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와 미국의 과학 특기·적성 교육과정 비교

        김영연,장선진,김수암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4 교육과학연구 Vol.35 No.2

        본 논문은 우리나라와 미국의 과학 특기?적성 교육과저을 비교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특기?적성교육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균형 있는 교육과정 마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우리나라와 미국의 과학 특기?적성 교육의 내용과 범주, 프로그램의 양이 학교별, 학년별로 어떻게 다른지, 프로그램을 과학의 세부분야인 생물, 화학, 지구과학, 물리, 환경으로 나눈다면 특별히 중점을 두고 있는 분야가 어떤 것인가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인터넷 검색과 이메일 면접 그리고 문헌조사를 택하였다. 연구대상은 우리나라와 미국에서 과학 특기?적성 프로그램을 최근 몇 년동안 운영하는 학교였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에 소재한 5개 초등학교였고 미국에서는 4개 대학과 1개 초등학교였다. 교육과정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와 미국의 특기?적성교육제도는 공히 학생들의 방과후 교육활동으로서, 우리나라의 경우 시행기관과 수혜자가 같은 기관이었지만 미국은 대학과 지역사회의 개입으로 인하여 공급자와 수요자가 다양한 형태이다. 담당영역은 우리나라의 경우 외국어를 위시한 정규교육관련이었지만 미국은 폭력 예방, 레크레이션 등의 사회교육적 내용이었다. 둘째, 우리나라와 미국 모두 초등학교 4학년에 프로그램이 편중된 졍향이었다. 셋재, 내용별 분석에서 우리나라는 인체에 대한 프로그램, 색소분리, 다양한 지구과학이 많은 반면 미국은 생태학, 다양한 화학, 기상학, 천문학, 화석학, 환경 관련 프로그램이 많았다. 또한 우리나라와 미국은 공통적으로 전기와 에너지에 관련된 다양한 물리 분야를 다루는 프로그램이 많았다. 다섯째, 학년에 따라 개설 프로그램이 특징을 보였다. 생물분야에서 우리나라는 2학년, 미국은 4학년에 많은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지구과학분야는 우리나라는 3~4학년, 미국은 3학년에게 많은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물리분야는 우리나라는 1~2학년에게 미국은 4학년에게 많은 양의 프로그램수를 제공한다. 환경분야는 양국 모두 매우 부족하였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의 중점분야는 화학, 물리 순이었고 취약분야는 환경, 생물, 지구과학 순이었던 반면 미국의 중점분야는 생물이었고 취약분야는 화학, 물리, 지구과학 순이었다. The current after-school science curricula both in Korea and the USA were examined and compared in order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in science after-school curriculum in Korea. Information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internet searching as well as email and telephone communication with teachers. Five Korean elementary after-school programs in addition to four American university extension programs and one elementary after-school program were analysed according to the individual quantity, contents and way of management of the programs as wel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Korea, the educational institute is the elementary school, and the object of education is also school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In the USA, however, educational institutes are elementary school, university, and community center. Second, the comparison of the number of the programs, indicated that the maximum numbers of program were found in the 4th grade in both countries. However, Korean elementary schools open more subjects in after-school science program than American institutions do. Third, Korean curricula emphasize the fields of physics and chemistry more than other fields, but U. S. A focused on the biology and earth science, In conclusion, students of both countries should learn the knowledge of all kinds of science fields.

      • KCI등재

        대학입학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교육성과 차이 분석

        김지하,이병식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10 교육과학연구 Vol.4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college student outcomes by admission types: rolling and regular admission. This study surveyed the 2nd∼4th waves of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need to specify what this is) and applies a random effects model and the Hausman & Taylor Panel model. This study found that the rolling admission entrants had higher GPAs and a lower probability of transferring to other universities than those from regular admission. Contrary to expectations, regularly admitted students tended to study more and demonstrate desirable attitudes in class. These apparently conflicting results are indicative of the need to reconsider the widely assumed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behavior and academic achievement in universities, and for more expanded indicators that represent student college success. 이 연구는 수시모집 입학생과 정시모집 입학생간의 대학에서의 교육성과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한국교육고용패널 2-4차년도 자료를 사용했고, 임의효과 로짓모형과 Hausman-Taylor모형을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수시모집 입학생은 정시모집 입학생들에 비해서 학업성취도가 높았으며, 다른 대학으로의 편입의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러한 교육성과 측면의 결과와 달리, 대학생활 측면에서는 정시모집 입학생들의 강의태도가 더 좋았고 주당 자습시간도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활과 교육성과에 관한 일반적인 가정을 재검토하고, 대학입학유형에 따른 차이를 보다 확장된 지표를 활용하여 연구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이화유치원 교육과정의 역사적·철학적 기초

        이은화,이정환,이경우,이기숙,박은혜,홍용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1997 교육과학연구 Vol.26 No.-

        본 연구는 우리나라 최초의 유치원인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이화유치원의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있는 이론적 근거를 역사적ㆍ철학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이화유치원 설립 당시부터 현재까지의 교육과정의 성립 및 변천과정과 철학적ㆍ심리적 사조를 살표보고 이들의 영향이 이화유치원 교육과정에 나타난 부분을 탐구하였다. 연구결과 1914년 한 미국인 선교사에 의해 설립된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이화유치원은 설립 이후 지금까지 우리나라 유치원 교육의 모델을 제시하며 선도적 역할을 담당해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육과정의 측면에서는 유아들의 전인발달 특히 사회ㆍ정서적인 발달을 중요시하고 우리의 전통사상과 기독교정신, 진보주의 이론 및 구성주의가 그 철학적ㆍ심리적 기초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istorical, philosophical, and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the curriculum for Ewha Lab Kindergarten.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mainly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wha Lab Kindergarten, which was founded in 1914, is the very first kindergarten for Korean children. It has played the leader's role of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since then. Second, the curriculum of Ewha Lab Kindergarten was differentiated from other kindergartens' from its beginning in the sense that it was based on the firm belief of child-oriented philosophy. Third, essence of the curriculum for Ewha Lab Kindergarten has remained the same despite of its several changes. It has put emphasis on the development of the whole child, especially social-emotional development, and child-oriented curriculum which is based on the child's interests and experiences. Fourth, the curriculum for Ewha Lab Kindergarten was influened by several philosophies and psychological theories. Among those, Korean traditional thoughts, Christianity, Progressivism, and Constructivism are the most salient. Because Ewha Lab Kindergarten was founded by American missionary, Christianity was the basis for the curriculum. Examples can be that hymns, prayer, and bible stories are included in the curriculum and Easter, Thanksgiving, and Christmas are also celebrated. Perspectives on the purpose of education,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and the teacher's role were influenced by Korean traditional thoughts. The contents, teaching strategies, the teacher's role, and educational environments were heavily influenced by both Progressivism and Constructivism.

      • KCI등재

        대학 교육의 질향상을 위한 성공적인 사이버 교육의 운영요소 및 전략

        주영주,최성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2 교육과학연구 Vol.33 No.2

        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교수법에 대한 관심은 대학 교육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효과적인 교육을 위해서 대학은 강의실 안에서 이루어지는 수업과 함께 사이버교육의 도입은 필수적인 요소로 채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전통적 대학 교육기관에서 새로운 교수방법으로 사이버교육을 새로이 도입하고, 활성화 시키기 위한 지침을 탐색, 제안하고자 하였다. 즉 새로이 사이버 대학을 설립, 운영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대학을 중심으로 대학 교육의 질을 향상하고, 다양한 교수 방법을 도입할 뿐만 아니라 학습자에게 풍부한 학습의 기회를 주기 위한 사이버교육의 도입을 위한 운영요소을 마련하려고 하였다. 이를 위한 지침으로서 사이버교육을 계획, 운영하기 위한 운영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1. 사이버 대학의 이념과 목적에 맞추어 이의 실천을 담당할 독립적인 교육행정기관, 2. 건물의 기초공사와도 같은 교육시설 즉, 인프라(infrastructure), 3. 온라인 교육에 맞는 학사운영, 4. 학습을 평가하고 컨텐츠 평가 전략과 질관리에 대한 노력을 통한 교육내용개발, 5. 내용제공자, 교수자(강의자), 조교, 운영자 등의 인적자원, 6. 사이버교육을 성공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교수들과 학생들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체제 및 7. 사이버 대학 교육프로그램의 적절성을 결정하는 과정인 교육평가가 그것이다.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in university, managers and instructors have tried several instructional methods. Especially the introduction of cyber-education having unique characteristics, such as time and place independence, and interactivity, pushes them to think about the quality and method of college education. Cyber education combined with the classroom would boost the interactivity among students and instructors, leading to the good quality of college education. This study tried to suggest the guidelines and strategies which can be applied when the traditional university initiates the cyber education. These are followings; 1. Establishing independent cyber education center, 2. Preparing the infrastructure and equipments, 3. Preparing course management appropriate with on-line education, 4. Developing the good quality of course contents, 5. Supporting the personnel resources such as a content provider, a instructor, a tutor, etc., 6. Establishing support system for the student and instructor, and 7. Having a reliable and valid evaluation system of cyber education.

      • KCI등재

        DBME(Discipline-Based Music Education)에 의한 음악과 교육과정의 비판적 분석과 발전 방향 탐색

        최윤경,강현석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5 교육과학연구 Vol.36 No.2

        오늘날 음악 교육은 입시 위주의 교육 정책, 국가 경쟁력의 강화라는 표어 아래에서 학교 당국과 교사, 학생, 학부모에게 부담스러운 과목으로 외면당하고 있으며, 음악 교육의 가치와 당위성마저 흔들리는 위기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위기는 현재까지의 음악 교육이 일반적으로 ‘음악 이론과 기능을 가르치고 음악 활동을 하는 교과’로 인식되어 왔고, 음악과 교육과정 역시 ‘이해해야 할 지식’과 ‘경험해야 할 행위와 활동’을 단순히 나열하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와 비슷한 위기에 직면했던 미국은 예술 교육의 정상화를 위해 미술교육에서 DBAE(Discipline-Based Art Education) 이론을 개발하였고, DBAE의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음악 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연구된 것이 DBME(Discipline-Based Music Education)이다. 이에 본 연구는 DBME의 역사적 배경, 목적과 내용,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현행 음악과 교육과정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향후 음악과 교육과정이 ‘사회적?역사적?문화적 맥락을 고려’하고, ‘사고와 탐구 활동을 강조’하고, ‘디지털 중심의 사회적 변화를 수용’하는 음악과 교육과정으로 발전하여야 함을 제안하였다. Today, music education is a burden to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and music is recognized to difficult subject. The reason is why the purpose of education changes into the university entrance and the policy of economic growth has precedence. So, The value of music education have faced at risk. The reason is that music education was recognized by subject matter that teaches music theory and function and does music activity until now. And music curriculum lists knowledge to understand, and activity to experience.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at faced at risk similar our country developed DBAE(Discipline-Based Art Education) theory in art education to solve problem of art education. DBME(Discipline-Based Music Education) is based on DBAE and studied to solve problem of music education. DBME involves music-making, musical history, musical aesthetics and musical criticism. Each of these disciplines are related and integrated to provide students with a balance understanding of works of music. This study examines historical background, purpose, contents, characteristic of DBME for theoretical explanation. Through this, current music curriculum is analyzed critically. And the direction of music curriculum is presented as following. So Music curriculum that accommodates engineering, considers social, historical, cultural context, and emphasizes thinking ability is emphasized in the next music curriculum revision.

      • KCI등재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에 대한 교육 전문가의 인식 분석 및 지원 방향 탐색

        이미숙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12 교육과학연구 Vol.4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ritical perceptions of the policy of school curriculum autonomy and the need for support to discuss what should be improved. Data were collected from interviews with and surveys of educational specialists and head teachers at middle schools.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believed that staffing quotas need to be enforced by law and that there should be an increase in full-time teaching posts. Some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and surveys are discussed as follows. First, some restrictive guidelines should be alleviated and follow-up guidelines should be minimized because they limit curriculum autonomy. Second, the subject and boundaries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should be adjusted to conform to the guidelines of curriculum autonomy in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ird, school curriculum consulting should be implemented to help structure the organization and implement a school curriculum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chool. 이 연구에서는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에 대해 교육 전문가 및 교사들이 어떠한 문제 인식을 갖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중학교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바람직한 지원 방향은 무엇인가를 조사하여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의 정착을 위해 향후 개선되어야 할 점은 무엇인가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24명의 교육전문가 및 교사 대상 심층 면담과 중학교 교사 대상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육 과정 자율화 정책을 현장에 정착시키기 위해 어떠한 지원이 요청되는가에 대한 교사 대상 설문 조사 결과, ‘교원 법정 정원 확보 및 정규 교원 수 증원’에 대한 요구가 가장 강한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청에서 ‘학교 교육과정의 특성화 지원을 위한 전문 인력 확보 및 수시 자문 체제 구축’을 통해 자율화를 지원해야 한다는 의견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심층 면담 결과 및 설문 조사 결과에 기초하여 교육과정 자율화의 방향과 거리가 있는 규제적 지침을 완화하고 자율화의 취지를 제한하는 후속 지침을 최소화해야 하며, 학업 성취도 평가 대상 교과 및 범위를 조정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된 자율화 지침에 연동되는 성취도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 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예비초등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 정의적 특성의 상관관계

        김효남,명전옥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9 교육과학연구 Vol.40 No.2

        This study is about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scienc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is considered a characteristic of teachers which affects science teaching in elementary classrooms. 64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Form B developed by Enochs and Riggs(1990) was translated into Korean and used for data collection in April 2008. The Science Affective Characteristics Instrument was developed by Kim, Chung and Jeong (1998) of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used for data collection during the same period. Chronbach alpha coefficient of science teaching efficacy is .84 and science affective characteristics, .94. Science teaching efficacy scor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s 3.77 on Likert's scale of five choices. Science affective characteristics score is 3.68 on Likert's scale of five choices. Science teaching efficacy sh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igh school tracks such as science and non-science, a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and science-related and non-science-related tracks in universit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science affective characteristics is .64, which indicates a strong correl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초등교사들의 과학교수 효능감과 과학 정의적 특성은 어떠하며, 배경변인에 따라 과학교수 효능감과 과학의 정의적 특성이 차이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 정의적 특성은 어느 정도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하위 범주에 따라 상관관계에 차이가 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교사 양성기관에서 초등 과학교수법 강의를 수강하는 예비 초등 교사 64명이었다. 검사 도구는 과학교수효능감 검사지 STEBI-B형(Enochs & Riggs, 1990)과 과학 정의적 특성 검사지(김효남, 정완호, 정진우, 1998)이다. 두 검사 도구의 문항은 모두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되었다. 검사는 2008년 4월에 실시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초등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은 평균이 3.77이었으며 하위 범주인 개인 효능은 3.92, 결과기대는 3.62이었다. 과학 정의적 특성 은 3.68이었으며, 하위 범주인 인식은 4.10, 흥미는 3.41, 태도는 3.54이었다. 둘째, 예비초등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 정의적 특성은 성별과 대학 심화과정에 따라서 차이가 없었으나 고등학교 계열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예비초등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은 과학 정의적 특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상관계수는 .64이었다. 개인 효능과 결과 기대는 서로 다른 특성을 보여주었는데, 개인 효능은 과학 정의적 특성의 하위 범주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지만, 결과 기대는 과학 정의적 특성의 하위 범주 중 인식과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Elementary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Cho, Younsoon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1997 교육과학연구 Vol.26 No.-

        영국 국립교욱과정평가원(School Curriculum Assessment Authority)에서는 국제 수학 및 과학 학력 성취도 검사(TIMSS)에서 영국보다 점수가 더 높았던 국가들의 교육전문가들을 초청하여 각 국가의 교육과정에 대하여 비교 토의하면서 영국의 교육과정을 평가받기 위하여 1996년 1월 28, 29일 양일 동안 런던에서 초등교육과정에 관한 국제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이 회의에서 일본, 싱가폴, 스웨덴, 노르웨이, 캐나다 등 15개국 정도의 교육 전문가들이 참석하였는데 한국은 수학과 과학 두 분야에서 모두 영국보다 유의하게 높은 성취도를 보인 국가로서 초대되었다. 교육과정의 양식에 따라 국가들이 구분되어 발표를 요청받았는데, 영국보다 훨씬 더 중앙집중적인 국가들과 영국보다 더 지방분권화가 되어 있는 나라들로 나뉘어졌다. 발표내용이 대조를 이루고 있어서 각각의 장단점 속에서 자기들의 문제들을 진단해가는 방식으로 토의가 진행되어 매우 실제적이고 흥미 있는 회의였다. 필자는 한국 초등교육과정의 역사적 배경을 소개하였고, 현행(6차) 초등교육과정의 일반적 틀과 구성체제, 교육과정 운영 및 실시상의 지침을 제시하였으며, 중앙집중에서 지방분권화로 변해가고 있는 우리 나라 교육과정의 현황과 함께 교육과정의 폭과 깊이에 대해 토의하였다. 오랜 기간동안 중앙집중식이었던 우리 나라 교육과정의 지방분권화는 생각처럼 쉽게 이루어지기는 어렵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우리 나라 부모들의 자녀에 대한 과잉기대와 지나친 교육열로 인해서 우리나라 교육이 입시위주로 되고 있는 한, 국민 공통적 기초교육은 잘 이루어질 수 있으나 자율성과 창의성, 고등 사고력 등은 여전히 길러지기 어려운 사회·문화적 여건임을 지적하였다. Korean curriculum which had been centralized by ministry of Education is now trying to change into localized and school-based, student-centered curriculum emphasizing the individual needs, interests, and abilities of students. In preparing for the 21st century, creative thinking skills are also the main issues that the direction of education should change for. However in practice, education will not be subject to change unless the value of society changes. In this presentation paper, first I will review a history of Korean Elementary Education briefly, to understand from the foundation, then review the general framework, 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basic guidelines for the sixth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 in order for the audience to have a basic picture of what Korea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s like. Then I will discuss the problems of centralizing. tendency of our curriculum. Finally I will discuss the breath and depth of our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