부분에만 해당되거나 어떤 존재자만이 지니고 있는 특성이 아니라, 미 자체인 하나님의 피조물로서 모든 존재자가 그 자체로 지니는 보편적이고 불변하는 특성이었다. 즉 존재자는 존재하는 한 아름답다.

      • 16세기 프랑스 종교 개혁운동과 왕실(귀족)여성 : 마가레타 당굴렘(Marguerite d’Angoulême, 1492-1549)과 쟌 달브레(Jeanne d’Albret, 1528-1572) 및 르네 드 프랑스(Renée de France, 1510-1575)를 중심으로

        조용석 이화여자대학교여성신학연구소 2014 여성신학논집 Vol.10 No.-

        Dieser Beitrag wird ich usschließlich it er Beziehung wischen alvin und den adeligen Frauen beschäftigen, weil Calvin eine systematische Politik der Einbeziehung der Frauen betrieben hat, um die Reformation in Frankreich zu verankern. Die adligen Frauen in Frankreich haben die große Rolle für die Verbreitung der Reformation gespielt. Die Taten von Marguerite d’Angoulême(1492-1549), Jeanne d’Albret (1528-1572) und Renée de France(1510-1575) müssen Calvin wahrscheinlich davon überzeugt haben, dass sie der Reformation Türen öffnen konnten. Sie hatten die Flüchtlingen während der ersten Religionskriege in ihren Herrschaftsgebieten aufgenommen. Calvin korrespondierte regelmäßig mit den adligen Frauen der königlichen Familie und versuchte sie auf der theologisch-politischen Ebene zu beeinflussen. Sein Standpunkt war, dass die Herrscherinnen die Pflicht und die Verantwortung hätten, ihren Herrschaftsgebieten den wahren Glauben aufzudrängen. Er entwickelte eine Strategie, um die Frauen für die Reformation zu gewinnen. Diese frauenpolitische Strategie Calvins bestand aus zwei Punkten: 1. schriftliche Ermahnungen 2. Sendung von Pastoren. Aber Calvin konnte aber nicht durchsetzen, dass alle Frauen, die eine Sympathie für die Reformation gezeigt hatten, seine Reform konsequent durchführten: Weder Marguerite d’Angoulême noch Renée de France, noch Marguerite de France schworen dem Katholizismus ab. Sogar Jeanne d’Albret brauchte lange, um sich offiziell für die Reformation auszusprechen. Ihre Stellung in der feudalistischen Gesellschaft ermöglichte auf einer Seite diesen Frauen religiös offen und frei zu wirken, auf der anderen Seite verbot gerade dies vielen von ihnen, sich in der Öffentlichkeit für die Reformation zu bekennen. Trotzdem sind diese Frauen deutlich eine Basis für die Verbreitung der Reformation in Frankreich gewesen.

      • 여성 지혜에 나타난 여성의 소외 : 잠언 1-9장과 31장을 중심으로

        박지은 이화여자대학교여성신학연구소 2014 여성신학논집 Vol.10 No.-

        The primary aim of this article is to look into the gender issue in the postexilic period by picking up the issue of the reemergence of the family structure in connection with female literary figures in Proverbs 1-9 and 31. By investigating female figures in Proverbs 1-9 and 31, this article shall argue that female literary figures in Proverbs uphold specific male ideology, rather than elevating the position of women in the postexilic period. To support this argument, the first section of this article shall briefly discuss women's relatively privileged status in the postexilic social context from the Elephantine documents, along with the mixed marriage issue. Based on such examination, the second section will suggest that the appearance of the Strange Woman figure can be viewed as a backlash from the dominant male elites for controlling women and their body and sexuality. And the Woman Wisdom and capable woman in Proverbs 1-9 and 31 whose bodies and sexuality are replaced by idealized images of the wife and the mother serve male ideology rather than pursuing their own desires and interests. Situating the Woman Wisdom figure and the capable woman in paralleling with the carnally evil figure of the Strange Woman into the pedagogical setting of Proverbs, male editor(s) of Proverbs could efficiently indoctrinate women as well as men. Through this process, thus, this article intends to uphold the main argument that the female figures in Proverbs 1-9 and 31 may be nothing to do with boosting women's high positions in this period; rather, their relatively high positions were tended to be tamed under the male control of their body and sexuality. At the same time, this article seeks to find alternative ways of reading Proverbs for the contemporary women in order to raise a question about the ideological aspect of Proverbs, embrace other women and discover the life-giving wisdom for themselves.

      • Making McFague and Trinh Minh-Ha Meet Concerning Tehom/Ruah (Elohim)

        Kim, Soo-Youn 이화여자대학교여성신학연구소 2014 여성신학논집 Vol.10 No.-

        성서의 창세기 “흑암(깊음) 위의 영”에 대한 전통적인 해석은 “깊음, 심연, 물, 혹은 어둠을 정복하고 통제하는 하나님의 영”으로 이미 지화되어 이해되어 왔다. 둘로 나누고 또한 한쪽은 다른 한쪽에 의해 억압되고 정복되어야 하는 이러한 제국주의적인 논리 속에서 땅, 물, 여성 등은 희생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하나님의 몸’에 초점을 두고 창조적인 공간으로서의 자궁 같은 몸을 하나의 은유로 사용하는 샐리 맥페이그의 신학과 억압된 심연, 바다 같은 모성, 혹은 몸을 ‘쓰기’라는 프렌치페미니즘의 전략을 통해 의식의 차원으로 드러내는 트린 민하의 여성주의 이론은 서로 닮아 있고 접점을 그리며 기존의 가치 체계에 비판적 역할을 수행한다. 즉, 억압된 기호세계를 드러내는 맥페이그의 ‘은유’와 트린 민하의 ‘쓰기’ 방식은 ‘영이 떠돌던 심연, 흑암, 혹은 어둠’의 모습을 오히려 창조적인 공간으로 그려내며 더 이상 억압의 대상이 아닌 생명을 주는 공간으로 테홈, 깊음을 강조한다. 이러한 입장을 반영한 성서의 창조 이야기에 대한 재해석은 이제까지 영육간의 위계적인 질서를 암묵적으로 지지하며 정당화해 왔던 가부장적 가치 체계에 도전하며 이분법적인 사고에 비판적 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Gender, Violence and Process Theology

        James Newton Poling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여성신학연구소 2008 2008 국제석학초청 강연회:젠더, 폭력 그리고 과정신학 Vol.2008 No.

        Gender violence is systematic abuse of women and children because of their subordinate status in patriarchal societies. Families and intimate relationships have epidemic levels of sexual and physical abuse in many societles.u The lecture includes two case studies and discussion of five principles of Process Theology. I argue that social agencies and churches that understand themselves in relationship to these five principles will be more compassionate and just in their responses to survivors and perpetrators of violence against women and children. 성폭력은 여성들과 어린이들에게 그들의 가부장적 사회에서의 종속적 지위 때문에 조직적으로 일어나는 학대이다. 가정과 그 밖의 친밀한 관계들 내에서 일어나는 성적이고 신체적 학대는 여러 나라에서 유행처럼 되어버린 실정이다. 이 강연은 두개의 케이스 스터디와 과정 신학의 다섯 가지 원칙을 논하고자 한다. 이런 다섯 개 원칙과의 관계성 속에서 자신을 이해하는 사회 기관들과 교회들이 여성들과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폭력의 피해자들과 가해자들에게 더 온정적이고 정의로운 대응을 할 것이라는 것이 나의 논지이다.

      • On Love : Rethinking Tillich's Interpretation of Love in Dialogue with Heyward's Concept of Love

        Baik, Soyoung 이화여자대학교여성신학연구소 2014 여성신학논집 Vol.10 No.-

        이 논문은 21세기 전지구적으로 지배적인 사랑의 형태가 된 ‘합류적 사랑’의 확산 현상을 지켜보며 기독교 사회윤리의 전통에서 사랑이라는 덕목을 재고한다. 후기 근대사회의 특징과 연관된 사랑의 변화를 분석하는 사회학자들은, 경쟁적이고 불안정한 직업 환경이 일상이 되어 있는 후기-근대 사회에서 더 이상 성별분업에 기초한 핵가족이 개인에게 사회적, 정서적, 경제적 지지기반으로 기능하기 힘들다고 말한다. 글로벌한 이동성과 시간제약 없이 일하는 전문기계가 되어야 하는사회에서 젊은이들은 물론 중장년층에 이르기까지, 자신의 영역에 손해가 되지 않는 시간과 상황에 한정하여 일시적으로 ‘합류’하는 감각적이고 육체적인 사랑을 선택한다. 여기에 자본의 논리까지 가중되어사랑의 대상마저도 대상화, 타자화, 상품화되어버린 상황을 ‘문제적’이라 판단하며, 본고는 폴 틸리히와 카터 헤이워드의 ‘사랑’에 대한 신학윤리적 해석을 교차읽기하며 사랑의 존재론적 본성과 가치를 다시 짚어보았다. 20세기 서구 남성 신학자로서는 드물게 통전적인 시각에서 ‘사랑’을 이해했던 틸리히는, 신론에 입각하여 존재론적 측면에서 ‘사랑’의속성을 풀어내었다. 그는 개별화와 참여, 독립과 연합의 긴장과 리듬이 신이 부여한 인간 존재의 실존적 상황이며 능력이라고 보고, 이 둘 사이를 연결하는 삶의 원동력이 ‘사랑’이라고 정의한다. 전통적인 신학자들이 취해왔던 사랑의 위계적 범주화를 비판하며 틸리히는, 리비도와 에로스, 필리아가 별도의 존재론적 위치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사랑에 참여하는 힘의 다양한 속성들이라고 보았다. 또한 인간의 사랑은 위계적인 다른 존재론적 사랑으로 분화되는 것이 아니라, 본질적인 신적 사랑에 구체적으로 참여해가며 개별적 특성을 발휘한다는 점에서 언제나 ‘임시적’이고 ‘단편적’이라고 했다. 틸리히가 건설한 ‘사랑의 존재론’에서 아가페의 위치는 위계적 상층부를 차지한다기 보다는 개별적, 단편적 사랑 안에 거하되 모든 특수하고 개별적인 사랑을 품는 보편적 특성을 지닌다. 아가페는 실존 안에서는 결코 완성태가 불가능하나 모든 사랑의 실천이 이를 지향하게 하는 일종의 기준이 된다는 것이다. 내가 사랑하는 너의 바운더리와 중심주체가 나에게 대상화되어 사용되지 않도록 이끄는 아가페적 힘 안에서, 육체적 사랑을 포함하여 모든 구체적인 사랑의 모습은 좋은 것이며 신적이라는 선언이다. 여성주의적 입장에서 사랑의 존재론을 주장한 헤이워드는 구체적이고 감각적인 신적 관계성으로서의 사랑을 강조하기 위해 하나님을‘관계적 에로스’라고 불렀다. 비록 헤이워드는 틸리히를 서구남성중심적 자유주의자라고 비판하지만, 그녀가 피력하는 하나님 이해와 사랑의 존재론은 틸리히와 상당부분 공동의 기반을 소유하고 있다. 헤이워드에게 하나님은 사랑 그 자체로서, 인간의 구체적 관계 안에서 체현되고 작동하는 감각적이고 변혁적이며 정의로운 힘이다. 그러나 그 힘은 한 개개인의 편파성이나 개별성을 초월하는 보편적 힘이라는 점에서 신적이다. 헤이워드의 ‘에로스’는 그리스철학의 형이상학적, 추상적 열망을 넘어서지만 그렇다고 단순히 성적 열망만을 지칭하는 것도 아니다. 본고는 헤이워드가 이분화, 위계화된 사랑의 담론이 주도적인 기독교 신학 전통 안에서 의도성을 가지고 ‘에로스’라는 단어를 재점유하면서 육체적 사랑의 영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을 주장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단독성, 임의성을 외치는 포스트-모던, 후기-모던 시대의 한복판에서, 개별성을 넘어, 그러나 개별성을 담보하고 존중하면서, 개별성을 포함하는 보편성으로서의 사랑을 말했다는 점에서, 본고는 틸리히와 헤이워드가 말한 ‘사랑의 존재론’이 주목받을 가치가 있다고 보았다. ‘탈성적 전문가 개인’으로 살아가는 이 시대, 나의 개별성과 자기 확장만이 중요한 시대, 육체적 사랑이 전인격적 사랑의 매개체가 아니라 일상탈출의 엑스타시로 여겨지는 이 시대에, 잘못된 관계성을 바르게 재조정하는 힘으로서의 사랑, 의애(just love)의 존재론적 본성을 재고하는 작업의 정치성을 고려할 때, 틸리히와 헤이워드의 차이보다 공동점, 즉 창조적 힘, 관계적 힘, 통전적 힘으로서 삶을 이끄는 사랑이라는 존재론이 더 주목되어야 한다는 것이 본고의 주된 요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